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877B1 -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877B1
KR100363877B1 KR1020007004130A KR20007004130A KR100363877B1 KR 100363877 B1 KR100363877 B1 KR 100363877B1 KR 1020007004130 A KR1020007004130 A KR 1020007004130A KR 20007004130 A KR20007004130 A KR 20007004130A KR 100363877 B1 KR100363877 B1 KR 10036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joint
axial direction
bodies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189A (ko
Inventor
호리모토아키라
Original Assignee
사꾸라고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꾸라고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꾸라고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6Equival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수의 구별이 없는 동일구조인 한쌍의 이음본체(1a,1b)로 이루어지는 호스등의 이음장치에 있어서, 이들 이음본체의 전단면에는 시일면(5)이 형성되고, 또한 이들 이음본체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끼워 맞춤 돌기부(8)와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의 사이에 형성된 끼워 맞춤 요부(7)가 형성되며,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는 서로 상대측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요부(7)와 끼워 맞춤 돌기부(8)에 상호보충형인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되며, 또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일측면(8a)에는 걸림부(9)가 형성되며, 이들 걸림부(9)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되어 한쌍의 이음본체(1a,1b)를 결합하며, 또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적어도 양측면(8a,8b)은 이음본체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PIPE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종래의 이음장치, 예를들면, 소방호스의 종래의 꽂음형 이음장치는 결합되는 한쌍의 이음본체에 암수의 구별이 있으며 한 쪽은 수금구(雄金具), 다른 쪽은 암금구(雌金具)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금구끼리, 암금구끼리는 결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가령, 소화작업을 할 경우, 복수의 소방호스를 연장시켜 서로 결합할 때, 잘못하여 수금구끼리 또는 암금구끼리 대응하도록 소방호스를 연장해버릴 가능성이 있고, 소화작업이 신속성, 확실성을 요하는 점에서 이와 같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이음장치는 구조가 서로 다른 수금구와 암금구의 2종류의 금구를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암수의 구별이 없고, 동일 구조인 한쌍의 서로 보충되는 형태(이하, "상호보충형"이라 함)의 이음본체로 구성되고, 암수의 구별없이 임의로 결합할 수 있으며, 또 결합 및 결합해제의 조작이 간단함과 동시에, 구조도 간단하고 신속성이 높으며, 또한 제조코스트도 저감시킬 수 있는 꽂음형의 이음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음장치로서는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서로 축방향으로 끼워맞춰서 이들의 끼워 맞춤 돌기부 또는 끼워 맞춤 요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서로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시키고, 이것에 의해 이 한쌍의 이음본체가 결합되는 형식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지닌 이음장치의 끼워 맞춤부분의 형상등은, 기하학적으로는 각종 형식의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의 이음장치에 있어서는 끼워맞춤의 원활함, 신뢰성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고려해야 할 과제가 있다.
우선 제1과제는 상기 상호 보충형인 끼워 맞춤 요부(凹部)와 끼워 맞춤 돌기부의 밀착성과 가공의 문제이다.
이와 같은 이음장치는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서로 끼워맞추는 것이므로 그 착탈의 원활함, 끼워맞춤의 신뢰성, 강도 등이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 끼워 맞춤 요부 및 걸어 맞춤되는 부분의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은 절삭가공에 의해 정확하게 가공된다. 즉, 우선 이 이음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틀을 제작하고, 그 선단부는 밀링커터로 가공하여 상기의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를 형성한다.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는 서로 끼워 맞춤되는 상호 보충형인 것이므로 상기 끼워 맞춤 요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절삭함으로써 이들 끼워 맞춤 요부 사이의 부분이 끼워 맞춤 돌기부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밀링커터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틀에 하나의 끼워 맞춤 요부를 절삭형성 한 후, 이 틀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다음 끼워 맞춤 요부를 절삭 가공하며, 이와 같이 하며 모든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의 수를 각각 6개로 하면, 이들 끼워 맞춤 요부는 60°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는 서로 끼워 맞춤되는 대략 상호 보충형인 것이므로, 이들 감함돌부 및 끼워 맞춤 요부는 대략 30°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밀링커터 선반은 틀을 고정하고 밀링커터 공구가 소정의 궤적으로 1축 또는 2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틀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한다. 이 밀링커터 선반에 의해 절삭되어 통상 각 부분의 절삭면은 모두 서로 평행한 면으로 된다. 따라서, 가령 1개의 끼워 맞춤 요부의 양쪽 내측면은 서로 평행한 면으로 되고, 또 이들 끼워 맞춤 요부 간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 돌기부의 양측면도 서로 형행한 면으로 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상기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쪽 내측면 또는 측면을 이 원통형상의 이음본체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방사상 면으로 하면, 다른 쪽의 내측면 또는 측면은, 이 방사방향에 대하여 대략 30°경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이음본체를 서로 맞붙여서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한 쪽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돌기부의 다른 쪽 측면과 다른 쪽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요부의 다른 쪽 내측면은, 중심축선을 지나는 방사상의 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30°씩 어긋난 면이 되고, 이들 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큰 간극이 형성되면, 이 간극내에 모래나 작은 돌이 침입하여 이 이음의 작동불량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이들 측면 및 내측면이 서로 직경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 끼워 맞춤되면, 그들 간의 반력에는 직경방향의 분력이 생긴다. 또한 예를들어, 이 다른 쪽 측면 또는 내측면에 상기 걸림부를 원주방향으로 가압하여 걸어 맞춤하는 가압기구 등을 설치한 경우에는 역시 이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원주방향과 직경방향의 분력이 생기게 된다.
그런데, 각종 시험결과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분력에 기인하여 이 이음장치의 착탈의 원활함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이와 같은 이음본체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걸림부가 완전하게 걸어 맞춤될 때까지는, 상기 가압기구의 가압력을 극복하고 한쌍의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시켜 나가는 것이지만, 이 경우에 상기와 같은 직경방향의 분력이 각 끼워 맞춤 돌기부 또는 끼워 맞춤 요부에서 불균형하게 되면 이들 이음본체에 소망하는 직경방향의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이들 한쌍의 이음본체의 중심축이 어긋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이 결합 또는 결합해제할 때의 원활함이 손상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한쪽의 측면 또는 내측면과, 다른쪽의 측면 또는 내측면을 직경방향에 대하여 대략 동등한 각도, 예를들면 15°씩 경사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쪽 측면 또는 내측면은 호스의 내압이 작용한 경우에 커다란 축방향 하중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하중이 작용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 또는 내측면을 직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는 서로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선단부 또는 안쪽부로 진행함에 따라 원주방향의 폭이 좁아지게 되도록 테이퍼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이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의 측면 및 내측면이 축방향에 대해서도 경사지는 것이 되고, 상기와 같은 분력 방향이 한층 복잡하게 된다. 또 상기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 사이에는,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간극의 존재에 의해 끼워 맞춤도중에 한쌍의 이음본체의 중심축이 어긋나거나, 서로 기울어지기 쉽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원하지 않는 분력에 의해 끼워 맞춤의 원활함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특히, 소방호스의 이음장치의 경우에는 그 결합시의, 원활함과 확실함이 중요하고, 상기와 같은 끼워 맞춤의 원활함을 저해하는 원인은 배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2과제는 상기 결합돌부인 걸림부의 걸어 맞춤의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이음은 걸림부의 턱부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되어 결합되는 것이지만, 외부로부터의 하중이나 충격등에 의해서 이들 이음본체 간에 서로 회동하는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이들 걸림부의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특히, 호스내부에 수압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의 걸어 맞춤부에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기 쉽다.
더욱이 제3과제는 이 이음장치를 소방호스 등의 호스 이음에 적용한 경우에, 호스의 수납시에 있어서의 내부 물의 배제에 관한 과제이다.
종래는 예를들면 소방호스를 사용한 후에 이들을 권취하여 수납할 때, 각 소방호스간의 이음장치를 분리시키고 나서, 이들 소방호스를 1개씩 권취하였다. 그러나 다수개의 소방호스를 긴 거리에 걸쳐서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들 소방호스를 1개씩 권취하여 수납하는 것은 많은 인원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비능률적 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와 같이 긴 거리에 걸쳐서 접속연장된 다수의 소방호스를 자동적으로 권취하여 수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스스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형 권취릴을 설치하고, 이 권취릴에 연장되어 있는 소방호스를 자동적으로 권취시키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접속된 다수의 소방호스 이음장치를 먼저 분리해 버리면, 소방호스의 단부를 1개씩 그 때마다 권취릴에 장착할 필요가 있고, 작업능률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접속된 소방호스를 분리하지 않고 접속된 채 권취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들 접속된 소방호스 내부의 물 배출이 곤란하게 된다. 즉, 소방호스가 권취될 때에는 그 단면이 편평하게 짖눌려서 권취되므로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을 배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소방호스의 이음를 먼저 분리하는 경우에는 이 소방호스의 단부로부터 내부의 물이 용이하게 배수된다. 그러나 다수개의 소방호스를 접속한 채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지 않고, 권취속도가 느려지며, 또한 권취할 때의 저항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이 소방호스가 오르막 경사면에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두압에 의해 내부의 물이 배수되기 곤란하고, 상기의 문제가 한층 현저해진다.
또한, 준설현장이나 토목, 건설현장 등에서는 배수나 급수를 위해서 다수개의 송수호스를 긴 거리에 걸쳐서 접속하여 부설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송수호스는 직경이 크고 또 강성이 큰 단면이 짖눌려지지찌부러지지 않게 되므로, 내부에 물이 충만해 있는 상태에서는 중량이 크고 취급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이들 송수호스를 접속하고 있는 이음장치를 분리하여 이들 송수호스를 철거, 수납하는 작업에 앞서서 이들 송수호스 내의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중에 큰 고저차가 있는 어떤 장소에 이들 송수호스가 긴 거리에 걸쳐서 부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접속된 송수호스의 일단부로부터 내부의 물을 배수하려고 하여도 내부가 부압이 되어 완전하게 배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들 송수호스의 중간 이음을 분리하는 것도 곤란하게 되며, 이들 송수호스의 철거, 수압작업이 매우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음장치, 가령 소방호스 등의 호스를 서로 접속 하거나, 호스와 펌프 그 외의 기기 및 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이음장치, 또는 그 밖의 다른 부재를 접속하는관부재이음장치 및 그와 같은관부재이음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수의 구별이 없는 한쌍의 동일한 구조인 본체로부 구성된관부재이음장치와 그 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음장치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록기구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록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록의 해제 상태의 록기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이음본체를 도시한 일부 정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록기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제3실시예의 록기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제3실시예의 다른 상태의 록기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제3실시예의 다른 상태의 록기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제4실시예의 다른 이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13은 제5실시예의 가압기구인 플런저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플런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플런저 점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플런저 특성을 도시한 선도
도 17은 도 13의 플런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8은 점성체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점성체의 다른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점성체의 다른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제6실시예의 이음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2는 제7실시예의 이음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3은 이음본체의 가공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이음장치에 사용되는 시일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시일기구 밀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시일기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시일기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시일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시일기구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각 이음본체에 상호보충형인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끼워 맞춤 돌기부의 한쪽 측면에는 서로 걸어 맞춤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에 적어도 양측면 또는 끼워 맞춤 요부의 적어도 내측면은 모두 이들 이음본체의 중심축선 또는 그 부근을 지나는 대략 직경방향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는 그들의 양측면 또는 양내측면이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한쌍의 이음본체가 서로 맞붙도록 끼워 맞춤한 경우에 그들 양측면 또는 양내측면은 직경방향을 따라 서로 밀착되어 끼워진다. 따라서 이들 측면 간의 간극을 이들 이음본체의 착탈에 필요 최소한의 간극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들 간극에 모래나 흙 등이 쌓이거나 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이들 측면은 서로 직경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근접 또는 밀착하므로 끼워 맞춤될 때에 원하지 않는 방향의 분력이 발생되는 일이 없고, 끼워 맞춤을 원활 하고도 용이하게 하고, 또 끼워 맞춤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의 한쪽 측면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측면은 선단부로 감에 따라 폭이 감소하도록 이 이음본체의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의 끼워 맞춤이 용이 하고도 확실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 경사져 있는 다른 쪽 측면은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서로 밀접하게 끼워 맞춤되고, 이들 사이의 간극을 최소로 하며, 또 원하지 않는 방향의 분력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의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소방호스, 공사현장이나 준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송수호스, 공기, 유압호스, 가정용 송수호스, 또는 그 밖의 호스나 배관 등의 이음장치로서 최적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호스나 배관의 이음으로서 사용될 경우에는 각 이음본체의 전단면에 맞붙인 형태의 시일기구가 설치되고 이들 이음본체의 맞붙인면 간의 시일을 확보한다.
또한, 이 시일기구는 내압이 외부의 압력과 대략 동등한 경우에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시일기구는 예를들면 복수의 소방호스를 이 이음장치로 접속한 채로 권취할 경우에, 내부의 물이 자동적으로 배수되므로 권취가 용이하게 된다. 또, 그 밖의 호스 이음장치에 있어서도 송수를 정지한 경우에 내부의 물이 자동적으로 배수되므로 호스의 철거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음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상의 틀을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유지하고, 또 그 틀의 테두리부를 절삭하여 끼워 맞춤 요부 및 끼워 맞춤 돌기부를 형성하는 밀링커터공구를 이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며, 이 틀을 중심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면서 상기 밀링커터공구를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 틀의 테두리부를 절삭하여 끼워 맞춤 돌기부 및 감함요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의 측면 또는 내측면은 모두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된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끼워 맞춤 돌기부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등의 단순한 형상인 경우는 물론 이들 평면형상이 사다리꼴형, 삼각형 또는 곡선형상인 경우에 이들 측면을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상술한 호스나 관 등의 유체유통용 이음장치뿐만 아니라, 유체가 유통하지 않는 부재, 예를들면 구조부재, 이 밖의 다른 부재의 이음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시일기구는 물론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금속부재, 합성수지재,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조방법도 상기와 같은 절삭가공에 한정하지 않고, 주조, 사출성형, 그 밖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음장치를 소방호스이 이음에 적용한 경우의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이음장치는 소방호스에 한정하지 않고 그 밖의 호스, 배관 등의 이음장치, 또는 그 밖의 부재를 접속하는 이음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이음장치는 동일 구조인 한쌍의 이음본체(1a,1b)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이음본체(1a,1b)에는 각각 소방호스(2a,2b)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이음본체(1a,1b)는 각각 통본체(3)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통본체(3)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내주면에는 톱니형상의 요철을 갖는 호스 고정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호스 고정부(4)에 소방호스(2a,2b)의 단부가 삽입되고, 이들 호스의 내주면으로부터 코킹링(미도시)에 의해 이 호스의 외주면을 이 호스 고정부(4)에 가압하여 이 소방호스를 고정시킨다.
또한, 이 통본체(3)의 전단부 내부면에는 원통형상의 시일면부재(5)가 나사결합되고, 이 시일면부재(5)의 전단면은 시일면으로서 형성되며, 이 시일면에는 고부패킹 등의 시일면부재(5)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이음본체(1a,1b)가 서로축방향으로 끼워 져서 결합된 경우에는 이들 시일부재(6)가 서로 맞붙게 되고, 이들 통본체(3)의 내부를 연통함과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통본체(3)의 전단부에는 각각 복수 예를들면, 6개의 끼워 맞춤 돌기부(8)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시일면부재(5)의 시일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 사이에는 끼워 맞춤 요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이음본체(1a,1b)가 축방향으로 맞붙은 경우에는 한 쪽 이음본체(1a)의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다른 쪽 이음본체(1b)의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되며, 또한 다른 쪽 이음본체(1b)의 끼워 맞춤 돌기부(8)가 한 쪽 이음본체(1a)의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되어 상호보충형인 형태로 끼워 맞춤된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워 맞춤 요부(7)의 폭은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는 이들 끼워 맞춤 요부(7)내에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도 소정량 만큼 회동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측면(8a)에는 단차형 걸림턱 형상의 걸림부(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상대측 끼워 맞춤 돌기부의 걸림부와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가 상대측 끼워 맞춤 요부(7)내에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한 상태에서, 이들 이음본체(1a,1b)를 서로 회동시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측면(8a)이 서로 근접하면, 이들 걸림부(9)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걸어 맞춤하여 축방향 걸림을 이루고, 이들 이음본체(1a,1b)가 서로 결합된다. 또, 이들 걸림부(9)의 근원부에는 이 부분의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만곡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의 선단 모서리부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이 끼워 맞춤할 때에는 이들 가이드부(12)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만곡부(11)내에는 유연한 탄성발포재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플러그체(11a)가 충진고정되어 있어, 이와 같은 만곡부(11)내에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이 퇴적하여 이들 걸림부(9)의 걸어 맞춤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 걸어 맞춤돌부(8)의 다른 쪽 측면(8b)에는 각각 플런저기구를 이용한 가압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압기구(10)는 원통형상의 케이스부재(14)내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된 가압부재, 예를들면, 강구(15)와 이 강구(15)를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으로 구성된 플런저기구이고, 이들 가압기구(10)는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에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측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되면, 상기 강구(15)가 서로 맞닿아서 서로 밀려 가압되고,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이 이격되도록 가압하여, 그 결과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측면은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한 쪽 측면의 걸림부(9)가 서로 걸어 맞춤하도록 가압된다.
이들 이음본체(1a,1b)를 결합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이음본체(1a,1b)를 대략 동심 형상으로 대향시키고 이들을 축방향으로 맞붙여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를 상대측의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춘다. 이 경우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는 모두 동일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6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는 상대측의 임의의 끼워 맞춤 요부(7)와 끼워 맞춤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상대측 끼워 맞춤 요부(7)를 대향시킬 때에는 최대 약 30°만큼 이들 이음본체(1a,1b)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끝나며 이들에 접속되어 있는 소방호스(2a,2b)를 과도하게 비틀 필요는 없으며 조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들이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될 때에는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쪽 측면(8a)의 선단부들이 맞닿고, 다른 쪽 측면(8b)의 상호 간극이 작아진다. 그러나 다른 쪽 측면 선단모서리부에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원호형상의 가이드부(12)가 서로 맞닿아서 서로 원활하게 안내하므로, 끼워 맞춤할 때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부가 걸리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끼워 맞춤 돌기부(8)를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하면, 이들 다른 쪽 측면(8b)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기구(10)의 강구(15)가 서로 눌리고,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쪽 측면이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한다. 그리고 이들 한쪽 측면(8a)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9)가 서로 상대의 선단부를 타고 넘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기부(10)의 가압력에 의해 이들 걸림부(9)가 서로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이 상태에서 이들 한쌍의 이음본체(1a,1b)가 결합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시일부재(6)는 서로 맞붙여 눌러져서 소정량 변형괴고, 시일을 유지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결합상태에 있는 이음본체(1a,1b)를 결합해제할 경우, 이들 이음본체(1a,1b)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튼다. 이로 인해 이들 이음본체(1a,1b)는 상기 가압기구(10)의 가압력을 극복하고 회동하며, 상기 걸림지상태에 있는 걸림부(9)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이들 이음본체(1a,1b)를 서로 축방향으로 떼어 놓으면 이들은 결합해제 된다.
이 제1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이음본체(1a,1b)는 모두 동일한 형상, 치수이므로 소방호스의 양단부 및 펌프의 송수구 등에 이들 이음본체를 부착시키면 암수의 구별없이 임의로 결합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암수의 종류를 실수로 결합불능이 되도록 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음본체(1a,1b)는 모두 동일한 구조의 것을 한 종류만 제조하면 되므로 제조코스트도 절감된다.
또한, 이 실시예는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의 끼워 맞춤에 원주방향으로 간극 즉, 유동이 있어 끼워 맞춤할 때 다소의 위치 편차가 허용되므로 조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모래 등의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갑합불능으로 되는 일이 없으므로 신뢰성도 높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음장치내에 수압 등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이음본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큰 축방향의 하중이 작용하고 이 하중은 상기 걸림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이음장치는원하지않게 결합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어 맞춤구부의 걸어 맞춤은 가압기구 등의 가압력만에 의해 걸어 맞춤이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호스로부터의 비틀림 하중 등이 작용하면 이들 이음본체가 서로 회동하며 상기 걸림부의 걸어 맞춤이 풀려서 이 결합이원하지않게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 이음장치에는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원하지않은 걸어 맞춤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록기구가 채용되고 있다.
도 4에는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걸림부(9)가 끼워 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부와 끼워 맞춤 요부(7)의 안쪽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각 부분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상기 걸림부(9)가 걸어 맞춤한 상태에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가 더욱 축방향으로 서로 진입하도록 이동가능하다.
또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은 이들 이음본체(1a,1b)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 끼워 맞춤 돌기부(8)는 그 선단부로 감에 따라 원주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끼워 맞춤 요부(7)도 마찬가지로 그 안쪽부로 감에 따라 그 원주방향의 폭이 좁아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의 끼워 맞춤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9)가 형성되어 있는 한 쪽 측면은 이 이음본체(1a,1b)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측의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되면, 상기 가압기구(10)의 강구(15)가 서로 맞닿아서 이격되도록 가압하고, 이 결과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측면(8a)은 서로 근접하도록 가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한 쪽 측면의 걸림부(9)가 서로 걸어 맞춤하도록 가압된다. 이 경우에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은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가압기구(10)의 반력에 의해 축방향의 분력이 발생하고 이 분력에 의해 걸림부(9)가 축방향으로 서로 걸어 맞춤되도록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이 이음장치의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원하지않은 걸어 맞춤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이음본체(1a,1b)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공구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구홈(120)은 예를들면 렌치 등의 공구와 끼워 맞춤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만일 이들 이음본체(1a,1b)의 결합이 모래 등의 유입에 의해 결합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들 공구홈(120)에 렌치 등의 공구를 끼워 맞춤하여 이들 이음본체(1a,1b)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끼워 맞춤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음본체(1a,1b)에는 각각 록기구(121)가 설치되어, 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잠겨져 충격 등에 의해 이들 결합이원하지않게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하 록기구(121)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끼워 맞춤 요부(7)의 안쪽 구석부, 즉 인접하는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의 경사진 측면(8b)의 근원부에는 록핀(122)이 대략 원주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록핀(122)은 직경이 3mm정도의 탄성을 갖는 것으로 예를들면 피아노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직선형상이지만 탄성적으로 굴곡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 록핀(122)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근원부에는 이 록핀(1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도피공(123)이 형성되어 이 록핀(122)이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피공(123)내에는 모래, 흙 등이 가득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유연한 탄성발포재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플러그 본체(126)가 충진고정되어 있다.
이 록핀(122)은 모두 끼워 맞춤 요부(7)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일부 끼워 맞춤 요부(7) 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 걸러 끼워 맞춤 요부(7)내에 이들 록핀(122)이 돌출 설치됨에 따라 1개의 이음본체(1a,1b)에는 3개의 록핀(1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면에는 이들 록핀(122)에 대응하여 록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록홈(12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이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모서리부로 개방되고, 또한 타단부 안쪽벽부를 형성하여 종단되어 있다. 또한, 이 안쪽벽부에는 상기 록핀(122)이 해제될 때 도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모떼기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록홈(124)은 모두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를 임의의 관계로 끼워 맞춤시켜도 상대측의 록핀(122)은 반드시 이들 록홈(124)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록기구(121)는 이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 돌기부(8)가끼워 맞춤되어 걸림부(9)가 걸어 맞춤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록핀(122)이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부 록홈(124)내에서 끼워 맞춤하고 이 록핀(122)의 선단이 이 록홈(124)의 종단 안쪽벽부에 접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이들 이음본체(1a,1b)는 서로 상기 걸림부(9)의 걸어 맞춤이 어긋나는 방향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불능으로 잠겨진다.
또한, 이 록기구(121)의 잠김을 해제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록기구(121)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누른다. 그래서 이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요부(7)의 안쪽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록핀(122)이 이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면에 눌려져 탄성적으로 굴곡한다. 따라서 이 록핀(122)의 선단부가 상기 록홈(124)의 안쪽부로부터 빠져나와 이 록이 해제되어 이들 이음본체(1a,1b)가 원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이들 이음본체(1a,1b)를 원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부(9)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이들 이음본체(1a,1b)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록홈(124)의 안쪽부에는 모떼기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핀(122)의 선단부가 이 록홈(124)의 안쪽부에 걸리는 일이 없고 이 록해제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 이음장치에는 이음본체(1a,1b)의 끼워 맞춤을 원활 또는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각 끼워 맞춤 돌기부(8) 또는 끼워 맞춤 요부(7)의 측면 또는 내측면(8a,8b)이 모두 이들 이음본체(1a,1b)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및 다른 쪽의 측면(8a,8b)(끼워 맞춤 요부(7)의 내측면) 및 걸림부(9)를 구성하는 면은 모두 이 이음본체(1a,1b)의 중심축선(O)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들 측면(8a,8b)은 이음본체(1a,1b)의 중심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의 제품에서 이들 측면은 반드시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심축선을 지나고 정확하게 직경방향을 따라 위치하지 않아도 됨을 물론이다. 따라서 실제 제품의 끼워 맞춤은 원활함과 조작성, 가공할 때의 조건을 고려하여 이들 측면(8a,8b)을 구성하는 면은 중심축선의 부근을 지나고 대략 직경방향을 따른 면이라도 된다.
이들 이음본체(1a,1b)가 끼워 맞춤될 때에는 끼워 맞춤 돌기부(8)의 한 쪽 측면(8a)들, 또는 다른 쪽의 측면(8b)들이 끼워 맞춤하지만, 이들 측면은 상기와 같이 모두 이들 이음본체(1a,1b)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방사방향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발생이 없다. 따라서, 이들 간극은 원활한 끼워 맞춤에 필요한 최소한의 간극으로 할 수 있고, 이들의 간극에 모래와 작은 돌 등이 가득차더라도 이 이음장치의 원활한 착탈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끼워 맞춤시에는 상기 가압기구(10)의 가압력 또는 각 측면(8a,8b) 및 걸림부(9)등의 접함에 의한 반력 등이 작용한다. 이 경우에 상기 측면(8a,8b) 및 걸림부(9)는 모두 이 이음본체(1a,1b)의 중신축선(O)를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반력이나 가압력의 분력은 기본적으로 원주방향 및 축방향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끼워 맞춤시에는 이들 이음본체(1a,1b)를 서로 직경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하는 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결합할 때 이음본체(1a,1b)에 상호 작용하는 힘은 축방향의 힘과 원주방향의 힘만이 작용하여, 이들 중심축선의 어긋남과 기울어지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원활 또는 확실한 끼워 맞춤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른 쪽 측면(8b)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들 측면(8b)의 상호 반력이나 이들 측면(8b)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기구(10)의 가압력 등의 방향이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른 쪽 측면(8b)도 상기와 같이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분력도 축방향과 원주방향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원활 또는 확실한 끼워 맞춤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끼워 맞춤 또는 끼워 맞춤해제시의 원활함은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의 형상치수나 이들간의 간극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실제의 제품에서는 다수의 시제품을 여러 조건으로 시험사용하여 적절한 설계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반력이나 가압력의 분력이 기본적으로 축방향과 원주방향만이라고 하는 특징은 이 끼워 맞춤 및 끼워 맞춤해제시의 원활함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이음의 록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걸림부(9)를 서로 축방향으로 끼워 맞춤하도록 돌기부(9a)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것은 이들 이음본체(1a,1b)가 계지상태에서 서로 근접하도록 축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지 않는 한 이들 돌기부(9a)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전술한 록기구(121)와 함께 이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이 제2실시예의 것은 상기함 점 이외는 제6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도 8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록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끼워 맞춤 요부(7)의 내측면 안쪽부, 즉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인 근원부로부터 대략 원주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굴곡가능한 록핀(1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록핀(141)은 예를들면 초탄성재료 등의 탄성이 큰 재료로 형성되고 자유상태에서는 대략 직선형상이고 탄성적으로 굴곡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 록핀(141)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근원부에는 큰 직경의 도피요부(142)가 형성되어 이 록핀(141)이 자유롭게 굴곡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록핀(141)에 대응하여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의 선단부에는 해제공(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공(143)의 위치는 상기 걸림부(9)가 걸어 맞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록핀(141)의 선단부와는 일치되지 않고,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도피요부(142), 해제공(143)내에는 유연한 탄성발포재료 등이 충진고정되어 있어, 이들 내부에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제3실시예의 것은 상기 점 이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도 9 내지 도 11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것은 끼워 맞춤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핀(141)이 굴곡하여 끼워 맞춤 요부(7)와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끼워 맞춤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9)가 완전하게 걸어 맞춤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핀(141)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형상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그 선단부가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측면(8b)에 맞닿아서, 이들 이음본체(1a,1b)를 서로 회동불가능하게 잠금한다.
또한, 잠금해제의 경우에는 이들 이음본체(1a,1b)를 서로 근접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핀(141)의 선단부에 상기 해제공(143)이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는 이 록핀(141)의 선단부가 이 해제공(143)내에 진입가능하게 되고, 이음본체(1a,1b)가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록이 해제된다.
또한, 도 12는 제4실시예의 록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이음본체(1a,1b)에 각각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환형상의 록부재(1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록부재(151)는 스프링(152)에 의해 이 이음본체(1a,1b)의 선단부측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들 록부재(151)의 전단으로부터는 각 끼워 맞춤 요부(7)에 각각 대응한 잠금돌기(15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잠금돌기(153)는 이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끼워 맞춤하여 걸림부(9)가 완전하게 걸어 맞춤한 상태에서, 끼워 맞춤 돌기부(8)의 다른 쪽 측면(8b)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잠금돌기(153)는 이 측면(8b)의 기단부를따라 끼워 맞춤 요부(7)내에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이 제4실시예의 것은 상기의 점 이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도 12 중 제1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것은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끼워 맞춤되면 이 끼워 맞춤 돌기부(8)의 선단부에 상기 잠금돌기(153)의 선단부가 접하고, 이 잠금돌기(153)는 그 끼워 맞춤 돌기부(8)에 눌려져서 록부재(151)와 함께 스프링(152)의 가압력을 극복하고 후진한다. 그래서 이 끼워 맞춤 돌기부(8)가 끼워 맞춤 요부(7)내에 끼워 맞춤하고 걸림부(9)가 완전하게 걸어 맞춤하며, 상기 측면(8b)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면, 상기 잠금돌기(153)는 스프링(152)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진하여 이들 간극내로 진입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이음본체는 서로 회동 불가능하게 잠겨진다. 또한, 잠금해제의 경우에는 상기 록부재(151)를 손으로 파지하고 이들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스프링(152)의 가압력을 극복하고 후진시켜 상기 잠금돌기(153)를 측면(8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빼내서 록을 해제한다.
이 실시예의 것은 외부로부터 이 록기구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들 이음본체(1a,1b)가 완전하게 끼워 맞춤하여 잠겨져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구조도 간단하여 신뢰성이 높으며, 아울러 조작도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록구조로서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런저기구를 상기 가압기구(10)로 하여 사용한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이 플런저기구의 종단측면도이고, 도 14는 정면도이며, 도 15는 점성체를 일부 절단한 사시도이다. 플런저본체(211)는 단면에 개구부(212)를 갖는 금속제의 원통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개구부(212)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213)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본체(211)의 내부에는 개구부(213)로부터 출몰가능한 걸어 맞춤부재로서의 강구로 형성된 볼(2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12)의 내경은 플랜지(213)에 의해 볼(214)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볼(214)의 일부가 개구부(214)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본체(211)의 내부에는 그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코일스프링(215)이 수납되고, 이 코일스프링(215)의 일단은 플런저본체(211)의 내측 하부에 접하고, 타단은 볼(214)에 접하여 볼(214)을 개구부(21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코일스프링(215)의 내부공간에는 점성체(16)가 수납되어 있다. 이 점성체(216)는 고무 등이 원통형상의 탄성자루체(217)에 충진된 예를들면 팽창유체(dilatant fluids) 또는 떡밥모양의 실리콘바운드 유체로 대표되는 점탄성유체이고, 플런저본체(211)와 볼(214)에 완만한(저속도) 상대이동이 작용했을 때는 저항이 작게 변형하지만 급격한(고속도) 상대이동이 작용했을 때에는 외관상의 점도가 비선형으로 누진적으로 증가하여 높은 강성을 발휘하는 물질이다.
상기 점성체(216)로서의 팽창유체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유체로 비뉴톤유체이다. 그리고 직선좌표에 압축응력-변형속도의 관계를 표시하면, 도 16의 곡선a와 같이 되고, 변형속도가 증대함에 따라 외관상의 점성이 증가하여 팽창유동을 달성한다. 또한, 이 도 16의 직선b는 뉴톤유체의 특성이다. 이 현상은 소성유체와 본질적으로 역의 레올로지(rheology)적 유동을 표시한 것이다. 즉, 팽창유체에 있어서는 액체가 상호 통과하는 고체입자간의 윤활 임무를 하는 것으로 플런저유체(111)와 볼(114)의 상대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운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힘은 작아져서 자유롭게 흐른다. 또한, 플런저본체(111)와 볼(114)의 상대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고체 입자간의 조밀한 충진이 파손되어 그 결과 물체가 차지하는 체적이 증가한다.
결국, 볼(114)이 저속도로 플런저본체(111)의 내부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압입된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15)의 압축에 의해 점성체(116)가 변형되어, 플런저본체(111)와 볼(114)의 상대이동은 허용되지만, 볼(114)이 충격력에 의해 고속도로 플런저본체(111)의 내부로 몰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는 점성체(116)의 압축응력(압축방향으로 가해진 힘의 응력)이 상당히 크게 되어 볼(114)의 이동에 대하여 반력(강체적 탄성률의 힘)을 일으키고 이것을 구속함으로써, 볼(114)은 플런저본체(111)의 내부에 몰입하지 않으며, 코일스프링(115)은 압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플런저기구를 전술한 이음장치의 가압부재(10)로서 사용하면, 이 이음장치에 충격적인 하중이 작용하여 이음본체(1a,1b)가 순간적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경우에, 이 플런저기구는 큰 저항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이들 이음본체(1a,1b)는 상대적으로 회동은 하지 않고, 따라서 걸림부(9)의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와 같은 플런저기구는 이와 같은 이음의 내충격 록기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고 각종의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와 같은 내충격 플런저기구를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이 형합되는 형합면, 각종 이음, 드릴구멍의 위치 결정용 치구, 토크리미트(torque limiter), 턴테이블의 회전각 산출 등의 기구요소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 부재(218)에 플런저본체(211)를 고정하고 다른 쪽 부재(219)에 볼(214)과 걸어 맞춤하는 원추형상의 걸어 맞춤구멍(220)을 형성하여, 볼(214)을 걸어 맞춤구멍(220)에 탄성적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제1 및 제2부재(218,219)가 걸어 맞춤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부재(218,219)가 걸어 맞춤상태에서 낙하 등의 충격력에 의해 볼(214)에 고속도로 플런저본체(211)의 내부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는, 점성체(216)의 압축응력이 상당히 크게 되어, 볼(214)의 이동에 대하여 반력(강체적 탄성률의 힘)을 발생하여 이것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볼(214)은 플런저본체(211)의 내부로 몰입하지 않게 되고 코일스프링(215)은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부재(218,219)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점성체(216) 즉, 고무 등의 원통형상의 탄성자루체(217)에 충진된 예를들면 팽창유체라든가 떡밥모양의 실리콘바운드 유체로 대표되는 점탄성유체에 대하여 설명을 덧붙이면, 점성체(216)는 압축하여도 체적이 거의 변화되지 않는(비압축성 유체)이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원통형상의 탄성자루체(217)에 점성체(216)를 충진하여 외력을 가하지 않고 자연의 상태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있지만,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방향의 외력(화살표)을 가하면, 축방향으로 수축되어 직경방향으로 부풀어 오르지만 체적은 변화가없다. 또한 점성체(216)는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방향의 외력(화살표)을 가하지 않는 한 축방향으로 늘어나 직경방향으로에 수축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15)의 내부공간에 점성체(216)를 수용하고,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14)에 힘이 가해져 코일스프링(215)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압축할 경우 코일스프링(215)은 압축되고, 내부의 점성체(216)에도 압축방향의 힘이 가해져 탄성자루체(217)가 직경방향으로 팽창되므로 코일스프링(215)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볼(214)에 대한 힘이 없어 지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자루체(217)가 축방향으로 늘어나고 직경방향으로 수축된다.
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원통형상의 탄성자루체(217)에 상기 점성체(216)와 함께 코일스프링(215)을 수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14)에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215)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경우 코일스프링(215)이 압축되어 점성체(216)에도 압축방향의 힘이 증가되며, 탄성자루체(217)가 직경방향으로 팽창되어 코일스프링(215)의 외부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볼(14)에 대한 힘이 없어 지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자루체(217)가 축방향으로 늘어나서 직경방향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점성체(216)를 수용한 탄성체주머니체(217)를 코일스프링(215)의 내부에 설치하여 좋고, 탄성자루체(217)의 내부에 점성체(216)와 함께코일스프링(215)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점성체(216)를 탄성자루체(217)에 수용한 것을 사용하는 대신에 스폰지 등의 원주상의 탄성체 예를들면 팽창유체 또는 떡밥모양의 실리콘바운드 유체를 함침시킨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이음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통본체(3)의 외주부에 외측 시일면부재(255)를 부착하고, 이들 외측 시일면부재(255)의 선단면을 시일면으로서 구성하여 이 선단면에 링형상의 시일부재(256)를 부착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것은 이 시일부재(256)가 끼워 맞춤 돌기부(8) 및 끼워 맞춤 요부(7)의 외측에 이들을 둘러싸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이음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일부재(256)에 의해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 등이 보호되고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와 끼워 맞춤 요부(7) 사이에 흙과 모래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사이에 흙과 모래 등이 가득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일부재(256)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립(lip)부(2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이음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통본체(283)의 외부면에 단면이 톱니형상인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호스고정부(28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호스는 이 호스고정부(284)의 외주에 밀착 끼워맞춰져서 , 그 위에서부터 체결하는 링(미도시)에 의해 체결되어 접속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본체(283)의 외주에 링부재(285)가 내장되어 있고, 이 링부재(283)의 선단부에 전술한 바와 같은 끼워 맞춤 돌기부(8) 및 끼워 맞춤 요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링부재(285)의 외주에는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 및 끼워 맞춤 요부(7)의 사이에 흙과 모래등이 가득차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제의 부츠부재(286)가 장착되어 있다. 이 부츠부재(286)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그 선단부에는 벨로우즈부(25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이음본체(1a,1b)를 가공하는 방법을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이음본체(1a,1b)에는 전술하 바와 같이 끼워 맞춤 돌기부(8) 및 끼워 맞춤 요부(7)의 측면이 이 이음본체(1a,1b)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8) 및 끼워 맞춤 요부(7)를 형성할 때에는 이 이음본체(1a,1b)의 전단면을 프레스선반 등으로 절삭가공하지만 통상의 프레스선반에서는 이들의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절삭되어 버린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절삭가공한다. 우선 상기 이음본체(1a,1b)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틀(W)을 틀보호지지베드(bed)기구(331)의 틀보호 지지부재(330)에 장착한다. 이 틀보호 지지베드기구(331)는 이 틀(W)을 그 중심축선 즉 X축 회전의 방향 즉, A축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프레스선반의 베드를 유용가능하다. 다음에 프레스공구(332)를 공구베드(333)에 장착하고 이 프레스공구(332)는 상기 틀(W)의 중심축선의 X축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이 공구베드(333)는 이프레스공구(332)를 이 틀(W)의 중심축선의 방향에 임의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기존의 프레스선반의 머신헤드 등을 그대로 유용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틀(W)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프레스공구(33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프레스공구(332)의 절삭점을 끼워 맞춤 요부(7)의 윤곽(끼워 맞춤 돌기부(8)의 윤곽)을 따라 이동시켜 이 틀(W)의 선단부에 끼워 맞춤 요부(7)를 절삭가공하고 양측의 측면(8a,8b) 및 걸림부(9)등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1개의 끼워 맞춤 요부(7)의 가공이 종료되면 이 틀(W)를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켜 상기와 동일 모양으로 하여 다음의 끼워 맞춤 요부(7)를 가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끼워 맞춤 요부(7)가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끼워 맞춤 돌기부(8)가 형성된다.
또한, 실제에 상기 가공을 행할 때에는 상기 프레스공구(332)의 중심선을 틀(W)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직경방향으로 합치시킨 경우에, 이 프레스공구(332)의 절삭점은 그 반경분만큼 틀(W)의 주방향에서 어긋난다. 또한 이 프레스공구(332)로 상기 다른 쪽의 측면(8b)과 같이 틀(W)의 X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면과 원호형상의 부분을 절삭하는 경우에는 이 절삭점의 주방향의 어긋남 몫은 더욱 변화한다.
이들 어긋남 몫을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공구베드(333)는 틀(W)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프레스공구(332)의 직경과 절삭 이동방향에 따른 이긋남 몫을 보정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측면(8a,8b)을 절삭가공할 때에 프레스공구(332)의 절삭점은 항상 틀(W)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직경방향의 면으로 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설비, 또는 기존의 설비에 작은 개조를 행하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 있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소방호스등의 이음장치에 사용되는 시일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하고 부설한 복수의 소방호스를 분리하는 일 없이 자동적으로 권취되어 수납될 때, 이들의 소방호스내에 잔존하고 있는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사현장, 준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호스, 배관등에 있어서도 그 이동, 철거시에 내부의 물을 배수할 필요가 발생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시일기구는 상기 목적에 대응한 것에서 호스와 배관등의 내부 수압이 대기압 근방까지 저하된 경우에 내부의 물을 자동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것이다. 도 24 및 도 25에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이음에 사용된 시일기구인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이음본체(1a,1b)에 설치되는 시일면부재(5)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전체로서 환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이음본체(1a,1b)의 전단부의 내주테두리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이음본체(1a,1b)가 서로 걸어 맞춤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 시일면부재(5)의 전단면은 서로 동심형상에 대향한다. 또한, 이들 이음본체(1a,1b)가 걸어 맞춤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면부재(5)의 선단면은 서로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환형상의 연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시일면부재(5)의 전단면부분에는 시일부재 장착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시일부재 장착홈(23)내에는 상기 시일부재(6)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시일부재(6)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의 형상은 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시일부재(6)의 안쪽측 테두리부에는 돌기부(22)가 형성되고, 이 시일부재 장착홈(23)내에서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시일부재(6)의 선단 테두리부는 그 이음본체의 측면을 향하여 대략 테이퍼형상으로 돌출된 립부(20)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이음본체(1a,1b)가 서로 끼워 맞춤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부재(6)는 자유상태의 경우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립부(20)의 선단은 서로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환형상의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음본체(1a,1b)내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립부(20)는 그 압력에 탄성 변형하여 외측 및 전방측에 만곡하여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립부(20)의 선단부가 서로 접하며 상기 연통간극(G)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립부(20)의 형상 그 탄성력, 연통간극(G)은 그 이음의 사용조건등에 대응하여 적당하게 설정된 이음본체(1a,1b)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 예를들면 소방호스의 송수압력의 최저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립부(20)가 만곡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고, 또한 이 압력기 소정의 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이들 립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들의 성단부가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간극(G)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방호스의 이음장치는 이들 이음본체(1a,1b)를 결합하고 복수의 소방호스를 접속연장한 상태에서 소방호스에 내압이 작용하고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시일부재(6)의 립부(20)의 사이에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소방호스에 소정의 압력으로 송수가 시작되면 상기 시일부재(6)의 립부(20)는 그 압력에 탄성변형하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하여 그 연통간극(G)이 폐쇄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 모양으로 이들 시일부재(6)에 의해 이들 이음본체(1a,1b)의 사이에 시일이 구비되어 누수를 발생하는 일 없이 송수를 할 수 있다.
다음에 소방작업 등을 종료하면 이 소방호스의 송수가 정지되고 내압이 저하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시일부재(6)의 립부(20)가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고 이들 립부(20)의 사이에 연통간극(G)이 형성된다. 그래서 이 연통간극(G) 및 상술한 연통로(21)를 개재시켜 이 이음장치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 그래서 이 이음장치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들 소방호스를 권취시켜 수납하는 경우에 소방호스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은 상기 연통간극(G)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괴고 이 이음장치를 결합한채의 소방호스 권취가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권취수납시에는 소방호스 내의 물은 권취속도 그 외의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는 가압된다. 이 경우에 이와 같은 압력에서는 상기 립부(2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탄성력 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통용이다.
또한, 이와 같은 시일기구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상기 시일부재의 구성은 상기의 것 이외에 각종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음본체의 걸어 맞춤기구는 상기와 같은 암수의 구별없이 걸어 맞춤형의 것에 한하지 않고 래치(latch)부재와 래치수부가 걸어 맞춤하는 형식, 수나사와 암나사가 나사결합하는 형식등 임의의 걸어 맞춤기구라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26은 제2실시예의 시일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시일부재의 형상이 상위한 다른 상기 제1실시예의 시일기구의 것과 동일 모양의 구성이다.
이 실시예의 것은 시일면부재(5a)의 시일부재 장착홈(23a) 및 시일부재(6a)의 돌기부(22a)이 단면형상을 두갈래형상으로서 그 끼워 맞춤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시일부재(6a)의 립부(20a)는 그 돌출 길이가 크게 형성되고 이들 립부(20a)의 배면측에는 압력수용요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립부(20a)의 선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의 것은 상기와 같이 립부(20a)의 돌출 길이가 길고 또한 그 배면측에 압력수용요부(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 압에 의해 이 립부(20a)의 변형량이 크고, 내부 압의 변화에 이해 민감하게 대응하여 상기의 연통간극(G)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2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시일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음본체의 걸어 맞춤기구가 나사형상의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 27중 번호(31a,31b)는 이음본체에 있어서 한쪽의 이음본체(31a)에는 나사링(34)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번호(35)는 이 나사링(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서클립링이다.
그리고 이 나사링(3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톱니(32)가, 또 다른 쪽 이음본체(31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톱니(33)가 형성되어 이들이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음본체(31a,31b)가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이음본체(31a,31b)의 전단면에는 각각 시일면(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시일면(38)은 모두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된 테이퍼면이다. 그래서 이들 시일면(38) 사이에는 링형상의 시일부재(37)가 끼워져 있다. 이 시일부재(37)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그 단면은 외측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설형상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 시일부재(37)는 그 자유상태에서는 양측면이 상기 시일면(38)과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사링(34)의 원주벽부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연통공(36)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것은 이음본체(31a,31b)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되면, 이 압력에 의해 상기 시일부재(37)의 직경이 확장되고, 그 양측면이 시일면(38)에 밀착하여 연통간극(G)이 폐쇄되어 물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으로 되면, 시일부재(37)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고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이 배수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시일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것은 이음봉체를 계지하는 걸어 맞춤기구로서 래치 걸어맞춤형의 것을 채용한 이음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이것은 한쪽의 이음본체(41a)의 외주부에는 래치수단부(45)가 형성되고, 또한 다른 쪽의 이음본체(41b)에는 이 한쪽의 이음본체(41a)의외주에 끼워 맞춤하는 래치기구(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래치기구(42)에는 래치부재(43)가 설치되어 이 래치부재(43)는 판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래치부재(43)은 상기 래치수단부(45)에 걸어 맞춤하고, 이들 이음본체(41a,41b)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래치부재(43)은 미도시된 걸어 맞춤해제기구에 의해 상기 래치수단부(45)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다른 쪽의 이음본체(41b)의 외주부에는 한 쪽 이음본체(41a)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시일부재 수용홈(46)이 형성되어 이 시일부재 수용홈(46)내에 시일부재(47)가 수용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47)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전체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단면은 역 ㄷ자형상을 이루며 한쌍의 다리부(48,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시일부재(47)가 자유상태인 경우에, 한 쪽 다리부(48)는 한 쪽의 이음본체(41a)의 외주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다른 쪽 다리부(49)는 다른 쪽 이음본체(41b)의 시일부재 수용홈(46)의 내주의 시일면과는 이격되고 이들 사이에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시일부재 수용홈(46)의 내주 시일면에 개구하여 외부와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공(50)이 형성된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4실시예의 것은 이음본체내부가 소정의 압력 이상의 경우에서는 이 압력에 의해 상기 시일부재(47)의 다리부(49)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시일부재 수용홈(46)의 시일면에 밀착하여 연통간극(G)을 폐쇄하고 또한 이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으로 되면 상기 다리부(49)가 그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시일면으로부터 떨어져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어 이 연통간극(G), 연통공(50)을 개재하여이 이음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것은 상술한 점을 제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시일기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시일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것은 시일부재와는 다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밸브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이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4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즉, 이 실시예의 것은 상기 시일부재(47)에서는 한쌍의 다리부(48a)가 형성되고, 이들 다리부(48a)는 한 쪽의 이음본체(41a)의 외주면 및 시일부재 수용홈(46)의 시일면의 양쪽에 밀착하여 통상의 시일부재로서 작용한다.
그래서 예를들면 한 쪽의 이음본체(41b) 원주벽부에는 상기 시일부재의 부분과는 특별히 내부의 압을 방출하는 밸브기구(5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다른 쪽의 이음본체(41b) 내주면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요홈부(53)가 형성되고 이 요홈부(53)의 저부는 복수의 방출공(51)에 의해 외부로 연통되며 이들 연통공(51)이 연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요홈부(53)내에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밸브부재(55)가 설치되어 있어, 이 밸브부재(55)의 일단부는 멈춤링(54)에 의해 고정되어 이 밸브부재(55)는 자유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이 요홈부(53)의 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연통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것은 이음본체(41a,41b)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일부재(47)는 통상의 시일부재와 마찬가지로 이들 사이의 시일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밸브기구(52)의 밸브부재(55)는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그 압력에 의해 요홈부(53)의 저벽으로 말착하여 연통간극(G)을 폐쇄하고, 또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일 경우에서는 이 밸브부재(55)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요홈부(53)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연통간극(G)이 형성되며 이 연통간극(G) 및 연통공(51)를 개재하여 이 이음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한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것은 상기 점 이외는 상술한 제4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그 작용도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것은 내부의 압력을 가압하는 밸브기구가 시일부재와는 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시일부재와 밸브기구를 각각의 목적에 대응하도록 별도로 설계할 수 있고 설계가 용이하게 상기 밸브기구의 개방밸브의 압력설정 등이 용이 또는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기 실시예이 시일기구는 소방호스의 이음배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호스 이음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전술한 송수호스의 이음장치에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의 송수호스의 철거, 수납이 먼저 이루어져서 이들 송수호스 내의 압력을 저하시킴에 따라 예를들면 높은 위치의 이음장치의 연통간극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이들의 송수호스 단부 또는 낮은 위치에 있는 이음장치의 연통간극으로부터 내부의 물이 완전하게 배수되어 이들 송수호스의 철거, 수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암수의 구별없이 소로 보충되는 형태의 동일 형상으로 한쌍의 이음본체로 이루어진 이음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호스의 철거 및 수납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관부재이음장치의 제조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설비에 적용가능함으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9)

  1. 호스 상호 또는 호스와 다른 기구, 또는 그 밖의 부재를 서로 접속하는 이음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이음본체와,
    상기 이음본체의 전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축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끼워 맞춤 요부를 구비하고,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는 서로 상대측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요부와 끼워 맞춤 돌기부에 축방향으로 상호보충형인 끼워 맞춤하는 것이고,
    또 이들 끼워 맞춤 돌기부의 한쪽 측면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들 걸림부에는 상대측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돌기부의 걸림부에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춤하여 축방향 이동을 규제하며, 이들 한쌍의 이음본체를 축방향으로 걸어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의 적어도 양측면 및 상기 끼워 맞춤 요부의 적어도 양내측면은, 상기 이음본체의 중심축선 또는 그 근방을지나는 직경방향의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장치는 호스 또는 배관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금속구에 있어서, 상기 이음본체의 전단면에는 이들 이음본체가 서로 맞붙여서 결합된 경우에 이들 이음본체의 전단면을 시일하는 시일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의 한 쪽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의 다른 쪽 측면은 이 이음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는 선단부로 감에 따라 폭이 좁아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상기 끼워 맞춤 요부는 안쪽방향으로 감에 따라 폭이 좁아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본체에는 이들이 서로 걸어 맞춤된 경우에 이 걸어 맞춤이원하지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기구는 탄성을 갖는 시일부재를 구비하고, 이 시일부재는 상기 이음본체내에 압력이 작용한 경우에 이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여 시일작용을 하고, 또 이음본체내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이음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의 한 쪽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고, 또 다른 쪽 측면에는 서로 상대측 이음본체의 끼워 맞춤 돌기부의 다른 쪽 측면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구는,
    단면에 개구부를 갖는 통형상의 플런저본체와,
    이 플런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몰가능한 걸어 맞춤부재와,
    상기 플런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런저본체의 축선방향으로 신축가능하며, 상기 걸어 맞춤부재를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플런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본체와 걸어 맞춤자에 급격한 상대이동이 작용했을 때 강성을 가지며, 완만한 상대이동이 작용하였을 때 변형하는 점성체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
  9.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축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끼워 맞춤 요부를 구비하고, 이들의 끼워 맞춤 돌기부와 끼워 맞춤 요부가 서로 보충되는 형태로 걸어 맞춰서 결합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한쌍의 이음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음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상의 틀을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유지하는 공정과,
    이 틀의 선단테두리부를 절삭하여 상기 끼워 맞춤 요부 및 끼워 맞춤 돌기부를 형성하기 위한 밀링커터공구를 상기 틀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틀을 그 중심축선 둘레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밀링커터공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절삭하고, 상기 밀링커터공구의 절삭점을 상기 끼워 맞춤 요부 및 끼워 맞춤 돌기부의 윤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 및 끼워 맞춤 요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관부재이음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07004130A 1997-10-16 1997-10-16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63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7/003733 WO1999020928A1 (fr) 1997-10-16 1997-10-16 Articulation et metho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189A KR20010031189A (ko) 2001-04-16
KR100363877B1 true KR100363877B1 (ko) 2002-12-11

Family

ID=141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130A KR100363877B1 (ko) 1997-10-16 1997-10-16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2680B1 (ko)
EP (1) EP1024323A4 (ko)
KR (1) KR100363877B1 (ko)
AU (1) AU4573397A (ko)
CA (1) CA2306950C (ko)
WO (1) WO1999020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894B1 (ko) 2008-07-11 2010-11-26 이은희 파이프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1780B2 (ja) * 2000-07-26 2010-12-22 櫻護謨株式会社 ホースの結合金具
JP2002048283A (ja) * 2000-08-01 2002-02-15 Sakura Gomme Kk 結合金具
FR2834327B1 (fr) * 2001-12-21 2004-07-09 Fmc Technologies Sa Coupleur comportant des moyens d'etancheite et des moyens de protection de ceux-ci
FR2834043B1 (fr) * 2001-12-21 2004-10-15 Fmc Technologies Sa Ensemble de serrage perfectionne et coupleur hydraulique le comportant
AU2003211713A1 (en) * 2002-03-05 2003-09-16 Sakura Rubber Co., Ltd. Connection device with release preventing structure
US7473048B2 (en) 2002-04-18 2009-01-06 Sakura Rubber Co., Ltd. Coupling apparatus for structural members
JP3908586B2 (ja) * 2002-04-18 2007-04-25 櫻護謨株式会社 構造体の継手装置
US7530607B2 (en) * 2005-01-12 2009-05-12 Luft Peter A Quick torque coupling
US7118077B1 (en) * 2005-03-11 2006-10-10 Kistler Walter P Platform and system for mass storage and transfer in space
US7971912B2 (en) * 2005-04-07 2011-07-0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Quick connector
US8672367B2 (en) * 2006-05-02 2014-03-18 M&G DuraVent, Inc. Exhaust system interlocking mechanism
US8505981B2 (en) * 2006-05-02 2013-08-13 M&G DuraVent, Inc. Gasket-less vent pipe coupling
EP2806201B1 (en) * 2006-10-11 2016-08-03 Sakura Rubber Co., Ltd. Coupling apparatus
JP2010196878A (ja) * 2009-02-27 2010-09-09 Aoi:Kk マルチカップリング装置
WO2010107412A1 (en) * 2009-03-16 2010-09-23 Johnson Theodore D One piece connection assembly
IT1395157B1 (it) * 2009-08-07 2012-09-05 Stucchi Spa Innesto rapido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antisgancio
JP6051360B2 (ja) * 2010-05-18 2017-01-11 博之 松田 受け金具の摺動とホ―スの伸縮での結合金具
JP5491328B2 (ja) * 2010-09-01 2014-05-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ラグロック構造
US9370898B2 (en) 2010-11-11 2016-06-21 Joinlock Pty Ltd. Connecting method
JP5763387B2 (ja) * 2011-03-31 2015-08-12 株式会社斎藤商会 管継手用のロックリング
US9217524B2 (en) 2011-11-23 2015-12-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upling lock mechanism
US8960726B2 (en) 2011-11-23 2015-02-24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upling lock mechanism
KR101409794B1 (ko) * 2012-07-11 2014-06-24 이근호 관로 커플러
CA2956774C (en) * 2014-07-29 2018-01-02 Sakura Rubber Co., Ltd. Coupling with safety valve function
RU2713524C1 (ru) 2016-06-21 2020-02-05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ритья с отсоединяемым режущим узлом
AU2017329243B2 (en) * 2016-09-20 2019-09-19 Hoselink Pty Ltd Hose coupling
DE202018001710U1 (de) * 2018-04-03 2018-06-12 Hytrans Beheer B.V. Kupplungsteil und damit ausgestattete Schlauchkupplung, ausgelegt für die Kupplung eines Schlauchs oder Schlauchteils
EP3705409A1 (en) * 2019-03-08 2020-09-09 Space Applications Services NV/SA Device and method for androgynous coupling as well as use
JP7030925B1 (ja) 2020-10-09 2022-03-07 櫻護謨株式会社 結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7A (en) * 1893-01-03 Carl august guido storz
US185494A (en) * 1876-12-19 Improvement in hose-couplings
US1300414A (en) * 1915-03-15 1919-04-15 Albert Klell Hose-coupling.
US1611286A (en) * 1925-01-26 1926-12-21 William H Keller Inc Hose coupling
US1914368A (en) * 1932-06-25 1933-06-20 Howard W Goodall Coupling for hose
DE903156C (de) * 1952-03-11 1954-02-01 Schmidt & Clemens Rohrleitungskupplung
US2730116A (en) * 1954-04-15 1956-01-10 Mcdowell Mfg Co Gasket valve
US2933334A (en) * 1956-01-18 1960-04-19 Moude Adrian J De Self-sealing pipe coupling
US2975799A (en) * 1956-07-09 1961-03-21 Fmc Corp Combination pipe coupling and automatic drain valve
US3201151A (en) * 1962-04-17 1965-08-17 New York Air Brake Co Pipe coupling having latching and locking means
US3422390A (en) * 1967-12-28 1969-01-14 Nasa Coupling device
DE3110212C2 (de) * 1981-03-17 1983-10-20 Max Widenmann Armaturenfabrik, 7928 Giengen Schlauchkupplung
US4643459A (en) * 1985-06-11 1987-02-17 J. M. Huber Corporation Quick-connect hose coupling
JPS6336592A (ja) 1986-07-30 1988-02-17 富士通株式会社 高密度部品実装構造
JPH0419103Y2 (ko) * 1986-08-25 1992-04-28
DE3914132A1 (de) * 1989-04-28 1991-01-03 Karl Dipl Ing Ebert Kupplung fuer schlauch- und rohrleitungen
US4960153A (en) * 1989-11-03 1990-10-02 G. T. Products, Inc. Fuel tank vapor vent valve
SE9003965L (sv) * 1990-12-12 1992-05-18 Flygt Ab Itt Anordning foer avtaetning av tvaa roerformiga kopplingsdelar mellan ett draenkbart pumpaggregat och en utloppsledning
US5184851A (en) * 1991-09-25 1993-02-09 Fred Sparling Coupling with auxiliary latch and release mechanism
FR2694053B1 (fr) * 1992-07-24 1994-09-02 Souriau & Cie Ensemble de connexion à verrouillage du type baïonnette.
US5727739A (en) * 1995-03-03 1998-03-17 Spraying Systems Co. Nozzle with quick disconnect spray tip
JP3107507B2 (ja) * 1995-10-24 2000-11-13 櫻護謨株式会社 ホースの結合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894B1 (ko) 2008-07-11 2010-11-26 이은희 파이프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6950A1 (en) 1999-04-29
KR20010031189A (ko) 2001-04-16
AU4573397A (en) 1999-05-10
US6382680B1 (en) 2002-05-07
WO1999020928A1 (fr) 1999-04-29
CA2306950C (en) 2005-12-06
EP1024323A4 (en) 2006-06-14
EP1024323A1 (en)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877B1 (ko) 관부재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1278321C (en) Anti-blowout seal
US4811975A (en) Fluid coupl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29284A (en) Reusable pipe union assembly with automatic fluid flow checking
EP2431646B1 (en) Coaxial quick coupling
US6513268B2 (en) Quick coupler for excavator
DE69933105T2 (de) Rohrverbindung eines flüssigkeitsgesteuerten Gerätes
KR20000052805A (ko) 안전밸브와 압력 해제 밸브를 가진 신속 결합 파이프 피팅
JPS62180193A (ja) カツプリング装置
TWI736983B (zh) 管元件與管塞之組合及在其間產生密封之方法
US7784835B1 (en) Pipe connecting member
US20050123346A1 (en) Coupling apparatus for structural members
KR100348850B1 (ko) 이탈방지파이프이음매
US4969513A (en) High pressure automatic kelly valve
EP2160537B1 (de) Lösbare pneumatische verbindung
CA2005677C (en) Tubular joint
EP0896180A2 (en) Union for the connection of smooth pipes to threaded connections of hydraulic equipment and the like
KR20000053268A (ko) 접합구조
US20210025524A1 (en) Threaded coupling with under-torque prevention
DE19818310A1 (de) Kupplung zum Verbinden eines rohrförmigen Glieds ohne Verformung des rohrförmigen Glieds aufgrund von Belastungskonzentrationen
JP3509378B2 (ja) ホースの結合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91823B2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KR102147742B1 (ko) 원형 관체 연결구
JPH1082492A (ja) 耐衝撃プランジャ
JPS63135689A (ja) 取りはずし容易な管接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