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288B1 - 폴리아세탈공중합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세탈공중합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0288B1 KR100360288B1 KR1019950028700A KR19950028700A KR100360288B1 KR 100360288 B1 KR100360288 B1 KR 100360288B1 KR 1019950028700 A KR1019950028700 A KR 1019950028700A KR 19950028700 A KR19950028700 A KR 19950028700A KR 100360288 B1 KR100360288 B1 KR 100360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polymerization
- residual monomers
- extraction
- minut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00—Addi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cyclic oligomers thereof or of ketones; Addition copolymers thereof with less than 50 molar percent of other substances
- C08G2/18—Copolymerisation of aldehydes or ketones
- C08G2/24—Copolymerisation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ac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00—Addi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cyclic oligomers thereof or of ketones; Addition copolymers thereof with less than 50 molar percent of other substances
- C08G2/10—Polymerisation of cyclic oligomers of formaldehy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00—Addi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cyclic oligomers thereof or of ketones; Addition copolymers thereof with less than 50 molar percent of othe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00—Addi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cyclic oligomers thereof or of ketones; Addition copolymers thereof with less than 50 molar percent of other substances
- C08G2/28—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eth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안정한 쇄 말단이 잔류 단량체의 존재하에 0.01 내지 1중량%로 분해되고, 반응기 출구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중의 대부분의 잔류 단량체가 펠렛화 장치로 하강함으로써 소실되며, 남아 있는 잔류 단량체와 생성물에 용해된 불순물이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거되고, 생성물이 건조 및 안정화된 후에 펠렛화됨을 특징으로 하여, 환식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를 중합 반응기 속에서 개시제의 존재하에 환식 아세탈과 공중합시킨 직후 염기성 물질을 가하여 개시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폴리아세탈 공중합체를 균질상으로 제조하는 동시에 말단 그룹을 안정하시키며 이들을 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아세탈 공중합체를 균질상으로 제조하고 말단 그룹을 안정화시키며 이를 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 작용을 갖는 개시제의 존재하에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의 환식 올리고머, 특히 트리옥산으로부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다수의 방법들은 공지되어 있다. 단량체들을 산업적 규모로 계속 중합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면, 다수의 문헌[참조: US-A-3,027,352, US-A-3,803,094, DE-C-1 161 421, DE-C-1 495 228, DE-C-1 720 358 및 DE-C-3 018 898]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에 기재된 중합 반응기들은 특히 혼련기, 압출기, 롤 밀 또는 벨트이다. 당해 방법의 통상적인 특징은 기상 또는 액상 단량체로부터 부분적으로 결정화된 고상 중합체로의 상 전이인데, 이는 중합반응 도중에 일어난다. 당해 방법은 유리된 중합 및 결정화 열을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환시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유럽 특허 제EP-B-0 080 656호에는 135℃ 이상의 온도에서 트리옥산을 균질한 액상으로 계속해서 벌크 중합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당해 방법의 장점은 특히 처리 공정이 쉽고, 에너지 비용이 적게 들며 생성된 중합체의 품질이 일정하다는 점이다.
독일 특허원 제P 43 27 245.2호 및 제P 44 23 617.4호(우선일: 1993. 8. 13. 및 1994. 7. 6., 발명의 명칭: "폴리아세탈의 제조방법")에는 분리 장치없이 중합반응기로부터 불활성 반응기로의 간단한 전이로 인해 보다 간단한 반응 공정을 토대로 한 개선점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개선점은 또한 잔류 단량체, 필수적으로 트리옥산 및 포름알데히드의 존재하에 불안정한 말단 쇄를 분해함으로써 성취된다. 당해 방법에서는 불안정한 쇄 말단의 함량을 약 0.1중량%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생성물을 탈기 유니트, 예를 들면, 압출기 또는 플레쉬 챔버를 사용하여 후 처리하는 동안, 당해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에는 불순물,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가 잔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함유된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는 생성물을 식품용으로 사용하는데 허용될 수 있다. 침착물의 형성도 사출 성형하여 가공하는 동안 관찰된다. 또한, 비교적 대형의 탈기 유니트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당해 중합 공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전환율이 60 내지 8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단점들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불안정한 쇄 말단이 잔류 단량체의 존재하에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 특히 0.05 내지 0.3%로 분해되고, 반응기 출구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중의 대부분의 잔류 단량체가 각각 물, 탄소수 3 이하의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작동하는 펠렛화 장치, 바람직하게는 액체-냉각 다이 전면 또는 액침 펠렛기로 낙하되어 소실되며, 남아 있는 잔류 단량체 및 생성물에 용해된 불순물이 물, 탄소수 3 이하의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제거되고 생성물이 건조 및 안정화시킨 후에 펠렛화됨을 특징으로 하여, 환식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 바람직하게는 트리옥산을 중합 반응기 속에서 개시제의 존재하에 환식 아세탈과 공중합시킨 직후, 개시제를 염기성 물질을 가하여 불활성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폴리아세탈 공중합체를 균질상으로 제조하고 동시에 말단 그룹을 안정화시키며 이들을 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합 및 불안정한 쇄 말단의 분해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반응기 속에서 수행된다. 당해 방법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는 상기 독일 특허원 제P 43 27 245.2호 및 제P 44 23 617.4호에 기재된 내용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공중합 반응에서 출발 단량체는 일반적으로 트리옥산이다. 성공적인 공정 진행을 위해서는 쇄 말단의 분해가 중합 반응 직후에 진행될 필요가 있고 잔류 단량체, 즉 미반응 단량체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결정적이다.
중합 반응에 적합한 공단량체, 예를 들면, 트리옥산에 대한 공단량체는 환식아세탈(예: 디옥솔란, 디에틸렌 글리콜 포르말, 트리에틸렌 글리콜 포르말 또는 부탄디올 포르말) 또는 선형 폴리아세탈(예: 폴리디옥솔란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포르말)이다. 공단량체 또는 이의 혼합물의 양은 0.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 특히 2 내지 10중량%이다. 공단량체는 주요 단량체와의 혼합물로서 또는 반응성 예비중합체의 형태로 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주요 단량체를 단독 중합시킨 후 공단량체(들)를 중합체 용융물로 흘려보내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응하는 공단량체(들)를 임의로 아세탈 교환 반응에 의해 중합체 쇄로 혼입시킨다. 당해 반응에서 반응 혼합물이 중합 활성 상태로 되는데 필요한 체류시간은 0.1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분, 특히 0.5 내지 2분이다.
이작용성 공단량체를 사용하면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되거나 측쇄인 생성물이 생성된다.
적합한 개시제는 양성자산(proton acid), 예를 들면, 과염소산, 퍼플루오로알칸설폰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및 이의 무수물 뿐만 아니라 헤테로 다산(polyacid) 또는 이소다산이다(EP-B-0 325 052 및 EP-B-0 347 119).
개시제는 0.005 내지 500ppm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50ppm, 특히 0.01 내지 5ppm이다. 개시제 농도는 분자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시제는 용해된 희석액 형태로 계량하여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주로 중합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모든 화합물인데, 환형 및 직쇄 에테르(예: 올리고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또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예: 사이클로헥산)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락톤(예: 부티롤락톤)이 또한 적합하다.
중합체의 분자량은 조절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하에 목적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능한 연쇄 이동제는 주로 일가 알콜의 포르말(예: 메틸알 또는 부틸알)이다. 또한, 이들 화합물이 기본으로 하는 알콜 자체 또는 물이 연쇄 이동 도중에 불안정한 쇄 말단을 형성할지라도, 이들은 조절제로서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은 10 내지 5000ppm이고 바람직한 농도는 50 내지 1000ppm이다. 조절제는 공지된 방법하에 혼합하면서 단량체에 계량하여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물질은 개시제와 함께 동일한 용액으로 또는 별도로 계량하여 가할 수도 있다.
중합 반응기는 일반적으로 온도 조절가능하고 내압성인 구조를 갖는 정적 혼합기가 장착된 튜브 반응기이다. 반응기에 대한 특정 온도 프로필은 가열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는 압력 및 온도의 측정 기준(point)이고 단량체, 개시제, 불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의 계량 기준이다. 중합 반응 동안에 사용되는 온도 및 압력은, 예를 들면, EP-B 제0 080 65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공지된 값에 상응한다.
치수, 즉 상응하는 정적 혼합 장치의 직경 및 길이는 점도 및 체류시간의 함수로서 언급된 각각의 공정 단계에 따라 선택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은 가능한한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혼합 장치의 생산자로부터 수득된 정보는 본원에 언급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튜브 반응기는 좁은 체류시간 범위로 평형 전환하는 동안에 최소의 체류 시간으로 인해 약간의 부반응이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적합한 장치는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는 독일 특허원 제P 43 27 246.0호에 기재되어 있다. 잔류 단량체의 존재하에서 중합 및/또는 불안정한 쇄 말단의 분해를 위해 다른 유니트, 예를 들면, 압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튜브 반응기 속의 중합 영역에서 관찰되는 체류시간은 0.1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분, 특히 0.5 내지 2분이다. 당해 방법에서 성취될 전환율은 사용된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80중량%이다.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제조한 폴리아세탈의 분자량(Mw)은 50,000 내지 300,000(폴리스티렌 표준에 대한 GPC)이다.
염기성 화합물, 예를 들면, 염(예: 탄산나트륨 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 및 지방족 또는 방향족 1급, 2급 또는 3급 아민은 중합체 용융물 중에 존재하는 개시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고 휘발성 3급 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불활성제로서 사용된 염기성 염 또는 아민이 불안정한 쇄 말단을 화학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독일 특허원 제P 43 27 245.2호 및 제P 44 23 617.4호에 기재되어 있다. 개선된 확산을 위해 용매 및 운반 매체의 기능을 하는 미반응 단량체가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알칼리성 제제의 농도는 중합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3.0중량%에서 변화되는데, 0.02 내지 2.0중량%, 특히 0.05 내지 1.0중량%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불안정한 쇄 말단의 분해가 수행되는 불활성화 영역에서 제2 공정 단계에 적용되는 온도는 1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00℃이다. 분해 속도에 있어서, 중합 온도를 20 내지 30℃ 초과하는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지될압력 범위는 20 내지 200bar,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bar이다.
불안정화 쇄 말단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150 내지 175℃의 온도 범위에서 물 또는 탄소수 3 이하의 1급 알콜을 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불활성화 영역 및 안정화 영역에서 설정된 체류시간은 0.2 내지 15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분, 특히 2 내지 10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적합한 양태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다.
특히, 도면은 중합 영역(P)과 불활성화 영역(D)이 중합 반응기(R)내에 배치됨을 나타낸다. 단량체 입구(1)와 개시제 입구(2)는 중합 영역(P)의 선단에 위치한다. 불활성제 입구(3)는 중합 영역(P)의 말단과 불활성화 영역(D)의 선단에 위치한다. 중합 영역(P)과 불활성화 영역(D)에서 반응이 적당히 진행된 다음, 불안정한 쇄 말단의 함량이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 특히 0.05 내지 0.3%인 중합체의 용융물, 잔류 단량체, 불활성제 및, 경우에 따라, 용매를 포함하는 스트림이 반응기 출구(4)에서 수득된다. 용융물은 낙하하는 동안 잔류 단량체가 증발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고화된다. 벌크 밀도가 낮고(0.2 내지 0.3g/㎤) 체적이 큰 발포체 생성물이 수득된다. 당해 양태에서 액체-냉각 다이 전면 펠렛기(G)에 존재하는 고온-절단 유니트는 벌크 밀도가 큰(0.4 내지 0.6g/㎤) 압축 그레인을 제조하고 잔류 단량체를 회수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당해 양태에서 액침 펠렛화 또는 증발 냉각에 의한 펠렛화를 위한 장치와 같은 다른 유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압축 중합체 그레인을 제조하기 위해, 펠렛화전에 플레쉬 챔버, 압출기 또는 다른 탈기 유니트 속에서 탈기시킨 다음생성물을 펠렛화시킬 수도 있다.
다이 전면 펠렛기(G)에서 생성된 용기(B)내의 현탁액은 액체와 고체로 분리된다. 필요한 경우, 생성물은 또한 잔류 단량체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미리 습윤 분쇄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분쇄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가공물을 라인(5)을 통해 분리 장치(Z1)로 통과시킨다. 분리용으로 통상적인 장치 및 기기, 예를 들면, 시브, 여과기 및 하이드로사이클론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원심분리기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액체는 부분적으로는 냉각 액체(6)로서 액체-냉각 다이 전면 펠렛기(G)로 재순환시키고 부분적으로 후처리 장소(7)로 공급되는데, 잔류 단량체와 용매는 공지된 방법으로 회수된다.
액체를 흡수한 고체는 라인(8)을 통해 추출 부분(E)으로 공급된다. 적합한 추출제는 물, 탄소수 3 이하의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은 탈기에 의해 중합체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를 함유한다. 이들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는 온화한 조건하에서 중합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생성물을 추출하기전 또는 액체 냉각 다이 전면 펠렛기(G)로부터 배출된 직후에 추가로 분쇄할 수 있다. 신속한 추출을 위해, 입자 크기를 5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0㎛, 특히 200 내지 1,00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추출제는 물, 탄소수 3 이하의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추출제는 라인(9)을 통해 분리 장치(Z2)로 공급되고, 또한 용기 (B) 속에서 액체 링 과립화후 냉각 액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추출제의 일부는 라인(11)을 통해 분리 장치(Z2)로부터 용기(B)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추출제는 라인(10)을 통해 추출 부분(E)으로 제거될 수 있다.
추출 부분(E)을 위한 적합한 장치는 주로 연속 및 불연속적으로 작동되는 교반 탱크, 교반 탱크 또는 유동 튜브로 구성된 캐스케이드(cascade)와 같은 통상적인 모든 장치이다. 추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 중합체 쇄의 불활성화를 위해서 그리고 불활성제 입구(3)에서 불안정한 쇄 말단을 중합 반응기(R)로 분해하기 위해 가할 수 있는 염기성 물질의 양은 고체에 흡수되는 액체의 경로를 통해 추출 부분(E)에서 설정된다. 추출은 염기성 범위내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필요한 경우, 염기성 화합물을 당해 양태에서 가해야 한다.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온도는 3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00℃, 특히 40 내지 70℃의 범위이다. 추출에 필요한 시간은 1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분, 특히 10 내지 30분이다. 추출하여 3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의 고체 함량을 성취할 수 있다.
추출 부분(E)을 통과한 후, 고체와 액체는 분리 장치(Z2)내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다시 분리를 위한 통상적인 장치 및 기기, 예를 들면, 시브, 여과기 및 하이드로사이클론이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역시 원심분리기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된다. 새로운 용매(12)를 사용하여 원심분리시킴으로써 생성물을 세척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그런후, 건조기(T) 속에서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건조시키고 건조기(T)로부터 생성된 응축물을 라인(15)을 통해 추출 부분(E)으로 재순환시킨다. 생성된 분말을 압출기(14) 속에서 안정화제(16)와 기타 바람직한 첨가제를 가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펠렛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합체 분말의 벌크 밀도는 높은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높은 벌크 밀도가 압출기(14)의 작동을 최적화시키기 때문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튜브 반응기 속에서 수행한다. 당해 방법에서의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메틸알 450ppm이 첨가된, 트리옥산 97중량부와 디옥솔란 3중량부에 대해 1시간당 처리량이 3kg인 연속 공중합을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0.2ppm을 사용하여 개시한다. 1.8분 후 155℃에서 중합 반응을 중단시켜 트리에틸아민 0.3%와 물 4%를 수득하고 불안정한 쇄 말단을 155℃에서 15분에 걸쳐 분해한다. 이로 인해 불안정한 쇄 말단의 함량이 0.3%인 생성물을 수득한다. 벌크 밀도가 0.27g/㎤인 다공성 과립은 잔류 단량체를 거의 증발시키면서, 반응기 출구에서 고온 절단시켜 수득한다(비교실시예 1). 중합체 그레인 0.55g/㎤은 다른 동일한 조건하에 수-냉각 다이 전면 펠렛기 속에서 하강시키고 과립화시킴으로써 수득된다(실시예 1).
비교실시예 1의 생성물을 메탄올로 세척하여 부착되어 있는 잔류 단량체를 제거한다. 이어서, 생성물을 감압하에 80℃의 건조 캐비넷 속에서 일정한 중량으로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된 생성물을 400㎛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분쇄하고 다음의 추출 실험을 위해 사용한다.
중합체 분말 100g을 트리에틸아민 0.1%를 가한 용매(참조: 표) 600g으로 추출한다. 이어서, 생성물을 80℃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킨다. 안정화제를 생성물에 가한 후, 직경이 5cm이고 두께가 2mm인 원주형으로 압착된 시트를 200℃에서 생성물로부터 제조한다. 이를 80℃에서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추출한다. 추출물중에 존재하는 포름알데히드 함량(FC)은 크로모트로프산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황산 용액 속에서, 크로모트로프산은 포름알데히드 및 동일한 조건하에서 포름알데히드를 수득하기 위해 반응하는 모든 화합물과의 보라색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는데, 480nm에서 반응 생성물의 흡광도는 포름알데히드 함량의 척도이다. 당해 흡광도는 포름알데히드 함량으로 전환되고 압착된 시트의 표면적과도 관련된다.
용매,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이 다음 실시예에서는 변화된다.
추출가능한 포름알데히드 함량은 모든 추출 조건하에서 크게 감소된다. 실시예 3은 특히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실시예 8에서, 추출가능한 포름알데히드의 다소 적은 함량도 특히 온화한 조건하에서 밝혀졌다. 이들 추출 과정을 파일롯 플랜트 탱크 속의 5개 배치속에서 반복하여 생성물 25kg을 상응하게 생성시키고, 안정화시킨 다음, 펠렛화시킨다. 50mbar의 감압하에 압출기에서 탈기되고 추출가능한 포름알데히드 함량이 39㎍/㎠인 추출되지 않은 생성물(비교실시예 2)과는 대조적으로, 250℃의 실린더 온도 및 80℃의 금형 온도에서, 1,200 쇼트(shot)후 사출 성형품을 제조할때 당해 생성물이 금형에 침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실시예 9).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 반응기를 나타낸 도식이다.
Claims (18)
- 불안정한 쇄 말단이 잔류 단량체의 존재하에 0.01 내지 1%로 분해되고, 반응기 출구로부터 수득된 생성물 중의 대부분의 잔류 단량체가 펠렛화 장치로 하강함으로써 소실되며, 남아 있는 잔류 단량체와 생성물에 용해된 불순물이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거되고, 생성물이 건조 및 안정화된 후에 펠렛화됨을 특징으로 하여, 환식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를 중합 반응기 속에서 개시제의 존재하에 환식 아세탈과 공중합시킨 직후 염기성 물질을 가하여 개시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폴리아세탈 공중합체를 균질상으로 제조하는 동시에 말단 그룹을 안정화시키며 이들을 후처리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펠렛화 장치가 액체-냉각 다이 전면 펠렛기 또는 액침 펠렛기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중합 및 분해가 튜브 반응기 속에서 수행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트리옥산이 환식 포름알데히드 올리고머로서 사용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추가의 쇄 말단이 0.02 내지 0.5%로 분해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추가의 쇄 말단이 0.05 내지 0.3%로 분해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생성물이 반응기 출구에서 물,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작동되는 펠렛화 장치로 하강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물,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추출시 용매로서 사용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추출하는 동안 입자 크기가 50 내지 2,000㎛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100 내지 1500㎛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입자 크기가 200 내지 1000㎛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중합 활성 상태로 존재하는 반응 혼합물의 체류시간이 0.1 내지 10분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체류시간이 0.5 내지 2분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가 0.2 내지 15분의 체류시간 동안 염기성 화합물을 0.0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가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온도 범위가 170 내지 200℃인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인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P4431575.9 | 1994-09-05 | ||
DE4431575A DE4431575A1 (de) | 1994-09-05 | 1994-09-05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cetalcopolymer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0705A KR960010705A (ko) | 1996-04-20 |
KR100360288B1 true KR100360288B1 (ko) | 2003-01-24 |
Family
ID=652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8700A KR100360288B1 (ko) | 1994-09-05 | 1995-09-04 | 폴리아세탈공중합체의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5587449A (ko) |
EP (1) | EP0699695B1 (ko) |
JP (1) | JP3369365B2 (ko) |
KR (1) | KR100360288B1 (ko) |
CN (1) | CN1131163A (ko) |
BR (1) | BR9503924A (ko) |
CA (1) | CA2157456A1 (ko) |
DE (2) | DE4431575A1 (ko) |
ES (1) | ES2180598T3 (ko) |
TW (1) | TW376392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693B1 (ko) | 2008-10-27 | 2009-04-17 | 원진중공업 주식회사 | 고 순도의 트리옥산 및 폴리아세탈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7612B2 (ja) * | 1996-04-12 | 2000-04-24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
JP3269776B2 (ja) * | 1996-09-30 | 2002-04-02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安定化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
US5962623A (en) * | 1998-09-08 | 1999-10-05 | Ticona Gmbh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cetal copolymers |
DE19983463B8 (de) * | 1998-09-24 | 2007-12-06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Polyoxymethylencopolymeres und eine dieses enthaltende Zusammensetzung |
EP1229976A1 (en) * | 1999-09-24 | 2002-08-14 | Bausch & Lomb Incorporated | Process for purifying and reusing solvent used to remove extractables |
DE10006037A1 (de) * | 2000-02-10 | 2001-08-16 | Basf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xymethylenen |
DE10251332B4 (de) * | 2002-11-05 | 2006-07-27 | Ticona Gmbh | Polyoxymethylen-Copolyme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
JP2007521341A (ja) * | 2002-12-23 | 2007-08-02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Smc成形方法 |
US20070073007A1 (en) * | 2003-11-07 | 2007-03-29 | Hatsuhiko Harashina |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
DE102004025366A1 (de) * | 2004-05-19 | 2005-12-15 | Basf Ag | Verfahren zur Enfernung von Restmonomeren aus Polyoxymethylenen |
DE102004057867A1 (de) * | 2004-11-30 | 2006-06-01 | Basf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xymethylenen |
DE102005016129A1 (de) * | 2005-04-08 | 2006-10-12 | Ticona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xymethylen-Homo-und-Copolymeren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
US20060252912A1 (en) * | 2005-04-15 | 2006-11-09 | Ticona Gmbh | Process for preparing polyoxymethylene homo- and copolymers and apparatus suitable for this purpose |
DE102005022641A1 (de) * | 2005-05-11 | 2006-11-16 | Basf Ag | Verbessertes Verfahren zur Restmonomerenentfernung aus Polyxymethlenen |
US7943726B2 (en) * | 2005-12-24 | 2011-05-17 | Ticona Gmbh | Process for preparation of oxymethylene polymers in a homogeneous phase, and use |
DE102005062327A1 (de) * | 2005-12-24 | 2007-06-28 | Ticona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xymethylen-Polymeren in homogener Phase und Verwendung |
US7812110B2 (en) * | 2005-12-24 | 2010-10-12 | Ticona Gmbh | Process for preparation of oxymethylene polymers, selected polymers, and their use |
US20100143720A1 (en) * | 2007-05-21 | 2010-06-10 | Kuraray Co., Ltd. | Crosslinkable polyvinyl acetal porous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
DE102007057189A1 (de) * | 2007-11-28 | 2009-06-04 |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amid |
DE102008018966A1 (de) * | 2008-04-16 | 2009-10-22 | Ticona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xymethylen-Polymeren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
DE102008018967A1 (de) * | 2008-04-16 | 2009-10-22 | Ticona Gmbh | Oxymethylen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
US8840976B2 (en) | 2010-10-14 | 2014-09-23 | Ticona Llc | VOC or compressed gas containment device made from a polyoxymethylene polymer |
WO2012129070A2 (en) | 2011-03-24 | 2012-09-27 | Un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Acetal metathesis polymerization |
EP2505609B1 (en) | 2011-04-01 | 2015-01-21 | Ticona GmbH | High impact resistant polyoxymethylene for extrusion blow molding |
EP2546272A1 (en) | 2011-07-15 | 2013-01-16 | Ticona GmbH | Process for producing oxymethylene polymers |
CN103857716B (zh) | 2011-08-11 | 2016-01-20 | 巴斯夫欧洲公司 | 颗粒状粗聚甲醛的后处理方法 |
WO2013101624A1 (en) | 2011-12-30 | 2013-07-04 | Ticona Llc | Printable molded articles made from a polyoxymethylene polymer composition |
US9745467B2 (en) | 2012-12-27 | 2017-08-29 | Ticona, Llc | Impact modified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that are stabl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
JP2016089069A (ja) * | 2014-11-06 | 2016-05-23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樹脂ペレット及び成形体 |
JP6623055B2 (ja) * | 2015-12-15 | 2019-12-18 | 旭化成株式会社 | ポリアセタール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27352A (en) | 1958-02-28 | 1962-03-27 | Celanese Corp | Copolymers |
BE616036A (ko) | 1961-04-05 | |||
DE1161421C2 (de) | 1961-05-06 | 1977-08-11 | Hoechs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polymerisation von trioxan oder zur mischpolymerisation von trioxan mit anderen comonomeren |
US3442866A (en) | 1966-01-07 | 1969-05-06 | Celanese Corp | Process for producing finely divided solid acetal copolymers |
US3803094A (en) | 1972-07-12 | 1974-04-09 | Ube Industries | Process for producing formaldehyde copolymer |
DE2362791C2 (de) * | 1973-12-18 | 1982-07-01 | Hoechs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meren des Trioxans |
DE2620017C3 (de) * | 1976-05-06 | 1979-05-31 | Hoechs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obkörnigen Oxymethylenpolymeren |
JPS55164212A (en) | 1979-05-18 | 1980-12-20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Continuous polymerization of oxymethylene (co) polymer |
DE3147309A1 (de) * | 1981-11-28 | 1983-06-01 | Basf Ag, 6700 Ludwigshafen |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xymethylenpolymeren |
DE3703790A1 (de) * | 1987-02-07 | 1988-08-18 | Hoechst Ag |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entfernung instabiler anteile aus rohem oxymethylencopolymerisat |
JPH0737504B2 (ja) | 1987-12-25 | 1995-04-26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アセタール重合体又は共重合体の製造法 |
JPH0730149B2 (ja) | 1988-06-13 | 1995-04-05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アセタール重合体又は共重合体の製造法 |
DE4327246A1 (de) | 1993-08-13 | 1995-02-16 | Hoechst Ag |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acetalen und ihre Verwendung |
DE4327245A1 (de) * | 1993-08-13 | 1995-02-16 | Hoechs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cetalen |
DE4423617A1 (de) | 1994-07-06 | 1996-01-11 | Hoechs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cetalen |
-
1994
- 1994-09-05 DE DE4431575A patent/DE4431575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5
- 1995-07-27 TW TW084107787A patent/TW376392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8-23 DE DE59510299T patent/DE59510299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8-23 EP EP95113209A patent/EP0699695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8-23 ES ES95113209T patent/ES218059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8-31 US US08/521,998 patent/US558744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5-09-01 CN CN95116814A patent/CN1131163A/zh active Pending
- 1995-09-01 CA CA002157456A patent/CA2157456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5-09-04 KR KR1019950028700A patent/KR1003602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9-04 BR BR9503924A patent/BR9503924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9-05 JP JP22774695A patent/JP336936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693B1 (ko) | 2008-10-27 | 2009-04-17 | 원진중공업 주식회사 | 고 순도의 트리옥산 및 폴리아세탈의 제조방법 |
WO2010050711A2 (ko) * | 2008-10-27 | 2010-05-06 | 원진중공업 주식회사 | 고 순도의 트리옥산 및 폴리아세탈의 제조방법 |
WO2010050711A3 (ko) * | 2008-10-27 | 2010-09-10 | 원진중공업 주식회사 | 고 순도의 트리옥산 및 폴리아세탈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0705A (ko) | 1996-04-20 |
JP3369365B2 (ja) | 2003-01-20 |
ES2180598T3 (es) | 2003-02-16 |
DE59510299D1 (de) | 2002-09-05 |
JPH0873549A (ja) | 1996-03-19 |
CN1131163A (zh) | 1996-09-18 |
US5587449A (en) | 1996-12-24 |
EP0699695A2 (de) | 1996-03-06 |
EP0699695B1 (de) | 2002-07-31 |
CA2157456A1 (en) | 1996-03-06 |
EP0699695A3 (de) | 1997-10-01 |
BR9503924A (pt) | 1996-09-17 |
TW376392B (en) | 1999-12-11 |
DE4431575A1 (de) | 1996-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0288B1 (ko) | 폴리아세탈공중합체의제조방법 | |
JP3017376B2 (ja) | 高重合度ポリオキシメチレン3元共重合体の製造方法 | |
KR20020074490A (ko) | 폴리옥시메틸렌의 제조 방법 | |
KR20070119697A (ko) | 폴리옥시메틸렌으로부터의 잔여 단량체의 제거 방법 | |
US5962623A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cetal copolymers | |
EP0325052B1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etal polymer or copolymer | |
KR20150089007A (ko) | 폴리아세탈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880000657B1 (ko) | 트리옥산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
US7897672B2 (en) |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 |
JPS6213369B2 (ko) | ||
US4931535A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etal polymer or copolymer | |
US5688897A (en) | Method for producing a stabilized oxymethylene copolymer | |
EP0137305B1 (en) | Method of producing an improved polyacetal polymer | |
JP2948015B2 (ja) | 高重合度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 |
JP3181535B2 (ja) |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 |
JP3208373B2 (ja) |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法 | |
JPH07228649A (ja) | ポリ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 |
JP2948014B2 (ja) | 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 |
JP2009532510A (ja) | ポリオキシメチレンホモポリマーおよび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対応する装置 | |
JPH10296724A (ja) | 粉粒体の処理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の処理方法 | |
KR100270820B1 (ko) |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101147948B1 (ko) | 환식 포르말 보존 방법 | |
JP2764471B2 (ja) | 安定化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 |
MXPA99008253A (en) | Procedure for preparing polyace copolymers | |
PL54188B1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