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487B1 - 백호 - Google Patents

백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487B1
KR100363487B1 KR10-1998-0046560A KR19980046560A KR100363487B1 KR 100363487 B1 KR100363487 B1 KR 100363487B1 KR 19980046560 A KR19980046560 A KR 19980046560A KR 100363487 B1 KR100363487 B1 KR 10036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ackhoe
protector
battery
oi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547A (ko
Inventor
마사히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3756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727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68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0041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1999006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백호(backhoe)의 선회대에 탑재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중심과, 상기 연료탱크의 중심과, 배터리의 중심과, 엔진의 중심이 모두 상기 선회축심 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이들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기체 중량을 크게하지 않고 중량 밸런스가 잡힌 백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같은 구조에 의해 엔진 후방에 무거운 후부 커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 대신 프레스 형성의 프로텍터(Protector)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백호{BACKHOE}
본 발명은 백호(backho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백호는, 주행장치의 상부에 상하방향의 축심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선회대가 설치되고, 이 선회대의 전부(前部)에 굴삭장치가 설치되고, 선회대 후부(後部)에 엔진 등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대(선회대 프레임)의 선회밸런스를 유지하여 굴삭작업 등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선회대의 후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엔진의 하부 후방을 덮는 후부커버 부재를 중량물로 함으로써 그 후부커버부재를 굴삭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는 카운터 웨이트(후부 웨이트)로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령, 일본국 실개평 5-5704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2-7083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9-88125호 공보 등에서 각종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 선회대상에는, 각종 유압기기용의 작동유를 수용하고 작동유탱크,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 배터리 등이 탑재되어 있고, 연료탱크는 작동유탱크의 전부 옆쪽에 배치되고, 작동유 탱크의 후부 옆쪽에는 배터리가 배치된다.
종래의 백호에 있어서의 카운터 웨이트(선회대의 후부커버부재)는 그 기능으로 하여 주물제, 강·납 등과 같이 비중이 무거운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주물제 등과 같이 중량물로 되는 웨이트를 구성하는 후부커버부재는 메인터넌스시 등에 있어서 착탈할 때에 크레인 등으로 달아올릴 필요가 있으므로 착탈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후부커버부재와 엔진 등을 피복하는 보닛과의 위치맞춤(정확한 조립)도, 중량물이기 때문에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백호는 그 작업중의 밸런스를 좋게하기 위하여 카운터 밸런스가 이용되는 등, 백호 전체 중량이 크게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배경 하에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능한 한 기체의 중량을 크게하지 않고 중량 밸런스가 잡힌 백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목적은 선회대상에 탑재되는 작동유탱크, 연료탱크, 배터리의 배치를 고려함으로써 기체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한 백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 밸런스가 잡힌 백호를 얻음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후부커버부재 대신 프레스 성형제의 프로텍터로서 형성할 수 있는 백호를 제공하는 일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호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호의 선회대에 탑재되는 연료탱크, 배터리, 기타 부품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회대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회대의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회대의 우측면도,
도 7은 엔진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브래킷의 측면도,
도 9는 프로텍터와 보닛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프로텍터와 보닛의 부분 평면도,
도 11은 프로텍터와 보닛을 도시하고, (a)는 측면도, (b)는 로크수단의 정면도,
도 12는 프로텍터를 구성하는 제1요소의 배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프로텍터의 평면도,
도 14는 프로텍터를 구성하는 제2요소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2요소의 배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2요소의 이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2요소의 평면도,
도 18은 프로텍터를 구성하는 제3요소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3요소의 배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제3요소의 이면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3요소의 평면도.
본 발명에 의한 백호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 상에서 상하방향의 선회축심 주위에서 선회가능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에 설치된 작동유탱크와, 연료탱크와 배터리와 엔진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유탱크의 중심과 상기 연료탱크의 중심과, 상기 배터리의 중심과 상기 엔진의 중심이 모두 상기 선회축심 보다 후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조는 엔진에 부가하여 작동유탱크, 연료탱크 및 배터리의 모든 중심이 선회축심 보다 후방에 존재하기 때문에, 기체의 중량을 크게하지 않고 중량 밸런스가 잡힌 백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백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측면에서 본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백호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백호(1)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 등의 주행장치(2)의 트랙 프레임(2A)상에 선회 축받이(3)를 통하여 종방향의 선회축심(X)을 중심으로 전선회(360도) 가능한 선회대(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회대(4)에는 엔진(5)이 탑재되어 있다.
선회대(4)의 전측에서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선회 브래킷(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회 브래킷(6)에는 붐브래킷(7)이 종축 주위에 피봇되어 있다. 상기 붐 브래킷(7)에는 붐(8)의 기부가 횡축 주위에 기복자재로 연결되어 있고, 붐(8)의 선단에는 아암(9)을 통하여 버킷 등의 작업구(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이 굴삭장치(11)를 구성한다. 붐 실린더(12), 아암 실린더(13) 및 버킷실린더(14)에 의해 굴삭작업이 가능해진다.
선회대(4)상에는 엔진(4)의 전방측에 조종운전장치(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치(15)는 캐노피(16)로 둘러싸여 있으나, 상기 캐노피(16) 대신 승강구도어를 갖는 캐빈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조종운전장치(15)는 좌우방향 중앙부 부근에 배치한 좌석(17)과 이 좌석(17)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조종박스(18)와, 좌석(17)의 전방에 배치된 조종간 및 페달장치(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굴삭장치(11)가 신장동작(최대로 굴삭 허용 아치가 된다) 했을 때의 백호(1)의 기체 중심 위치(Y)는 선회축심(X) 보다 다소 전방에 있고, 이때의 전후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엔진(5)은 선회 축심(X) 보다 후방측에 가깝게 선회대(4)상에 탑재해 있고, 이 엔진(5)으로서 대형이고 대출력의 것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엔진(5)이 웨이트(카운터 웨이트, 밸런스 웨이트)의 대용이 된다. 따라서, 주물제 등의 중량물인 웨이트가 필요 없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대(4)에는 각종 유압기기 작동유(석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29)와, 엔진(5)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30)와, 배터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각 중심은 선회축심(X)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베이스부재(4A)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엔진(5), 연료탱크(30), 배터리(31)의 각 전면(前面)이 선회축심(X)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탱크(29)는 선회대(4)의 우방측(좌방측이라도 좋다. 즉 좌우측이면 좋다)에 배치되고, 이 작동유탱크(29)의 후부의 좌방측에 연료탱크(30)가 배치되고, 이 연료탱크(30)는 좌석(17)의 하방이고, 또한 엔진(5)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 연료탱크(30)는 후부벽(30a)과, 후부벽(30a)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뻗는 측부벽(30b)과, 좌측의 측부벽(30b)의 전후방향 중앙부에서 우방으로 뻗는 전부벽(30c)과, 전부벽(30)의 우단측에서 우측 측부벽(30b)과, 대략 평행으로 전방으로 뻗는 중간 측부벽(30d)과, 상부벽(30e)과, 그 상부벽(30e)의 우측에서 하방으로 뻗어 우측 측부벽(30b)과 중앙 다리부벽(30d)과의 전단 사이를 폐색하는 연장벽(30f)과, 저부벽(30g)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30)의 (연료저장부분의) 주부분(30A)이 작동유탱크(29)의 후부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종래 것에 비해 기체 중심을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기체의 중량 업을 도모하지 않고 중량 밸런스의 조절을 꾀할 수 있고, 대형 엔진(5)을 탑재함으로써 후부커버부재(38)의 경량화(프레스 성형 제품화)를 조성할 수 있다.
또, 이 연료탱크(30)에는 그 주부분(30A)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연설부분(30B)이 전방 돌출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연료탱크(30)의 주부분(30A)의 전방에는 상기 배터리(31)가 배치되고, 상기 연설부분(30B)은 작동유탱크(29)와 배터리(3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31)는 작동유탱크(30)의 좌측의 측부벽(30b)과 중간 측부벽(30d) 사이에 전방에서 삽입형상으로 되어 있고, 배터리(31)의 전방으로 부터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30)의 주부분(30A)이 작동유탱크(29)의 후부 옆쪽에 있으면 되고, 일부가 작동유탱크(29)의 전부 옆쪽에 있어도 되나, 상기 연설부분(30B)을 형성하지 않고 연료탱크(30)의 전체(저장부분의 전부)가 작동유탱크(29)의 후부의 옆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대(4)의 우측면에는 연료계의 부재(필터, 워터 세퍼레이터, 전자 펌프 등)를 점검 등 하기 위한 개구부(32)가 전부측에 형성되고, 작동유탱크(29) 및 붐 브래킷(7)을 요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등을 착탈 등 하기 위한 개구부(33)가 후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개구부(32, 33)는 1개의 덮개체(34)에 의해 개폐 자재로 폐색된다.
선회대(4)의 좌측면에도 메인터넌스 등을 위한 개구부(35)가 1개 또는 복수 형성되고, 이 개구부(35)도 1개의 덮개체(36)에 의해 개폐 자재로 폐색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체(34, 36)는 경첩 또는 볼트 등으로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의 크랭크케이스(39)의 측면 하부에는 전부 및 후부에 좌우 한쌍의 브래킷(37, 38)이 부착고정되고, 이들 브래킷(37, 38)을 통하여 베이스부재(4A)에 고정된 부착부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후부측 브래킷(38)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크랭크케이스(39)에 부착고정되는 부착부(38a)와, 베이스부재(4A)에 고정된 부착부재(43)에 고정된 방진(防振) 고무(42)에 지지되는 지지부(38b)와, 이들 부착부(38a)와 지지부(38b)에 용접 고정된 보강리브(38c)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38a)에는 부착구멍(41)이 관통형성되고, 이 부착구멍(41)에 삽통되어 크랭크케이스(39)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부착부(38a)가 크랭크케이스(39)에부착고정되어 있다. 지지부(38b)는 부착부(38a)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돌출단측이 크랭크케이스(39)에서 우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크랭크케이스(39)에서 돌출한 부분이 방진고무(4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후부측 브래킷(38)을, 전측 브래킷(37)과 동일하게 방진고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크랭크케이스(39)에 부착고정되는 부착부에서 전후방향으로 돌출형상으로 한 것 만으로, 크랭크케이스(39)의 측면에 부착 고정한 것으로는 방진고무에 의한 좌우방향의 지지간격이 좁음과 동시에, 엔진(5)의 중량이 좌우의 방진고무에 균등하게 분산하지 않으므로 양호한 진동감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방진고무에 의한 좌우방향의 지지간격을 넓게 잡음과 동시에 엔진(5)의 중량을 좌우의 방진고무에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성의 후측의 브래킷을 펌프하우징(40)의 측면에 부착고정하면 엔진(5) 중량이 펌프하우징(40)에 가해지기 때문에 펌프하우징(40)의 강도확보가 필요함과 동시에, 펌프하우징(40)을 크랭크 케이스(39)에 부착고정하기 위한 볼트의 개수가 다수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후측 브래킷(38)을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아이들링 회전시 및 백호(1)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의 엔진(5)의 진동을 감소할 수 있고, 후부측의 브래킷을 펌프하우징(40)에 부착고정하는 것에 비해 펌프하우징(40)의 경량화, 박육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펌프하우징(40)의 크랭크 케이스(39)로의 부착용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메인터넌스가 쉬워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텍터(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의 후방은 프레스 성형제의 프로텍터(50)로 덮어짐과 동시에, 엔진(5)의 상방은 같은 프레스성형제 보닛(51)으로 덮어지며, 이에 따라 백호(1)가 주행(전진, 후진)하고, 선회 동작할 때에 엔진(5) 및 이 보조기기(라디에이터, 오일쿨러, 머플러, 에어클리너 등)가 장애물(벽, 식목 등)에 충돌 또는 접촉하려 하는 것을 방호함과 동시에, 엔진(5) 등의 소음이 외부로 방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조종운전장치(15)의 열기 환경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보닛(51)은 엔진커버이고, 좌우 양측의 전(前) 보닛(52A)을 갖는 고정보닛(52)의 후상부에 도시하지 않는 힌지를 통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형 개폐 보닛(53)을 장착한 것으로, 고정보닛(52)은 선회대(4)에서 세워설치한 정배면이 아치형상이 기틀(도시않음)에 캐노피(16)와 함께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스 성형제란, SPCC, SPCE 등의 금속판재를 드로잉 가공(reducing) 등에 의한 프레스(냉간, 열간 포함)한 것을 비롯하여 ABS 수지 등의 경질수지,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를 가압성형한 것을 말하며, 주물제에 비교하여 박물(薄物)이면서 마무리면은 평활성(경면 마무리)이 되고, 도장 등의 마무리가 양호해지는 것이다.
엔진(5)은 옆으로 놓아 탑재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54), 머플러(55), 에어클리너(56) 등의 엔진 보조기기가 부대(付帶)되어 있고, 라디에이터(54)의 팬이 기동하여 도 2의 화살표와 같은 9E 풍(風; 공기흐름)으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프로텍터(50)는 그 좌측 입면부에 공기흡입구(louver) 구조의 흡기창(57)이 우측 입면부에 공기흡입구 구조의 배기창(5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배기창(57, 58)을 갖는 프로텍터(50)는 그 전체의 외곽형상이 외향 만곡상의 둥근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프로텍터(50)는 좌우 양측부 및 중앙부 전체를 일체성형한 것도 좋으나 좌우방향 중앙부의 제1요소(59)와 좌우 양측의 제2요소(60)와 제3요소(61)로 분할되어 있고, 이와 같이, 분할 구성함으로써 프레스 성형 정밀도가 향상되고, 프레스성형 역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로텍터(50)를 구성하는 제1∼3요소(59, 60, 61)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하나, 제2와 제3요소(60, 61)에 대해서는 제3요소(61)에 머플러의 배기관 삽통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여 제2요소(60)와 제3요소(61)는 대략 좌우 대칭형상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2요소(60)에 대하여 설명하고, 공통 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한다.
보닛(51) 즉, 개폐 보닛(53)과 프로텍터(50)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구비되어 있는 로크수단(62)에 의해 로크 해제 자재로 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프로텍터(50)와 보닛(51)은 배면(도 2, 도 9참조)에서 보았을때 상하양 가장자리(63A, 63B)가 엔진(5) 및 이들의 보조기기를 덮기에 족한 높이 하에서 서로 직선 평행으로 되어 있고, 보닛(51)의 좌우 및 프로텍터(50)의 좌우 하부는 모두 만곡부(64A, B, 65A, B)로 되어 있고, 프로텍터(50)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는 띠모양의 팽출부(66)가 형성됨과 동시에, 프로텍터(50)와 보닛(5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프로텍터(50)의 하변부(팽출부(66) 보다 하방 부분)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의 오일팬(5A)을 후방에서 덮고 또 선회대(4)의 하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만곡한 만곡부(67)로 되어 있고, 프로텍터는 프레스 성형제로서 박물이기 때문에 엔진(5) 등에 근접하여 배치되게 되어 있다.
프로텍터(50)의 제1요소(59)는 팽출부(66) 보다 하방으로 연신되어 있어, 이 제1요소(59)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제2요소(60)와 제3요소(61)는 배면으로 보아(도 2와 도 9참조) 제1요소(59) 보다 상방으로 연신하는 만곡벽(68)을 갖는 대략 L자 모양이고, 여기에 프로텍터(50) 상방에는 보닛(51)의 끼워맞춤 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69)에 보닛(51)이 끼워져서 그 접합부(끼워맞춤 오목부(69) 가장자리)에는 도시생략의 탄성튜브, 탄성 U형 테이프 등의 탄성 새들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접합부 틈새를 밀봉실하도록 되어 있다.
제2요소(60)와 제3요소(61)의 만곡벽(68)에는 각각 흡·배기창(57, 58)이 형성되어 있고, 제2요소(60)는 라디에이터(54)의 팬 및 도 11a에 도시된 팬구동 벨트(70)를 비롯하여 도시생략한 오일쿨러 등을 덮고 있고, 제3요소(61)는 머플러(55) 및 유압펌프 등을 덮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요소(59)의 상세가 도시되고, 상기 제1요소(59)는 팽출부(66)와 상하 판면(59A, 59B)을 일면 개방의 상자형으로 드로잉 가공(reduction)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있고, 팽출부(66)의 좌우에는 볼트 삽통구멍(71A)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L자 모양의 부착 브래킷(71)이 용접(용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면 개방부에서 팽출부(66)의 이측, 즉, 엔진(5)에 면하는 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여 리브(50A)가 돌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요소(59)는 팽출부(66)와 리브(50A)에 의해 프레스 성형제로서경량 및 박물임에도 불구하고, 강성이 업되고 있음과 동시에 탄성변형에 의해 외적 에너지를 흡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1요소(59)는 볼트 삽통구멍(71A)에 삽통한 볼트 등에 의해 엔진(5) 또는 선회대(4)에서 연신한 고정부재(도시않음)에 취착 가능하다.
제1요소(59)에 있어서의 상판면(59A)의 하면에는 로크수단(62)의 로크편이 계탈하는 피로크편의 부착판(59C)이 고착해 있고, 상기 부착판(59C)에 형성된 부착구멍(59D)에 볼트(72; 도 11a 참조)를 삽통하여 L자형의 피로크편(73)이 부착되고, 부착구멍(59D)은 도 13과 같이 긴구멍으로 함으로써 피로크편(73)이 출퇴 위치 조절 자재로 되어 있다.
로크수단(62)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보닛(53)의 하부에서 좌우방향 중앙부 부근에 구비되어 있어, 피로크편(73)에 탄성변형 등을 통하여 계탈자재의 로크편(74)을 가지며, 이 로크편(74)은 키구멍(62A(엔진키 등))을 꽂아 회동함으로써 계탈자재가 되고, 로크 해제한 상태로 개폐 보닛(53)을 개방(상부의 힌지를 지지점에 상하동함에 따른 개방 어느 쪽도 좋다)함으로써 엔진(5) 상부 부근의 점검·정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키 삽입구(62A) 상방에는 보닛(53)을 개방할 때의 손잡이(75)가 오목 설치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제2요소(60)와 제3요소(6)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고, 제2요소(60)는 라디에이터(54; 오일쿨러 등을 포함)를 덮고 있고, 제3요소(61)는 머플러(55) 및 도시생략의 유압펌프를 덮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삽통구멍(55A)을 형성한 것 이외는 좌우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 제2요소(60)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3요소(61)에 대해서는 공통부분은 공통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제2요소(60)는 프레스 성형제로서, 일면(이면측)이 개구되어 개구 가장자리(76)를 상승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해 있고, 팽출부(66) 보다 하방의 만곡부(스커트부; 67)는 안쪽으로 만곡해 있다. 팽출부(66)의 상방부분(77)에는 상하 방향으로 요철부(78A, 78B)를 형성함으로써 그 오목부(78A)가 공기흡입구 구조의 흡기창(57; 제3요소(61)에서는 배기창(58))으로 되어 있다. 전후방향으로 긴 요철부(78A, 78B)에 의한 리브 효과로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음과 동시에,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연결부(79)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방향의 강성이 확보되고 있다.
또한, 오목부(78A) 중 상단과 하단에는 볼트 삽통구멍(80A)을 갖는 부착 브래킷(80)이 이면측에 용접되어 있음과 동시에 팽출부(66)의 이측에는 너트(81A)를 갖는 부착 브래킷(81)이 용접되어 있고, 여기에, 제2요소(60)는 볼트 삽통구멍(80A)에 외측에서 볼트(도시않음)를 삽통하여 부착 브래킷(80)을 통하여 도 11a에 도시된 스테이(82)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착탈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부착 브래킷(81)은 여기에 고착한 너트(81A)에 볼트를 통하여 도시생략의 스테이에 착탈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제2요소(60)는 도합 3개소에서 라디에이터(54)를 덮는 상태로 스테이를 통하여 선회대(4) 등에 착탈자재이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50)가 제1∼3요소(59∼61)의 분할 구성이기 때문에 라디에이터(54), 머플러(55) 등의 점검·정비는 제2요소(60)와 제3요소(61)를 개개로 해체하는 것으로 신속 또한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즉, 종래의 주물제와 같이 중량물로 되는 웨이트(프로텍터)에서는 라디에이터 등의 점검·정비에 있어 크레인 등으로 프로텍터를 달아올림으로써 해체할 필요가 있고, 이래서는 공사현장에서의 임기응변으로 점검·정비하기가 상당한 곤란을 수반하고 있었던 것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레스 성형제의 프로텍터(50)는 경량이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의 임기응변의 점검·정비가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프로텍터(50)를 제1∼3요소(59, 60, 61)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제2요소(60)와 제3요소(61)를 개별로 착탈되어 점검·정비가 쉬워진 것이다.
또, 종래의 주물제 프로텍터는 이것을 장착하는 데는 크레인 등이 필요하고, 이 프로텍터와 협동하여 엔진 등을 덮는 보닛(엔진커버)과의 위치맞춤(정확한 조립)도, 중량물이기 때문에 조정이 곤란했던 데 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레스 성형제 프로텍터(50)는 이것으로 엔진(5) 등을 덮도록 장착하는 것은 경량이기 때문에 용이하고, 특히 프로텍터(50)를 제1∼3요소(59, 60, 61)와 분할 구성하고, 그 부착부인 볼트 삽통구멍(71A, 80A)등을 긴구멍으로 해둠으로써 보닛(51)과의 결합 조정(치수맞춤, 위치맞춤)도 용이해진다.
또, 부착 브래킷(80)은 ㄷ자형으로 오목부(78A)를 걸타고(straddled)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78A)를 보강했음에도 불구하고 냉각풍의 유통에는 그다지 지장은 없다. 또, 상 ·하 부착 브래킷(80)을 상호 리브(50A)로 결합함으로써 강성이 향상되고, 프레스 성형제이고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프로텍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리브(50A)는 도 14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평판으로 구성하여 연결부(49)의 이면에 중합하여 용착을 필함으로써 공기유통의 장애가 되는 일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으나, 다음과 같은 설계 변경은 가능함과 동시에, 그 적용범위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백호란, 로더 등을 포함하고, 그 형식은 선회대(4)를 포함하고, 기체가 완전 선회했을 때, 주행장치(2) 사이에서 불거져 나오지 않는 후방 소선회형에도 적용되며, 붐이 그 중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평행 링크를 통하여 시프트 가능한 초소선회형에도 적용가능하다.
(2) 프로텍터(50)는 이 재료가 판금일 때는 판두께 2∼4㎜ (바람직하게는 60㎜ 전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료가 경질수지일 때는 그 판두께는 5∼8㎜ 정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3) 프로텍터(50)는 판금제·수지제 어느 쪽이라도 그 이면측의 전체 또는 필요 개소에 단열재, 차음재 등을 첩착하거나 일체성형한 것이라는 된다.

Claims (9)

  1.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상에서, 상하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에서 선회가능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에 설치된 작동유탱크와, 연료탱크와, 배터리와, 엔진을 구비한 백호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의 중심과, 상기 연료탱크의 중심과, 상기 배터리의 중심과, 상기 엔진의 중심이 모두 상기 선회축심 보다 뒤에 있으며,
    상기 작동유 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배터리는 모두 상기 엔진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탱크의 전면과, 상기 연료탱크의 전면과, 상기 배터리의 전면과, 상기 엔진의 전면이 모두 상기 선회축심 보다 뒤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심의 후방이고, 좌우 한쪽에 상기 작동유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 옆쪽에 상기 연료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선회축심 보다 후측이고, 게다가 상기 연료탱크 보다 앞쪽에 상기 배터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상기 작동유탱크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위치하는 연설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후방을 덮는 프로텍터가 프레스성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1요소와, 상기 제1요소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요소와, 상기 제1요소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3요소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소와 제3요소 중의 어느 한쪽이 상기 엔진의 라디에이터를 덮고 있으며, 상기 선회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엔진에 면하는 이측에 리브를 융기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9.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고, 개폐 가능한 보닛이 설치되고,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보닛 사이에는 상기 보닛을 상기 프로텍터에 대하여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KR10-1998-0046560A 1997-12-09 1998-10-31 백호 KR100363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7567A JPH11172720A (ja) 1997-12-09 1997-12-09 バックホウ
JP97-337567 1997-12-09
JP98-005688 1998-01-14
JP568898A JPH11200413A (ja) 1998-01-14 1998-01-14 バックホ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547A KR19990062547A (ko) 1999-07-26
KR100363487B1 true KR100363487B1 (ko) 2004-03-20

Family

ID=2633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560A KR100363487B1 (ko) 1997-12-09 1998-10-31 백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63487B1 (ko)
DE (1) DE19856375A1 (ko)
FR (1) FR2772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9416B2 (ja) * 1999-10-07 2003-04-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WO2001083895A1 (fr) * 2000-05-01 2001-11-08 Yanmar Co., Ltd. Engin pivotant
DE102004038994A1 (de) * 2004-08-10 2006-02-23 Bauunternehmen Echterhoff Gmbh & Co. Kg Fahrbarer Bagger, insbesondere Minibag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4123A (ja) * 1990-11-26 1992-07-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旋回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855A (en) * 1987-05-15 1988-09-20 Kubota Ltd. Backhoe vehicle
JP2809250B2 (ja) * 1992-09-24 1998-10-08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ウ
JP3050500B2 (ja) * 1994-12-27 2000-06-1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カバー体のロック装置
JP3572719B2 (ja) *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H09144066A (ja) * 1995-11-29 1997-06-03 Kubota Corp バックホー
JPH09302722A (ja) * 1996-05-15 1997-11-25 Komatsu Ltd パワーショベルの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4123A (ja) * 1990-11-26 1992-07-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旋回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56375A1 (de) 1999-06-17
KR19990062547A (ko) 1999-07-26
FR2772057B1 (fr) 2001-04-20
FR2772057A1 (fr) 199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9153B1 (en) Swiveling utility machine having swivel deck
EP1707688B1 (en) Swiveling work machine
JP4075661B2 (ja) 作業機械
JP3409559B2 (ja) 建設機械のフロアプレート構造体
JP2006144456A (ja) 旋回作業機
KR100363487B1 (ko) 백호
JP3533077B2 (ja) 建設機械用ガードカバー
JPH09296481A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上部旋回体の機器取付構造
JP2945576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3673683B2 (ja) 旋回作業機
JP3691750B2 (ja) 旋回作業機
JP3697370B2 (ja) 旋回作業機
JP2001012246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ラジエータ防塵ネットの着脱構造
JP2938782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H10140613A (ja) 建設機械
JP2010185215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H11200413A (ja) バックホー
JP3143353B2 (ja) 建設機械のマフラー装置
JPH09268597A (ja) バックホウの原動部構造
JP4484573B2 (ja) 旋回作業機
JPS6322199Y2 (ko)
JP3294086B2 (ja) バックホウ
JP2001348911A (ja) 旋回作業機
JP3148637B2 (ja) 建設作業機における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3682006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