KR100363963B1 -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963B1
KR100363963B1 KR1020000029408A KR20000029408A KR100363963B1 KR 100363963 B1 KR100363963 B1 KR 100363963B1 KR 1020000029408 A KR1020000029408 A KR 1020000029408A KR 20000029408 A KR20000029408 A KR 20000029408A KR 100363963 B1 KR100363963 B1 KR 10036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piece
gear
power
imaging le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386A (ko
Inventor
오상환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96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이 발명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는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를 포함하며, 피사체를 결상하는 대물부 및 상기 대물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를 관찰하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시에, 시도 조정 장치의 동력 발생부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이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로 각각 전달됨에 따라, 접안 렌즈와 결상 렌즈가 광축을 따라 동일한 광축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함에 따라, 근거리 보정용 마크나 AF 존 마크가 접안 렌즈를 통하여 항상 선명하게 관찰된다.

Description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REAL IMAGE FINDER AND DEVICE FOR ADJUSTING EYESIGHT THEREOF}
이 발명은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결상면에 위치되어 촬영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의 시도가 상시도와 항상 일치하는 실상식 파인더와, 이러한 마크 시도와 상시도가 일치하도록 하는 시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상식 파인더는 크게 물체를 결상하는 대물부와, 물체를 관찰하는 접안부로 이루어진다. 대물부에 의하여 물체의 상이 결상되는 지점을 결상면이라고 하며, 이 결상면에 일반적으로 두가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가 위치되어 있다.
도 1에 실상식 파인더의 접안부를 통하여 관찰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마크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마크 중 하나의 마크(M1)는 근거리 보정 마크로서 줌잉 등에 의한 근거리 촬영시 촬영 광학계와 파인더의 시차 발생을 고려하여 상측 시야의 한계를 설정해 주는 마크이고, 다른 하나의 마크(M2)는 AF(auto focus)존 마크로서 결상면의 중앙에 위치되어 촬영시 AF를 위하여 측거가 실시되는 구간을 표시하는 마크이다.
일반적으로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일치해야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촬영을 실시할 수가 있으나 제조상의 오차나 근거리에서 발생되는 파인더의 시도 변화가 원인이 되어서 상과 마크는 시도차를 가지게 된다.
도 2에 종래의 실상식 파인더에서 시도 조정 장치에 의하여 시도차가 조절되는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무한 거리에 위치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결상되는 위치와 근거리에 위치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결상되는 위치가 달라서 시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근거리의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접안 렌즈를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피사체 상은 잘 보이지만 마크의 결상면 즉, 마스크면과의 시차가 발생하게 되어 근거리 보정용 마크나 AF 존 마크 등이 흐릿하게 보이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카메라를 컴팩트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접안 렌즈의 초점 거리를 짧게 하거나, 피사체의 배율을 크게 하거나, 겉보기 배율을 크게 할 경우에 보다 심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도 조정 장치는 상시도만 맞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과 마크의 시도차가 여전히 발생되며, 특히 상과 마크의 시도차가 큰 경우에는 중요한 촬영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근거리 보정용 마크, AF 존 마크)가 보이지 않거나 희미하게 보이는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되어,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촬영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의 실상식 파인더에서 피사체 상과 촬영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의 시도차를 제거하여 정확한 촬영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상식 파인더를 통하여 관찰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에서 시도가 조절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렌즈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에서 시도가 조절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시도 조정 장치를 루프 프리즘을 사용한 실상식 파인더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는 시도 조정을 위하여 접안 렌즈가 이동할 때 대물부의 결상면을 가지는 렌즈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피사체 상의 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하도록 하였다.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는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를 포함하며, 피사체를 결상하는 대물부; 및
상기 대물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를 관찰하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부
를 포함하며, 시도 조정시에 상기 접안 렌즈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접안 렌즈에 연동하여 상기 결상 렌즈가 상기 접안 렌즈와 동일한 광축상에서 이동한다.
특히, 상기 결상 렌즈는 상기 접안 렌즈가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을 가지는 거리만큼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하게 된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는,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를 포함하며, 피사체를 결상하는 대물부; 및 상기 대물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를 관찰하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실상식 파인더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대물부의 결상 렌즈 및접안 렌즈로 전달하여 상기 결상 렌즈 및 접안 렌즈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는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작동부와 제2 작동부는 설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 상기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접안 렌즈와 결상 렌즈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가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렌즈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는 제1 내지 제5 렌즈(L1∼L5)로 이루어진 대물부(Ⅰ)와, 제 6렌즈(L6) 및 제7 렌즈(L7)로 이루어진 접안부(Ⅱ)로 이루어진다.
제1 렌즈(L1) 및 제3 렌즈(L3)는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며, 제2 렌즈(L2)는 양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고, 제4 렌즈(L4)는 광을 반사시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고 상을 반전시키는 루프(roof)형 반사 미러이며, 제5 렌즈(L5)는 대물부(Ⅰ)의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로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이다. 그리고 제5 렌즈(L5)의 출사면에 근거리 보정용 마크 또는 AF 존 마크 등 촬영 정보를 제공하는 마크(M))가 위치되어 있다. 줌잉시에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의 거리,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의 거리 및 제4 렌즈(L4)와 제5 렌즈(L5) 사이의 거리가 변화된다.
접안부(Ⅱ)는 광을 반사시켜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제6 렌즈(L6, 여기서는 펜타 프리즘으로 이루어짐)와, 양면이 볼록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 렌즈(L7)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5 렌즈(L5)를 결상 렌즈라고 명명하고, 제7 렌즈(L7)를 접안 렌즈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에서, 피사체에 해당하는 광이 실상식 파인더의 대물부(Ⅰ)로 입사됨에 따라 피사체 상이 결상 렌즈(L5)를 통하여 결상면에 맺혀지며, 이 때 결상되는 피사체 상은 정립상이다.
이러한 피사체 상은 접안 렌즈(L7)에 의하여 촬영자의 동공에 결상된다. 따라서 촬영자는 접안 렌즈(L7)를 통하여 피사체 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시도차가 발생되면 접안 렌즈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연동하여 대물부(Ⅰ)의 결상 렌즈(L5)가 접안 렌즈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시도가 접안 렌즈(L7)에 의하여 조정되는 만큼 마크 시도도 결상렌즈(L5)에 의하여 조정됨에 따라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하게 되어, 촬영자는 정확한 촬영 정보를 가지고 촬영할 수가 있다.
이러한 시도 조정 원리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무한 거리에 위치되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결상되는 위치와 근거리에 위치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결상되는 위치가 서로 달라서 시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안 렌즈(L7)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시도를 맞추는 동안, 결상 렌즈(L5)가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하면서 마크 시도를 맞추어 주게 됨으로서,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하게 되어 촬영자는 실상식 파인더를 통하여 정확한 촬영 정보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결상 렌즈(L5)와 접안 렌즈(L7)를 이용하여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는, 동력 발생부(10)와, 동력 발생부(10)에 연결되어 발생된 동력을 대물부(Ⅰ)의 결상 렌즈(L5)와, 접안부(Ⅱ)의 접안 렌즈(L7)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20)로 이루어진다.
동력 발생부(10)는 모터(11)와, 모터(11)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12)와, 피니언 기어(12)와 치차 결합되어 있으며 피니언 기어(12)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는 랙 기어(13)로 이루어진다.
동력 전달 부재(20)는 펜타 프리즘인 제6 렌즈(L6)의 입사면(r12) 및 출사면(r13)이 연결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 작동부(21) 및 제2 작동부(22)로 이루어지며, 특히,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작동부(21)와 제2 작동부(22)는 약 83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으다. 제1 작동부(21) 및 제2 작동부(22)는 동력 발생부(10)의 랙 기어(13)에 연결되어 랙 기어(13)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각각 접안 렌즈(L7) 및 결상 렌즈(L5)로 전달하여,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안 렌즈(L7) 및 결상 렌즈(L5)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작동부(21)와 제2 작동부(22)에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제1 가이드 홈(211) 및 제2 가이드 홈(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 홈(211) 및 제2 가이드 홈(221)을 따라 이동되는 제1 가이드 돌기(212) 및 제2 가이드 돌기(222)가 각각 접안 렌즈(L7) 및 결상 렌즈(L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에서, 실상식 파인더를 통하여 관찰되는 상시도와 마크(근거리 보정용 마크, AF 존 마크 등)의 시도가 다른 경우 즉, 상과 마크에 시도차가 발생된 경우에, 촬영자가 도시하지 않은 시도 조정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면 구동력 발생부(10)의 모터(11)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11)의 회전에 따라 모터(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2)가 회전 운동하게 된다.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하는 피니어 기어(12)에 의하여 랙 기어(13)가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됨으로써, 랙 기어(13)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 전달 부재(20) 또한 상하 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접안 렌즈(L7)와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돌기(212)가 랙 기어(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작동부(21)의 제1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접안 렌즈(L7)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상 렌즈(L5)와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돌기(222)가 제1 작동부(21)와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는 제2 작동부(22)의 제2 가이드 홈(221)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결상 렌즈(L5)가 접안 렌즈(L7)와 동일하게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접안 렌즈(L7)의 이동량과 결상 렌즈(L5)의 이동량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시도 조정시에 접안 렌즈(L7)의 이동에 따라 상시도가 맞춰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상 렌즈(L5)의 이동에 따라 마크 시도가 맞춰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시도와 마크 시도의 차이가 제거된다.
한편, 실상식 파인더의 상반전부가 펜타 프리즘이 아니고 루프 프리즘인 경우에도 위에 기술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도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시도와 마크 시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 루프 프리즘을 사용한 실상식 파인더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를 적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루프 프리즘이 사용된 경우에는 제1 작동부(21)와 제2 작동부(22)가 약 135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이 발명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단지 구동력 발생부(10)의 구성이 다르다. 이 때,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작동부(21)와 제2 작동부(22)는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의 구동력 발생부(10)는 모터(11)와, 모터(11)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 기어(14)와, 제1 기어(14)와 치차 결합되어 있는 제2 기어(15)로 이루어지며, 제2 기어(15)는 동력 전달 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부(20A)와 치차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시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 작동에 따라 모터(11)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11) 회전에 연동하여 제1 기어(14) 및 제2 기어(15)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2 기어(15)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제2 기어(15)에 연결된 동력 전달 부재(20)가 상하 운동함으로써,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접안 렌즈(L7)와 결상 렌즈(L5)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211,22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로테이터(rotato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20)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동력 발생부(10)의 구성만이 다르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동력 발생부(10)는 수동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16)와, 로테이터(1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17)로 이루어지며, 제1 기어(17)는 동력 전달 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20A)와 치차 결합되어 있다.
시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촬영자가 로테이터(16)를 회전시키게 되면, 로테이터(1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17)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제1 기어(17)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동력 전달 부재(20)가 상하 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접안 렌즈(L7) 및 결상 렌즈(L5)가 제1 및 제2 가이드 홈(211, 221)을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에 기술된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에 의하여 실상식 파인더의 접안 렌즈와 결상면을 가지는 대물부의 결상 렌즈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함에 따라,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상식 파인더가 다음 표 1내지 표 3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값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상시도와 마크 시도의 시도차가 감소된다.
다음 표 1은 실상식 파인더의 각 렌즈의 실시예값을 나타낸다.
면번호 곡률반경(r) 두께,거리(d) 굴절률(nd) 아베수(ν)
1 29.703 1.80 1.492 57.40
* 2 -47.762 1.84
3 -13.581 0.80 1.492 57.40
* 4 10.156 19.02
* 5 13.242 2.00 1.492 57.40
6 -11.651 6.53
7 0.00
8 10.40
* 9 16.932 2.97 1.492 57.40
10 0.00
11 2.10
12 27.05 1.517 64.20
13 2.21
* 14 31.286 3.00 1.492 57.40
15 -17.677 20.00
16 0.00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각 비구면의 계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제2면의 비구면 계수 제4면의 비구면 계수
K -0.3508949864801E+00 K -0.1871588353325E+02
A4 0.2131802972643E-04 A4 0.1504103747276E-02
A6 0.0000000000000 A6 -0.8185605874322E-04
A8 0.0000000000000 A8 0.1918824969221E-05
제5면의 비구면 계수 제9면의 비구면 계수 제14면의 비구면 계수
K -0.2742515190543E+02 K -0.2303010056156E+02 K -0.1312232625953E+02
A4 0.9186885511644E-03 A4 0.00000000000000 A4 0.0000000000000
A6 -0.4036253548008E-04 A6 0.00000000000000 A6 0.0000000000000
A8 0.6517237429183E-06 A8 0.00000000000000 A8 0.0000000000000
그리고 줌잉시 변화되는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의 거리,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의 거리 및 제4 렌즈(L4)와 제5 렌즈(L5) 사이의 거리 변화량은 다음 표 3과 같다.
면번호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4 1.84 8.57 13.15
6 19.02 9.55 1.41
8 6.53 9.27 12.83
이러한 실시예값으로 이루어지는 실상식 파인더가 망원단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피사체 상이 결상면을 1㎜ 지나서 맺히게 된 경우에, -1.82 디옵터의 상시도가 발생되고 0디옵터의 마크 시도가 발생된다.
이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접안 렌즈만을 이동시켜서 시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상시도를 0 디옵터에 맞추어도 결상면의 마크 시도는 1.82 디옵터가 되어, 여전히 상시도와 마크 시도 사이에 시도차가 발생되어 피사체 상은 정확하게 보이나 마크는 흐릿하게 보이게 된다.
그러나 위에 기술된 다수 실시예에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도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를 이동시켜 시도를 맞추었을 경우, 상시도는 0디옵터가 되고 마크 시도는 약 0.03 디옵터가 되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시도 조정을 하는 경우에는 피사체 상 뿐만 아니라 근거리 보정을 위한 마크나 AF를 위한 마크 등이 모두 선명하게 관찰된다.
이 발명은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에 기술되는 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상식 파인더에 있어서 상시도와 마크 시도가 항상 일치함에 따라, 근거리 보정용 마크나 AF 존 마크가 접안 렌즈를 통하여 항상 선명하게 관찰된다.
따라서 제조상의 오차에 의하여 시도차가 발생되거나 물체의 근거리 촬영시에 시도차가 발생되어도 상시도와 마크 시도를 항상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촬영 정보를 가지고 촬영이 가능하다.

Claims (8)

  1. (정정)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를 포함하며, 피사체를 결상하는 대물부; 및
    상기 대물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를 관찰하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부
    를 포함하며, 시도 조정시에 상기 접안 렌즈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접안 렌즈에 연동하여상기 결상 렌즈가 동일한 광축상에서 상기 접안 렌즈가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을 가지는 거리만큼 이동하는실상식 파인더.
  2. (삭제)
  3. (정정) 결상면을 가지는 결상 렌즈를 포함하며, 피사체를 결상하는 대물부; 및 상기 대물부에 의하여 결상된 피사체를 관찰하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접안부를 포함하는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결되어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대물부의 결상 렌즈 및 접안 렌즈로 전달하여 상기 결상 렌즈 및 접안 렌즈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력 전달 부재
    를 포함하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동력 발생부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는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부와 제2 작동부는 설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가이드 홈, 상기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접안 렌즈와 결상 렌즈가 광축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접안 렌즈 및 결상 렌즈가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되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원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동력 전달 부재가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있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는 일측면에 상기 제2 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는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하는 제3 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상기 동력 발생부와 연결되는 일측면에 상기 제3 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상식 파인더의 시도 조정 장치.
KR1020000029408A 2000-05-30 2000-05-30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KR10036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08A KR100363963B1 (ko) 2000-05-30 2000-05-30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08A KR100363963B1 (ko) 2000-05-30 2000-05-30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86A KR20010109386A (ko) 2001-12-10
KR100363963B1 true KR100363963B1 (ko) 2002-12-11

Family

ID=4585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408A KR100363963B1 (ko) 2000-05-30 2000-05-30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332B1 (ko) 2008-12-23 2015-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23A (ja) * 1989-06-22 1991-02-04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JPH08211454A (ja) * 1995-02-06 1996-08-20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カメラの視度調整機構
JP2000066270A (ja) * 1998-08-25 2000-03-03 Asahi Optical Co Ltd 一眼レフ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23A (ja) * 1989-06-22 1991-02-04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JPH08211454A (ja) * 1995-02-06 1996-08-20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カメラの視度調整機構
JP2000066270A (ja) * 1998-08-25 2000-03-03 Asahi Optical Co Ltd 一眼レフ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86A (ko) 200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7504B2 (ja)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JPH01166024A (ja) 実像式ファインダーのパララツクス調整機構
JP5038694B2 (ja) 望遠撮影装置
JP4125176B2 (ja) デジタルカメラ付地上望遠鏡
JPH0621898B2 (ja) 撮影光学系
KR100363963B1 (ko)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JPS5979212A (ja) 合成樹脂材料を用いたズ−ムレンズ
US4949107A (en) Camera having telescopic capability
JP2874189B2 (ja) 外部式のファインダー系を有したカメラシステム
JPH05288989A (ja) ファインダ光学系
KR100189058B1 (ko) 파인더
JP2002182272A (ja) 双眼観察撮影装置
JPH0325423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KR100463331B1 (ko) 소형 변배 파인더
JP2006276142A (ja) 実像式ファインダおよびカメラ
JP2888588B2 (ja)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H075527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KR100296337B1 (ko) 실상식고정초점파인더
JP2605872B2 (ja) アイレベル・ウエストレベル両用の実像式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2514617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2350930A (ja) ファインダー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596145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514616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656046B2 (ja) 電子カメラの測光系
JPH10311957A (ja) Ttlファインダ光学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