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783B1 -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 Google Patents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783B1
KR101229783B1 KR1020110054168A KR20110054168A KR101229783B1 KR 101229783 B1 KR101229783 B1 KR 101229783B1 KR 1020110054168 A KR1020110054168 A KR 1020110054168A KR 20110054168 A KR20110054168 A KR 20110054168A KR 101229783 B1 KR101229783 B1 KR 10122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collagen composition
squid
calciu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935A (ko
Inventor
최선강
심재만
정재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1005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7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 껍질에서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고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증가시키는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전두부 제조과정에 첨가하여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이 인체에 보다 많이 흡수될 수 있도록 제조된 전두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징어 껍질에서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효소의 특성에 최적화된 2단계의 가수분해 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이 보다 많은 저분자의 콜라겐으로 분해되도록 하며, 또한 안전한 해양동물 유래 콜라겐 공급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오징어 가공부산물의 폐기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에 첨가함으로써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이 인체내에서 인과 결합하여 불용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의 유리 아미노산 및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하여 인체의 생리활성효과를 증진하고, 전두부의 저장성과 조직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method for extracting collagen composition from squid's endothelium for improving calcium absorptance, and whole soybean curd containing the collagen composition}
본 발명은 오징어 껍질에서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고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전두부 제조과정에 첨가하여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이 인체에 보다 많이 흡수될 수 있도록 제조된 전두부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섬유상 단백질로서 인간과 동물의 신체적인 구조에 주로 관여하고, 힘줄, 연골, 혈관, 뼈, 피부 등에 널리 존재한다.
콜라겐은 지금까지 주로 소나 돼지의 피부로부터 추출되어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화장품 원료, 상처치료제나 약물전달매체 등의 의약품 원료, 식품산업에서의 젤라틴 제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소나 돼지에서 발병하는 광우병 또는 구제역 등이 인간으로 전염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불안 때문에, 육상동물 유래 콜라겐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 면에서 문제의 소지가 다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좀더 안전한 콜라겐 공급원에 대한 연구가 모색되고 있으며, 질병 전염성이 낮고 상대적으로 원료의 확보가 용이한 해양동물의 껍질, 뼈, 비늘 및 연체동물의 근육 및 껍질에서 얻은 콜라겐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해양동물 중 콜라겐 성분을 많이 함유한 오징어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오징어는 두족류 십완목에 속하는 연체동물로서, 타우린(taurine),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예로부터 회, 건조, 조미, 젓갈 등 여러 가지 식품에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귀, 내장, 어피 등은 오징어 전체소비량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공부산물은 사료 및 퇴비로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어 수산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오징어 가공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으로서, 오징어 가공부산물 중 껍질로부터 콜라겐 성분을 추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안전한 콜라겐 공급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오징어 가공부산물의 폐기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오징어 껍질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식품산업에 이용하는 방안 중에는, 식품제조시 오징어 추출 콜라겐을 첨가하여 식품에 함유된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있다.
칼슘은 골격조직의 성장 및 뼈와 치아의 구성성분일 뿐만 아니라 생체 내 각종 효소의 활성화, 신경흥분의 조절,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심장의 규칙적인 박동 및 혈액응고 등 체내의 생리조절 기능에 작용하는 중요한 무기질이다.
그런데 현대인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증가와 운동부족, 과다한 음주, 흡연, 고지방식, 카페인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칼슘 흡수율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또한 식품에 함유된 칼슘은 인체 내에서 인(phosphorus)과 결합하여 불용화되며 이로 인해 칼슘의 인체흡수율이 더욱 저하된다.
콜라겐은 칼슘과 인의 결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데, 칼슘이 함유된 식품에 콜라겐을 첨가하면 인체 내에서 칼슘과 인이 결합되어 칼슘이 불용화되는 것을 콜라겐이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콜라겐이 칼슘의 불용화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저분자의 콜라겐이 보다 많이 함유되어야 하며, 따라서 오징어 껍질에서 콜라겐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단백질을 보다 많이 저분자로 분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오징어 껍질에서 저분자의 콜라겐 조성물을 보다 많이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에 첨가하여, 전두부에 다량 함유된 칼슘이 인체에 보다 많이 흡수될 수 있는 전두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징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오징어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오징어 껍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징어 껍질분말에 중량기준으로 8~15 배의 0.05~0.20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한 다음, 1~10 ℃에서 12~30 시간 교반하여 오징어 껍질분말 중의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중화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에 물 200~700 중량부 및 뉴트라제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 분간 가수분해하여 1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가수분해물에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 기준 플라보자임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 분간 가수분해하여 2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2차 가수분해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콜라겐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는 분무건조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차 및 2차 가수분해는 pH 6.5~7.5, 온도 45~60 ℃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2차 가수분해물을 90~100 ℃로 5~20 분간 가열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된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를 제공하며, 상기 전두부는 콜라겐 조성물을 0.1~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효소의 특성에 최적화된 2단계의 가수분해 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이 보다 많은 저분자의 콜라겐으로 분해되도록 한다.
또한, 안전한 해양동물 유래 콜라겐 공급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오징어 가공부산물의 폐기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에 첨가함으로써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이 인체내에서 인과 결합하여 불용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의 유리 아미노산 및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하여 인체의 생리활성효과를 증진하고, 전두부의 저장성과 조직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먼저, 오징어 껍질을 준비한 다음 이를 건조 및 분쇄하여 오징어 껍질분말을 제조한다.
오징어는 다리부, 머리부 및 몸통부로 나누어지고, 몸통부는 외투 및 지느러미와 외투강 안쪽의 여러 기관으로 구성되는데, 외투의 표면은 외피와 외피 하부의 내피로 덮여있다.
오징어의 껍질은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며, 생오징어에서 껍질을 분리하거나 오징어 가공공장에서 발생하는 가공부산물 중 껍질을 선별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오징어 껍질분말에 중량기준으로 8~15 배의 0.05~0.20 N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한 다음, 1~10 ℃에서 12~30 시간 교반하여 오징어 껍질분말 중의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한다.
상기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중화하고 수세한다.
상기 중화는 상기에서 사용된 수산화나트륨과 동량의 염산(hydrochloric acid)을 사용하여 중화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에, 물기를 제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200~700 중량부 및 뉴트라제(neutrase)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분간 가수분해하여 1차 가수분해물을 얻는다.
상기 1차 가수분해물에,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에서 물기를 제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플라보자임(flavourzyme)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 분간 가수분해하여 2차 가수분해물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뉴트라제 효소로 1차 가수분해한 후 플라보자임 효소로 2차 가수분해하는 2 단계 과정을 거침으로써, 오징어 껍질에 함유된 단백질이 저분자의 콜라겐으로 보다 많이 분해된다.
상기 1차 및 2차 가수분해시 pH 6.5~7.5, 온도 45~60 ℃로 조정하여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수분해가 완료되면 상기 2차 가수분해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콜라겐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건조과정에서 대부분의 효소의 활성이 제거되나, 효소활성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는 2차 가수분해물을 90~100 ℃로 5~20 분간 가열한 후 건조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는 식품의 통상적인 건조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나, 성분파괴가 적고 수분 농도가 높은 액체의 건조에 유리한 분무건조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건조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되며, 상기 조성물에는 저분자의 콜라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저분자의 콜라겐은 칼슘과 인의 결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칼슘은 인체 내에서 골격조직을 구성하고 생리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무기질로서, 칼슘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면 인체 내에 존재하는 인(P)과 결합하여 불용성으로 되어 인체에 흡수되지 못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이 저하된다.
상기 저분자의 콜라겐은 칼슘과 인의 결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칼슘함유 식품에 본 발명의 콜라겐 조성물을 첨가하면 칼슘의 불용화가 방지되어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얻은 콜라겐 조성물은 칼슘이 함유된 식품이면 제한 없이 두루 이용되어 칼슘의 인체흡수율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칼슘이 많이 함유된 식품 중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서 두부가 있다.
두부의 원료인 대두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성분과 기능적 가치가 높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포화지방산이 적고 다량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며 콜레스테롤이 없어 식이지방 섭취조절 및 성인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양질의 영양식품이다.
두부는 세척한 대두를 물에 충분히 불린 후에 물과 함께 맷돌 등으로 마쇄하고 끓인 다음 응고제를 첨가하여 응고시켜 제조되는데, 마쇄된 대두액에서 비지를 분리·제거한 다음 응고시키는 일반두부보다, 비지를 분리하지 않고 마쇄된 대두액 전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전두부가 좀더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전두부 제조시 마쇄된 대두액에 상기 오징어 껍질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조성물을 첨가하면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의 인체흡수율이 향상됨과 아울러 콜라겐이 전두부의 점탄성을 향상시켜 조직감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오징어 껍질로부터 추출된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에 첨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과자류, 캔디류, 식육제품,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 건강식품, 조미식품 또는 면류에 첨가하여 식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 소재의 오징어 가공공장에서 발생하는 가공부산물을 수거한 다음, 오징어 껍질을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 및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오징어 껍질분말 10 ㎏에 0.1 N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을 가하고 4 ℃에서 24 시간 교반하여 오징어 껍질분말 중의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상기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에 0.1 N 농도의 염산 100 ㎏을 가하여 중화한 다음 수세하였다.
다음은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 5 ㎏(물기를 제외한 껍질분말의 무게만을 기준)에 증류수 25 ㎏을 가한 다음, 뉴트라제 효소 10 g을 첨가하고 120 분간 가수분해하여 1차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상기 1차 가수분해물에 플라보자임 효소 10 g을 첨가하고 120 분간 가수분해하여 2차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상기 가수분해시 pH 7.0, 온도 55 ℃로 조절하였으며, 가수분해가 완료된 2차 가수분해물을 여과지(No2, Advantec Toyo Kaisha 제조, 일본)로 여과하고 분무건조하여 콜라겐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2>
상기 실시예 1에서, 1차 가수분해물 제조시 첨가하는 효소로서, 뉴트라제 효소 대신에 알카라제(alcalase, 비교예 1) 또는 프로타맥스(protamex, 비교예 2) 효소 10 g을 첨가하고 120 분간 가수분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1> 원료의 일반성분 분석
콜라겐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오징어 껍질의 일반성분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수분은 상압가열 건조법, 회분은 건식 회화법, 조단백질 함량은 세미-마이크로 켈달(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속슬렛(soxhlet) 추출법,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다.
오징어 껍질의 일반성분 함량(단위:중량%)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함량주1 ) 41.1±0.8 3.2±0.2 43.7±0.5 7.6±0.2 4.4±0.5
주1) 평균±표준편차 (n=3)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오징어 껍질 원료는 수분함량이 41.1 %로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회분 순으로 각각 43.7, 7.6, 4.4 및 3.2 중량%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가수분해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1차 가수분해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최 등(Choi et al., 1992)의 방법에 따라 세미-마이크로 켈달(semi-micro kjeldahl)법을 이용하였으며, 원료의 질소함량 기준 가수분해물의 질소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1차 가수분해물의 추출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단위:%)
추출시간 30 분 60 분 120 분
실시예 1 31.85 41.35 47.55
비교예 1 56.40 59.05 66.72
비교예 2 36.32 45.09 51.93
1차 가수분해시 비교예 1의 알카라제 효소 가수분해물이 30분 경과시 56.40 %로 가장 높은 가수분해율과 증가폭을 보였으며, 120 분에서 66.72 %로 다른 효소 가수분해물보다 높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반면에 실시예 1의 뉴트라제 효소 가수분해물은 가장 낮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2차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상기 표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차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단위:%)
가수분해도
실시예 1 85.6
비교예 1 65.6
비교예 2 71.1
1차 가수분해물에서 비교예 1의 알카라제 효소 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가수분해도를 나타내었으나, 2차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에서는 가장 낮은 분해율을 보였다.
반면에 1차 가수분해물에서 가장 낮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던 실시예 1의 뉴트라제 효소 가수분해물이 85.6 %의 가장 높은 가수분해도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아미노산 함량 측정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중화하고 수세한, 가수분해 전의 껍질분말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콜라겐 조성물의 총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남(Nam, 1995)의 방법에 따라 가수분해물 10 ㎎을 앰플(ampule)에 정확히 취하여 6 N HCl 수용액 10 ㎖를 넣고 밀봉한 다음 11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고, 분해된 시료를 12 ㎛ 공극크기(pore size)의 글래스필터(glass filter)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이때, 산을 완전히 제거시키기 위해 적당량의 탈이온수에 다시 녹인 후 감압농축 과정을 3~4 회 반복하였으며 시트르산나트륨 완충액(sodium citrate buffer, pH 2.2)으로 일정량 희석한 후 0.2 ㎛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아미노산 자동분석기(model L-8800, Hitachi 제조, Japan)로 분석하였다.
콜라겐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조성{건조량 기준(dry basis)}
아미노산
(Amino acids)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대조군
㎎/g % ㎎/g % ㎎/g % ㎎/g %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89..68 8.86 87.03 9.11 85.02 8.81 132.25 8.6
트레오닌
(Threonine)
41.71 4.12 43.26 4.53 36.21 3.75 59.16 3.8
세린
(Serine)
44.55 4.40 42.95 4.49 42.14 4.37 66.57 4.3
글루탐산
(Glutamic acid)
129.47 12.79 123.27 12.90 122.19 12.67 186.02 12.1
글리신
(Glycine)
187.03 18.48 172.75 18.07 180.17 18.68 301.46 19.5
알라닌
(Alanine)
70.33 6.95 67.20 7.03 66.97 6.94 108.61 7.0
시스테인
(Cysteine)
0.58 0.06 0.00 0.00 0.80 0.08 2.82 0.2
발린
(Valine)
34.52 3.41 36.09 3.78 32.09 3.33 50.67 3.3
메티오닌
(Methionine)
8.85 0.87 2.24 0.23 13.89 1.44 20.56 1.3
이소류신
(Isoleucine)
26.16 2.58 25.49 2.67 24.20 2.51 37.82 2.5
류신
(Leucine)
50.87 5.03 50.02 5.23 47.01 4.87 71.69 4.6
티로신
(Tyrosine)
15.26 1.51 12.68 1.33 15.72 1.63 15.81 1.0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23.09 2.28 22.16 2.32 21.33 2.21 34.96 2.3
리신
(Lysine)
37.19 3.67 37.20 3.89 34.66 3.59 50.50 3.3
히스티딘
(Histidine)
15.96 1.58 14.38 1.50 13.63 1.41 24.28 1.6
아르기닌
(Arginine)
93.93 9.28 89.10 9.32 90.21 9.35 149.67 9.7
히드록시프롤린
(Hydroxy proline)
67.92 6.71 60.90 6.37 66.38 6.89 108.01 7.0
프롤린
(Proline)
75.08 7.42 69.12 7.23 72.03 7.47 120.30 7.8

(Total)
1012.18 100 955.84 100 964.65 100 1541.16 100
오징어 껍질분말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글리신(glycine) 함량이 가장 높고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르기닌(argi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소 가수분해물에서도 같은 순서의 패턴을 보였다.
효소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955~1012 ㎎/g으로, 가수분해 전의 1541 ㎎/g보다 낮았는데, 이는 콜라겐 단백질이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액상으로 용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상기 각 군의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Ser 등(Ser et al., 2002)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가수분해물 30 ㎎에 75 % 에탄올(ethanol) 수용액 5 ㎖를 넣고 잘 혼합하여 단백질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3000×g, 15분)하여 얻은 상층액을 0.2 ㎛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한 다음 5 배 희석하여 상기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콜라겐 효소 가수분해물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건조량 기준(dry basis)}
아미노산
(Amino acids)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대조군
㎎/g % ㎎/g % ㎎/g % ㎎/g %
타우린
(Taurine)
0.11 0.18 N.D - N.D - 0.45 4.9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0.49 0.79 1.27 2.30 0.32 0.65 0.01 0.1
트레오닌
(Threonine)
1.80 2.90 2.36 4.26 1.20 2.46 0.43 4.7
세린
(Serine)
1.83 2.95 3.20 5.79 1.29 2.63 0.08 0.9
글루탐산
(Glutamic acid)
0.33 0.54 1.30 2.35 0.00 0.00 0.05 0.6
글리신
(Glycine)
1.03 1.66 2.05 3.71 0.73 1.50 0.36 4.0
알라닌
(Alanine)
4.16 6.72 2.61 4.72 3.09 6.31 1.03 11.3
시스테인
(Cysteine)
0.15 0.25 0.00 0.00 0.00 0.00 0.69 7.5
발린
(Valine)
6.82 11.01 4.65 8.42 5.61 11.47 0.23 2.5
메티오닌
(Methionine)
3.04 4.92 3.63 6.56 2.52 5.16 0.71 7.8
이소류신
(Isoleucine)
5.97 9.64 2.77 5.01 4.87 9.96 0.16 1.8
류신
(Leucine)
16.97 27.41 6.93 12.54 14.30 29.25 0.27 2.9
티로신
(Tyrosine)
2.77 4.48 3.38 6.12 2.09 4.28 0.20 2.2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7.10 11.46 4.99 9.04 6.04 12.38 0.06 0.7
리신
(Lysine)
3.19 5.15 5.87 10.62 2.45 5.01 0.32 3.6
히스티딘
(Histidine)
0.93 1.50 1.77 3.20 0.76 1.56 0.39 4.2
아르기닌
(Arginine)
4.91 7.93 8.24 14.91 3.61 7.38 2.26 24.7
프롤린
(Proline)
0.32 0.51 0.25 0.45 0.00 0.00 1.42 15.6
계(Total) 61.92 100 55.27 100 48.88 100 9.12 100.0
오징어 껍질분말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9.12 ㎎/g이었으나,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콜라겐이 분해되어 효소의 종류에 따라 각각 48.88~61.92 ㎎/g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칼슘흡수 촉진효과 측정
일반적으로 체내에 섭취된 칼슘은 위산에 의해 가용화되어 소장 하부로 이동하여 흡수되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때 가용성 칼슘은 소장 내부에 존재하는 인산이온과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한다(Kitts and Yuan, 1992).
따라서 칼슘이 소장에서 체내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침전되지 않고 가용화되어 있는 칼슘이 많아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수세한, 가수분해 전의 껍질분말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콜라겐 조성물의 칼슘흡수 촉진효과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1 ㎖ 시료용액(40 ㎎/㎖)에 20 mM 제2인산나트륨(Na2HPO4 ) 6 ㎖를 첨가한 후, 20 mM의 염화칼슘(CaCl2 ) 5.5 ㎖를 가하여 37 ℃에서 0~1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원심분리(1520×g, 5분)하여 상층액 중의 칼슘 농도를 원자흡광분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로 측정하였다.
가용화 칼슘 농도(단위:ppm)
추출시간 0 분 30 분 60 분 120 분 840 분
실시예 1 79.14 73.60 67.88 55.41 53.21
비교예 1 74.36 68.33 60.49 51.27 43.44
비교예 2 77.92 70.65 62.76 54.83 46.43
대조군 84.34 64.26 61.65 49.30 46.94
상기 표 6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의 가용화 칼슘 농도는 뉴트라제 효소(1차)와 플라보자임 효소(2차)로 가수분해한 실시예 1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결과는 표 3의 가수분해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데, 가수분해된 저분자의 콜라겐이 칼슘과 인의 결합을 저해하여 칼슘의 불용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용화된 칼슘 농도가 높을수록 칼슘의 인체흡수율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결과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조성물의 칼슘흡수율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전두부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 제조과정에 첨가하여 전두부를 제조하였다.
대두를 물과 함께 마쇄한 다음 끓이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응고시키는 공지의 전두부 제조과정에서, 응고제 첨가시 상기 실시예 1의 콜라겐 조성물을 각각 0.1 중량%, 0.5 중량%, 1.0 중량%씩 첨가량을 달리하여 3종의 전두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5>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일반성분 분석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일반성분 함량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상기 시험예 1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일반성분 함량(단위:중량%)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탄수화물
실시예 2 0.1 %주1) 86.97±2.2 5.25±0.3 1.93±0.1 0.52±0.1 5.4±0.5
0.5 % 88.16±2.3 4.97±0.5 1.90±0.1 0.43±0.1 4.6±0.6
1.0 % 86.76±2.5 5.85±0.1 2.11±0.2 0.41±0.1 4.9±0.3
대조군 87.80±2.0 4.80±0.7 1.95±0.2 0.36±0.1 5.1±0.4
주1) 평균±표준편차
수분의 경우 콜라겐 조성물 0.5 % 첨가군의 경우 88.16 %로 가장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1.0 % 첨가군에서 86.76 %로 가장 낮았고, 조단백질의 경우 단백질로 구성된 콜라겐 조성물을 첨가한 실시예가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6> 무기질의 성분분석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무기질 함량을 하기 표 8 및 9에 나타내었다.
무기질 성분 측정은 전두부를 동결건조한 후, 동결건조분말 1 g에 질산 15 ㎖를 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전처리 장치에서 가열하여 완전히 분해한 후 100 ㎖로 정용하여 다량원소(표 8)와 미량원소(표 9)를 각각 원자흡광분광광도계와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다량미네랄 함량(단위:ppm)
칼슘(Ca)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륨(K)
실시예 2 0.1 % 1122 1900 2653 16130
0.5 % 1137 1835 2503 15810
1.0 % 1155 2005 2656 15980
대조군 1181 2236 2755 16880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미량미네랄 함량(단위:ppb)
망간(Mn) 아연(Zn) 철(Fe) 구리(Cu)
실시예 2 0.1 % 20.659 58.008 49.253 13.769
0.5 % 18.848 38.771 47.640 13.659
1.0 % 19.673 34.474 46.340 14.976
대조군 20.936 49.076 48.201 13.933
전두부의 주요 미네랄은 칼륨(K)으로 15810~16880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마그네슘(Mg) 함량도 2503~2755 ppm으로 칼륨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칼슘(Ca)은 1122~1181 ppm 함유되어 있다.
미량미네랄에서는 아연(Zn)과 철(Fe)의 함량이 각각 34.474~58.008 ppb, 46.340~49.253 ppb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다량미네랄 및 미량미네랄에서 콜라겐 단백질 조성물이 첨가된 실시예 2가 대조군보다 대체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시험예 7> 유리 아미노산 함량 측정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상기 시험예 3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g, 건조량 기준(dry basis)}
아미노산
(Amino acids)
실시예 2 대조군
0.1% 0.5% 1.0%
타우린(Taurine) 3.07 9.35 16.62 5.74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5.61 3.06 2.92 2.72
트레오닌
(Threonine)
3.15 8.21 4.16 3.25
세린
(Serine)
5.98 3.12 3.36 2.87
글루탐산
(Glutamic acid)
21.20 19.02 20.70 11.33
글리신
(Glycine)
32.70 24.39 50.06 27.89
알라닌
(Alanine)
1.66 1.71 4.71 3.21
시스테인
(Cysteine)
84.67 96.62 112.74 84.86
발린
(Valine)
699.87 338.85 852.95 676.92
메티오닌
(Methionine)
14.34 16.29 9.38 6.54
이소류신
(Isoleucine)
237.88 257.75 741.75 341.04
류신
(Leucine)
948.94 1396.58 1056.85 135.68
티로신
(Tyrosine)
714.81 1247.75 832.41 633.14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562.11 667.60 880.23 824.55
리신
(Lysine)
1561.49 1799.91 1482.71 2436.10
히스티딘
(Histidine)
4717.94 3967.56 1985.14 1213.46
아르기닌
(Arginine)
5898.34 2448.31 2574.76 487.45
프롤린
(Proline)
112.98 41.34 12.98 7.97
계(Total) 15626 12347 10644 6904
상기 표 10의 결과로부터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티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리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 등이 주된 유리 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르기닌(Arginine), 히스티딘(Histidine), 프롤린(Proline)의 경우 오징어 껍질 콜라겐 조성물 0.1 % 첨가에서 각각 5898.34, 4717.94 및 112.98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대조군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리신(Lysine)을 제외하고 실시예 2보다 모두 낮게 나타났다.
오징어 껍질 콜라겐 가수분해물인 실시예 1의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는 주요 유리 아미노산인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티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히스티딘(Histidine), 아르기닌(Arginine), 프롤린(Proline)의 함량이 증가하여, 인체 내에서 유리 아미노산 고유의 영양생리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시험예 8> 이소플라본 함량 분석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다이진(daidzin), 제니스틴(genistin),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시약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용 에탄올로 각각 10 ㎍/㎖, 50 ㎍/㎖, 250 ㎍/㎖, 100 ㎍/㎖로 용해한 후 혼합하여 최종 5 ㎍/㎖, 2.5 ㎍/㎖, 1.25 ㎍/㎖의 표준용액을 제조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및 대조군의 전두부를 동결건조한 시료 5 g을 환류 플라스크에 넣고 75% 에탄올 수용액 50 ㎖를 가한 다음, 80 ℃ 수욕조에서 3 시간 환류 추출하여 추출용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용액을 거름종이에 여과하고 75 % 에탄올 수용액으로 100 ㎖로 정용하고, 0.45 ㎛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g, 건조량 기준(dry basis)}
이소플라본
(isoflavone)
다이진
(Daidzin)
제니스틴
(Genistin)
다이드제인
(Daidzein)
제니스테인
(Genistein)
총 이소플라본
(Total isoflavone)
실시예 2 0.1 % 359.68 586.59 40.01 48.83 1035.10
0.5 % 386.16 638.60 42.50 51.46 1118.71
1.0 % 330.26 537.95 37.07 45.30 950.58
대조군 341.05 560.50 38.44 47.07 987.06
이소플라본은 항고혈압, 항콜레스테롤, 항암 및 관절개선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아글리콘(aglycone)인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과 이 밖에 포도당 결합 유도체들인 12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다.
오징어 껍질 콜라겐 조성물이 0.5 % 첨가된 전두부에서 이소플라본 총 함량이 1118.71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1.0% 첨가에서 950.58 ㎍/g으로 함량이 가장 낮았다.
<시험예 9> 저장성 측정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저장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저장성은 전두부를 5 ℃에서 보관하면서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생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 실험은 미국공중보건협회(APHA, 1970)의 방법에 따라 시료를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페트리 필름(petri film, 3M 제조, 미국)을 이용하여 간이 시험을 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단위:CFU/g)
저장기간 2 일 6 일 10 일 15 일
실시예 2 0.1 % 1.0×101 1.2×102 6.4×105 3.6×107
0.5 % 1.5×101 1.1×102 4.5×103 6.6×106
1.0 % 1.5×101 1.5×102 2.5×103 3.6×106
대조군 1.1×101 2.0×102 1.47×105 5.47×107
저장 초기인 6일째까지 실시예 2와 대조군 모두 비슷한 생균수를 보이다가 저장 10일째부터 대조군과 0.1 %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에서 105 CFU/g 수준으로 생균수의 증가폭이 컸다.
저장 15일째에 실시예 2와 대조군 모두 두부의 부패기준에 해당하는 106 CFU/g 수준에 도달하였다.
<시험예 10> 조직감 특성 분석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전두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전두부의 조직감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조직감은 시료를 일정한 크기(5×5×3 ㎝)로 절단한 다음, 레오미터(rheometer; CR-500DX, Sun scientific 제조, 일본)를 사용하여 저작시험(Mastication test)을 하였으며, 테이블 속도(Table speed) 120 ㎜/㎜, 테이블 이동거리 모드(mode) 21, 로드셀(load cell)(max) 2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어댑터형(Adaptor type)은 No.11을 사용하였다.
콜라겐 조성물이 첨가된 전두부의 조직감 특성
견고성
(Hardness)
탄력성
(Springiness)
접착성
(Cohesiveness)
씹힘성
(Chewiness)
단위 ㎏/㎠ % % ㎏/㎠
실시예 2 0.1 % 243±11 245±64 43±1 837±48
0.5 % 340±7 203±33 41±1 1128±53
1.0 % 223±7 128±33 41±2 738±70
대조군 216±3 203±48 41±1 710±30
견고성(Hard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오징어 껍질 콜라겐 조성물 0.5 % 첨가에서 340 및 1128 ㎏/㎠로 가장 높았고, 탄력성(Springiness)은 0.1 % 첨가에서 245 %로 가장 높았으며, 접착성(Cohesiveness)은 41~43 %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모든 시험결과의 통계처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Statistix Version 4.0(Statistix Inc., 1992)의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test)으로 실시하여 Duncan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Duncan, 1955)으로 처리하였고, 평균 간의 유의성은 최소 유의차 검정(LSD)으로 95 %(P〈0.05) 유의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징어 껍질에서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효소의 특성에 최적화된 2 단계의 가수분해 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이 보다 많은 저분자의 콜라겐으로 분해된다.
또한, 안전한 해양동물 유래 콜라겐 공급원을 확보하는 동시에 오징어 가공부산물의 폐기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전두부에 첨가함으로써 전두부에 함유된 칼슘이 인체내에서 인과 결합하여 불용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칼슘의 인체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의 유리 아미노산 및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하여 인체의 생리활성효과를 증진하고, 전두부의 저장성과 조직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오징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오징어 껍질을 건조 및 분쇄하여 오징어 껍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오징어 껍질분말에 중량기준으로 8~15 배의 0.05~0.20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한 다음, 1~10 ℃에서 12~30 시간 교반하여 오징어 껍질분말 중의 비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콜라겐 단백질이 제거된 오징어 껍질분말을 중화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에 물 200~700 중량부 및 뉴트라제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 분간 가수분해하여 1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가수분해물에 상기 수세한 껍질분말 100 중량부 기준 플라보자임 효소 0.01~0.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0~180 분간 가수분해하여 2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2차 가수분해물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콜라겐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분무건조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가수분해는 pH 6.5~7.5, 온도 45~60 ℃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2차 가수분해물을 90~100 ℃로 5~20 분간 가열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조성물이 과자류, 캔디류, 식육제품,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 건강식품, 조미식품 또는 면류의 첨가소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추출된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두부는 콜라겐 조성물을 0.1~1.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KR1020110054168A 2011-06-03 2011-06-03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KR10122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68A KR101229783B1 (ko) 2011-06-03 2011-06-03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68A KR101229783B1 (ko) 2011-06-03 2011-06-03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35A KR20120134935A (ko) 2012-12-12
KR101229783B1 true KR101229783B1 (ko) 2013-02-05

Family

ID=4790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168A KR101229783B1 (ko) 2011-06-03 2011-06-03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17B1 (ko) * 2015-04-14 2016-07-13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어린이용 성장 조성물
KR101783469B1 (ko) 2015-09-07 2017-09-29 청양포포나무농장영농조합법인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KR101954905B1 (ko) 2016-08-08 2019-03-08 주식회사 도프 지방흡입 유출물로부터 초임계공정을 이용하여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
CN115500460A (zh) * 2022-08-17 2022-12-23 贵州雍福产业发展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富含氨基酸豆腐乳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655A (ja) 1997-12-05 1999-06-22 Nippi Kollagen Kogyo Kk 冷凍食品の離水防止剤
KR20060089488A (ko) * 2005-02-04 2006-08-09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오징어껍질을 이용한 묵 유사제품 제조
JP2008220264A (ja) 2007-03-13 2008-09-25 Aomori Prefecture 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
KR101021645B1 (ko) 2008-09-22 2011-03-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백화된 오징어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655A (ja) 1997-12-05 1999-06-22 Nippi Kollagen Kogyo Kk 冷凍食品の離水防止剤
KR20060089488A (ko) * 2005-02-04 2006-08-09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오징어껍질을 이용한 묵 유사제품 제조
JP2008220264A (ja) 2007-03-13 2008-09-25 Aomori Prefecture コラーゲンの製造方法
KR101021645B1 (ko) 2008-09-22 2011-03-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백화된 오징어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35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8756B (zh) 一种鳄鱼骨胶原螯合钙的制备方法
CN101289507B (zh) 一种胶原蛋白及胶原多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ahosseini et al. Effects of molecular weights-assisted enzymatic hydrolysis o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iza abu muscle protein hydrolysates
US20100105867A1 (en) Process for producing osteocalcin-containing extract
JP2004238365A (ja) 美肌促進剤及び美容健康食品
KR101229783B1 (ko)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JP4596513B2 (ja) 栄養組成物
KR101021645B1 (ko) 미백화된 오징어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JP6143218B2 (ja) 腱および靱帯機能改善剤ならびにこれを含む医薬組成物、食品および飼料
JP4380117B2 (ja) 大豆7sたん白含有タブレット
JP2001046021A (ja) 体力増強・疲労回復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2003245055A (ja) 肌改善用食品組成物及び肌改善方法
Daud et al. Functional bioactive compounds from freshwater fish, edible birdnest, marine seaweed and phytochemical
KR102013385B1 (ko) 어패류를 이용한 노인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노인식 조성물
CN106260497A (zh) 一种大鲵滋补蛋白粉生产技术
KR20130130468A (ko) 비육우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비육우 급여방법
KR100317524B1 (ko) 동물의 뼈를 주제로한 칼슘과 젤라틴의 제조방법
KR20010097642A (ko) 미네랄 강화 해삼추출물의 제조방법
JP3563892B2 (ja) 体力増強・疲労回復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KR101322282B1 (ko) 젤라틴 유래 효소분해물을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im et al. Fish and bone as a calcium source
JP2001057869A (ja) 肥満改善及びダイエット食用素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ダイエット食品
JP2003339346A (ja) 健康食品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3749339A1 (en) Marine protein hydrolysate with low fluoride and trimethylamin content
Sandhu et al. Conversion of Bone to Edibl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