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35B1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35B1
KR101323735B1 KR1020070005447A KR20070005447A KR101323735B1 KR 101323735 B1 KR101323735 B1 KR 101323735B1 KR 1020070005447 A KR1020070005447 A KR 1020070005447A KR 20070005447 A KR20070005447 A KR 20070005447A KR 101323735 B1 KR101323735 B1 KR 10132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focusing
face
face portion
information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935A (ko
Inventor
이동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35B1/ko
Priority to US11/975,032 priority patent/US8368764B2/en
Priority to CN200710193997.7A priority patent/CN101242494B/zh
Publication of KR2008006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물을 촬영할 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물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와,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와,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개념도이다.
도 5a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얻어지는 이미지이고, 도 5b는 도 5a의 이미지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도 5c는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오토포커싱의 대상을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20: 조리개
30: 촬상소자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0: 기록/판독 제어부 80: 기록매체
90: 디스플레이부 100: CPU
101: 얼굴 부분 검출부 103: 몸통 부분 검출부
105: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 107: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인물을 촬영할 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물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촬영되는 사람의 얼굴에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근 사람의 얼굴 부분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얼굴 부분에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항상 얼굴 부분만을 검출하여 이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없는 경우나, 촬영되는 사람과 디지털 촬영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얼굴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얼굴 부분으로부터만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려 하기에, 정확하고 신속한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물을 촬영할 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물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와,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와,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는,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할 시 검출된 몸통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와,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 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와,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와,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나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며,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 각각이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통 부분 검출부는, 상기 얼굴 부분 검출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b)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d)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f)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검출된 몸통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f) 단계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h)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h) 단계는, 얼굴 부분 외의 몸 통 부분을 검출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i)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j)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k)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b)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i) 단계는,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여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b)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e)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과,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 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l)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m)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k)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면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위한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전달된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91)는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기록/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기록/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매체(80)에 기록한다. 물론 기록/판독 제어부(70)는 기록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 된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CPU(100)의 일부일 수 있다.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가 CPU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얼굴 부분 검출부(101)와, 몸통 부분 검출부(103)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 및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107)를 구비한다.
얼굴 부분 검출부(101)는, 메모리(60)에 저장된 후술하는 것과 같은 얼굴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1, 도 3 참조)을 검출한다. 물론 얼굴 부분 검출부(10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A/D 변환부(4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1)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얼굴 부분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 부분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고,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그와 같은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몸통 부분 검출부(103)는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 특히 몸통 부분의 중심 부분(2, 도 3 참조)을 검출한다. 몸통 부분 검출부(103) 역시 메모리(60)에 저장된 몸통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얼굴을 검출한다. 물론 몸통 부분 검출부(10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가 아닌 A/D 변환부(40, 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서 몸통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팔다리의 형상과 같은 몸통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몸통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몸통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다. 물론 몸통 부분 검출부(103)는 얼굴 부분 검출부(101)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 부분(1)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얼굴 부분(1)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위치한 부분을 몸통 부분(2)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방향이라 함은 얼굴 부분(1)의 하측 방향(얼굴의 길이방향, 즉 얼굴 부분 내의 이마에서 턱 방향)을 의미한다. 즉, 얼굴 부분(1)을 검출할 시 얼굴의 방향까지 검출한 후 얼굴 부분(1)의 하측 방향에 몸통 부분(2)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가 회전된 경우에도 얼굴 부분(1)을 검출 할 시 얼굴의 방향까지 검출하여 얼굴 부분(1)의 하측 방향에 몸통 부분(2)이 위치한다고 가정하여 몸통 부분(2)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정 거리라 함은, 검출된 얼굴 부분(1)의 크기를 감안하여 몸통 부분(2)의 위치를 파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얼굴 부분(1)의 얼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를 계산한 후 그 크기의 대략 1.5배 정도 얼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부분을 몸통 부분(2)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는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다. 오토포커싱 정보의 획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이미지로부터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는다. 예컨대 도 5a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얻어지는 이미지이고, 도 5b는 도 5a의 이미지의 가장자리 이미지이다. 여기서 이미지라고 함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전 촬상소자(30, 도 1 참조)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또한 가장자리 이미지는 정확하게 가장자리만 나타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전체적인 윤곽만이 나타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장자리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얻는다.
먼저 이미지를 흑백으로 전환한 후, 각 화소에 있어서 그 화소의 휘도값과 인접한 화소의 휘도값의 차이가 소정 값, 예컨대 그 화소의 휘도값의 3% 이상이면 그 화소에 1의 값을 부여하고, 소정 값 미만이면 그 화소에 0의 값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전체 이미지의 각 화소가 1 또는 0의 값을 갖게 한 후 1의 값을 갖는 화소는 밝게 나타내고 0의 값을 갖는 화소를 어둡게 나타내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 은 가장자리 이미지가 된다. 물론 이와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각 화소에 있어서 그 화소의 휘도값과 임의의 화소의 휘도값이 차이가 소정 값, 예컨대 그 화소의 휘도값의 3% 이상이면 그 화소에 1의 값을 부여하고, 소정 값 미만이면 그 화소에 0의 값을 부여함으로써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다.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 도 2 참조)는 렌즈(10, 도 1 참조)의 위치를 조금씩 이동시켜가며 렌즈의 각 위치에 있어서 이와 같이 가장자리 이미지를 얻은 후, 가장자리 이미지들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렌즈는 복수개의 렌즈들을 갖는 렌즈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렌즈들을 갖는 렌즈 시스템의 일 렌즈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얼굴 부분 검출부(101)가 검출한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검출부(103)가 검출한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다. 먼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는 각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얼굴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 내의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여기서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포커스 값(focus value)라 한다. 이와 같이 렌즈의 각 위치에 있어서 얻은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얼굴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 내의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를 카운팅한 후, 가로축을 렌즈의 위치, 세로축을 카운팅된 화소들의 개수로 나타내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가 된다. 도 5c에서는 몸통 부분에 대해 얻은 그래프와 얼굴 부분에 대해 얻은 그래프가 동시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그래프에 있어서 가장 뾰족한 점에 대응하는 렌즈의 위치가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렌즈의 위치이다. 도 5c는 도 5b의 가장자리 이미지에 대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에 있어서의 포커 스 값을 나타낸 것으로, 얼굴 부분에 있어서 가장 뾰족한 부분에서의 포커스 값은 34483이고 몸통 부분에 있어서 가장 뾰족한 부분에서의 포커스 값은 56668이다. 참고로 도 5c에서 세로축의 최하단은 0의 값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도시의 편의를 위해 그래프의 하측 부분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의 기초 자료가 오토포커싱 정보이다.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에서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107)는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107)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라 함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로 나타냈을 시 최대값에서 더욱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도 5c의 경우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보다 더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된다. 따라서, 도 5c와 같은 경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107)는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결정한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갖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항상 얼굴 부분만을 검출하여 이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러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 영장치의 경우에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없는 경우나, 촬영되는 사람과 디지털 촬영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얼굴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얼굴 부분으로부터만 오토포커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려 하기에, 정확하고 신속한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얼굴 부분에 대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에 대한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를 갖는 부분을 결정하므로, 신속하면서도 사용자의 의사에 부합하는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105)에서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에 대해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107)는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지 않고,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가 얼굴 부분을 오토포 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가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즉, 통상적으로 인물 사진을 촬영할 경우 인물의 얼굴 부분에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합하다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가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에서 형상의 뾰족한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얼굴 부분에 대한 그래프에서 포커스 값의 최대값을 M이라 하고 최소값을 m이라 했을 때 (1-m/M)*100의 값이 5보다 작다면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토포커싱 정보는 가장자리 이미지에서 판단 대상 영역 내의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로부터 얻어진다. 따라서,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게 되면 해당 영역 내에서의 1의 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 역시 증가하게 되며, 결국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는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커스 값이 증가하게 되어 정확한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의 정확한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되는 인물과 디지털 촬영장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특히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즉, 촬영되는 인물과 디지털 촬영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하고 하더라도 얼굴 부분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부터 얻는 포커스 값이 작기에 정확한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모두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결정함으로써, 정확한 오토포커싱을 위한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나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며,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 각각이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으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통상적으로 인물 사진을 촬영할 경우 인물의 얼굴 부분에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합하다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가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합하다면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가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도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모두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여, 정확한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얼굴 부분을 검출하고(S1),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한다(S3). 물론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것과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순서는 바뀔 수도 있으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후,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고(S5), 또한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다(S7).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는 물론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는 검출된 몸통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그 후,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S13). 예컨대,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더욱 정확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얼굴 부분을 검출하고(S1),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 후(S5),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적합하다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S19), 적합하지 않다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S21).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물론 몸통 부분을 검출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처리 과정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고(S7),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물론 이를 위하여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며(S23),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다면, 정확한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한다(S21).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과,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한 후(S9),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S15),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적합한지 여부(S17)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물론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과,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S9),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록매체(8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이제까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인물을 촬영할 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물에 대해 오토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8)

  1.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 및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포커싱 정도가 더 높은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는,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할 시 검출된 몸통 부분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삭제
  4.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 및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얼굴 부분 검출부;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몸통 부분 검출부;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 및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싱 대상 결정부는,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오토포커싱에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지만 상기 오토포커싱 정보 획득부가 획득한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며, 얼굴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의 오토포커싱 정보 각각이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1항 내지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부분 검출부는, 상기 얼굴 부분 검출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b)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 얼굴 외의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f)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어느 하나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중,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와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에 있어서 포커싱 정도가 더 높은 오토포커싱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검출된 몸통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h)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여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c) 얼굴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i)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j)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k)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b)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얼굴 부분 외의 몸통 부분을 검출하여 몸통 부분으로부터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6. (a)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b) 몸통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e)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과,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 오토포커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g)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얼굴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l) 얼굴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m)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 내에 있으면 몸통 부분을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k) 몸통 부분으로부터 획득한 오토포커싱 정보가 상기 기준 포커스 값 범위를 벗어나면, 얼굴 부분과 몸통 부분 전체를 오토포커싱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8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면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8. 제8항 내지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70005447A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2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47A KR101323735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1/975,032 US8368764B2 (en) 2007-01-17 2007-10-1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0710193997.7A CN101242494B (zh) 2007-01-17 2007-11-29 数字拍摄装置和用于控制数字拍摄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447A KR101323735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35A KR20080067935A (ko) 2008-07-22
KR101323735B1 true KR101323735B1 (ko) 2013-10-30

Family

ID=3961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447A KR101323735B1 (ko) 2007-01-17 2007-01-17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68764B2 (ko)
KR (1) KR101323735B1 (ko)
CN (1) CN101242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979A (ja) * 2010-11-11 2012-05-31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
JP5959923B2 (ja) * 2012-04-26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EP2713307B1 (en) * 2012-09-28 2018-05-16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Liveness detection
CN107343189B (zh) * 2017-07-10 2019-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处理方法和装置
JP7145638B2 (ja) * 2018-05-07 2022-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方法、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726246B1 (en) 2019-06-24 2020-07-28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Automated vending machine with customer an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USD963407S1 (en) 2019-06-24 2022-09-13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EP3869395A1 (en) 2020-02-21 2021-08-25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Identity and liveness verif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433A1 (en) * 2005-02-15 2006-08-17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06227080A (ja) * 2005-02-15 2006-08-31 Nikon Corp 電子カメラ
KR20070109843A (ko) * 2006-05-10 2007-1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초점 조절방법, 초점 조절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305B2 (en) * 2000-12-06 2006-03-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head motion estimations for animation
JP3894782B2 (ja) * 2001-12-10 2007-03-22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物体認識装置
JP2003219225A (ja) * 2002-01-25 2003-07-31 Nippon Micro Systems Kk 動体画像監視装置
JP4208563B2 (ja) 2002-12-18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US7248301B2 (en) * 2003-05-02 2007-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mera focus feedback
CN100538498C (zh) * 2003-07-15 2009-09-09 欧姆龙株式会社 对象决定装置和摄像装置
JP4130641B2 (ja) * 2004-03-31 2008-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11139A (ja) 2005-01-26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4747003B2 (ja) * 2005-06-22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合焦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076099A1 (en) * 2005-10-03 2007-04-05 Eyal Eshed Device and method for hybrid resolution video fram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2433A1 (en) * 2005-02-15 2006-08-17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06227080A (ja) * 2005-02-15 2006-08-31 Nikon Corp 電子カメラ
KR20070109843A (ko) * 2006-05-10 2007-1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초점 조절방법, 초점 조절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70640A (ja) * 2006-05-10 2008-03-27 Canon Inc 点調節装置、撮像装置、焦点調節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35A (ko) 2008-07-22
CN101242494B (zh) 2012-03-21
CN101242494A (zh) 2008-08-13
US20080170129A1 (en) 2008-07-17
US8368764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735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7860382B2 (en) Selecting autofocus area in an image
JP411017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512810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663193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2040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07721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human face detecting func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 human face
JP200513046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30002870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auto focus indications
US10244157B2 (en) Interchangeable lens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acquiring in-focus state at different image heights, and storage medium storing focusing program
US990670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maging program for controlling an auto-focus scan drive
US8103158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268545A1 (en) Focus control device, foc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JP6548436B2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1928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imag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525809B2 (ja)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9922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4853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18860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0153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795691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770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57133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818814B2 (ja) 焦点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5283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