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36B1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36B1
KR101448536B1 KR1020080026297A KR20080026297A KR101448536B1 KR 101448536 B1 KR101448536 B1 KR 101448536B1 KR 1020080026297 A KR1020080026297 A KR 1020080026297A KR 20080026297 A KR20080026297 A KR 20080026297A KR 101448536 B1 KR101448536 B1 KR 10144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image data
data
acquiring
ey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831A (ko
Inventor
이승윤
문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36B1/ko
Priority to US12/317,452 priority patent/US8174567B2/en
Publication of KR2009010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링크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획득한 최초의 스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만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플레이백 모드에서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스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이 포함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시,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얼굴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시 스틸 이미지 에 포함된 얼굴의 눈이 감긴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눈이 감기지 않은 얼굴이 포함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시 스틸 이미지를 새로이 획득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이미 획득한 스틸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의 눈이 감겼는지를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확인 결과 눈이 감겼기 때문에 다시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려 한다면 이미 최초 촬영시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흘러 최초 의도한 스틸 이미지와 상이한 결과물을 얻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링크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획득한 최초의 스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만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얼굴이 검출될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 링크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눈이 감긴 것 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의 눈의 열림 정도를 파악하는 열림 정도 파악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상기 열림 정도 파악부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파악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얼굴이 검출될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 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a)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c)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3) 상기 (c2)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3) 상기 (c2)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 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b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열린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또는 실시간 동영상이라 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블링크 판단부(52)에도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블링크 판단부(52)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블링크 판단부(52)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를 거치지 않고 A/D 변환부(40)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메모리(6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블링크 판단부(52)는 촬상소자(30)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스틸 이미지 또는 실시간 동영상이라 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동영상 또는 스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비하여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촬상소자(30)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면, 블링크 판단부(52)는 촬상소자(30)에서 생성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블링크 판단부(52)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만일 블링크 판단부(52)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비하여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블링크 판단부(52)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바, 눈은 얼굴 내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블링크 판단부(52)는 얼굴 검출부에 의해 얼굴이 검출될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얼굴 검출부 역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되는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지털 촬영장치가 얼굴 검출부를 구비할 시, 얼굴 검출부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스틸 이미지 내에 얼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포함되었다면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지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고,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 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그와 같은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블링크 판단부(52)는 다양한 방법으로 얼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눈의 좌우 길이와 상하 폭의 비를 고려하여 좌우 길이에 대한 상하 폭의 비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작을 경우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링크 판단부(52)는 촬상소자(30)에서 획득한 모든 스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획득한 최초의 스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만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최초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블링크 판단부(52)가 판단하고, 눈이 감기지 않았다면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여기서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최초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블링크 판단부(52)가 판단할 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한다면, 다시 촬상소자(30)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되, 두 번째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블링크 판단부(52)가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통상적으로 눈이 감긴 직후에 다시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의 눈은, 최초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와 다시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 사이의 획득 시간차를 고려할 시 감기지 않는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블링크 판단부(52)가 두 번째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도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에서 시작은 촬영모드의 시작 또는 블링크 방지 촬영모드의 시작 등 다양한 프로세스의 시작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를 거친다. 그리고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를 거친다. S120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30)를 거치고 다시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S140)를 거치게 된다. S120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S130 단계를 거치지 않고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S140)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비하여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달리, 다음과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역시 가능하다. 본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편의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30)와, 이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링크 판단부(52)를 구비한다. 블링크 판단부(52)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촬상소자(30)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블링크 판단부(52)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만일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블링크 판단부(52)가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두 가지 모드가 가능하다. 첫 번째 모드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인 촬상소자(30)에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까지 또는 획득하기 전까지, 블링크 판단부(52)가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이다.
블링크 판단부(52)가 계속해서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다가,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 또는 촬영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블링크 판단부(52)가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은 시차를 두고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이기 때문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은 모두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가 될 확률이 높으므로, 사용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만일 블링크 판단부(52)가 계속해서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다가,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 또는 촬영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블링크 판단부(52)가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경우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상태의 스틸 이미지에 대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두 번째 모드는, 첫 번째 모드와 달리, 블링크 판단부(52)가 계속해서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 또는 촬영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블링크 판단부(52)가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은 시차를 두고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이기 때문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은 모두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스틸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가 될 확률이 높으므로, 사용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만일 촬영이 이루어지는 순간 또는 촬영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블링크 판단부(52)가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 경우에는 눈이 감기지 않은 상태의 스틸 이미지에 대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다양한 모드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이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의 눈은 감기지 않았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블링크 판단부(52)가 작동하는 시점과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존재할 경우,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의 눈이 감길 수도 있으므로, 블링크 판단부(52)는 스틸 이 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블링크 판단부(52)가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80)에 이 사실을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울리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블링크 판단부(52)가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촬상소자(30)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블링크 판단부(52)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바, 눈은 얼굴 내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블링크 판단부(52)는 얼굴 검출부에 의해 얼굴이 검출될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얼굴 검출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되는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들이고, 도 3은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다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에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3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작이라 함은 실시간 동영상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상태로서 촬영모드 또는 블링크 검출 모드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를 거친다. 그 결과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를 다시 거친다.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S210 단계에서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미지 내의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를 거친다. 눈이 감겼다면, 눈이 감겼다는 것을 의 미하는 데이터(예컨대 1)를 입력하는 단계(S230)를 거치고, 눈이 감기지 않았다면, 눈이 감기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예컨대 0)를 입력하는 단계(S232)를 거친다. 그 후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시작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240)를 거치며,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다시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내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를 거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시작했다면 프로세서를 종료하는데, 여기서 종료라고 함은 스틸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시작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를 거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 감겼다면 눈이 감겼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예컨대 1)를 입력하고 눈이 감기지 않았다면 눈이 감기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이터(예컨대 0)를 입력한 경우, 그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단계(S261)를 거친다. S250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2)를 거친다. 이를 통해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얻는 경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4a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S250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2)를 거친 이후의 프로세스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1)를 거친다. 만일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면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등의 종료 단계를 거치게 되지만,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S272)를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획득한 것에 대해 추후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은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에 관련 사항을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한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 S250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2)를 거친 후,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1)를 거친다. 만일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면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등의 종료 단계를 거치게 되지만,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73)를 거친다. 이를 통해 눈이 감긴 스틸 이미지를 획득한 채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경우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d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4c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6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한 경우의 처리 프로세스이다. 제7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경우, S250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2)를 거친 후,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1)를 거친다. 만일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면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등의 종료 단계를 거치게 되지만, S271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2)를 거친다. 물론 S262 단계를 통해 다시 획득한 스틸 이미지에 대해서도 스틸 이미지 내에 포함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1)를 거쳐,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들과 상이한 것은, 열림 정도 파악부(54)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 열림 정도 파악부(54)는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의 눈의 열림 정도를 파악한다. 눈의 열림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눈의 좌우 길이와 상하 폭의 비를 고려하여 좌우 길이에 대한 상하 폭의 비가 클수록 눈이 많이 열린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림 정도 파악부(54)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게 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모두 저장매체(70)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열림 정도 파악부(54)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파악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제8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나타나는 스틸 이미지를 자동으로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복수회에 걸쳐 촬영된 유사한 스틸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나온 한 개의 스틸 이미지만을 보관하기 때문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 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4a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1)를 거친 후,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열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S280)를 거친다는 것이다. 그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색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나타나는 스틸 이미지를 자동으로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것은,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1)를 거친 후,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열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S280)를 거친다는 것이다. 그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색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눈이 감기지 않은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나타나는 스틸 이미지를 자동으로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의 변형예들로서,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61)를 거친 후,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열린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8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플로우챠트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플로우챠트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52: 블링크 판단부 54: 열림 정도 파악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링크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블링크 판단부가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의 눈의 열림 정도를 파악하는 열림 정도 파악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상기 열림 정도 파악부가 눈이 가장 크게 열린 것으로 파악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에서 생성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블링크 판단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 의해 얼굴이 검출될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삭제
  9.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까지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까지,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a)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 또는 상기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직전의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일 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에서 눈이 감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으로부터 다시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눈이 감긴 것으로 판단할 경우, 복수회에 걸쳐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b2) 획득한 스틸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의 이미지들 중 눈이 가장 크게 열린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26297A 2008-03-21 2008-03-2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4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297A KR101448536B1 (ko) 2008-03-21 2008-03-2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317,452 US8174567B2 (en) 2008-03-21 2008-12-22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297A KR101448536B1 (ko) 2008-03-21 2008-03-2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31A KR20090100831A (ko) 2009-09-24
KR101448536B1 true KR101448536B1 (ko) 2014-10-08

Family

ID=4108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297A KR101448536B1 (ko) 2008-03-21 2008-03-21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4567B2 (ko)
KR (1) KR101448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042B1 (ko) 2010-10-0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88171B2 (en) * 2012-02-13 2018-02-06 Htc Corporation Mobile camer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facial patterns of a captured image
US9549118B2 (en) * 2014-03-10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Blink and averted gaze avoidance in photographic images
TWI536279B (zh) * 2015-04-22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人眼偵測方法及系統
CN108513074B (zh) * 2018-04-13 2020-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自拍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365A (ja) 2003-07-16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087083A (ja) 2004-08-16 2006-03-3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6163496A (ja) 2004-12-02 2006-06-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57B1 (ko) 2002-10-29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보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7792335B2 (en) * 2006-02-24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disqualification of digital images
US8064647B2 (en) * 2006-03-03 2011-1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iris detection tracking and recognition at a distance
WO2006040761A2 (en) * 2004-10-15 2006-04-20 Oren Halpern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captured images of digital still cameras
JP4127296B2 (ja) * 2006-06-09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64389B2 (en) * 2007-05-21 2010-02-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photography using desirable feature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365A (ja) 2003-07-16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087083A (ja) 2004-08-16 2006-03-3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6163496A (ja) 2004-12-02 2006-06-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31A (ko) 2009-09-24
US20090237515A1 (en) 2009-09-24
US8174567B2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4639B2 (en) Image storage device, imaging device, image storage method, and program
KR100698483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1017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43154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21920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81712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10068128A (ja) 撮影装置、画像領域の存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4853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751928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imag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72143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23735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N102100062A (zh) 成像设备、成像方法和程序
US8928748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computer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CN101335834A (zh) 图像成像装置和成像控制方法
JP4349380B2 (ja) 撮像装置、画像を取得する方法
KR20100101375A (ko) 디지털 동영상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피사체 움직임 판단방법
JP2005156967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処理装置
US7949189B2 (en) Imag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11023812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515770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725892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00073765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7956911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9734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00001703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