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934B1 - 커넥터에접속가능한컨덕터단부를구비한플랫케이블 - Google Patents

커넥터에접속가능한컨덕터단부를구비한플랫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934B1
KR100360934B1 KR1019950022237A KR19950022237A KR100360934B1 KR 100360934 B1 KR100360934 B1 KR 100360934B1 KR 1019950022237 A KR1019950022237 A KR 1019950022237A KR 19950022237 A KR19950022237 A KR 19950022237A KR 100360934 B1 KR100360934 B1 KR 10036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terminals
conductor strips
condu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145A (ko
Inventor
미야사카에이이치
스기타다카오
나카가와지히로
아코히로마사
와타나베겐지
기시다카후미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789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10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46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83650A/ja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2Branch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63Jumpers, i.e. non-printed cross-ov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하나의 금속포일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되고 절연쉬트내에 피복된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을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일단부에서 두 갈래진 부분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접혀짐으로써 하나의 두 갈래진 부분의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가 또다른 두 갈래진 부분의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 사이에 삽입되고 따라서 정렬된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의 순서가 변경가능하다. 그러므로, 컨덕터의 교차가 요구되는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하나의 플랫 케이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컨덕터 단부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발명은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가능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포일(foll)형상 컨덕터 스트립과 상기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식으로 피복되어 있는 절연 쉬트로 구성되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설명)
상기 언급된 종류의 플랫 케이블은 여러 전기부품들을 접속하기 위해 자동차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경우에, 금속 포일은 복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구멍이 뚫어지게 되며 이 컨덕터 스트립은 적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PET 와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절연막 사이에 끼워진다.
최근에 전기부품의 수가 증가되어 왔으며 회로배열은 매우 복잡해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하나의 플랫 케이블에 의해 커넥터들을 서로 전기접속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경우에 상이한 구조를 갖는 여러 종류의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어 왔다. 이것은 회로배열의 설계, 제조 및 케이블 설비공정이 복잡해지기 쉽고 또한 공정 단계의 수가 증가되어 제조효율이 감소되는 결과로 된다. 따라서, 제조 코스트가 증가된다.
제 1도는 단자(a1, a2, a3, a4 및 a5) 가 괄호에 표시된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 제 1커넥터(1) 와 단자(b5, b4, b1, b2 및 b3) 가 괄호에 표시된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 제 2커넥터(2) 가 있는 회로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동일 번호를 갖는 제 1 및 제 2커넥터(1, 2)의 단자는 서로 접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즉, 제 1커넥터(1) 의 단자(a1)은 제 2커넥터(2) 의 단자(b1)와 접속되어야 하고, 제 1커넥터(1) 의 단자(a2)는 제 2커넥터(2) 의 단자(b2)와 접속되어야 하는 등이다. 만일 제 1 및 제 2커넥터(1, 2) 의 대응단자들이 하나의 플랫 케이블 Fc)에 의해 접속된다면, 플랫 케이블은 컨덕터 스트립(c1-c5) 중의 몇몇은 서로 교차되는 컨덕터 스트립(c1-c5) 을 갖는다.
즉,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컨덕터 스트립(c4 및 c5)는 다른 컨덕터 스트립(c1-c3) 과 교차되고 또한 컨덕터 스트립(c4 및 c5)은 서로 교차되어야 한다.
제 1도에 도시된 회로배열은 자동차에 때때로 사용된다. 자동차의 경우에 주장구는 상이한 종류의 부품의 수 및 제조 코스트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의 상이한 부분 혹은 상이한 종류의 자동차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예를들면, 단자(a4 및 a5) 에 접속되어져야 하는 내부도어 유니트는 단자(b1-b3) 밑에 위치한다. 이러한 기본구조 혹은 사양에서, 내부도어 공간내의 레이아웃으로 인해 상이한 종류의 차 또는 사양에서 단자(b4 및 b5) 를 단자(b1-b3) 위에 배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지된 하나의 플랫 케이블에 의해 커넥터(1 및 2) 사이를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하나는 단자(a1, a2 및 a3) 를 단자(b1, b2 및 b3) 에 각각 접속하는 패턴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단자(a4 및 a5) 를 단자(b4 및 b5) 에 각각 접속하는 패턴을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플랫 케이블이 요구된다.
제 2도에 예시된 공지된 플랫 케이블에서, 플랫 케이블(6) 의 일단부는 제 1커넥터(3) 의 단자(d1, d2, d3, d4, d5 및 d6) 에 접속가능한 단부단자를 포함하며, 이 플랫 케이블의 다른 단부는 제 2커넥터(4) 의 단자(e1 및 e5) 에 접속가능한 제 1세트의 단부단자와 제 3커넥터(5) 의 단자(e3, e1, e2 및 e6) 에 접속가능한 제 2세트의 단부단자를 갖는다.
또한 이 경우에, 플랫 케이블(6) 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은 서로 교차되어져야 하며, 따라서 하나의 플랫 케이블에 의한 제 1커넥터(3) 와 제 2 및 제 3커넥터(4, 5)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곤란하다. 즉, 제 1커넥터(1) 를 제 2 및 제 3커넥터(4, 5)에 접속시키기 위해, 제 l커넥터(3)의 단자(d4및 d5)를 제 2커넥터(4)의 단자(e4 및 e5) 에 접속시키는 제 1플랫 케이블과 제 1커넥터(3) 의 단자(d3, d1, d2 및 d6)를 제 3 커넥터(5) 의 단자(e3, e1, e2 및 e6) 에 접속시키는 제 2플랫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서 컨덕터 스트립의 교차가 요구될 때, 하나의 플랫 케이블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며, 따라서 복수의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어져야 한다. 그리므로, 회로배열이 복잡해지게 될때, 상이한 구조로 된 복수의 플랫 케이블이 요구된다. 따라서, 설계단계의 수는 증가되며 플랫 케이블의 설비 공정은 부담이 된다. 더욱이, 플랫 케이블의 종류의 수가 증가될 때, 플랫 케이블의 제조를 위한 블랭킹 다이의 수는 따라서 증가하며, 따라서 제조 코스트가 증가된다.
(발명의 요약)
본발명은 컨덕터 스트립의 교차를 필요로 하는 전기적 접속의 경우에도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새롭고 유용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커텍터의 단자에 접속가능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과 상기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식으로 피복되어 있는 절연쉬트로 구성되는 플랫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포일 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end terminals)의순서가 변경되도록 상기 단부의 에지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라인에 대해 접혀진 두 갈래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인접한 단부단자 사이의 간격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넓혀지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두 갈래진 부분이 접혀짐으로써 이 두 갈래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단자가 상기 공간내에 위치된다.
본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르면,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가능한 단부를 갖는 복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과 상기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식으로 피복되어 있는 절연쉬트로 구성되는 플랫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복수개의 두 갈래진 부분이 형성되고, 이 복수개의 두 갈래진 부분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가 복수개의 단부단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단말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단부단자가 다른 하나의 단부단자 위에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두 갈래진 부분이 접혀지고, 상기 단말부는 복수개 단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단부는 각각이 두 갈래진 부분의 단부단자 어레이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 하우징은 클램핑에 의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 3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주요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 3도에서의 커넥터(15)는 제 l도에 도시된 커넥터(1) 와 동일하며 커넥터(15)에는 단자(al, a2, a3, a4 및 a5) 가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다. 커넥터(16)는 제 1도에서의 커넥터(2) 와 동일하며 단자(b5, b4, b1, b2 및 b3) 가 괄호 안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동일한 번호를 갖는 단자들은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c1, c2, c3, c4 및 c5)을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1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짐을 유의해야 한다.
플랫 케이블(17)의 일단부에서, 커덕터 스트립(c1, c2, c3, c4 및 c5) 의 단부단자는 괄호안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대로 커넥터(15)의 단자(a1, a2, a3, a4 및 a5) 가 정렬된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정렬된다. 플랫 케이블(17)의 다른 단부에서, 두 갈래진 단부(17')로써, 컨덕터 스트립(c1, c2 및 c3) 의 단부단자는 제 1세트의 단부단자를 형성하며 컨덕터 스트립(c4 및 c5) 의 단부단자는 제 2세트의 단부단자를 형성한다. 컨덕터 스트립(c1, c2 및 c3) 의 단부단자는 커넥터(16)의 단자(b1-b5) 가 배열된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며, 두 갈래진 단부(17') 의 컨덕터 스트립(c4 및 c5) 의 단부단자는 상기 피치만큼 서로 분리된다.
본발명에 따라, 두 갈래진 단부(17) 는 제 3도에서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컨덕터 스트립(c1-c3) 의 단부단자 위의 라인(A-A) 을 따라 접혀짐으로써 컨덕터 스트립(c4 및 c5)의 단부단자는 컨덕터 스트립(c1-c3) 의 각부단자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덕터 스트립(c5, c4, c1, c2 및 c3) 의 단부단자는 상기 피치로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되며, 따라서 커넥터(16)의 단자(b5, b4, b1, b2 및b3) 에 접속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에서, 일단부에서 컨덕터 스트립(c1, c2, c3, c4 및 c5) 의 단부단자는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되며, 다른 단부에서 컨덕터 스트립(c5, c4, c1, c2 및 c3) 의 단부단자는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컨덕터 스트립의 교차를 표함하는 커넥터(15 및 16) 사이에 주어진 전기적 접속은 하나의 플랫 케이블(17)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4도 및 제 5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제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플랫 케이블(22)은 제 1 및 제 2커넥터(20 및 21)와 제 3커넥터(2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데 사용되며, 복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F1, F2, F3,.. F6)으로 이루어진다. 제 1커넥터(20)는 단자(d3, d1, d2 및 d6) 가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으며, 제 2커넥터(21)는 단자(d4 및 d5)를 가지며 제 3커넥터(23)는 단자(e1, e2, e3, e4, e5 및 e6) 가 괄호 안의 순서대로 구성된다.
플랫 케이블(22)은 컨덕터 스트립(F3, F1, F2 및 F6) 을 포함하는 메인부분(22a), 컨덕터 스트립(F5 및 F4) 을 포함하는 제 1의 갈래진 단부(22b), 컨덕터 스트립(F5, F4 및 F3)을 포함하는 제 2의 두 갈래진 단부(22c) 및 컨덕터 스트립(Fl, F2 및 F6) 을 포함하는 제 3의 두 갈래진 단부(22d) 로 구정된다.
매인부분(22a) 의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는 제 1커넥터(20)의 단자에 접속되어지며 제 1의 두 갈래진 부분(22b) 의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는 제 2커넥터(21)의 단자에 접속되어진다. 제 2의 두 갈래진 부분(22c) 의 컨덕터 스트립(F5,F4 및 F3) 의 단부단자와 제 3의 두 갈래진 부분(22d) 의 컨덕터 스트립(F1, F2 및 F6) 의 단부단자는 제 3커넥터(23)의 단자에 접속되어진다. 제 3의 두 갈래진 부분(22d) 에서, 컨덕터 스트립(F1, F2 및 F6) 은 컨덕터 스트립(F2 및 F6) 의 단부단자 간격이 되도록 배열되고, 컨덕터 스트립의 3개의 단부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발명에 따라, 제 2의 두 갈래진 부분(22c) 이 제 3의 두 갈래진 부분(22d) 위의 라인 (B-B) 에 대해 접혀짐으로써 제 2의 두 갈래로 된 부분(22c) 의 컨덕터 스트립(F3, F4 및 F5) 의 단부단자가 제 3의 두 갈래로 된 부분(22d) 의 컨덕터 스트립(F2 및 F6)의 단부단자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라인(A-A) 은 단부단자의 에지에 수직으로 신장되어져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제 5도는 상기 설명한 접혀지는 동작이 있는 후의 플랫 케이블(22)을 도시한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커넥티(23)에 접속되는 플랫케이블(22)의 단부에서, 커넥터 스트립(Fl, F2, F3, F4, F5 및 F6)의 단부단자는 괄호 안의 순서대로 정렬되며, 따라서 컨덕터 스트립(Fl-F6) 의 이러한 단부단자는 제 3커넥터(23)의 대응단자(e1-e6) 에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3커넥터(23)에 접속가능한 단부에서 컨덕터 스트립(Fl-F6) 의 단부단자는 하나의 평면상에 정렬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후, 컨덕터 스트립(Fl-F6) 의 단부단자는 도시되지 않은 합성수지로 된 하우징에서 금속단자와 접속된다.
제 6도 및 제 7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제 2실시예를 예시한다.
제 1실시예에서, 컨덕터 스트립(Fl-F6) 의 단부단자가 주어진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제 2의 두 갈래진 부분(22c) 을 제 3의 두 갈래진 부분(22d) 위로 접은 후에, 단부단자는 금속단자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혀지는 동작에 앞서, 플랫 케이블(31)의 두 갈래진 부분(3la 및 31b)의 단부단자는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커넥터 하우징(32a 및 32b)내의 금속단자(33a 및 33b)에 먼저 접속된다.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각각 금속단자(33a 및 33b)에 접속될 수 있다.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를 금속단자(33a 및 33b)에 용접한 후, 접속된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32a 및 32b)을 형성하기 위해 합성수지 몰딩에 의해 고정된다.
그후 두 갈래진 부분(31b) 은 제 6도에서의 라인(c-c) 에 대해 두 갈래진 부분(31a) 위로 접혀짐으로써 커넥터 하우징(32b) 은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 하우징(32a)위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금속단자(33a 및 33b)는 두개의 어레이 커넥터를 형성한다.
커넥터 하우징(32a 및 32b)은 동일 폭을 가지며, 따라서, 이 커넥터 하우징은 정렬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커넥터 하우징(32a 및 32b)은 합성수지 몰딩에 의해 하나의 하우징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34)에 플랫 케이블을 접속함과 동시에, 금속단자(33a 및 33b)는 두 개의 어레이로 배열된 대응구멍(34a 및 34b)에 삽입된다. 각각의 구멍(34a 및 34b)에서, 금속 리셉터클이 제공되며 이 금속 리셉터클은 각각의 컨덕터(35)의 단부와 접속된다.
그러므로, 금속단자(33a 및 33b) 를 구멍(34a 및 34b) 속에 삽입으로써, 금속단자는 커넥터(34)의 대응금속 리셉터클에 삽입된다. 커넥터 하우징(32a 및 32b)은 이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34)로 클램프될 수 있는 구조로 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커넥터 하우징(32a, 32b) 및 커넥터(34)는 함께 클램핑됨으로써, 플랫 케이블의 컨덕터 스트립은 주어진 컨덕터(35)에 접속될 수 있다.
본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인식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 6도 및 제 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랫 케이블의 두개의 두 갈래진 부부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접혀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중의 하나가 다른 커넥터 하우징 위에 위치되는 커넥터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두개 이상의 두 갈래진 부분중의 하나가 다른 두 갈래진 부분 위로 접혀질 수 있다. 즉, 본발명에 따라 복수의 단부단자 어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실시예에서, 두 갈래진 부분은 복수의 라인에 대해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에서, 플랫 케이블의 두 갈래진 부분은 접혀지게 됨으로써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플랫 케이블의 두 갈래진 부분이 접혀짐으로써 복수의 커넥터 하우징중의 하나가 다른 커넥터 하우징 위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로 배열의 설계가 단순해지고 컨덕터 스트립의 교차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은 간소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의 제조단가의 감소가 가능하다. 더욱이, 다양한커넥터 간의 원하는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되어야 할 플랫 케이블의 종류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제 1도는 컨덕터의 교차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속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2도는 공지된 플랫 케이블을 예시하는 평면도,
제 3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주요 구조를 묘사하는 개략도,
제 4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제 5도는 본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제 2실시예를 표현하는 개략 평면도,
제 6도는 접는 동작전에 본발명에 따라 플랫 케이블의 제 3실시예의 단부를 예시하는 투시도,
제 7도는 접는 동작 후에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도시하는 투시도.

Claims (5)

  1. 커넥터의 단자에 연결가능한 단부 단자를 갖는 복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과, 상기 컨덕터 스트립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단부 단자를 제외한 상기 컨덕터 스트립이 내장된 절연 시트를 구비하는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적어도 한 공간이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상기 단부 단자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포함하지 않는 플랫 케이블의 상기 단부의 일부분은 플랫 케이블의 단부의 상기 접혀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단자가 상기 공간에 배치되도록 포일 형상 컨덕터 스트립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접혀지고, 이에따라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상기 단부 단자의 순서가 변경되어, 모든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 단자가 단일 평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단부의 상기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형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인접한 포일형상 컨덕터 스트립의 단부 단자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은 제1, 제2 및 제3 포일형상컨덕터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포일 형상 컨덕터 스트립은 맨처음에 상기 제1, 제2 및 제3 컨덕터 스트립간에 형성된 간격을 이루어 상기 제2 컨덕터 스트립, 상기 제1 컨덕터 스트립 및 상기 제3 컨덕터 스트립의 순서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접혀진 부분은 상기 제2 컨덕터 스트립과 제1 컨덕터 스트립 사이에 배열되고, 이에따라 상기 단부가 접혀진 후, 상기 제1, 제2 및 제3 컨덕터 스트립은 상기 제1 컨덕터 스트립, 상기 제2 컨덕터 스트립 및 상기 제3 컨덕터 스트립의 순서로 직선을 이루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5.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단부를 갖는 플랫 케이블로서 서로 절연된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이 터미네이팅되는 단부, 및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이 병렬로 배열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에 평행한 방향으로 접혀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배열되고, 이에따라 상기 플랫 케이블의 단부가 상기 접혀진 부분을 따라 접혀졌을 때 상기 단부내의 상기 복수의 컨덕터 스트립은 단일 평면내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KR1019950022237A 1994-07-29 1995-07-26 커넥터에접속가능한컨덕터단부를구비한플랫케이블 KR100360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7898 1994-07-29
JP19789894A JP3331058B2 (ja) 1994-07-29 1994-07-29 フラットケーブル
JP94-246875 1994-09-13
JP6246875A JPH0883650A (ja) 1994-09-13 1994-09-13 フラット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45A KR960006145A (ko) 1996-02-23
KR100360934B1 true KR100360934B1 (ko) 2003-01-24

Family

ID=2651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237A KR100360934B1 (ko) 1994-07-29 1995-07-26 커넥터에접속가능한컨덕터단부를구비한플랫케이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51694A (ko)
EP (1) EP0694927B1 (ko)
KR (1) KR100360934B1 (ko)
DE (1) DE69512162T2 (ko)
GB (1) GB22920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675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하드웨어의 해킹 방지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371A (en) * 1998-05-20 1999-1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old flex electrical connector
EP1039788B1 (en) * 1999-03-26 2006-04-19 Seiko Epson Corporatio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6405843B1 (en) * 2000-05-19 2002-06-18 Pri Automation, Inc. Self supporting cable for use with linear motion devices
JP4047535B2 (ja) * 2000-12-15 2008-0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の電気的接続構造
DE10138834A1 (de) * 2001-08-14 2003-04-03 Hirschmann Austria Gmbh Rankwe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Verbindung von zumindest zwei Anschlussstellen
JP3794556B2 (ja) * 2001-12-03 2006-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配線材を積層した積層配線材
EP1351337B1 (de) * 2002-03-09 2005-04-13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einem Gehäuse mit geschlitzten Stegen
DE10235311B4 (de) * 2002-08-01 2006-09-28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Flexibles Leiterelement
DE10238884A1 (de) * 2002-08-24 2004-03-0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onische Baugruppe
DE20218891U1 (de) * 2002-12-05 2004-04-15 Ghw Grote & Hartmann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7011148A1 (de) * 2007-03-07 2008-09-1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Kabelbaum und Verfahren zum Montieren des Kabelbaums
DE102010062885A1 (de) * 2010-12-13 2012-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 leitende Verbindung
CN102752954A (zh) * 2011-04-22 2012-10-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及采用该柔性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
DE102012100663A1 (de) * 2012-01-26 2013-08-01 Sumida Flexible Connections Gmbh Flexibler elektrischer Verbinder
CN207369413U (zh) * 2017-09-27 2018-05-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路板、显示驱动装置及显示装置
US10431906B1 (en) * 2018-07-12 2019-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wiring harness flat cable end termination
WO2020121434A1 (ja) * 2018-12-12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及び荷姿形態の配線部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0540A (en) * 1971-11-08 1974-04-18 Amp Inc Flexible flat cable and electrical assemblies
DE2743648A1 (de) * 1977-09-28 1979-03-29 Siemens Ag Aufnahmevorrichtung zur aufnahme von mit gedruckten schaltungsplatten bestueckten gehaeusen der elektrischen nachrichtenuebertragungstechni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1638A (ko) * 1973-02-23 1976-10-06
US4065199A (en) * 1977-02-11 1977-12-27 Methode Electronics, Inc. Flat cable wiring harnes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934956A (en) * 1988-07-27 1990-06-19 Csl Lighting, Inc. Low voltage lighting stri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3155070A (ja) * 1989-11-10 1991-07-03 Fukuda Denshi Co Ltd シート電極コネクタ
US5265322A (en) * 1990-02-05 1993-11-30 Motorola, Inc. Electronic module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4206374A (ja) * 1990-11-30 1992-07-28 Canon Inc プリント基板の接続装置
US5281765A (en) * 1992-05-27 1994-01-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ing assembly for equip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0540A (en) * 1971-11-08 1974-04-18 Amp Inc Flexible flat cable and electrical assemblies
DE2743648A1 (de) * 1977-09-28 1979-03-29 Siemens Ag Aufnahmevorrichtung zur aufnahme von mit gedruckten schaltungsplatten bestueckten gehaeusen der elektrischen nachrichtenuebertragungstechni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675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하드웨어의 해킹 방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4927A1 (en) 1996-01-31
KR960006145A (ko) 1996-02-23
GB9515435D0 (en) 1995-09-27
DE69512162T2 (de) 2000-02-24
GB2292019A (en) 1996-02-07
EP0694927B1 (en) 1999-09-15
DE69512162D1 (de) 1999-10-21
GB2292019B (en) 1998-10-28
US5651694A (en)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934B1 (ko) 커넥터에접속가능한컨덕터단부를구비한플랫케이블
AU594025B2 (en) Wire harness for automobile
US667054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 vehicle
EP0734097B1 (en) A circuit memb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EP1669247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950034297A (ko) 와이어 하니스 및 그 제조방법
JPS643031B2 (ko)
CN1247401A (zh) 电气连接盒
US6368142B2 (en) Interlayer connection structure
US6533604B2 (en) Connector terminals for a junction connector used in wire harnesses
US6832930B2 (en) Method of arranging circuit members of electric connection box and circuit member-arranging structure using arranging method
US6241549B1 (en) Pressure-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ion box containing pressure-contact terminals
JPH0628727Y2 (ja) ワイヤ−ハ−ネス用回路体
JP2002305063A (ja) 導体配索構造及び該構造を用いた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048082B2 (ja) 相互接続組立体
JP333105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3240852B2 (ja) 平型多心電線
JP3981253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H07169526A (ja) コネクタ
JPH07288148A (ja) 接続端子
JP2924657B2 (ja) 電気接続箱の配線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配線構造
JPH0451480A (ja) 電線直結型電気接続箱および圧接治具
JP2001298832A (ja) 電線の保持構造
JPH04289612A (ja) テープ電線
JPH04289613A (ja) テープ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