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32B1 -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332B1
KR101571332B1 KR1020080132521A KR20080132521A KR101571332B1 KR 101571332 B1 KR101571332 B1 KR 101571332B1 KR 1020080132521 A KR1020080132521 A KR 1020080132521A KR 20080132521 A KR20080132521 A KR 20080132521A KR 101571332 B1 KR101571332 B1 KR 10157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eview image
astigmatism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766A (ko
Inventor
손상륜
유현식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332B1/ko
Priority to US12/620,705 priority patent/US8502904B2/en
Publication of KR2010007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iewfind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실제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위하여,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실제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프리뷰 모드에서 실시간 동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촬영 구도 등을 선정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플레이백 모드에서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최근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뿐만이 아니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전자식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 구도 등을 선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안경을 쓰는 사용자의 경우 뷰파인더를 이용할 시 통상적으로 안경을 벗을 수밖에 없는 바, 이 경우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벗고 뷰파인더를 이용할 시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촬영에 의해 얻은 결과물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의도하였던 결과물과는 상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실제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에 따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경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 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에 따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난시 보정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경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실제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피사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전자식 뷰파인더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프리뷰 이미지를 보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식 뷰파인더에 피사체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하더라도,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시, 전자식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볼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된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안경을 쓰는 사용자의 경우 뷰파인더를 이용할 시 통상적으로 안경을 벗을 수밖에 없는 바, 이 경우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벗고 뷰파인더를 이용할 시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리뷰 모드일 경우, CPU(100)는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으로 CPU(10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을 모두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일부만 제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촬상소자에서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왜곡할 수도 있다. 물론 촬상소자에서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서 왜곡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에서 왜곡될 수도 있고 다른 별도의 구성요소에서 왜곡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촬상소자에서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서 의도적으로 왜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촬영신호에 의해 촬상소자(30)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플레이백 모드 등의 경우에는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파일로부터 스틸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 리부(50)로부터 출력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해서 또는 직접 전자식 뷰파인더(52)에 전달되며, 전자식 뷰파인더(52)는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자식 뷰파인더(52)가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프리뷰 이미지를 보는 난시가 가진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에 관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식 뷰파인더에 피사체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하더라도,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시, 전자식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볼 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된 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전자식 뷰파인더(52)는 촬상소자(30)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이 경우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래의 피사체에 유사한 프리뷰 이미지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하는 구도 등에 따른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식 뷰파인더(52)는 촬상소자(30)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난시를 가진 사람에 따라 난시에 의한 이미지 왜곡 현상이 상이하게 나타나 므로, 전자식 뷰파인더(52)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의 난시에 의한 이미지 왜곡이 일어나는 방식을 고려하여 촬상소자(30)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왜곡해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ℓ1으로 표시된 선을 따라 왜곡하여 인식하는 사용자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ℓ1으로 표시된 선에 대략 수직인 ℓ2로 표시된 선을 따라 왜곡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전자식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를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하여 인식하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된 프리뷰 이미지를 볼 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실제 피사체와 유사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자식 뷰파인더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ℓ2로 표시된 선을 따라 왜곡하여 인식하는 사용자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ℓ2로 표시된 선에 대략 수직인 ℓ1으로 표시된 선을 따라 왜곡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전자식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하여 인식하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된 프리뷰 이 미지를 볼 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식하여, 최종적으로 실제 피사체와 유사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를 회전시켜 촬영할 수도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가 회전됨에 따라 전자식 뷰파인더 역시 회전되는 바, 그에 따라 전자식 뷰파인더가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할 시 왜곡하는 방식이 변경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전자식 뷰파인더가 프리뷰 이미지를 좌우방향으로 왜곡시켜 디스플레이한다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도 전자식 뷰파인더가 프리뷰 이미지를 좌우방향으로 왜곡시켜 디스플레이해야 한다. 여기서 좌우방향이라 함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즉, 전자식 뷰파인더를 기준으로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전자식 뷰파인더가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방향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전자식 뷰파인더가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시키는 방향이 상호 수직이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전자식 뷰파인더는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자식 뷰파인더는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에 따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정보 저장부는 도 4에 도시된 메모리(6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을 활용한 것일 수 있다. 즉,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평상시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그러한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을 구매할 시 자신의 난시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러한 난시 정보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입력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그러한 난시 정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이용하여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난시 정보를 함수 f(x)라 한다면 난시 보정정보는 그 역함수인 f-1(x)라고 표현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이 아닌 다른 방식에 의해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도트가 일정하게 배열된 피사체를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이미지가 될 것이고,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사용자의 안경을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면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왜곡된 제1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비교하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난시 보정 기능을 가진 안경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정도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과 검진표를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자식 뷰파인더가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난시를 가진 사용자는 왜곡된 프리뷰 이미지를 다시 왜곡하여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피사체를 올바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전자식 뷰파인더가,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전자식 뷰파인 더가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러한 사전설정된 방식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전자식 뷰파인더가,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난시를 가진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치고,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 후,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를 거치게 된다. 물론 S10 단계와 S20 단계는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난 시를 가진 사용자의 난시 보정 기능을 갖는 안경의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자식 뷰파인더가,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이와 같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왜곡된 프리뷰 이미지를 다시 왜곡하여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촬영하고자 의도한 피사체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피사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전자식 뷰파인더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리뷰 이미지를 보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자식 뷰파인더가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프리뷰 이미지를 보는 난시가 가진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가능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4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들이다.
도 12는 도 4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52: 전자식 뷰파인더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6)

  1.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에 따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안경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센서를 더 구 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에 따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난시 보정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경이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와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난시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방식과 반대 방식으로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상기 회전 감지센터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회전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안경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렌즈부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2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를 통해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뷰파인더는,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상기 (c) 단계에서 획득한 난시 정보 또는 난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촬상소자가 생성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프리뷰 이미지를 왜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132521A 2008-12-23 2008-12-23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1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521A KR101571332B1 (ko) 2008-12-23 2008-12-23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620,705 US8502904B2 (en) 2008-12-23 2009-11-18 Digital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at provide vision cor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521A KR101571332B1 (ko) 2008-12-23 2008-12-23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766A KR20100073766A (ko) 2010-07-01
KR101571332B1 true KR101571332B1 (ko) 2015-11-24

Family

ID=4226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521A KR101571332B1 (ko) 2008-12-23 2008-12-23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2904B2 (ko)
KR (1) KR101571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2852A1 (en) * 2011-03-21 2012-09-27 Apple Inc. Gesture-Based Configur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CN111279680A (zh) * 2017-08-31 2020-06-12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方形裁剪拍照方法、拍照系统及拍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661A1 (en) * 2002-04-04 2003-10-09 Matt Flach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igital imaging device using a near-eye viewfinde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963B1 (ko) 2000-05-30 2002-12-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상식 파인더 및 그의 시도 조정 장치
JP2002010112A (ja) * 2000-06-20 2002-01-11 Sony Corp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US6516154B1 (en) * 2001-07-17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revising camera and method
JP4346938B2 (ja) * 2003-04-09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046253A (ja) * 2006-08-11 2008-02-2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US7912368B2 (en) * 2008-10-29 2011-03-22 Panasonic Corporation Eyepiece lens system, finder optical system, and electronic viewfinder of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661A1 (en) * 2002-04-04 2003-10-09 Matt Flach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igital imaging device using a near-eye viewfinder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7109A1 (en) 2010-06-24
US8502904B2 (en) 2013-08-06
KR20100073766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382B2 (en) Selecting autofocus area in an image
US807721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human face detecting func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 human face
CN103024265B (zh) 摄像装置和摄像装置的摄像方法
JP2001183735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2020537382A (ja) デュアルカメラベースの撮像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記憶媒体
CN104410788A (zh) 电子设备
US20070242149A1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TW201102938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ace area detect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7214964A (ja) 映像表示装置
KR100741367B1 (ko) 피사체 실물 크기 정보 제공 가능한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1362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3735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914688B2 (ja) 撮影装置
JP201607685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57133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144285B (zh) 拍摄设备、拍摄辅助方法、显示装置及显示方法
JP4567538B2 (ja) 露出量算出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12088293B (zh) 预防暗光条件使用电子显示器造成视力减退的方法和系统
JP5125774B2 (ja) カメラ
JP2003289468A (ja) 撮像装置
KR101594293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130057720A1 (en) Electronic device
JP2003241073A5 (ko)
JP201005087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13074428A (ja) 自分撮り判断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自分撮り判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