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438B1 - 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438B1
KR101033438B1 KR1020087022297A KR20087022297A KR101033438B1 KR 101033438 B1 KR101033438 B1 KR 101033438B1 KR 1020087022297 A KR1020087022297 A KR 1020087022297A KR 20087022297 A KR20087022297 A KR 20087022297A KR 101033438 B1 KR101033438 B1 KR 10103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joint
hole
valve portion
joi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454A (ko
Inventor
마사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one lift valve being actuated to initiate the flow through the coupling after the two coupling parts are locked against withdraw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40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the lift valve being of the bal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afety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조인트 부재 (21) 는, 유체 통로 (72) 를 구비하는 통형 부재 (70, 80) 와, 통형 부재에 형성된 고리형 밸브 시트 (102) 와, 밸브 시트에 대하여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하는 밸브 부재 (76) 와, 밸브 부재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 부재 (74) 를 갖는다. 밸브 지지 부재가, 밸브 수납 오목부 (97) 를 갖고, 밸브 부재가, 제 1 밸브부 (98) 와 제 2 밸브부 (94) 를 갖고, 제 1 밸브부가, 밸브 시트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된 고리형 걸어맞춤면을 구비하는 전면과, 밸브 수납 오목부 내부 (배압실) 와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 (96) 과, 통형 부재의 유체 통로 (72) 와 배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 (G) 를 갖고, 제 1 밸브부는, 유체 통로 (72) 내의 유체압이 가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2 밸브부 (94) 는 관통 구멍 (96) 을 닫는다. 제 2 밸브부가 움직여져 관통 구멍이 열리고, 배압실의 유체압이 저하되고 제 1 밸브부에 가해지는 유체 통로의 유체압에 의해, 제 1 밸브부가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밀어넣어져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진다. 그 결과, 조인트 부재의 밸브 부재의 밸브 시트에 대한 가압력을 유지하고, 또한, 작은 힘으로 열림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조인트{PIPE JOINT}
본 발명은, 밸브를 구비한 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그 관 조인트가 접속되는 유체 배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도, 작은 힘으로 밸브를 열 수 있게 한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 조인트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의 관 조인트는, 암형 부재가, 그 암형 부재의 유체 통로 내에 고정되고, 일단이 수형 부재를 수용하는 단부를 향하여 열리고, 타단이 닫혀있는 밸브 수납 오목부를 갖는 밸브 지지 부재를 갖는다. 그 밸브 부재는,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고 스프링에 의해 밸브 시트를 향하여 탄성 지지되고 있다. 그 밸브 부재에는, 밸브 수납 오목부 내부와 수형 부재를 수용하는 측의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가 삽입되면, 그 밸브 부재는 밸브 수납 오목부 내를 향하여 밀어넣어지고,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유체 통로가 개방된다.
즉, 이 관 조인트의 암형 부재에서는, 밸브 수납 오목부 내부를 연통 구멍에 의해 외부에 연통시켜, 그 밸브 수납 오목부 내부를 외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하고, 밸브 부재에 가해지는 암형 부재의 유체압의 영향을 작게 해 두어, 그것에 의해, 그 밸브 부재를 작은 힘으로 열 수 있게 하고, 암형 부재에 대한 수형 부재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57021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 의 관 조인트에서는, 스프링압에 의해 밸브 부재를 밸브 시트에 걸어맞추어 밸브 부재와 밸브 시트의 시일성을 도모하고 있지만, 큰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는 만큼 시일성이 나빠진다. 또한, 밸브 부재의 주위에는 시일 링이 장착되고,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벽과 슬라이딩하여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그들 사이의 시일성이 도모되고 있지만, 그 시일 링이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벽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고,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떨어뜨렸을 때에, 밸브 수납 오목부 내부의 스프링에 의한 그 밸브 부재의 복귀가 충분히 이루어지지는 않아 누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가벼운 조작에 의해 암형 및 수형 부재의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높은 시일성이 얻어지는 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를 갖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제 1 조인트 부재가,
유체 통로를 구비하는 통형 부재와,
그 통형 부재의 그 유체 통로의 주위에 형성된 고리형 밸브 시트와,
그 통형 부재 내에 형성되고, 그 밸브 시트에 대하여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함으로써 그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
그 통형 부재의 그 유체 통로 내에 형성되고, 그 밸브 부재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 부재를 갖고,
그 밸브 지지 부재가, 그 밸브 시트에 접하여 개구된 밸브 수납 오목부로서, 그 밸브 부재를 그 밸브 시트에 대한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를 위해서 변위 가능하게 수납하고, 그 밸브 부재와의 사이에 배압실을 획정하는 밸브 수납 오목부와, 그 유체 통로로부터 그 배압실 내로의 가압 유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를 갖고,
그 밸브 부재가,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를 갖고,
그 제 1 밸브부가, 그 밸브 시트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된 고리형 걸어맞춤면을 구비하는 전면 (前面) 과, 그 전면에 있어서의 그 고리형 걸어맞춤면의 내측에서 그 제 1 밸브부를 관통하여, 그 배압실과 그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그 제 2 밸브부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그 관통 구멍을 닫도록 탄성 지지되고, 그 제 2 밸브부가 그 탄성 지지 수단 및 그 제 2 밸브부에 가해지는 배압실 내의 유체압에 저항하여 움직여져 그 관통 구멍이 열리고 그 배압실 내의 유체압이 저하됨으로써, 당해 제 1 밸브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그 유체 통로의 유체압에 의해, 그 제 1 밸브부가 그 밸브 수납 오목부 내로 밀려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관 조인트를 제공한다.
이 관 조인트에 있어서는, 밸브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그 밸브 부재에는 제 1 조인트 부재 내부의 유체압 및 밸브 수납 오목부 내의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이 가해지고, 그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에 대하여 가압되어 확실하게 폐지됨과 함께, 밸브 부재를 열 때에는, 제 2 밸브부에 가해지는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 및 유체압에 저항하여 그 제 2 밸브부를 밀어넣음으로써, 밸브 부재를 열 수 있다. 즉, 밸브 부재를 확실하게 폐지하고, 또한, 작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시트에 대하여 그 통형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그 제 1 밸브부의 둘레면은, 그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과 슬라이딩하는 제 1 밸브부 슬라이딩면을 갖고, 그 제 1 밸브부 슬라이딩면과 그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그 연통로로 할 수 있다.
그 연통로의 다른 형태로는, 지지 부재에, 그 외측에 위치하는 그 유체 통로와 그 배압실을 연통하는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그 작은 구멍을 그 연통로로 할 수 있다.
연통로는, 배압실에 대한 가압 유체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 2 밸브부가 제 1 밸브부의 관통 구멍을 연 경우에, 그 연통로를 통하여 배압실 내에 가압 유체가 유입되는 것보다 빨리 배압실 내의 가압 유체가 그 관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어, 그 연통로의 유로 면적은 정확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간극을 연통로로 하는 경우, 그 유로 면적을 정확하게 제조하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고, 이에 대하여 지지 부재에 형성하는 작은 구멍은 그 유로 면적을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로,
그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과 그 제 1 밸브부 사이에 접속되고, 그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 유체 통로와 그 배압실을 유체 차단하는 다이어프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이어프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간극은 차단되고, 유체 통로로부터 배압실 내로 들어가는 가압 유체는,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해서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당해 작은 구멍의 단면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배압실에 가압 유체의 유입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제 1 조인트 부재와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연결되었을 때에,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2 밸브부가 그 제 2 조인트 부재에 의해 밀어넣어져, 그 관통 구멍을 개방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조인트 부재에 대한 제 2 조인트 부재의 연결 조작만으로 밸브 부재의 개방을 행할 수 있어, 그 연결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수형 부재가 되고, 그 제 1 조인트 부재가 그 제 2 조인트 부재를 수용하는 조인트 부재 수용부를 갖는 암형 부재가 되고,
그 제 1 조인트 부재가 조인트 부재 수용부와 그 밸브 부재 사이에 밸브 밀어넣음 부재를 갖고,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그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에, 그 밸브 밀어넣음 부재를 통하여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2 밸브부를 밀어넣어 그 관통 구멍을 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그 제 1 조인트 부재가, 그 조인트 부재 수용부와 그 밸브 부재 사이에 시일 링을 구비하고,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그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그 밀어넣음 부재를 밀어넣기 전에, 그 시일 링이 그 제 2 조인트 부재의 외측면에 밀봉되어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밸브 부재가 개방되기 전에, 제 2 조인트 부재에 대한 제 1 조인트 부재의 접속 부분의 밀봉을 밸브 부재가 개방되기 전에 실시하여, 유체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그 조인트 부재 수용부가, 그 유체 통로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시정 (施錠) 부재를 갖고,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그 제 1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시정 부재와 걸어맞추어져,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그 제 1 조인트 부재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하는 시정 오목부를 갖고,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1 밸브부는, 시정 부재가 시정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단계에서, 그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의 연결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이, 제 2 조인트 부재의 제 1 조인트 부재에 대한 연결 동작에 수반하여 밸브 부재를 여는 것이 아니라, 그 제 1 조인트 부재가, 그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1 밸브부의 그 관통 구멍을 개폐하도록 그 제 2 밸브부를 움직이게 하는 밸브 조작 수단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밸브 지지 부재의 그 밸브 수납 오목부가,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1 밸브부를 수납하는 제 1 밸브부 수납부, 및 그 제 2 밸브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하는 제 2 밸브부 수납부로서, 그 제 2 밸브부가 그 제 2 밸브부 수납부로부터 그 제 1 밸브부 수납부 내를 연장하여 그 밸브 부재의 제 1 밸브부의 그 관통 구멍을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 그 제 2 밸브부가 차지하는 수납 부분과, 그 수납 부분에 계속해서, 그 제 2 밸브부가 그 관통 구멍을 열도록 움직여질 때의 그 제 2 밸브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 부분을 갖는 제 2 밸브부 수납부를 갖고,
그 밸브 조작 수단이, 그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그 밸브 지지 부재 내에 신장되어, 그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에 연접된 조작 핀을 갖고,
그 밸브 지지 부재가, 그 제 2 밸브부 수납부로부터 그 통형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핀 수납 구멍으로서, 그 핀 수납 구멍 내에 그 조작 핀을 수납하고, 그 조작 핀이 당해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움직여져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1 밸브부의 관통 구멍의 개폐를 할 수 있게 한 핀 수납 구멍을 갖는 핀 유지부를 갖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그 조작 핀이 그 통형 부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고,
그 제 1 조인트 부재가, 그 통형 부재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그 조작 핀의 양단에 걸어맞추어지는 조작 부재를 갖고,
그 조작 부재에 의해 그 조작 핀을 움직이고, 그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를 조작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조작 부재가 그 통형 부재의 주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조작 핀의 양단과 걸어맞추는 캠 윤곽부를 갖고, 그 조작 부재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그 조작 핀의 양단이 그 캠 윤곽부를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그것에 의해, 그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를 조작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그 밸브 부재의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가, 그 제 2 밸브부가 그 관통 구멍을 열도록 움직여진 후에 서로 연결되고, 또한 그 제 2 밸브부가 움직여졌을 때에 그 제 1 밸브부가 그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도록 함께 움직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의 유체 통로가 연통된 상태에 있어서, 그 제 1 밸브부가 부주의하게 밸브 시트에 걸어맞추어지지 않도록, 그 제 2 조인트 부재가 제 1 조인트 부재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그 제 1 밸브부가 그 밸브 시트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그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가, 그 제 1 밸브부의 그 관통 구멍을 닫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그 관통 구멍을 통하여 그 제 1 밸브부의 그 전면측에 연통되고, 또한, 그 핀 수납 구멍에 연통됨과 함께, 그 밸브 부재의 그 제 2 밸브부가 그 관통 구멍을 여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그 핀 수납 구멍으로부터 밀봉 차단되게 한 잔압 릴리프 구멍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잔압 릴리프 구멍은, 관통 구멍이 열리고 밸브 부재가 열리는 상태 (즉,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가 연통되는 상태) 에 있어서는 밀봉 차단되지만, 밸브 부재가 닫힌 상태 (즉,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의 연통이 차단된 상태) 에 있어서는, 제 2 조인트 부재의 유체 통로를 당해 관 조인트의 외부에 연통시켜, 제 2 조인트 부재 내부에 있는 잔압을 릴리프시킬 수 있게 하고, 제 2 조인트 부재를 제 1 조인트 부재로부터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관 조인트에 의하면, 밸브 부재를 제 1 밸브부 및 제 2 밸브부로 구성하여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설정하고, 밸브 부재가 폐지되어 있을 때에는, 그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연통되는 조인트 부재의 유체 통로의 유체압 및 그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설정된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이 당해 밸브 부재를 밸브 시트에 가압하여 당해 밸브 부재를 확실하게 폐지 위치로 하고, 밸브 부재를 열 때에는, 그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를 그 제 2 밸브부에 가해지는 탄성 지지력 및 유체압에 저항하여 움직이게만 해도 되어, 작은 힘으로 열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의 제 1 조인트 부재의 단면도로서, 제 2 조인트 부재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동 제 1 조인트 부재에 제 2 조인트 부재를 연결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동 단면도로서, 제 1 조인트 부재에 제 2 조인트 부재에 연결되어 밸브 열림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의 단면도로서,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는, 도 4 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밸브 지지 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 는, 도 4 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밸브 지지 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 는, 도 4 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밸브 지지 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5d 는, 도 4 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밸브 지지 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A-A 선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4 에 나타낸 조작 링의 평면도로서, 가이드 홈과 조작 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는, 도 4 에 나타낸 파일럿 밸브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 는, 도 4 에 나타낸 파일럿 밸브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c 는, 도 4 에 나타낸 파일럿 밸브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4 와 동일한 단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가 연결되고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관 조인트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 (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로서의 제 1 조인트 부재 (21) 와, 그 암형 부재에 삽입 연결되는 수형 부재로서의 제 2 조인트 부재 (22) 를 갖는다.
제 1 조인트 부재 (2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배관 호스 등 의 도관 (도시 생략) 이 일단에 접속되는 제 1 통형 부재 (70) 와, 슬리브 (78) 를 외부에서 끼운 상태에서 제 1 통형 부재 (70) 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통형 부재 (8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통형 부재 (70) 는, 유체 통로 (72), 그 유체 통로 (72) 의 내부에 배치된 콘형의 밸브 지지 부재 (74) 및 밸브 지지 부재 (74) 내에 형성된 밸브 부재 (76) 를 구비한다.
제 1 통형 부재 (70) 와 제 2 통형 부재 (80) 사이는, O 링 (82) 에 의해 밀봉이 도모되어 있다.
제 2 통형 부재 (80) 에 있어서의 슬리브 (78) 내측 부분에는, 테이퍼가 형성된 관통 구멍 (86) 이 형성되어 시정 부재 (88) 가 수납되어 있고, 그 제 2 통형 부재 (80) 에 도 2 와 같이 삽입된 제 2 조인트 부재 (22) 외주면의 시정 오목부 (89) 에 그 시정 부재 (88) 가 걸어맞추어져, 그 제 2 조인트 부재를 그 제 1 조인트 부재에 빠져나오지 않게 연결한다. 슬리브 (78) 는, 제 2 통형 부재 (80) 의 단부에 형성된 스톱 링 (90) 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있고, 스프링 (92) 에 의해 그 스톱 링 (90) 에 걸어맞추어지게 탄성 지지되고, 이 위치에서는, 시정 부재 (88) 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그 슬리브 (78) 를 스프링 (92) 에 저항하여 좌방으로 변위시키고, 그 슬리브 (78) 의 우단 둘레면에 형성된 시정 부재 개방 오목면 (95) 이 시정 부재 (88) 와 정합하게 함으로써, 그 시정 부재 (88) 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밸브 지지 부재 (74) 는, 원추형 부분 (74-1) 과, 원통형 부분 (74-2) 과, 그 원통형 부분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 (74-3) 을 갖고, 원통형 부분 (74-2) 에는 관통 구멍 (74-4) 이 형성되고, 그 플랜지 부분이 제 1 및 제 2 통형 부재 (70, 80) 사이에 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 밸브 지지 부재 (74) 에는, 제 2 통형 부재 (80) 에 형성한 밸브 시트 (102) 에 접하도록 개구한, 밸브 부재 (76) 를 수납하기 위한 밸브 수납 오목부 (97)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부재 (76) 는, 메인 밸브부 (제 1 밸브부) (98) 와 파일럿 밸브부 (제 2 밸브부) (94) 로 이루어진다. 메인 밸브부 (98) 는, 도 1 에서 볼 때 좌우 방향 (제 1 통형 부재의 축선 방향) 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중심에 축선 방향에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 (96)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메인 밸브부 (98) 는, 그 전면에 O 링 (100) 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통형 부재 (80) 의 밸브 시트 (102) 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되고, 당해 제 1 조인트 부재 (21) 의 유체 통로의 개폐를 하도록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부 (94) 는,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 (93) 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메인 밸브부 (98) 의 관통 구멍 (96) 을 닫도록 되어 있다.
제 2 통형 부재 (80) 내에는 밸브 밀어넣음 부재 (104) 가, 파일럿 밸브부 (94) 와 제 2 통형 부재의 둘레면에 형성된 O 링 (10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밀어넣음 부재 (104) 는, 제 1 조인트 부재 (21) 로의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삽입에 수반하여 도 2 의 좌방향으로 움직여지고, 파일럿 밸브부 (94) 를 이동시켜, 관통 구멍 (96) 을 열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밸브 밀어넣음 부재 (104) 는, 파일럿 밸브부 (94) 에 걸어맞추는 허브 부분 (104-1) 과, 그 허브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 부분 (104-2) 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 (2) 의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 (21, 22) 의 연결 조작을 설명한다.
도 1 은, 제 2 조인트 부재 (22) 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제 1 조인트 부재 (21) 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파일럿 밸브부 (94) 가 코일 스프링 (93) 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관통 구멍 (96) 을 닫고 있고, 제 1 조인트 부재 (21) 의 유체 통로 (72) 의 가압 유체가, 밸브 지지 부재 (74) 의 밸브 수납 오목부 (97) 의 둘레면과 메인 밸브부 (98) 의 둘레면 (제 1 밸브부 슬라이딩면) 사이의 미소한 간극 (G) 을 통과하여, 메인 밸브 (98) 와 밸브 수납 오목부 (97) 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압실 (97-1) 에 충전되어 있다.
슬리브 (78) 가 사용자에 의해 좌방으로 움직여지고, 그 슬리브 (78) 에 의한 시정 부재 (88) 의 반경 방향에서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 2 조인트 부재 (22) 가 제 2 통형 부재 (80) 에 삽입되면, 그 과정에서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선단면이 밸브 밀어넣음 부재 (104) 에 접촉하여 도 2 의 좌방향으로 밀어넣는다. 이로써 파일럿 밸브부 (94) 가 좌방향으로 움직여져 관통 구멍 (96) 이 열린다.
관통 구멍 (96) 이 열림으로써, 배압실 (97-1) 내의 가압 유체가 그 관통 구멍 (96) 을 통하여 유출되어, 그 배압실 (97-1) 내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로써, 메인 밸브부 (98) 는, 유체 통로 (72) 의 유체압에 의해 변위되고, O 링 (100) 이 밸브 시트 (102) 로부터 떨어져, 유체 통로 (72) 가 개방되고, 가압 유체는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유체 통로 (24) 측으로 흐른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 링 (100) 이 밸브 시트 (102) 로부터 떨어지기 전의 단계에서,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외주면이 O 링 (106) 에 밀봉되어 걸어맞추어진다.
제 2 조인트 부재 (22) 가, 그 시정 오목부 (89) 가 시정 부재 (88) 와 정합하는 위치까지 들어가면, 슬리브 (78) 는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가, 제 2 조인트 부재가 제 1 조인트 부재에 연결된다.
제 2 조인트 부재를 제 1 조인트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슬리브 (78) 를 좌방으로 변위시키고, 시정 부재 개방 오목면 (95) 이 시정 부재 (88) 와 반경 방향에서 정합하게 하고, 그 슬리브에 의한 시정 부재의 반경 방향에서의 가압을 해제하고, 제 2 조인트 부재 (22) 를 제 1 조인트 부재 (21) 로부터 뽑아내면, 파일럿 밸브부 (94) 는, 코일 스프링 (93) 에 의해 메인 밸브부 (98) 의 관통 구멍 (96) 을 닫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관 조인트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 ∼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 (1)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와 기본적 구성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먼저, 이 관 조인트 (1) 는, 암형 부재로서의 제 1 조인트 부재 (10) 와 그 암형 부재에 삽입 연결되는 수형 부재로서의 제 2 조인트 부재 (22) 를 갖는다.
제 1 조인트 부재 (10) 는, 공기 배관에 있어서의 호스 등의 도관 (도시 생략) 이 일단에 접속되는 제 1 통형 부재 (11) 와, 슬리브 (18) 를 외부에서 끼운 상태에서 제 1 통형 부재 (11) 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통형 부재 (2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통형 부재 (1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통로 (12), 그 유체 통로 (12) 의 중심부에 배치된 밸브 지지 부재 (14) 및 밸브 지지 부재 (14) 에 형성된 밸브 부재 (16) 를 구비한다.
밸브 지지 부재 (14) 는, 도 5a ∼ 도 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심 (同心) 상으로 배치된 외측 원통부 (14-1) 및 내측 원통부 (14-2) 를 갖고 있고, 그들 사이에 통유로 (15) 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원통부 (14-1) 및 내측 원통부 (14-2) 는, 도 5d 에서 거의 직경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14-3)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내측 원통부 (14-2) 는 밸브 수납 오목부 (26) 를 갖고, 밸브 수납 오목부 (26) 의 일단 (도 4 의 좌단) 은 폐쇄되고, 타단 (도 4 의 우단) 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밸브 수납 오목부 (26)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의 제 1 밸브부를 수납하는 제 1 밸브부 수납부 (26-1), 및, 제 2 밸브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하는 제 2 밸브부 수납부 (26-2) 를 갖고 있다. 외측 원통부 (14-1) 의 외주면에는, 1 쌍의 고리형 홈 (48) 이 형성되어 있고, O 링 (28) 이 끼워맞추어지고, 그 O 링이 제 1 통형 부재 (11) 및 제 2 통형 부재 (20) 의 둘레면에 밀봉되어 걸어맞추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내측 원통부 (14-2) 의 내면은, 유체의 진행 방향 (도 4 의 우방향) 을 향하여 외경이 커지는 3 개의 단차를 갖고 있다.
연결부 (14-3) 는, 횡단면이 타원인 핀 수납 구멍 (49) 이, 그 연결부 (14-3) 의 길이 방향에서 관통하고 있고, 이 핀 수납 구멍 (49) 에 조작 핀 (50) 이 통 과되어 있다. 도 6 (도 4 의 A-A 선 단면도)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핀 (50) 은, 그 양단이, 제 1 통형 부재 (11) 의 외주에 장착된 조작 링 (52) 의 가이드 홈 (캠 윤곽부) (54)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홈 (54)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 를 갖게 하고, 조작 링 (52) 의 회전에 따라 조작 핀 (50) 이 원주 방향과 직교하는 축선 방향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링 (52) 은, 스톱 링 (56) 에 의해 제 1 통형 부재 (11) 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밸브 지지 부재 (14) 에 장착되는 밸브 부재 (16) 는, 반경 방향 중심에 형성된 관통 구멍 (34) 을 갖는 메인 밸브부 (제 1 밸브부) (36) 와, 원주상의 파일럿 밸브부 (제 2 밸브부) (32) 로 이루어지고, 각각, 밸브 수납 오목부 내에서 당해 밸브 지지 부재 (14) 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부 (36) 는, 그 고리형 끝단면 (전면) 에 O 링 (44) 을 갖고 있고, 그 O 링 (44) 은, 제 2 통형 부재 (20) 에 형성된 밸브 시트 (46) 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부 (32) 는, 도 8a ∼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 구멍 (320) 과, 그 구멍 (320) 의 일단에 형성된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경 방향 구멍 (322) 과, 당해 파일럿 밸브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직경 방향 구멍 (322) 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고리형 홈 (324) 을 갖고 있다. 파일럿 밸브부 (32) 는, 1 쌍의 O 링 (39) 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밸브 지지 부재 (14)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밸브 수납 오목부 (26) 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 (38) 에 의해 유체 하류 방향 (우방) 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부 (32) 는, 그 메인 밸브부 (36) 에 의해 유지된 구형 (球形) 의 걸어맞춤 부재 (40) 를 통하여 그 메인 밸브부에 결합되어 있지만, 그 걸어맞춤 부재 (40) 는, 파일럿 밸브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리형 홈 (42) 내에 걸어맞추어져 있고, 메인 밸브부 (36) 와 파일럿 밸브부 (32) 가 축선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약간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a,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부 (32) 에는, 조작 핀 (50) 과 걸어맞추는 반원상 단면의 홈 (33) 이, 당해 파일럿 밸브부의 원형 단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부 (32) 의 메인 밸브부 (36) 와 걸어맞추는 전단 부분에는, 고리형 오목부 (326)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고리형 오목부는 메인 밸브부 (36) 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로 (37) 를 통하여, 메인 밸브부 (36) 의 배후에 있는 밸브 수납 오목부 (26) 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부 (32) 의 전단과 대향하는 메인 밸브부 (36) 내측의 대향면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 링 (3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형 부재 (20) 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시정 오목부 (62) 에 걸어맞추어지는 시정 부재 (60), 그 시정 오목부에 대하여 시정 부재 (60) 를 가압/가압 해제하는 슬리브 (18), 그 슬리브 (18) 를 도 4 에 나타내는 위치로 가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66)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통형 부재 (20) 의 내면에는 암형 부재에 삽입 연결되는 수형 부재와를 밀봉하는 O 링 (68)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관 조인트 밸브의 개폐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조인트 부재 (10) 에 대한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연결 조작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고, 도 4 는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체 통로 (12) 내의 가압 유체 (예를 들어 공기) 는, 밸브 지지 부재 (14) 와 메인 밸브부 (36) 사이의 미소한 간극 (G) 을 통과하여, 메인 밸브부 (36) 의 배면측에 있는 배압실로서 작용하는 제 1 밸브부 수납부 (26-1) (이하, 간단히 배압실 (26-1) 이라고 한다) 내에 충전되어 있다. 이 때, 파일럿 밸브부 (32) 와 밸브 수납 오목부 (26) 의 내벽면 사이는 O 링 (39) 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배압실 (26-1) 내에 충전된 가압 유체가, 핀 수납 구멍 (49) 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파일럿 밸브부 (32) 에 형성되어 있는 축선 방향 구멍 (320), 직경 방향 구멍 (322) 은 핀 수납 구멍 (49) 을 통하여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유체 통로 (24) 를 당해 관 조인트의 외부로 연통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밸브 부재 (16) 를 개방하려면, 먼저, 조작 링 (52) 을 회전시켜 조작 핀 (50) 을 도 4 의 위치로부터 도 9 에 있는 위치로 후퇴시킨다. 이로써, 그 조작 핀 (50) 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파일럿 밸브부 (32) 도 움직여진다. 이 때, 걸어맞춤 부재 (40) 및 걸어맞춤 홈 (42) 을 통하여 걸어맞추어져 있는 메인 밸브부 (36) 는, 그 걸어맞춤 부재 (40) 와 걸어맞춤 홈 (42) 사이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메인 밸브부 (36) 는 움직이지 않고, 이 때문에, 파일럿 밸브부 (32) 가 메인 밸브부 (36)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관통 구멍 (34) 이 메인 밸브부 (36) 의 배후에 있는 배압실 (26-1) 에 연통된다. 이것과 동시에, 파일럿 밸브부 (32) 의 직경 방향 구멍 (322) 은, 도 4 에서 볼 때, 좌측에 있는 O 링 (39) 에 정합 혹은 그것보다 좌측의 위치가 되고, 핀 수납 구멍 (49) 으로부터 밀봉된다. 즉,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유체 통로 (24) 는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배압실 (26-1) 내의 가압 유체는 제 2 조인트 부재 (22) 의 유체 통로 (24) 측으로 유출되므로, 그 배압실 (26-1) 내의 압력은 저하되고, 이 때문에, 메인 밸브부 (36) 에 가해지고 있는 제 1 조인트 부재 (10) 내의 유체 압력에 의해 메인 밸브부 (36) 이 좌방으로 움직여지고, 그 메인 밸브부의 전면의 O 링 (44) 이 밸브 시트 (46) 로부터 떨어져,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 (10, 22) 의 유체 통로 (12, 24) 가 연통된다.
제 2 조인트 부재 (22) 를 제 1 조인트 부재 (10) 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 밸브 부재를 닫을 때에는, 조작 링 (52) 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 핀을 도 4 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리고, 그것에 의해, 파일럿 밸브부 (32) 및 메인 밸브부 (36) 를 모두 폐지 위치로 되돌린다. 이 때, 파일럿 밸브부 (32) 의 직경 방향 구멍 (322) 이, 도 4 의 좌측의 O 링 (39) 보다 우측의 위치가 되고, 핀 수납 구멍 (49) 에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 2 조인트 부재 내의 유체 통로 (24) 가 축선 방향 구멍 (320) 및 직경 방향 구멍 (322) 을 통하여 당해 관 조인트의 외부와 연통하고, 유체 통로 (24) 내의 잔압이 외부로 릴리프된다. 그 상태에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로부터 떼어내면, 잔압에 의한 수형 부재의 요동 등이 없이,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수납 오목부가, 밸브 시트에 대하여 그 통형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메인 밸브부의 둘레면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갖고, 그 슬라이딩면과 그 메인 밸브부의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G) 을 통하여, 유체 통로의 가압 유체가 배압실 내로 들어가게 하고 있지만, 이 가압 유체의 배압실로의 유입은, 이 간극에 의하지 않고, 당해 밸브 지지체에 유체 통로와 배압실을 연통하는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과 제 1 밸브부에 접속되고, 상기 간극 (G) 을 닫는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고, 그 간극을 통한 가압 유체의 배압실로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작은 구멍을 형성하고, 그 작은 구멍으로만 가압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간극 (G) 의 유로 단면을 정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한 면이 있지만, 작은 구멍의 유로 단면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배압실로의 가압 유체의 유입을 보다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일럿 밸브부 (제 2 밸브부) 가 메인 밸브 (제 1 밸브부) 보다 당해 암형 조인트 부재의 안쪽에 위치 결정되어 있지만, 그 반대측 (즉, 수형 부재를 삽입하는 측) 에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서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조인트 부재를 갖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
    제 1 조인트 부재가,
    유체 통로를 구비하는 통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의 유체 통로의 주위에 형성된 고리형 밸브 시트와,
    상기 통형 부재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함으로써 상기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부재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밸브 지지 부재가, 상기 밸브 시트에 접하여 개구되고,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한 걸어맞춤/걸어맞춤 해제를 위해서 변위 가능하게 수납하고, 상기 밸브 부재와의 사이에 배압실을 획정 (劃定) 하는 밸브 수납 오목부와, 상기 유체 통로로부터 상기 배압실 내로의 가압 유체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를 갖고,
    상기 밸브 부재가, 제 1 밸브부와 제 2 밸브부를 갖고,
    상기 제 1 밸브부가, 상기 밸브 시트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된 고리형 걸어맞춤면을 구비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있어서의 상기 고리형 걸어맞춤면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밸브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압실과 상기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 2 밸브부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을 닫도록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탄성 지지 수단 및 상기 제 2 밸브부에 가해지는 배압실 내의 유체압에 저항하여 움직여져 상기 관통 구멍이 열리고 상기 배압실 내의 유체압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제 1 밸브부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상기 유체 통로의 유체압에 의해, 상기 제 1 밸브부가 상기 밸브 수납 오목부 내로 밀려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관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 시트에 대하여 상기 통형 부재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기 제 1 밸브부의 둘레면은, 상기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과 슬라이딩하는 제 1 밸브부 슬라이딩면을 갖고, 상기 제 1 밸브부 슬라이딩면과 상기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상기 연통로로 한 관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지지 부재가,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 통로와 상기 배압실을 연통하는 작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작은 구멍을 상기 연통로로 한 관 조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납 오목부의 둘레면과 상기 제 1 밸브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 지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 통로와 상기 배압실을 유체 차단하는 다이어프램을 갖는 관 조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와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연결되었을 때에,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에 의해 밀어넣어져, 상기 관통 구멍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관 조인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수형 부재가 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가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를 수용하는 조인트 부재 수용부를 갖는 암형 부재가 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가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와 상기 밸브 부재 사이에 밸브 밀어넣음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밸브 밀어넣음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2 밸브부를 밀어넣어 상기 관통 구멍을 열게 한 관 조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가,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와 상기 밸브 부재 사이에 시일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밀어넣음 부재를 밀어넣기 전에, 상기 시일 링이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의 외측면에 밀봉되어 걸어맞추어지게 한 관 조인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가,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시정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상기 조인트 부재 수용부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시정 부재와 걸어맞추어져, 상기 제 2 조인트 부재가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하는 시정 오목부를 갖고,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1 밸브부는, 시정 부재가 시정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단계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는 관 조인트.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가,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1 밸브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 2 밸브부를 움직이는 밸브 조작 수단을 갖는 관 조인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지지 부재의 상기 밸브 수납 오목부가,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1 밸브부를 수납하는 제 1 밸브부 수납부, 및 상기 제 2 밸브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하는 제 2 밸브부 수납부로서,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제 2 밸브부 수납부로부터 상기 제 1 밸브부 수납부 내를 연장하여 상기 밸브 부재의 제 1 밸브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밸브부가 차지하는 수납 부분과, 상기 수납 부분에 계속해서,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열도록 움직여질 때의 상기 제 2 밸브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 부분을 갖는 제 2 밸브부 수납부를 갖고,
    상기 밸브 조작 수단이,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지지 부재 내에 신장되어, 상기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에 연접된 조작 핀을 갖고,
    상기 밸브 지지 부재가, 상기 제 2 밸브부 수납부로부터 상기 통형 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핀 수납 구멍으로서, 상기 핀 수납 구멍 내에 상기 조작 핀을 수납하고, 상기 조작 핀이 당해 제 1 조인트 부재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움직여져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1 밸브부의 관통 구멍의 개폐를 할 수 있게 한 핀 수납 구멍을 갖는 핀 유지부를 갖는 관 조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핀이 상기 통형 부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부재가, 상기 통형 부재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 핀의 양단에 걸어맞추어지는 조작 부재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 핀을 움직이고, 상기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를 조작하게 한 관 조인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통형 부재의 주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조작 핀의 양단과 걸어맞추는 캠 윤곽부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핀의 양단이 상기 캠 윤곽부를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를 조작하게 한 관 조인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가,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밸브부에 설치된 걸어맞춤 부재를 수용하는 걸어맞춤 홈을 갖고, 상기 걸어맞춤 홈은,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열도록 움직여진 후에 벽면에서 상기 걸어맞춤 부재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상기 제 2 밸브부가 다시 움직여졌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 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밸브부를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관 조인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부가 상기 밸브 시트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밸브 부재의 제 2 밸브부가, 상기 제 1 밸브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 밸브부의 상기 전면측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핀 수납 구멍에 연통됨과 함께,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제 2 밸브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여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핀 수납 구멍으로부터 밀봉 차단되게 한 잔압 릴리프 구멍을 갖는 관 조인트.
KR1020087022297A 2006-03-31 2007-03-20 관 조인트 KR101033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0522A JP4653688B2 (ja) 2006-03-31 2006-03-31 管継手
JPJP-P-2006-00100522 200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454A KR20080100454A (ko) 2008-11-18
KR101033438B1 true KR101033438B1 (ko) 2011-05-09

Family

ID=3856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297A KR101033438B1 (ko) 2006-03-31 2007-03-20 관 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653688B2 (ko)
KR (1) KR101033438B1 (ko)
CN (1) CN101400938B (ko)
MY (1) MY166202A (ko)
TW (1) TWI325478B (ko)
WO (1) WO20071140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65A1 (ko) * 2012-07-11 2014-01-16 Lee Keun Ho 관로 커플러
WO2014010964A1 (ko) * 2012-07-11 2014-01-16 Lee Keun Ho 관로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1601B2 (ja) * 2009-06-30 2014-02-12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TWI411758B (zh) * 2010-11-23 2013-10-11 Inventec Corp 快速接頭
CN109899613B (zh) * 2019-04-12 2024-02-27 广东恒基金属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开启式快速接头
CN110181015B (zh) * 2019-06-24 2020-12-1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拆装的旋转管路装置
KR102670712B1 (ko) * 2021-10-01 2024-05-30 주식회사 이경 유체이송용 스마트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021A (ko) 1973-09-22 1975-05-19
JPS52126526A (en) 1976-04-15 1977-10-24 Nitta Moore Co Ltd Selffsealing pipe joint
JPS6091090A (ja) 1983-09-22 1985-05-22 ダルト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減圧機構
JP2001074187A (ja) 1999-09-03 2001-03-23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021U (ko) * 1973-09-25 1975-05-28
CN2081468U (zh) * 1990-02-19 1991-07-24 那海亭 快速管接头
CN2332867Y (zh) * 1998-01-06 1999-08-11 应明雄 快速联接头
CN2453211Y (zh) * 2000-11-13 2001-10-10 慕容东林 燃气快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7021A (ko) 1973-09-22 1975-05-19
JPS52126526A (en) 1976-04-15 1977-10-24 Nitta Moore Co Ltd Selffsealing pipe joint
JPS6091090A (ja) 1983-09-22 1985-05-22 ダルト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減圧機構
JP2001074187A (ja) 1999-09-03 2001-03-23 Nitto Kohki Co Ltd 管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65A1 (ko) * 2012-07-11 2014-01-16 Lee Keun Ho 관로 커플러
WO2014010964A1 (ko) * 2012-07-11 2014-01-16 Lee Keun Ho 관로 커플러
KR101409794B1 (ko) 2012-07-11 2014-06-24 이근호 관로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454A (ko) 2008-11-18
JP2007271052A (ja) 2007-10-18
TWI325478B (en) 2010-06-01
CN101400938A (zh) 2009-04-01
WO2007114039A1 (ja) 2007-10-11
MY166202A (en) 2018-06-14
CN101400938B (zh) 2010-06-02
JP4653688B2 (ja) 2011-03-16
TW200809124A (en) 200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438B1 (ko) 관 조인트
JP5317761B2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US4269389A (en) Coupling device
JP5317760B2 (ja) 管継手用のソケット及び管継手
US4219048A (en) Coupling device
RU2477817C2 (ru) Охватывающая деталь 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и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одержащее подобную охватывающую деталь
KR102665128B1 (ko) 수형 또는 암형 퀵 커플링 요소 및 그 요소를 포함하는 퀵 커플링
US10527214B2 (en) Coupling and hydraulic braking circuit for cycle incorporating such a coupling
EP3631284B1 (en) Compact gas cylinder valve with residual pressure function
JP5926809B2 (ja) 安全機能を有する雌型継手
GB2280238A (en) Fluid connector
JP6392526B2 (ja) 二つの液体管路の取り外し可能な接続形態を構成するための雌部品及び継手
US10724667B2 (en) Circuit breaker and handling facility for pressurized fluid comprising such a circuit breaker
JP3996112B2 (ja) 管継手
JP6712389B2 (ja) ソケ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管継手
JP2018189162A (ja) 管継手
JP6535455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
JPWO2017099228A1 (ja) 弁体並びに該弁体を用いた弁構造体及び継手部材
JPH0743589Y2 (ja) 高圧流体配管用管継手
US11054075B2 (en) Coupling element for a hydraulic coupling
JP2021131130A (ja) 管継手部材および管継手
JP2017082863A (ja) 雌型継手部材及び該雌型継手部材を備える管継手
JP2011112066A (ja) 雌型管継手用キャップ
WO2012173152A1 (ja) 管継手
JP2592804Y2 (ja) セルフシール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