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138B1 - 세정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138B1
KR100360138B1 KR1019950018024A KR19950018024A KR100360138B1 KR 100360138 B1 KR100360138 B1 KR 100360138B1 KR 1019950018024 A KR1019950018024 A KR 1019950018024A KR 19950018024 A KR19950018024 A KR 19950018024A KR 100360138 B1 KR100360138 B1 KR 10036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ling
fatty acid
acid
cleaning compositio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야마마사코
사노게이고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138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N-아실그리신 또는 이의 염, (B)고급 지방산 염 또는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C)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은 거품 생성과 세정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세정 후에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는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거품 생성과 세정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세정 후에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샴푸, 세안 비누, 주방용 세제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이나 알킬벤젠설폰산염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정제는 거품 생성과 세정력은 우수하지만 세정할 때에 매끈하지 않은 느낌(또는, 거친 느낌,), 사용 후에 땅기는 느낌 등의 사용감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피부나 모발에 대한 자극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나 모발에 대해 자극이 적으며 세정력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로서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등의 N-아실아미노산염이 잘 알려져 있으며 상기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N-아실아미노산염은 농도 짙은 거품생성, 세정시의 미끈거리는 느낌, 씻어낼 때의 감촉 등의 사용감 면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평)4-211607호에는 N-아실-β -알라닌염, N-아실글리신염 등이 수돗물 속의 칼슘과 만드는 찌꺼기가 윤활성이 양호하며, 이들을 계면활성제의 반이상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매끈하지 않거나 땅기는 느낌이 없는 우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상기 명세서에 개시한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서 실제로 세정 시험을 실시한 바, 세정 전후의 미끈거리는 느낌은 우수하지만 세정후의 피부의 촉촉한 느낌이 불충분하며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에 대해서도 보다 개선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 생성과 세정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세정후에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는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A) N-아실글리신 또는 이의 염, (B) 고급 지방산염 또는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C) 유성성분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실용적으로 만족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N-아실글리신 또는 이의 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지방산을 삼염화인, 염화티오닐, 포스겐 등으로 지방산 클로라이드화한 다음, 글리신의 알칼리 용액에 가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N-아실글리신산 또는 이의 염의 N-아실기로서는 옥타노일기, 데카노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리놀레오일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팜핵유지방산 아실기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특히 야자유 지방산 아실기 또는 팜핵유 지방산 아실기가 용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콜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등의 알칸올아민염, 암모니아염 및 라이신, 오르니틴,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성분의 함량으로서는 1 내지 85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이다. 함량이 1% 미만이면 사용감이 만족스럽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의 고급 지방산염은 탄소원소수 8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인산 등의 단일 지방산 이외에 야자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등의 혼합 지방산의 염을 들 수 있다.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콜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등의 알칸올아민염, 암모니아염 및 라이신, 오르니틴,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로는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올레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도 등의 지방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성분의 함량으로서는 0.1 내지 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이다, 함량이 0.1% 미만이면 거품 생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게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유성 성분으로는 올리브유, 동백 기름, 마카데미어 너트유, 피마자유 등의 유지, 카르나우바 납, 캔델리라 납, 호호바유, 밀납, 우라놀린 등의 납류, 유동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미소결정성 왁스,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2-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 알콜,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세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N-아실-글루탐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C)성분의 함량으로서는 0.1 내지 1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이다. 함량이 0.1% 미만이면 보습 효과가 불충분하며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대체적으로 6 내지 10이 바람직하며 거품생성과 안정성 면에서 pH 6.5 내지 9가 보다 바람직하다. pH가 6 미만이나 10을 초과하면 장기 보존시에 착색이나 탁함이 발생하는 등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할 목적에 따라 주방용 세정제, 샴푸, 세안제, 바디 클렌저(body cleanser), 거품 생성 목욕세정제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샴푸, 세안제, 바디 클렌저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그 목적에 따라 상기한 성분 이외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약제, 살균제, 향료, 색소, 보습제, 중량제(builder), 하이드로트로프, 기타 화장품,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내의 배합량은 중량%이다.
평가는 하기에 기재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관능검사방법
남녀 각 20명, 계 40명의 패널에게 세발을 실시하고 30초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거품 생성량, 생성된 거품질, 헹굼 용이성, 땅기는 느낌의 유무를 각각 1(나쁨) 내지 5(좋음)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평균치가 4.5 이상을 대단히 양호(◎), 3.5 내지 4.5 미만의 경우를 양호(○), 2.5 내지 3.5 미만의 경우를 보통(△), 2.5 미만의 경우를 불량(×)으로 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세정제 조성물(pH 7.3)을 제조하고, 이의 거품 생성량, 세정시의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 헹굴때의 미끈미끈한 느낌 및 세정후의 촉촉한 느낌에 대해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검사방법
남녀 각 20명, 계 40명의 패널에게 피부세정 및 모발세정을 실시하고, 이때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치를 계산하고 평가치가 4.5 이상을 대단히 양호(◎), 3.5 내지 4.4의 경우를 양호(○), 2.5 내지 3.4의 경우를보통(△), 24 이하의 경우를 불량(×)으로 하였다.
a. 거품 생성량
5 : 대단히 많다
4 : 약간 많다
3 : 보통
2 : 약간 적다
1 : 적다
b. 헹굴때의 미끈미끈한 느낌
5 : 양호
4 : 약간 양호
3 : 보통
2 : 약간 미끈미끈하다
1 : 미근미끈하다
c. 땅기는 느낌
5 :양호
4 : 약간 양호
3 : 보통
2 : 약긴 땅긴다
1 : 땅긴다
d. 매끈하지 않는 느낌
5 : 양호
4 : 약간 양호
3 : 보통
2 : 약간 매끈하지 않다
1 : 매끈하지 않다
e. 촉촉한 느낌
5 : 대단히 양호하다.
4 : 양호하다
3 : 보통
2 : 약간 나쁘다
1 : 나쁘다
표 1
하기에 열거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생성과 세정력이 우수하고 세정시의 매끈하지 않고 땅기는 느낌, 헹굴때의 미끈미끈한 느낌이 적으며 세정한 다음, 피부 및 모발에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였다.
바디 샴푸
N-코코일글리신 K 10
N-라우로일사르코린 K 10
야자유 지방산 K 2
야자유 지반산디에탄올아미드 5
카복시메틸셀룰로스 3
글리세린 3
1,3-부틸렌글리콜 3
염화나트륨 2
EDTA 0.2
파라벤 0.2
베조산나트륨 0.2
올리브유 2
미리스트산 2-옥틸도데실 0.5
향료 2
정제수 잔량
세안용 품
N-미리스토일글리신 Na 10
N-라우로일-L-글루탐산 Na 2
라우르산 K 10
미리스트산 Na 5
POE (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르산 2
라우로일글루탐산디옥틸도데실 3
소르비트(70% 수용액) 5
프로픽렌글리콜 5
PEG-600 3
향료 1
피라벤 0.3
정제수 잔량
헤어 샴푸
N-팜핵유지방산글리신 K 5
라우로일-N-메틸-β -알라닌 Na 5
LES 2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3
카복시비닐 중합체 2
가수분해 콜라겐 1
스쿠알렌 0.5
PCA 소다(50% 수용액) 5
향료 3
페녹시에탄올 0.1
피라벤 0.2
시트르산 1
정제수 잔량
헤어 샴푸
N-팜핵유지방산글리신 K 5
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 Na 5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2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3
양이온화 셀룰로즈 0.2
트리메틸글리신 2
실리콘 오일 1
향료 3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스테르 2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2
파라벤 0.2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생성과 세정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매끈하지 않은 느낌, 헹굴때 미끈미끈한 느낌 및 땅기는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세정후에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는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1)

  1.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A) N-아실글리신 또는 이의 염 1 내지 85중량%, (B) 고급 지방산 염 또는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0.1 내지 30중량% 및 (C) 유성 성분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9950018024A 1994-07-01 1995-06-29 세정제조성물 KR100360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101194A JPH0812993A (ja) 1994-07-01 1994-07-01 洗浄剤組成物
JP94-151011 1994-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138B1 true KR100360138B1 (ko) 2003-01-14

Family

ID=1550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024A KR100360138B1 (ko) 1994-07-01 1995-06-29 세정제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2993A (ko)
KR (1) KR100360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557B2 (ja) * 2000-12-08 2010-09-29 阪本薬品工業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ATE369832T1 (de) 2001-09-19 2007-09-15 Lion Corp Topisches präparat enthaltend gallussäure derivaten
JP2006273770A (ja) * 2005-03-30 2006-10-12 Nof Corp 身体用洗浄剤組成物
JP4928095B2 (ja) * 2005-07-06 2012-05-09 株式会社ベスビオ 洗浄剤組成物
US10864275B2 (en) 2012-05-30 2020-12-15 Clariant International Ltd. N-methyl-N-acylglucamine-containing composition
US10813862B2 (en) 2012-05-30 2020-10-27 Clariant International Ltd. Use of N-methyl-N-acylglucamines as solubilizers
DE102012021647A1 (de) 2012-11-03 2014-05-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Wässrige Adjuvant-Zusammensetzungen
WO2014082854A2 (en) 2012-11-29 2014-06-05 Unilever N.V. Mild antibacterial cleansing compositions
JP6162066B2 (ja) * 2013-03-29 2017-07-12 ライオン株式会社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組成物
US20160074310A1 (en) * 2013-04-20 2016-03-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Containing Oil Bodies, Fatty Acids, Amino Acid Surfactants And N-Methyl-N-Acylglucamines
DE102014005771A1 (de) 2014-04-23 2015-10-29 Clariant International Ltd. Verwendung von wässrigen driftreduzierenden Zusammensetzungen
JP6666062B2 (ja) * 2014-05-30 2020-03-13 ロレアル 起泡性クレンジング
JP6497935B2 (ja) * 2014-12-25 2019-04-10 株式会社ノエビア 毛髪洗浄剤
DE102015219608B4 (de) 2015-10-09 2018-05-03 Clariant International Ltd Universelle Pigmentdispersionen auf Basis von N-Alkylglukaminen
DE102015219651A1 (de) 2015-10-09 2017-04-13 Clariant International Ltd.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Zuckeramin und Fettsäure
DE202016003070U1 (de) 2016-05-09 2016-06-07 Clariant International Ltd. Stabilisatoren für Silikatfarb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607A (ja) * 1990-06-05 1992-08-03 Kao Corp 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607A (ja) * 1990-06-05 1992-08-03 Kao Corp 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2993A (ja) 199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138B1 (ko) 세정제조성물
JPH0640850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WO1994017783A2 (en) Cleansing composition
JPH0639592B2 (ja) 毛髪用液体洗浄剤組成物
AU709891B2 (en) Cleansing composition
JP3304646B2 (ja) 洗浄剤組成物
JPWO2006030990A1 (ja) 洗浄剤組成物
JPH08311489A (ja) 洗浄剤組成物
JP2509896B2 (ja) 洗浄剤組成物
JPH0730974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JP2558094B2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JP7011807B2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JPH0221259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844495B2 (ja) 洗浄剤組成物
JP3621441B2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H10245590A (ja) 洗浄剤組成物
JP3087399B2 (ja) 洗浄剤組成物
JP3130373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3238390A (ja) 選択洗浄用組成物
JPH0232008A (ja) 洗浄剤組成物
JP3300740B2 (ja) 洗浄剤組成物
JPH06287597A (ja) 洗浄剤組成物
CA2235613C (en)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a synthetic anionic surfactant and an amphoteric surfactant
JPH0820793A (ja) 洗浄剤組成物
JP3413972B2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