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583B1 -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583B1
KR100360583B1 KR1020000021902A KR20000021902A KR100360583B1 KR 100360583 B1 KR100360583 B1 KR 100360583B1 KR 1020000021902 A KR1020000021902 A KR 1020000021902A KR 20000021902 A KR20000021902 A KR 20000021902A KR 100360583 B1 KR100360583 B1 KR 10036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concentrate
temperature
sea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642A (ko
Inventor
정현종
박근종
박형석
김박
Original Assignee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트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앨트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5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additionally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을 효소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한 후, 그 분해산물에 각종 미네랄을 첨가하여 해삼에 존재하지 않거나 부족한 무기 성분을 강화함으로써, 해삼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적 및 약리학적 기능을 향상시킨 미네랄 강화 해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해삼추출물에는 아연을 비롯한 각종 필수 미네랄 성분이 강화됨으로써 전립선 기능 향상, 관절염 개선, 면역력 증강, 호르몬 합성 능력 강화, 지방대사 능력 강화 등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of Mineral Fortified Sea-Cucumber Extract}
고대 이래 해삼을 식용으로 사용한 예는 많으나 해삼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적 분석 및 연구는 19세기 이후인 근대에 와서야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한국, 중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옛부터 해삼이 진액을 보하는 약으로 당뇨병, 천식 등에 효과가 탁월하고 여름에 온도 상승으로 땀을 많이 흘려 기력상실과 허탈상태에 빠졌을 때 기력을 되찾을 수 있는 약으로 알려져 있다. 해삼에 관한 한국의 옛 문헌을 보면, [물보]에서는 물에 사는 생물족으로 분류하고 '해남자(海男)'라고 한 바 있으며, [전어지]에서는 '해삼은 성이 온하고 몸을 보하는 바 그 효력이 인삼과 맞먹는다'고 한 바 있고, [자산어보]에서는 해삼이 전복, 홍합과 함께 세가지 재물중 하나라고 한 바 있으며, [규합총서]에는 열구자탕과 어채로 해삼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해삼은 몸의 일부가 절단되었을 경우 3개월만에 절단부위가 원상 복귀되고, 내장이 제거되어도 1개월만에 새로운 내장이 생기는 놀라운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방과 민간요법에서는 해삼이 인체 단핵세포와 거식세포의 담식능력을 제고시켜 면역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상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대과학에 의하여 해삼에 단백질과 비타민 B류가 풍부하고 요오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각종 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콘드로이틴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식용 및 약용으로 겸용되고 있는 해삼은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어져 온 수산 건강식품으로서 그 동안 자양강장과 보신용 식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한국 특허등록 제 10-0244564호에 해삼을 볏짚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그 발효물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분말화한 발효식품이 개시된 바 있으며, 한국 특허등록 제 10-0167831호에는 해삼을 수용액 상에서 추출한 후 알콜로 분별 침전시켜 콘드로이틴황산 함유 추출물을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도 있다.
이와 같은 해삼의 생체 구성 성분을 살펴보면, 수분 90.5±1.5%, 단백질 3.2±1.4%, 지방 0.3±0.2%, 탄수화물 2.2±0.2%, 회분 3.5±0.2% 등을 비롯하여 각종 미네랄류와 비타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의 조성은 해삼의 계절적인 식이습관의 차이, 개체연령과 서식지역의 차이에 따라 변동폭이 심하게 나타나는데(Castell 등 1966, Dhew 1972, Mottet 1976, Sidwell 1981), 일반적으로생 해삼을 건조하면 단백질 30%, 지방 3.5%, 탄수화물 25%, 회분 36%의 성분을 가지게 된다.
한편, 종래 생 해삼을 건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한국 특허공고 제 97-7938호 및 제 92-4448호 에서 각각 생 해삼을 단백질 응고제로서 암모니아수에 침지하는 방법 및 pH 4-6의 산성용액에 침지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택함으로써, 해삼의 원형을 보기 좋게 보존하기는 하였으나, 식용시 소화 흡수를 하는 데에는 효과가 별로 개선된 바 없었으며, 한국 출원 제 99-0003595호에 의한 해삼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서는 일반적인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해삼에 있는 단백질만을 분해한 바 있는데, 이와 같이 해삼 원형을 보존하거나 단백질 성분을 단순 분해하는 것이 이제까지의 해삼 가공의 수준이었다.
그러나, 해삼이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한 요오드 이외에도 칼슘이 134mg/100g, 인이 24mg/100g 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K, Zn, Mg, Cu, Fe 등은 상대적으로 미량 함유하고 있는데(Teeny 등 1984, Gordon 등 1977, 최 등 1985, 양 등 1982, Anthony 등 1983, Lee 등 1994, 小島 등 1990), 이중에서도 특히 아연은 전립선 기능의 개선, 관절염 증상의 개선, 지방대사의 개선에 의한 여드름 발생 방지, 면역체계의 증강, 호르몬의 합성, 단백질 및 핵산의 합성 등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네랄이다.
이에 따라 해삼을 식용 또는 약용을 목적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부족 원소들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그 효능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해삼을 그대로 복용할 경우 분자량이 큰 관계로 이를 소화 흡수시키는비율이 낮으므로 생 해삼 가공시 이점 역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생 해삼 가공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해삼이 원래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들, 구체적으로 요오드, 칼슘, 인, 콘드로이틴황산 이외에 해삼에 없거나 부족한 성분들, 구체적으로 K, Zn, Cu, Mg, Fe 등의 미네랄을 강화시킨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한 해삼을 건조한 후 분쇄하고,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해삼 분말을 용해시키고,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효소를 실활시킨 후 유기산으로 중화하고, 여과하여 거대분자 단백질을 제거하고, 적당한 미네랄을 첨가하고, 재여과한 후 농축 및 균질화하고 건조함으로써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해삼을 효소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한 후, 그 분해산물에 각종 미네랄을 첨가하여 해삼에 존재하지 않거나 부족한 무기 성분을 강화함으로써, 해삼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적 및 약리학적 기능을 향상시킨 미네랄 강화 해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공정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양질의 해삼 원물을 수분 함량 7% 이하가 되도록 40∼60℃의 진공건조기에서 5∼12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해삼을 분쇄기에서 40 mesh 정도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8.8∼9.8로 조정한 수용액에 이 분말을 투입하고, 70∼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10시간 교반한다. 이와 같이 가열 및 교반됨으로써 최대한 분산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한다.
이렇게 살균처리된 해삼농축액을 40∼60℃로 냉각시킨 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Alcalose)로 4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킨다. 가수분해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20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젖산(Lactic acid) 또는 초산(Acetic acid)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pH가 6.5∼7.0이 되도록 중화시킨다.
중화된 해삼농축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저분자화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삼농축액 기준으로 ZnO를 1.5∼5%, MgCl2를 0.3∼4%, 유청칼슘을 4.5∼15%, CaCO3를 1.5∼18%, FeSO4를 0.5∼15%, 젖산철을 0.2∼14%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미네랄이 첨가된 해삼농축액을 재여과한 후, 60∼6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Brix∼45Brix(35∼45%W/W)로 진공농축(진공도 600∼650mmHg)하고, 균질기에서 100∼150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시킨다.
균질화가 완료된 해삼농축액을 약 70℃의 온도에서 분무건조(Spray drying) 또는 동결건조(Freeze drying) 함으로써 미네랄 강화 해삼 농축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되면서, 해삼을 분해한 분해산물에 각종 미네랄을 첨가하여 해삼에 존재하지 않거나 부족한 무기 성분을 강화함으로써, 해삼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적 및 약리학적 기능을 향상시킨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전립선 기능 향상, 관절염 개선, 면역력 증강, 호르몬 합성 능력 강화, 지방대사 능력 강화 등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 해삼추출물이 제공되어 식품학적 또는 약학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해삼 원물을 수분 함량 7% 이하가 되도록 40∼60℃의 진공건조기에서 5∼12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해삼을 분쇄기에서 40 mesh 정도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8.8∼9.8로 조정한 수용액에 이 분말을 투입하고, 70∼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10시간 교반하고, 분산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하고, 살균처리된 해삼농축액을 40∼60℃로 냉각시킨 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Alcalose)로 4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키고, 가수분해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20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유기산인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pH가 6.5∼7.0이 되도록 중화시키고, 중화된 해삼농축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저분자화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한 후,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미네랄 성분으로서 ZnO, MgCl2,유청칼슘, CaCO3,FeSO4및 젖산철을 각각 1.5∼5%, 0.3∼4%, 4.5∼15%, 1.5∼18%, 0.5∼15% 및 0.2∼14%의 양으로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미네랄이 첨가된 해삼농축액을 재여과한 후, 60∼6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Brix∼45Brix(35∼45%W/W)로 진공농축(진공도 600∼650mmHg)하고, 균질기에서 100∼150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시킨 후, 균질화가 완료된 해삼농축액을 65℃∼75℃의 온도에서 분무건조(Spray drying) 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해삼 원물을 수분 함량 7% 이하가 되도록 40∼60℃의 진공건조기에서 5∼12시간 건조한 후, 건조된 해삼을 분쇄기에서 40 mesh 정도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8.8∼9.8로 조정한 수용액에 이 분말을 투입하고, 70∼8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10시간 교반하고, 분산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하고, 살균처리된 해삼농축액을 40∼60℃로 냉각시킨 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Alcalose)로 4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시간 동안 가수분해시키고, 가수분해된 해삼농축액을 100℃에서 20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유기산인 젖산(Lact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pH가 6.5∼7.0이 되도록 중화시키고, 중화된 해삼농축액을 필터로 여과하여 저분자화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한 후, 5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미네랄 성분으로서 ZnO, MgCl2,유청칼슘, CaCO3,FeSO4및 젖산철을 각각 1.5∼5%, 0.3∼4%, 4.5∼15%, 1.5∼18%, 0.5∼15% 및 0.2∼14%의 양으로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미네랄이 첨가된 해삼농축액을 재여과한 후, 60∼6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5Brix∼45Brix(35∼45%W/W)로 진공농축(진공도 600∼650mmHg)하고, 균질기에서 100∼150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시킨 후, 균질화가 완료된 해삼농축액을 -35℃∼-45℃의 온도에서 동결건조(Freeze drying) 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00021902A 2000-04-25 2000-04-25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36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902A KR100360583B1 (ko) 2000-04-25 2000-04-25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902A KR100360583B1 (ko) 2000-04-25 2000-04-25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642A KR20010097642A (ko) 2001-11-08
KR100360583B1 true KR100360583B1 (ko) 2002-11-13

Family

ID=1966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902A KR100360583B1 (ko) 2000-04-25 2000-04-25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5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20B1 (ko) 2010-02-09 2012-09-12 원진수산영어조합법인 카텝신 엘을 사용하여 해삼을 분해하는 방법
KR101711703B1 (ko) 2014-10-27 2017-03-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삼 콜로이드 음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조성물
KR20230153049A (ko) 2022-04-28 2023-11-06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홍삼 효소 전환물과 해삼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성 복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28B1 (ko) * 2002-03-08 2005-03-10 양대윤 해삼을 주재로한 보건 식품의 제조방법
KR20070105714A (ko) * 2006-04-27 2007-10-31 이주석 해삼펩타이드 캡슐의 제조방법
KR101289290B1 (ko) * 2010-12-08 2013-07-24 유한회사 해원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087875B1 (ko) * 2019-03-28 2020-03-11 한국식품연구원 우렁이를 이용한 이온화 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칼슘 강화 김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20B1 (ko) 2010-02-09 2012-09-12 원진수산영어조합법인 카텝신 엘을 사용하여 해삼을 분해하는 방법
KR101711703B1 (ko) 2014-10-27 2017-03-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삼 콜로이드 음료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조성물
KR20230153049A (ko) 2022-04-28 2023-11-06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홍삼 효소 전환물과 해삼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성 복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642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247B1 (ko)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조성물
KR20070105714A (ko) 해삼펩타이드 캡슐의 제조방법
KR101773252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98846B1 (ko)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말
JP2001333731A (ja) 免疫賦活用食品。
KR20170061851A (ko) 한약재를 이용한 닭가슴살 제조방법
KR100360583B1 (ko)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55112A (zh) 一种血蛤补血产品的制备方法
CN105961837A (zh) 一种黑鱼饲料添加剂
CN107484984B (zh) 一种富含海参活性多糖的刺参口服液及其制造方法
WO2009102191A1 (en) Health supplement composition of sea cucumber
KR102341885B1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29783B1 (ko)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JP2002209553A (ja) 制癌性健康食品及び健康食品添加剤
KR100819491B1 (ko)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082728A (zh) 一种食用蝇幼虫蜂蜜冻干粉及其制备方法
JP2003339346A (ja) 健康食品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937731A (zh) 蜂王幼虫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50035993A (ko) 삼백초를 이용한 육류 및 생선 연화제 소스 제조방법
KR20070036467A (ko) 기능성워터가 함유된 기능성쌀 및 기능성조성물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5012727B (zh) 一种全天然男性性促进剂及其生产工艺
KR102261238B1 (ko)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