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794B1 - 관로 커플러 - Google Patents

관로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794B1
KR101409794B1 KR1020120075450A KR20120075450A KR101409794B1 KR 101409794 B1 KR101409794 B1 KR 101409794B1 KR 1020120075450 A KR1020120075450 A KR 1020120075450A KR 20120075450 A KR20120075450 A KR 20120075450A KR 101409794 B1 KR101409794 B1 KR 101409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valve body
ball
condui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661A (ko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12007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794B1/ko
Priority to PCT/KR2013/006203 priority patent/WO2014010964A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2 이상의 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커플러가 개시된다. 관로 커플러는, 제 1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슬리브;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 상기 제 1 관로와 연결되는 제 2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 및 상기 제 2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기 제 2 슬리브의 서로 맞닿는 면에 제 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리브의 상기 제 1 슬리브의 맞닿는 면에 제 2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결합위치에 위치하며, 엇갈리는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해제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원거리 및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공간에서도 커플러의 착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관로 커플러{Coupler for coupling pipes}
본 발명은 관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관로를 보다 쉽게 착탈하여 주는 관로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등의 다양한 관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커플러가 사용된다. 종래의 커플러는 너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다만, LPG 충전소와 같이, 관로에 유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유체의 누수의 우려가 있어, 이러한 방식의 커플러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 방식의 커플러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원터치 방식의 커플러 또한, 결합 및 해제시, 인접한 위치에서 커플러를 해제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즉, 작업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 관로를 연결하고 해제하거나, 지중경사계 설치와 같이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환경에서 커플러를 사용하여 관로를 연결하고 해제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원터치 방식의 커플러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관로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 1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슬리브;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 상기 제 1 관로와 연결되는 제 2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 및 상기 제 2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기 제 2 슬리브의 서로 맞닿는 면에 제 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리브의 상기 제 1 슬리브의 맞닿는 면에 제 2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결합위치에 위치하며, 엇갈리는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해제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요철은, 오목부와 돌출부로 형성되며, 모든 상기 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에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밸브 본체와, 상기 제 1 슬리브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가 고정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 1 슬리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제 1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슬리브;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 상기 제 1 관로와 연결되는 제 2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 및 상기 제 2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기 제 2 슬리브의 서로 맞닿는 면에 제 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리브의 상기 제 1 슬리브의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 요철과 맞물리도록 제 2 요철이 형성되어, 결합위치에서 상기 제 1 슬리브가 상기 제 2 슬리브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 1 슬리브가 상기 제 1 밸브 본체에 대해 회동시, 상기 제 1 슬리브를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시키는 캠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가 제공된다.
상기 캠 장치는, 상기 제 1 슬리브 및 상기 제 1 밸브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캠 패스 및 상기 캠패스에 종동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캠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요철은, 오목부와 돌출부로 형성되며, 모든 상기 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에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관로 커플러는 원격 혹은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커플러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에 의해 모든 볼들이 적어도 일부분 지지되므로, 착탈 작업시 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의 평면도
도 2는 결합위치의 도 1의 제 1 커플러의 단면도
도 3은 해제위치의 도 1의 제 1 커플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 1 슬리브의 사시도
도 5는 해제위치에서 볼과 제 1 요철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해제위치에서 도 1의 제 1 커플러 및 제 2 커플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는, 제 1관로(1)와 결합되는 제 1 커플러(100)와, 제 2 관로(2)와 결합되는 제 2 커플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관로(1) 및 제 2 관로(2)는 일반적인 파이프를 포함하여 유체를 이송시키는 모든 종류의 관로를 포함한다. 다만, 제 1 관로(1)는 착탈을 위한 축방향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관로(1)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축방향 하중을 제 1 커플러에 전달할 수 있는 핸들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결합위치의 도 1의 제 1 커플러의 단면도, 도 3은 해제위치의 도 1의 제 1 커플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 1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플러(100)는, 제 1 관로(1)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101)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102)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111)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110)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110)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도 2)와 해제위치(도 3)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121)가 형성된 제 1 슬리브(120)와, 상기 볼 지지부(121)가 상기 볼(102)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120)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110)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제 1 밸브 본체(110)는 일단이 제 1 관로(1)에 고정되며, 내부에 제 1 유로(101)가 형성된다. 단순히, 내부에 유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와 같이, 체크밸브(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 1 밸브 본체(110)의 끝단에는 이탈방지 걸림턱(113)이 형성된다. 이탈방지 걸림턱(113)은 제 1 밸브 본체(1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별도의 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슬리브(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볼 지지부(1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 지지부(121)의 일단은 스프링(130)의 일단을 지지하며, 볼지지부(121)의 타단은 상기 이탈방지 걸림턱(113)에 맞물려, 제 1 슬리브(120)가 제 1 밸브 본체(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 걸림턱(113)에 맞물리는 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해제위치(도 3)에서 결합위치로 이동시 볼(102)과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 1 슬리브(120)의 제 2 커플러(200)를 향하는 끝단에는 제 1 요철(124~126)이 형성된다. 제 1 요철(124~126)은 돌출부(124)와 오목부(125)가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24)와 오목부(125) 사이의 일측면은 경사면(126)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124)는 도 5와 같이 해제위치에 있더라도, 모든 상기 볼(102)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124)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102)이 돌출부(124)에 일부분도 지지되지 않고 해제위치에서 오목부(125)에 완전히 노출되는 경우, 볼이 이탈할 우려가 있어, 돌출부(124)에 일부라도 지지되는 경우,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홈(127)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114)가 가이드홈(127)을 관통하여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즉,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127)이 제 1 슬리브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114)가 제 1 밸브 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홈이 제 1 밸브 본체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가 제 1 슬리브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 2 커플러(200)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커플러(200)는, 상기 제 1 관로(1)와 연결되는 제 2 관로(2)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101)와 연통되는 제 2 유로(202)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211)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210)와, 상기 제 2 밸브 본체(2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220)를 포함한다.
제 2 밸브 본체(210)는 제 1 밸브 본체(110)와 동일하게 단순히 유로만 형성되거나, 체크밸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슬리브(220)의 상기 제 1 슬리브(120)의 맞닿는 면에 제 2 요철(224~226)이 형성된다. 제 2 요철(224~226)은 제 1 요철(124~126)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요철(224~226)도 오목부(225)와 볼록부(224)가 번갈아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경사면(226)이 형성된다. 경사면(226)는 제 1 요철의 경사면(126)과 맞물리는 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경사면(126, 226)이 일측 방향 모두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방향 일면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모든 방향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양방향에 형성되는 경우, 착탈 방향이 양방향 모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직선 형태의 경사면 곡선 형태의 경사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제 1 요철(124~126)과 상기 제 2 요철(224~226)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120)가 결합위치(도 2)에 위치하며, 엇갈리는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120)가 해제위치(도 3)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서로 맞물리지 않고 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 2 슬리브(220)의 볼록부(224)가 제 1 슬리브(120)의 볼록부(124)를 밀어서, 제 1 슬리브(120)가 제 2 슬리브(220)에서 멀이지는 해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볼(102)은 볼지지부(121)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걸림턱(211)이 쉽게 볼을 지나 도 6과 같은 위치로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가 제 1 관로(1)를 약간 회전시키면, 제 1 요철(124~126)과제 2 요철(224~226)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제 1 슬리브(120)가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위치(도 2)로 복원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볼지지부(121)가 볼(102)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걸림턱(211)이 해제 되는 방향으로 해제되지 않아 견고히 결합이 되게 된다.
작업자가 결합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경사면(126, 226)이 서로 접압하는 방향으로 제 1 관로(1)를 회전시키면, 경사면(126, 226)에 의해 제 1 슬리브(120)가 해제위치(도 3)로 습동하게 되어, 쉽게 분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별다른 조작없이, 관로를 회전시킴으로써, 커플러를 쉽게 결합 및 해제할 수 있어, 원거리나,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좁은 공간에서도 커플러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의 평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관로 커플러는 제 1 실시예와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가 제거되고 캠장치(30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제 1 요철 및 제 2 요철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와 달리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도 가능한 형상이라고 기술하였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 1 요철 및 제 2 요철의 기능이 결합위치에서 제 1 슬리브(120)가 제 2 슬리브(22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기능의 차이는 제 1 요철 및 제 2 요철의 형상의 차이에서 발휘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슬리브(120)가 제 1 밸브 본체(110)에서 회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었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점에서 발휘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가 제거되고 캠장치(30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 의해서 발휘되는 것이므로, 아래에서는 캠장치(300)에 대해서 기술한다.
캠장치(300)는 상기 제 1 슬리브(120)가 상기 제 1 밸브 본체(110)에 대해 회동시, 상기 제 1 슬리브(120)를 상기 결합위치(도 2)와, 상기 해제위치(도 3) 사이에 습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캠장치(300)는 상기 제 1 슬리브(120) 및 상기 제 1 밸브 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캠 패스(310) 및 상기 캠패스에 종동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캠 돌기(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캠패스(310)가 제 1 슬리브(120)에 형성되고, 캠 돌기(320)기 제 1 밸브 본체(110)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2 실시예에서는 캠돌기(320)가 캠패스(310)의 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을 한 후, 제 1관로를 회전시키면, 캠장치에 의해서 제 1 슬리브(120)가 결합위치로 위치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해제시에도 제 1 관로(1)를 회전시키면, 캠 장치에 의해 제 1 슬리브(120)가 해제위치로 위치하여 쉽게 해제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제 1 관로 101: 제 1 유로
102: 볼 111: 볼 수용공
110: 제 1 밸브 본체 121: 볼 지지부
120: 제 1 슬리브 130: 스프링
202: 제 2 유로 211: 걸림턱
210: 제 2 밸브 본체 220: 제 2 슬리브
124~126: 제 1 요철 224~226: 제 2 요철
125: 오목부 124: 돌출부
127: 가이드 홈 114: 가이드 돌기
300: 캠 장치 310: 캠 패스
320: 캠 돌기

Claims (7)

  1. 제 1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슬리브;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
    상기 제 1 관로와 연결되는 제 2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 및
    상기 제 2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기 제 2 슬리브의 서로 맞닿는 면에 제 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리브의 상기 제 1 슬리브의 맞닿는 면에 제 2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은 서로 결합한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결합위치에 위치하며, 엇갈리는 경우 상기 제 1 슬리브가 해제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요철과 상기 제 2 요철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은, 오목부와 돌출부로 형성되며,
    모든 상기 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에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본체와, 상기 제 1 슬리브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 1 슬리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5. 제 1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제 1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다수의 볼이 파지되도록 볼 수용공이 관통되어 있는 제 1 밸브 본체;
    상기 제 1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주 일부 영역에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도록 돌출된 볼 지지부가 형성된 제 1 슬리브;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의 외주면을 누르는 위치인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밸브 본체 사이에 조립된 스프링;
    상기 제 1 관로와 연결되는 제 2 관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며, 외주부에 상기 볼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돌출된 제 2 밸브 본체; 및
    상기 제 2 밸브 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슬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기 제 2 슬리브의 서로 맞닿는 면에 제 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리브의 상기 제 1 슬리브의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 요철과 맞물리도록 제 2 요철이 형성되어, 결합위치에서 상기 제 1 슬리브가 상기 제 2 슬리브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 1 슬리브가 상기 제 1 밸브 본체에 대해 회동시, 상기 제 1 슬리브를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해제위치 사이에 습동시키는 캠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장치는,
    상기 제 1 슬리브 및 상기 제 1 밸브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캠 패스 및 상기 캠패스에 종동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캠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철은, 오목부와 돌출부로 형성되며,
    모든 상기 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출부에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커플러.
KR1020120075450A 2012-07-11 2012-07-11 관로 커플러 KR101409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50A KR101409794B1 (ko) 2012-07-11 2012-07-11 관로 커플러
PCT/KR2013/006203 WO2014010964A1 (ko) 2012-07-11 2013-07-11 관로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50A KR101409794B1 (ko) 2012-07-11 2012-07-11 관로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61A KR20140008661A (ko) 2014-01-22
KR101409794B1 true KR101409794B1 (ko) 2014-06-24

Family

ID=4991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450A KR101409794B1 (ko) 2012-07-11 2012-07-11 관로 커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9794B1 (ko)
WO (1) WO2014010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1710U1 (de) * 2018-04-03 2018-06-12 Hytrans Beheer B.V. Kupplungsteil und damit ausgestattete Schlauchkupplung, ausgelegt für die Kupplung eines Schlauchs oder Schlauchteils
KR102212479B1 (ko) 2020-06-22 2021-02-03 김석 휘핑 크림 디스펜서용 커플러
KR20230155317A (ko) 2022-05-03 2023-11-10 김석 고압 가스 개폐 밸브에 사용되는 샤프트 및 실링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91A (ja) * 1994-02-21 1995-09-05 Betsuseru Kogyo:Kk 流体流通用継手
KR20010031189A (ko) * 1997-10-16 2001-04-16 나까무라 겐지로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2120A (ko) * 2008-05-23 2009-11-26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조인트
KR101033438B1 (ko) 2006-03-31 2011-05-09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675Y2 (ko) * 1987-11-10 1991-08-21
JP2012087837A (ja) * 2010-10-18 2012-05-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管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91A (ja) * 1994-02-21 1995-09-05 Betsuseru Kogyo:Kk 流体流通用継手
KR20010031189A (ko) * 1997-10-16 2001-04-16 나까무라 겐지로 이음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438B1 (ko) 2006-03-31 2011-05-09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
KR20090122120A (ko) * 2008-05-23 2009-11-26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파이프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964A1 (ko) 2014-01-16
KR20140008661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9317C (en) Self-locking push-to-connect insert
CA2939349C (en) Clam shell push-to-connect assembly
CN105190149B (zh) 用于两个导管的插塞连接器和插塞连接器的装配方法
RU2556836C2 (ru) Сдвиг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муфты
KR101409794B1 (ko) 관로 커플러
US20160369923A1 (en) Multi-coupling device for the multiple quick coupling of multiple hydraulic, electrical and/or pneumatic lines, with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manual couplings
RU25483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ки от сборочного узла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уплотнения, охватывающего трубку, из корпуса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054956B2 (ja) 管継手
US10060564B2 (en) Quick connect torque coupling with safety lock
WO2011151949A1 (ja) 消防用ホース結合金具
IL209936A (en) Assembled handle with handle
JP5166173B2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US10473250B2 (en) Quick connector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96894B1 (ko) 파이프 접속장치
US9140399B2 (en) Quick coupling
KR20140008662A (ko) 관로 커플러
KR101182784B1 (ko) 씨형 클램핑 장치
KR101204817B1 (ko)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JP2010025225A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CN214248656U (zh) 插接连接器系统、第一和第二流体传导部件和锁定元件
JP7017441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