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268A -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268A
KR20000053268A KR1019990704247A KR19997004247A KR20000053268A KR 20000053268 A KR20000053268 A KR 20000053268A KR 1019990704247 A KR1019990704247 A KR 1019990704247A KR 19997004247 A KR19997004247 A KR 19997004247A KR 20000053268 A KR20000053268 A KR 2000005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attachment
template
slee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우치에이지
나카노아키히코
마쯔바라켄타
소메야히로키
니시무라수우이치
오카야마수수무
코바야시토시오
Original Assignee
무카사 신지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이마이 미노루
이시카와지마 겐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20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20184A/ja
Application filed by 무카사 신지,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이마이 미노루, 이시카와지마 겐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카사 신지
Publication of KR2000005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30Dovetail-lik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9Redundant disconnection blocking means
    • F16B2200/73Cam locks or thread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10T403/7066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having actuator
    • Y10T403/7067Threaded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한 쪽의 구조체 1에 부착되는 동시에 이 한 쪽의 구조체 1의 접합면 2로부터 다른 쪽의 구조체 21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합봉 3과, 다른 쪽의 구조체 21에 부착되고 접합봉 3에 물려 빠지지 않게 걸려 정지하는 복수의 쐐기 부재 25를 갖는 접합구 23에 의해 상호의 구조체 1, 21이 접합되어 있고, 접합봉 3은 접합면 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접합 구조{JOINTING CONSTRUCTION}
턴넬 벽체를 구성하는 경우, 세그멘트의 접합 구조로서는 세그멘트의 접합면 근방에 구멍부를 갖는 접합판을 묻어 놓고 세그멘트의 접합면끼리 맞닿게 하여 접합판의 구멍부끼리 연통시킨 상태에서, 이 연통된 구멍부로 볼트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트에 너트를 조여 접합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서는 공사 현장에서 접합판의 접합면에 형성된 구멍부에 볼트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트에 너트를 조인다는 극히 번잡한 작업을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적어도 세그멘트에 위치 편향이 발생하면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작업이 지체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수 접합되어 통상의 턴넬 벽체를 구성하는 세그멘트 (segment) 등의 구조물끼리 접합하는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2는 접합봉의 구조를 설명하는 접합봉이 설치된 구조체의 일부의 단면도,
도 3은 접합봉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 2에 있어서 F-F 단면도,
도 4는 접합봉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 3에 있어서 J-J 단면도,
도 5는 구조체끼리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6은 다른 구조의 접합구를 이용한 접합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7은 다른 구조의 접합구를 이용한 접합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8은 다른 구조의 접합구를 이용한 구조체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9는 다른 구조의 접합구를 이용한 접합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10은 다른 구조의 접합구를 이용한 구조체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는 구조체의 접합 장소의 단면도,
도 11은 접합구에 이용되는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제조 공정도,
도 12는 접합구에 이용되는 쐐기 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쐐기 부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조기의 단면도,
도 14는 제조된 쐐기 부재를 이용한 접합구의 단면도,
도 15는 접합구의 형판으로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형판에 부착되는 접합구의 단면도,
도 16은 접합구의 형판으로의 부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형판에 부착되는 접합구의 단면도,
도 17은 접합구의 형판으로의 부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형판에 부착되는 접합구의 단면도,
도 18은 접합구의 형판으로의 부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형판에 부착되는 접합구의 단면도.
본 발명의 구조는, 구조체끼리를 상호의 접합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합하는 접합 구조에 있어서, 당해 접합 구조는 상기 구조체중 한 쪽의 구조체에 부착되면서 당해 한 쪽의 구조체의 접합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구조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합봉과, 상기 다른 쪽의 구조체에 부착되고 상기 접합봉과 끼워 맞춰지는 접합구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접합구는 그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상기 접합봉의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접합 구조에 의하면, 구조체끼리의 접합에 있어서 접합봉을 접합구의 슬리브에 밀어 넣으면 쐐기 부재가 탄성 부재를 압축하여 슬리브의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쐐기 부재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고정 구멍이 직경 확대되어 이 삽입 고정 구멍으로 접합봉이 삽입된다. 삽입 고정 구멍에 접합봉이 삽입되는 것이 끝나면 쐐기 부재가 탄성 부재의 미는 힘에 의해 슬리브의 선단측으로 밀려 이동하고, 이에 의해 이들 쐐기 부재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고정 구멍이 직경 축소되어 접합봉을 물어서 고정시킨다. 쐐기 부재는 접합봉의 빠지는 이동에 대하여 더욱 직경이 감소되어 그 고정력을 증대하기 때문에 접합봉이 접합구에 강고하게 접합되고, 따라서 구조체끼리 일체로 접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은,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의 상기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횡단면이 부채꼴 형상인 1차 공작품을 복수 개 제작하고, 이들 일차 공작품을 상호 측면을 향해 합쳐 환상으로 배열하여 단조기(鍛造機)에 장전하고, 이들 복수의 일차 공작품을 단조기의 작동으로 동시에 쐐기 형상으로 단조 성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구성하는 쐐기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쐐기 형상 원통의 절삭 가공에 의한 분할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쐐기 부재를 값싸게 제조할 수 있고, 복수의 쐐기 부재의 조립 정밀도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절삭에 의한 작업 여유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쐐기 부재의 폭이 작게 되어 슬리브에 대한 접촉 면적이 좁게 되는 일이 없어 강한 결합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작은 직경의 쐐기 부재라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단조 성형시에 생긴 섬유의 흐름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강도가 강한 쐐기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공 설비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품이 나오기 어렵게 되어, 쐐기 부재를 한층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구의 부착 구조는,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를 부착구에 의해 형판 (mold plate)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형판의 내면에 배치된 상기 접합구의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상기 형판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는 원통상 핀과, 당해 원통상 핀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외면측에 걸려 정지되는 정지부와, 상기 원통상 핀의 상기 접합구 측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와, 두부를 상기 탄성체에 걸어 정지시키고 당해 탄성체 및 상기 원통상 핀을 관통하는 부착용 볼트와, 상기 원통상 핀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착용 볼트의 단부에 나사 부착되는 부착용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부착구의 상기 부착용 너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를 압축하여 직경을 확대시켜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이 접합구의 부착 구조에 의하면, 부착구의 원통상 핀 및 탄성체를 형판의 부착 구멍을 통하여 접합구에 삽입하고 부착용 너트를 조인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탄성체를 압축하여 직경을 확대시켜 부착구와 접합구를 일체화시켜 형판으로 접합구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착 작업의 용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형시에는 접합구와 형판의 접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경우에는 부착용 너트를 풀면 탄성체에 대한 부착 볼트의 두부의 가압이 해제된다. 그러면, 탄성체의 형상이 복원되기 때문에 접합구와 부착구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접합구와 형판과의 접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형판으로부터 접합구를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구의 부착 구조는, 상기 부착구가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와, 당해 끼워맞춤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외면에 걸려 정지되는 정지부와, 상기 접합구의 슬리브 내주벽의 개방 단부에 그 축선을 사이에 두고 복수 대향 배치되는 직경 확대편과,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을 상기 축선을 향하여 밀어 붙이는 탄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착 구멍 측으로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을 상호 이격시키는 동시에, 그 역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 수단의 미는 힘으로 상기 직경 확대편을 상호 접근시키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상기 직경 확대편이 상호 접근할 때 그 직경 확대편에 걸어 맞춰져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지부를 구비하는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와, 두부를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에 걸어 정지시켜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상기 끼워맞춤부 및 상기 정지부를 관통하는 부착용 볼트와, 상기 정지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착용 볼트의 단부에 나사 부착되는 부착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구의 상기 부착용 너트를 나사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직경 확대편을 외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합구를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이 접합구의 부착 구조에 의하면, 부착구의 직경 확대편 및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를 형판의 부착 구멍을 통하여 접합구에 삽입하고 부착용 너트를 조인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형판으로 접합구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작업의 용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형시에는, 접합구와 형판과의 접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경우에는 부착용 너트를 푸는 것에 의해 직경 확대편에 대한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직경 확대편은 탄성 수단에 의해 상호 접근하게 되기 때문에, 접합구와 부착구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접합구와 형판과의 접합도 해제된다. 따라서, 형판으로부터 접합구를 분리시키는 것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즉, 이 부착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접합구가 설치된 구조체의 성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접합구의 부착 구조는, 상기 접합구에, 나사 구멍을 갖는 리테이너 (retainer)가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나사 구멍을 연통시켜 상기 쐐기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부착 볼트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리테이너의 나사 구멍으로 나사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구의 부착 구조는, 상기 접합구에는, 상기 쐐기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리테이너가 설치되고 당해 리테이너는 나사 구멍을 갖는 너트가 부설되어,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부착 볼트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너트의 나사 구멍으로 나사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이들 접합구의 부착 구조에 의하면, 부착 볼트를 형판의 부착 구멍을 통하여 접합구에 삽입하여, 리테이너에 형성된 나사 구멍 또는 너트의 나사구멍으로 나사를 끼운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형판으로 접합구를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착 작업의 용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하는 경우에는, 부착 볼트를 리테이너의 나사 구멍 또는 너트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푸는 것 만으로 충분하므로, 접합구의 분리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접합구가 설치된 구조체의 성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턴넬 벽체를 구성하는 세그멘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예로 들어 이들 구조체끼리의 접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 세그멘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1 내에는 그 접합면 2로부터 돌출한 접합봉 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접합봉 3의 선단부 3a는 도 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 방향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구조체 1 내에는 그 접합면 2와 평행하게 지지판 4가 매설되어 있다. 이 지지판 4는 앵커 5에 의해 구조체 1에 고정된 고정구 6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 4의 후면측에는 수납 케이스 7이 부착되어 있다. 이 수납 케이스 7은 구조체 1 내에 매설되어, 수납 공간 8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판 4에는 접합면 2의 전방에 개구된 개구부 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 공간 8 내에는 접합봉 3의 기단부 3b가 개구부 9를 통하여 삽입 배치되어 있다. 기단부 3b에는 상기 지지판 4에 걸어맞춰지는 두부 10이 설치되어 있다. 두부 10은 접합봉 3의 기단부 3b에 너트 11을 장착한 것으로, 이 두부 10은 개구부 9 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납 공간 8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7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주의 직경이 감소되어 있는 오목부 7a를 갖는다. 이 오목부 7a와 너트 11의 근방 11a와의 사이의 극간은 약 2 ㎜로 되어 있다. 너트 11의 각부 11b와 수납 케이스 7의 내벽과의 사이에도 극간이 있고, 그 치수는 상기 오목부 7a와너트 11의 근방 11a와의 사이의 극간과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너트 11과, 지지판 4 및 수납 케이스 7과의 사이에는 거의 극간이 없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일단측의 구조체 1에 있어서, 접합봉 3의 두부 10은 개구부 9 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봉 3이 접합면 2의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일은 없다.
한편, 접합봉 3의 두부 10은 수납 케이스 7과의 사이에 전술한 극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두부 10은 수납 공간 8 내에서 상기 극간에 대응하는 일정 치수의 범위 내에서 접합면 2와 평행한 방향(도 1에서 X 방향 또는 X 방향과 반대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 9로부터 돌출한 접합봉 3 자체도 구조체 1의 접합면 2 내에서 이 접합면 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이 한 쪽 구조체 1과 접합하는 다른 쪽 세그멘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21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른 쪽의 구조체 21에는, 그 접합면 22 내에 접합구 23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접합구 23에는 도 1 중에 나타낸 Y 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선단이 가늘게 형성된 슬리브 24를 갖고 있다. 이 슬리브 24의 내부에는 중심부에 접합봉 3이 삽입되는 삽입 고정 구멍 H를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외주면을 슬리브 24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슬리브 24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 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 24의 직경이 큰 후단측에는 절곡부 24a에 의해 슬리브 24에 부착되는 스프링 수용부(우레탄 케이스) 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부 26의 내부에는, 삽입 고정 구멍 H가 직경 축소되도록 쐐기 부재 25를 슬리브 24의 작은 직경의 선단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로서 우레탄 스프링 27이 수납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호 28은 쐐기 부재 25와 우레탄 스프링 27을 분할하는 리테이너이다.
이 접합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구조체 1, 21 끼리의 접합에 있어서, 한 쪽 구조체 1을 Y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합봉 3을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에 밀어 넣으면, 쐐기 부재 25가 우레탄 스프링 27을 압축하여 슬리브 24의 아래쪽(도시된 Y 방향)으로 후퇴하고, 쐐기 부재 25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고정 구멍 H가 직경이 확대되어, 이 삽입 고정 구멍 H로 접합봉 3이 삽입된다.
삽입 고정 구멍 H에 접합봉 3이 삽입되는 것이 끝나면, 쐐기 부재 25가 우레탄 스프링 27의 미는 힘에 의해 슬리브 24의 선단측(Y 방향과 역방향)으로 밀려 이동되고, 이에 의해 이들 쐐기 부재 25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고정 구멍 H가 직경이 축소되어 접합봉 3을 물어 고정시킨다.
쐐기 부재 25는 접합봉 3의 빼는 이동에 대하여 더욱 직경이 축소되어 그 고정력이 증대되므로, 접합봉 3이 접합구 23에 강고하게 접합되고, 따라서 구조체 1, 21 끼리 일체로 접합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구조체 1, 21 끼리 접합하는 경우로서, 접합봉 3의 축심과 접합구 23의 축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접합 동작에 들어가는 것으로, 말하자면 이상적인 접합 동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구조체 1, 21 끼리 접합하는 경우는, 반드시 접합봉 3과 접합구 23의 축심이 일치한 상태에서 접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보다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축심이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편향하여 접합 동작에 들어가는, 즉 편심 삽입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제의 구조체 1, 21의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편심 삽입으로 되는 경우에도 구조체 1, 21 끼리 접합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상기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접합구 23 측에서 우레탄 스프링 27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쐐기 부재 25의 후퇴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심 삽입된 경우에도 접합봉 3과 접합구 23의 끼워 맞춤에 의한 구조체 1, 21 끼리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접합구 23의 축심에 대하여 접합봉 3의 축심이 X 방향으로 편심되어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 접합봉 3은 이 X 방향으로 쐐기 부재 25를 가압하게 되고, 이 접합봉 3에 의해 가압된 쐐기 부재 25는 Y 방향으로 우레탄 스프링 27을 보다 강하게 압축하여 Y 방향으로 크게 후퇴하여 편심 삽입시에 축심의 편향이 허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우레탄 스프링 27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이에 의해 스프링 수용부 26의 크기도 크게 되어 접합 구조의 대형화·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우레탄 스프링 27의 두께를 얇게 하면, 접합구 23에 접합봉 3을 삽입한 경우 접합구 23 중의 쐐기 부재 25의 후퇴량이 작게 되고 이에 의해 접합봉 3이 삽입 가능하게 되는 편심량이 작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 접합 구조에서는 접합구 23에 의해 축심의 편향이 허용되는 동시에, 구조체 1에 있어서는 접합봉 3이 쐐기 부재 25에 의해 X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 8 내에서 두부 10이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접합봉 3 자체도 X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합봉 3과 접합구 23의 축심의 편향을 더욱 허용하여 상호 접합하므로 구조체 1, 21 끼리의 접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구조체 1, 21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접합구 23 측 및 접합봉 3 측의 양 쪽에서 편심 삽입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접합봉 3의 삽입시 보다 큰 편심량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체 1, 21 끼리 용이하고 확실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우레탄 스프링 27을 얇게 하여도 그 만큼 접합봉 3 측에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우레탄 스프링 27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접합구 23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접합구 23의 스프링 수용부 26 내에 탄성 부재로서 우레탄 스프링 27을 수용하지만, 이 탄성 부재로서는 우레탄 스프링 2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 부재로서는 우레탄 스프링 27 대신에 다른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다른 탄성체를 이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접합구 23에 이용하는 탄성 부재로서 접시 스프링 31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도, 상기 접합 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 작용이 있다. 즉, 두께가 얇은 접시 스프링 31을 탄성 부재로 하여 이용하여도 구조체 1, 21 간의 편향을 확실히 허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접합 구조가, 제 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접합 구조와 다른 것은, 한 쪽 구조체 1의 접합봉 3 주위에 실링 부재(O 링) 32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접합 구조에 있어서는, 한 쪽 구조체 1과 다른 쪽 구조체 21을 접합한 경우, 이 실링 부재 32가 구조체 1, 21의 접합면 2, 22 간에 의해 가압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에 들어가 슬리브 24 입구의 내주면과 접합봉 3의 외주면 사이가 실링 부재 32에 의해 실링되어 접합구 23 내로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조체 1, 21이 설치되어 있는 턴넬 내에서 누수가 있어도 접합구 23 내에는 물이 침입하지 않아 내부의 부식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봉 3과 고정구 6의 사이에 극간이 있는 경우에는, 실링 부재 32는 이 극간도 실링하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 7 내로의 물의 침입도 방지하는 역할이 있다.
다음에, 접합 구조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 형태에서의 접합 구조가 제 2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접합 구조와 다른 것은, 접합봉 3의 선단부 3a 근방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쐐기 부재 25의 내주면 측에는 리테이너 28과 일체화된 금속판 33이 배치되어 있는 점도 다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합봉 3의 선단부 3a의 근방이 단면 톱날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체 1, 21 끼리 접합한 후에 양자를 이격시켜 빼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이 단면 톱날 형상의 접합봉 3의 외주면이 쐐기 부재 25의 내주면에 물려 들어가 마찰력이 높아지므로 양자는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없어, 구조체 1, 21 끼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합봉 3의 선단부 3a 근방의 외주면이 단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쐐기 부재 25의 내주면이 금속판 33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 부재 25의 강도가 확보되어 한층 그 내주면이 보호된다.
물론, 접시 스프링 31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접합봉 3과 접합구 23의 축심의 편향을 충분히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합봉 3의 선단부 3a의 근방을 단면 톱날 형상으로 형성하지만, 이와 동시에 쐐기 부재 25 또는 금속판 33의 내주면을 접합봉 3의 톱날과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조체 1, 21 끼리의 접합력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접합 구조에 이용되는 접합구 23의 쐐기 부재 25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13은 접합구 23의 쐐기 부재 25의 제조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쐐기 부재 25는 철 등의 금속의 환봉으로부터 원판을 도 11a, 11b, 11c와 같이 프레이즈 반(盤)이나 거반(鋸盤) 등에 의한 기계 가공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그 원판을 본데라이드 처리하는 공정과, 그 원판을 냉간(冷簡) 단조(鍛造)에 의해 횡단면이 부채꼴 형상의 도 11d, 11e와 같은 일차 공작품 25A로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제작된 복수 개(여기에서는 4 개)의 일차 공작품 25A를 서로 측면 25Aa에서 합쳐 환상으로 배열하여 단조기 41에 장전하고, 이들 복수의 일차 공작품 25A를 단조기 41의 작동으로 동시에 쐐기 형상으로 단조 성형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 11c는 11b의 저면도, 11e는 11d의 저면도, 11g는 11f의 저면도이다.
단조기 41은 하형 다이스 42와 상형 펀치 43, 및 노치 아웃 핀 44를 구비하여, 상형 펀지 43의 축부 43a를 환상으로 둘러싸고 단조기 41에 장전시킨 복수 개의 일차 공작품 25A(도 13의 좌반분 참조)를, 하형 다이스 42에 대한 상형 펀치 43의 하강에 의해 동시에 쐐기 부재 25로 냉간 단조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형 펀치 43의 가압면 43b에는 단조 성형시에 각 쐐기 부재 25의 넓은 직경 측 단면에 이들 복수의 쐐기 부재 25의 배열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이하, 기호) K를 각인 설치하는 각인이 달려 있다. 각인은 볼록과 오목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볼록(기호 K는 오목)으로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일차 공작품 25A를 단조로 제작하였지만, 기계 가공 등의 다른 수단으로 제작할 수도 있어, 일차 공작품 25A의 제작 방법은 임의로 한다. 일차 공작품 25A는 필요에 따라 본데라이드 처리된다.
도 13의 단조기 41은 쐐기 부재 25의 선단 25a를 자연 형상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구조나 종류 등은 임의로 한다.
도 12의 부호 25b는 쐐기 부재 25의 넓은 직경측 단면의 외주각부에 형성된 컷 아웃부(cut-outs)이다.
상기 예의 쐐기 부재 25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쐐기 형상 원통의 절삭 가공에 의한 분할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쐐기 부재 25를 값싸게 제조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쐐기 부재 25의 조립 정밀도가 양호하게 된다. 절삭에 의한 작업 여유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쐐기 부재 25의 폭이 작게 되어도 슬리브 24에 대한 접촉 면적이 좁게 되는 일이 없어 강한 체결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작은 직경의 쐐기 부재 25로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조 성형시에 생기는 섬유의 흐름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강도가 강한 쐐기 부재 25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가공 설비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불량품이 나오기 어렵게 되므로, 쐐기 부재 25를 한층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쐐기 부재 25를 이용한 접합구 23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 접합구 23은 전술한 구조 및 작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단면 원형인 테이퍼 형상 슬리브 24와, 상호 중심부에 접합봉 3의 삽입 고정 구멍 H를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외주면을 슬리브 24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슬리브 24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슬리브 24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쐐기 부재 25와, 삽입 고정 구멍 H가 직경이 감소하도록 쐐기 부재 25를 슬리브 24의 작은 직경의 선단측으로 밀어 붙이는, 슬리브 24의 넓은 직경의 후단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우레탄 스프링 27을 주체로 한다. 각 쐐기 부재 25는 기호 K를 활용하여 단조 성형시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슬리브 24 내에 수납된다. 슬리브 24의 후단측에는 절곡부 24a에 의해 스프링 수납부 26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수납부 26의 저부 중앙에는 돌부 26a가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 수납부 26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동시에, 우레탄 스프링 27의 중심 구멍부에 끼워 맞워져 우레탄 스프링 27을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쐐기 부재 25를 이용한 접합구 23에 있어서는, 복수의 쐐기 부재 25의 조립 정밀도가 양호하게 되는 외에, 절삭 가공의 작업 여유분이 불필요하여 그 만큼 슬리브 24에 대한 접촉 면적이 넓게 되기 때문에, 접합봉 3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어 안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일차 공작품 25A의 단조기 41에 대한 장전 개수(슬리브 24 내에 쐐기 부재 25가 배설되는 개수)는 4 개로 한정되지 않고, 2 개 또는 3 개, 경우에 따라서는 5 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레탄 스프링 27에는 전술한 접시 스프링 31 외에도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접합구 23을 갖는 구조체 21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접합구 23을 형판에 지지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 부호 51은 구조체 21을 성형하는 형판이다. 이 형판 51에는 부착 구멍 52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 53은 형판 51의 측판 54의 내면 54a의 부착 구멍 52 주위 부분에 상기 접합구 23을 부착한 것이다.
부착구 53 및 이 부착구 53에 부착된 접합구 23은 그 축선이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접합구 23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 24를 갖고, 이 슬리브 24의 저부 24a에 탄성 부재 27이 배설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형판 51의 내부에는 종횡으로 강화 설비 55가 배설되어 있다.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의 외주에는 앵커 5가 용접 고정되어 있고, 이 앵커 5가 강화 설비 55에 싸여져 있다.
부착구 53은, 접합구 23 내부의 쐐기 부재 25의 삽입 고정 구멍 H에 형판 51의 측판 54의 부착 구멍 52를 통하여 삽입되어 끼워 맞춘 원통상 핀 57을 갖고 있다. 원통상 핀 57에는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 측에 걸려 멈춰진 정지부 58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상 핀 57의 접합구 23 측의 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원통상의 탄성체 59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상 핀 57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여 부착용 볼트 6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용 볼트 60의 두부 60a가 상기 탄성체 59의 단면 59a를 걸어 정지시키고 있다. 이 부착용 볼트 60의 단부 60b에는 부착용 너트 61이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원통상 핀 57은 형판 51의 측판 54의 부착 구멍 52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부착구 53 및 접합구 23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정지부 58은 원통상 핀 57에 나사 결합된 조임용 너트이다. 즉, 원통상 핀 57의 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 5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 57a에는 조임용 너트인 정지부 58이, 축선 CT1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나사 결합되어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에 맞닿아져 있다.
정지부 58은 반드시 조임용 너트일 필요는 없고, 원통상 핀 57에 고정 설치된 환상체 등이어도 좋다.
탄성체 59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면 어떠한 재료로 되어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고무 재료를 이용하고 있다.
부착용 너트 61은 부착용 볼트 60의 단부 60b에 축선 CT1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나사 결합되어, 원통상 핀 57의 단면 57b에 맞닿아져 있다.
부착구 53 등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하와 같이 하여 형판 51로 접합구 23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형판 51의 측판 54의 내면 54a에 있어서, 부착 구멍 52에 접하는 부분에 접합구 23을, 그 축선을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시키고 그 단부를 내면 54a에 맞닿게 배치시킨다.
다음에,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에 있어서, 부착 구멍 52에 접하는 부분에 부착구 53을 배치하고, 그 탄성체 59 및 원통상 핀 57을,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를 통하여 접합구 23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 정지부 58이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에 맞닿아 걸려 정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원통상 핀 57은 부착 구멍 52에 간극 없이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그 축선이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된다. 이에 의해, 원통상 핀 57 및 탄성체 59가 삽입된 접합구 23의 축선도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하기 때문에, 접합구 23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부착용 너트 61을 원통상 핀 57 측으로 조인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체 59의 단면 59a를 걸어 정지시킨 부착용 볼트 60의 두부 60a가 원통상 핀 57 측에 가까이 가기 때문에, 탄성체 59는 압축되어 편평하게 탄성 변형되고, 이에 의해 이 탄성체 59는 직경이 확대된다. 직경이 확대된 탄성체 59는 접합구 23의 복수의 쐐기 부재 25의 내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한다. 그러면 접합구 23은 그 축선을 축선 CT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부착구 53에 고정된다. 또한, 이 부착구 53과 접합구 23은 그 사이에 형판 51의 측판 54를 끼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형판 51에 대해서도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접합구 23은 형판 5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되지만, 이 경우, 이러한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조임용 너트로 되는 정지부 58을 형판 51 측으로 조인다. 이와 같이 하면, 접합구 23은 형판 51의 측판 54의 내면 54a에 가까이 밀착하여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형판 51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접합구 23이 설치된 구조체 21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부착구 53에 의하면, 원통상 핀 57 및 탄성체 59를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를 통하여 접합구 23에 삽입하고 부착용 너트 61을 조인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형판 51로 접합구 23의 부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착 작업의 용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형시에는, 접합구 23과 형판 51의 접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경우 부착용 너트 61을 풀면 탄성체 59에 대한 부착용 볼트 60의 두부 60a의 가압이 해제된다. 그러면, 탄성체 59의 형상은 복원되기 때문에, 접합구 23과 부착구 53과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접합구 23과 형판 51의 접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형판 51로부터 접합구 23의 분리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은, 다른 부착구 71을 이용하여 접합구 23을 형판 51의 소정 위치로 부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부착구 71은 형판 51의 측판 54의 부착 구멍 52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진 끼워맞춤부 72를 갖고 있다. 끼워맞춤부 72는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주벽 72a가 부착 구멍 52에 맞닿아져 있다. 측판 54의 외면 54b 측에는 판상의 정지부 73이 고정 설치되어 있어, 이 정지부 73의 측판 54 측의 면 73a는 측판 54의 외면 54b에 걸려 정지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 72 및 정지부 73에는 각각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을 중심으로 하여 관통 형성된 관통 구멍 72b, 73b가 형성되어 있다.
형판 51의 측판 54의 내면 54a에는 접합구 23이 배설되어 있고,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의 테이퍼상 내주벽 24b의 개방 단부에는 복수 개의 직경 확대편 74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직경 확대편 74는 각각 축선 CT1 측에 돌출 설치된 돌부 74a를 갖고 있고, 각 돌부 74a의 축선 CT1 측의 면은 슬리브 24의 개방 단부를 향하여 종으로 축선 CT1에 점차 근접하는 테이퍼면 74b로 되어 있다.
각 돌부 74a의 슬리브 24의 개방 단부 측에는, 정지면 7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지면 74c는 축선 CT1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경 확대편 74의 외주면에는 서로 연속하는 홈 74d가 축선 CT1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직경 확대편 74의 홈 74d에는 이들 직경 확대편 74를 축선 CT1을 향하여 밀어 붙이는 탄성 수단으로서 링형 스프링 75가 끼워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직경 확대편 74의 사이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이 배설되어 있다.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에는 그 상부에 테이퍼면 7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 76a는 상기 직경 확대편 74의 테이퍼면 74b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이 축선 CT1을 따라 부착 구멍 52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직경 확대편 74가 서로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는 반대로,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이 축선 CT1을 따라 부착 구멍 5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링형 스프링 75의 탄성력으로 직경 확대편 74가 서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직경 확대편 74가 서로 접근할 때에 이들 직경 확대편 74의 돌부 74a의 정지면 74c에 맞물리는 정지부 76b가 환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에는 그 내부에 부착용 볼트 77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용 볼트 77의 두부 77a는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단면 76c에 걸려 정지되어 있다. 또, 이 부착용 볼트 77은 끼워맞춤부 72의 관통 구멍 72b 및 정지부 73의 관통 구멍 73b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부착용 볼트 77의 단부에는, 부착용 너트 78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부착용 너트 78은 정지부 73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부착구 71 등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하여 형판 51로 접합구 23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접합구 23의 개구 단부 측을, 형판 51의 측판 54의 내면 54a에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시키면서 맞닿게 한다.
다음에,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에서 부착 구멍 52에 접하는 부분에 부착구 71을 배치한다. 이 부착구 71의 직경 확대편 74 및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를 통하여 접합구 23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 경우 직경 확대편 74는, 링형 스프링 75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도면중 화살표 C 방향으로 접근된 상태로 되고, 이 때문에 직경 확대편 74의 외경은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의 내주벽 24b의 개방 단부의 직경 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직경 확대편 74 및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슬리브 24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직경 확대편 74 및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슬리브 24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정지부 73이 형판 51의 측판 54의 외면 54b에 맞닿아 정지된다.
또, 이 경우 끼워맞춤부 72가 부착 구멍 52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그 축선이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일치된다.
여기에서, 부착용 너트 78을 정지부 73 측으로 조인다. 이와 같이 하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정지하게 하는 부착용 볼트 77이 부착 구멍 52 측에 가까와지므로,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이 부착 구멍 52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주위에 배치된 직경 확대편 74는 그 외주면이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의 테이퍼 형상 내주벽 24b에 접촉하고, 그 마찰력에 의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그 이동 방향(즉, 도면 중에서 화살표 A방향)의 역방향(즉, 도면중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테이퍼면 76a가 직경 확대편 74의 테이퍼면 74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되기 때문에, 직경 확대편 74는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테이퍼면 76a로 가압되어 서로 이격된다. 즉, 이들 직경 확대편 74의 외경이 확대된다.
이와 같이, 직경 확대편 74의 외경이 확대되면, 이들 직경 확대편 74는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의 내주벽 24b에 한층 강하게 밀어 붙여지게 되고, 접합구 23은 부착구 71에 고정된다.
직경 확대편 74가 접합구 23에 고정되면,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이 직경 확대편 74를 개재하여 접합구 23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또한, 부착용 너트 78을 조이면, 이 부착구 71의 정지부 73과 접합구 23은 그 사이에 형판 51의 측판 54를 끼워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형판 51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접합구 23이 설치된 구조체 21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구 23은 형판 51에 대해서도 고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 접합구 23의 축선을 부착 구멍 52의 축선 CT1에 자연히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정렬을 고정밀도로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구 71은, 그 직경 확대편 74 및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를 통하여 접합구 23에 삽입하고, 부착용 너트 78을 조인다는 간단한 작업으로, 형판 51로 접합구의 부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착 작업의 용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탈형시에는, 접합구 23과 형판 51과의 접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 경우에는 부착용 너트 78을 풀고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을 도면중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직경 확대편 74에 대한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76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직경 확대편 74는 링형 스프링 75에 의해 서로 접근되기 때문에, 접합구 23과 부착구 71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또, 이에 의해, 접합구 23과 형판 51과의 접합도 해제된다. 따라서, 형판 51로부터 접합구 23의 분리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부착구 71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접합구 23이 설치된 구조체 21의 성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접합구 23을 갖는 구조체 21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접합구 23을 형판에 지지시키는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 접합구 23에는 나사 구멍 81a를 갖는 리테이너 81이 쐐기 부재 25와 우레탄 스프링 2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 81은, 그 나사 구멍 81a가 쐐기 부재 25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고정 구멍 H와 연통되어 있다.
리테이너 81의 나사 구멍 81a는 우레탄 스프링 27의 중심 구멍 27a에 끼워넣어진 돌출부 81b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 26 내에 수납된 우레탄 스프링 27은, 그 양단을 스프링 수용부 26과 리테이너 81에 접착제로 접착하는 경우도 있다.
접합구 23을 형판 51에 부착하는 경우는, 부착 볼트 91을 형판 51에 형성된 부착 구멍 52로부터 접합구 23의 삽입 고정 구멍 H에 삽입하여 리테이너 81의 나사 구멍 81a에 나사 삽입하여, 슬리브 24의 개구 단부가 형판 51의 내변 54a에 맞닿도록 행한다.
부착 볼트 91은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 보다도 직경이 크게 된 두부 91a를 갖고 있다. 또, 부착 볼트 91은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 및 슬리브 24의 개구 단부의 구멍 직경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 91b를 갖고 있다. 또, 이 머리부 91b의 선단측에는 이 머리부 91b 보다도 가늘게 된 축부 9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91c의 선단측에는 이 축부 91c보다도 가늘게 되어 상기 리테이너 81의 나사 구멍 81a에 직접 나사 결합된 나사부 9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볼트 91의 나사부 91d를 접합구 23의 리테이너 81의 나사 구멍 81a로 나사 진입시키면, 리테이너 81에 의해 쐐기 부재 25가 슬리브 24의 개구 단부측으로 가까와지고, 이에 의해 이들 쐐기 부재 25가 부착 볼트 91의 축부 91c의 외주면으로 밀려서 부착 볼트 91에 접합구 23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형판 51 내에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 위치에 접합구 23이 설치된 구조체 21이 제조된다.
상기 부착 볼트 91로는, 머리부 91b가 형판 51의 부착 구멍 52와 접합구 23의 슬리브 24에 꼭 삽입되기 때문에, 접합구 23을 형판 51의 소정 위치에 소정 상태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어진 콘크리트의 고화후 탈형하는 경우는, 부착 볼트 91을 늦추어 접합구 23으로부터 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8에 나타낸 것은 접합구 23의 형판 51로의 다른 부착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이 예에서 접합구 23은 리테이너 81에, 나사 구멍 92a가 형성된 너트 92를 설치한 것이다. 너트 92는 통상 리테이너 81에 용접 또는 용착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지만, 자유 회전을 방지하여 리테이너 81과 우레탄 스프링 27과의 사이에 끼워넣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에서 부착 볼트 91의 형상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합구 23의 구조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구조에 의하면, 서로 접합시키는 구조체 간에 다소 위치 편향이 있어도, 극히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이들 구조체 끼리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구조체끼리를, 상호의 접합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접합하는 접합 구조에 있어서,
    당해 접합 구조는, 상기 구조체중 한 쪽의 구조체에 부착되면서 당해 한 쪽의 구조체의 접합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구조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합봉과,
    상기 다른 쪽의 구조체에 부착되고 상기 접합봉과 끼워 맞춰지는 접합구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접합구는, 그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상기 접합봉의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봉이, 상기 한 쪽의 구조체의 접합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구조체 내에는, 그 접합면과 평행으로 지지판이 매설 고정되고, 당해 지지판의 후면측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접합면 전방에 개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봉은, 그 기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고, 당해 기단부에 상기 지지판에 끼워 맞춰지는 두부를 가져, 당해 접합봉이 상기 접합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접합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봉의 외주면과 상기 접합구 입구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접합구 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봉은, 그 외주면이 단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는, 그 내주면이 단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봉의 외주면 및 상기 쐐기 부재의 내주면이 각각 단면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
  8.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의 상기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횡단면이 부채꼴 형상인 1차 공작품을 복수 개 제작하고, 이들 일차 공작품을 상호 측면을 향해 합쳐 환상으로 배열하여 단조기(鍛造機)에 장전하고, 이들 복수의 일차 공작품을 단조기의 작동으로 동시에 쐐기 형상으로 단조 성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구성하는 쐐기 부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공작품을 단조(鍛造)에 의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쐐기 부재의 동시 단조시에, 각 쐐기 부재의 넓은 직경측 단면에 이들 복수의 쐐기 부재의 배열을 표시하는 기호를 각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부재의 제조 방법.
  11.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를 부착구에 의해 형판(mold plate)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형판의 내면에 배치된 상기 접합구의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상기 형판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는 원통상 핀과,
    당해 원통상 핀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외면측에 걸려 정지되는 정지부와,
    상기 원통상 핀의 상기 접합구 측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와,
    두부를 상기 탄성체에 걸어 정지시키고, 당해 탄성체 및 상기 원통상 핀을 관통하는 부착용 볼트와,
    상기 원통상 핀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착용 볼트의 단부에 나사 부착되는 부착용 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부착구의 상기 부착용 너트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를 압축하여 직경을 확대시켜,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구의 부착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원통상 핀에 나사 부착된 조임용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구의 부착 구조.
  13.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를 부착구에 의해 형판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와,
    당해 끼워맞춤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외면에 걸려 정지되는 정지부와,
    상기 접합구의 슬리브 내주벽의 개방 단부에 그 축선을 사이에 두고 복수 대향 배치되는 직경 확대편과,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을 상기 축선을 향하여 밀어 붙이는 탄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착 구멍 측으로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복수의 직경 확대편을 상호 이격시키는 동시에, 그 역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 수단의 미는 힘으로 상기 직경 확대편을 상호 접근시키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상기 직경 확대편이 상호 접근할 때 그 직경 확대편에 걸어 맞춰져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지부를 구비하는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와,
    두부를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에 걸어 정지시켜,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 상기 끼워맞춤부 및 상기 정지부를 관통하는 부착용 볼트와,
    상기 정지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부착용 볼트의 단부에 나사 부착되는 부착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구의 상기 부착용 너트를 나사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직경 확대편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직경 확대편을 외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합구를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구의 부착 구조.
  14.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를 부착구에 의해 형판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에, 나사 구멍을 갖는 리테이너(retainer)가,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나사 구멍을 연통시켜 상기 쐐기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부착 볼트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리테이너의 나사 구멍으로 나사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구의 부착 구조.
  15. 내주면이 상기 접합봉의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의 슬리브와, 당해 슬리브 내에서 상호 중심부에 삽입 고정 구멍을 형성하여 환상으로 배치되면서 그 외주면을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당해 슬리브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설된 복수의 쐐기 부재와, 당해 쐐기 부재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에 삽입된 접합봉의 삽입 방향 후방측으로 밀어 붙이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접합구를 부착구에 의해 형판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에는, 상기 쐐기 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리테이너가 설치되고, 당해 리테이너는 나사 구멍을 갖는 너트가 부설되어,
    상기 형판의 부착 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부착 볼트를 상기 삽입 고정 구멍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너트의 나사 구멍으로 나사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접합구를 상기 형판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구의 부착 구조.
KR1019990704247A 1996-11-18 1997-04-28 접합구조 KR20000053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682696 1996-11-18
JP30682796 1996-11-18
JP?8-306826 1996-11-18
JP?8-306827 1996-11-18
JP9020793A JPH10220184A (ja) 1997-02-03 1997-02-03 セグメントの接合構造
JP?9-20793 1997-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268A true KR20000053268A (ko) 2000-08-25

Family

ID=272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4247A KR20000053268A (ko) 1996-11-18 1997-04-28 접합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5873B1 (ko)
EP (1) EP0955448A4 (ko)
KR (1) KR20000053268A (ko)
CN (1) CN1244901A (ko)
WO (1) WO1998022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5264D0 (en) 2000-10-14 2000-11-29 Smith C R Device for joining segments
ITPD20100131A1 (it) * 2010-04-28 2011-10-29 Impreservice Srl Dispositivo di fissaggio di elementi in calcestruzzo
EP2514919B1 (de) * 2011-04-19 2018-06-06 Ed. Züblin AG Betonformteilverbindung
CN103754525A (zh) * 2014-01-10 2014-04-30 德清中盈文具用品有限公司 一种垃圾桶的连接件
US10138917B2 (en) * 2014-05-23 2018-11-27 Jon Russell Koch Connector system for rapid assembly and disassembly of panels and other members
CN105484764B (zh) * 2015-12-28 2018-07-17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管片纵缝连接组件、隧道管片结构及施工方法
CN111622810B (zh) * 2019-02-27 2022-05-24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连接装置、燃气涡轮发动机、连接件以及涡轮外环
CN110360195B (zh) * 2019-06-05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
CN110608051A (zh) * 2019-09-26 2019-12-24 江苏大成轨道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轴向连接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4267A (en) * 1980-04-10 1982-08-17 Carl Dunmon &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joining wall panels
US4483645A (en) * 1982-02-16 1984-11-20 Birmingham Bolt Company Combination expansion shell and resin secured mine roof anchor assembly
JPH04140399A (ja) * 1990-09-28 1992-05-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接合装置および接合工法
JPH06146794A (ja) * 1990-04-27 1994-05-27 Fujimi Koken Kk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JPH08210095A (ja) * 1995-01-31 1996-08-13 Maeda Corp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JPH08296396A (ja) * 1991-08-31 1996-11-12 Fujimi Koken Kk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5463A (en) * 1960-05-19 1962-09-25 Rheinstahl Gmbh Wanheim Expandable assemblies
US4830536A (en) * 1981-08-07 1989-05-16 Commercial Shea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nel lining
US5393165A (en) * 1990-10-29 1995-02-28 Rowan, Jr.; Robert L. Anchor bolt repair coupling with preloading jack and epoxy injection
US5226302A (en) * 1991-04-15 1993-07-13 Loctec Corporation Six-way self-adjusting lock for use on truck storage boxes and the like
US5594977A (en) * 1993-12-30 1997-01-21 Mccallion; James P. Smooth rod-gripping apparatus
JP2966305B2 (ja) 1995-01-05 1999-10-25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ピン継手の可動取付構造
JP2000054795A (ja) * 1998-08-11 2000-02-22 Ohbayashi Corp セグメン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4267A (en) * 1980-04-10 1982-08-17 Carl Dunmon &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joining wall panels
US4483645A (en) * 1982-02-16 1984-11-20 Birmingham Bolt Company Combination expansion shell and resin secured mine roof anchor assembly
JPH06146794A (ja) * 1990-04-27 1994-05-27 Fujimi Koken Kk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JPH04140399A (ja) * 1990-09-28 1992-05-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接合装置および接合工法
JPH08296396A (ja) * 1991-08-31 1996-11-12 Fujimi Koken Kk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JPH08210095A (ja) * 1995-01-31 1996-08-13 Maeda Corp セグメントの継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5448A1 (en) 1999-11-10
CN1244901A (zh) 2000-02-16
US6305873B1 (en) 2001-10-23
WO1998022694A1 (fr) 1998-05-28
EP0955448A4 (en) 200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553B1 (en) Method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members and connection systems for realizing the same
US4563025A (en) Conduit connector structure and sealing-ring therefor
KR20000029601A (ko) 파이프조인트
KR20020020684A (ko) 변형가능한 그리핑 슬리브를 구비한 유압 척
KR20000053268A (ko) 접합구조
US4945793A (en) Tool coupling
JP7411273B2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US5232249A (en) Fastening device
US6641178B2 (en) Jointing system for pipes
US10316999B2 (en) Pressure pipe connection metho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ssure pipe with flange
CN100436918C (zh) 液压接头、制造该接头的方法及液压互联件和软管的组件
US20030025329A1 (en)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US5090611A (en) Method of making a cross joint between pipes
US6722832B2 (en) Assembly unit including a component and at least one thread forming screw
US5875955A (en) Internally mounted pipe clamping device
EP0211454A1 (en) Process and device for effecting a gas-tight joint and joint so produced
EP3348890A1 (en) Pressure pipe connection metho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ssure pipe with flange
KR920009857B1 (ko) 스웨이징 공구
CN111868431A (zh) 管接头、管接头用的压环以及管的接合方法
US6199928B1 (en) Coupler for connecting workpiece grippers with a manipulating device
JP2000230681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JPH03272387A (ja) 管継手のハウジング
JP4261842B2 (ja) 残管継手方法及び残管継手構造
JP3641017B2 (ja) 連結装置及び継手金具
US68237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 piston or a piston rod attachment to a piston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