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008B1 - 타이어제조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제조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008B1
KR100359008B1 KR1019950014108A KR19950014108A KR100359008B1 KR 100359008 B1 KR100359008 B1 KR 100359008B1 KR 1019950014108 A KR1019950014108 A KR 1019950014108A KR 19950014108 A KR19950014108 A KR 19950014108A KR 100359008 B1 KR100359008 B1 KR 10035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ladder
module
vulcaniza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474A (ko
Inventor
다니엘로렝
헤르브무스띠
Original Assignee
쎄데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데쁘로 filed Critical 쎄데쁘로
Publication of KR95003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2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42Bags, bleeder sheets or cauls for isostatic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29D2030/0647Supporting or transferring tyres using an assembly of a bladder and sid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5Constructional or chemical features of the flexible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타이어의 제조에 사용된 모듈(1)은 블레더 상에 타이어의 조립과 가황에 사용된 두 개의 비드(11)이 제공된 팽창 가능한 가요성 블레더(1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비드는 판(30, 31)에 고정된다. 모듈(1)은 수축시 상기 가요성 블레더(10)에 인접하고, 가황 후 상기 모듈(1)에서부터 타이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수축될 수 있고 타이어의 조립을 위해 기준면으로 구성하도록 방사상으로 전개될 수 있는 판(30, 31)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강성벽을 가진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방법 및 장치{Tire assembling and vulcanization}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의 최종 제조 형상에 매우 가깝거나 심지어 동일한 형상을 지지체 상에서 제조하는 타이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895,692 호에는 타이어의 내부 형상을 결정하는 강성 코어를 가진 타이어 몰드와 또한 이러한 몰드를 사용하여 타이어를 조립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몰드는 "강성(rigid)"이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몰드가 타이어에 주어진 체적의 성형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기 체적은 몰드의 셸(shell)과 트레드를 성형하는 일군의 섹터에 의해 외측면을 한정하고 강성 코어에 의해 내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몰드의 사용은 준 부과 체적(quasi-imposed volume)으로 가황 스테이지(vulcanization stage)를 거쳐야한다. 또한,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몰드는 측벽의 외측면의 성형을 보장하는 두 셸과 트레드의 외측면의 성형을 보장하는 링 섹터만을 가지는 몰드이다. 상기 몰드의 사용은 가황시 성형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요성 블레더(flexible bladder)의 가공하지 않은 타이어(raw tire) 내에 널리 이용되어지므로, 이 경우 가황이 부과된 체적이 아니라 부과된 압력으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미국 특허 제 4,895,692 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라서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부과된 압력으로 가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가황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최종 제조 형상과 가능한 매우 가까운 타이어를 지지체 상에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조립하는 동안 한 드럼에서 다른 드럼으로 또는 한지지체에서 다른 지지체로 타이어 이동시 일어나는 타이어의 블랭크 이동(blank transfer)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블랭크의 이러한 모든 이동과 조정(manipulation)은 사실상 조립시 다수의 결함의 원인과 생산된 타이어의 균열성의 결함의 원인이 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형성하는 조립 단계 및, 가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단계 중에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형성하는 천연 고무의 접착에 의해 유지 가능하며 가황 후 타이어로부터 분리 가능한 팽창성 블레더를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도넛 형상 (toroidal)을 갖는 조립체용 기준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조립 압력으로 상기 블레더를 팽창하는 단계와, 밴드를 권취시킴으로써 타이어의 내부스킨을 형성하는 고무를 적층하며, 필요한 순서에 따라 모든 소정의 성분을 상기 블레더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블랭크를 가황하는 단계 및, 상기 블레더를 수축하며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레더 상에 블랭크의 가황을 달성하기 위해서, 트레드 및 측벽의 외면의 성형을 위한 몰드를 블랭크 둘레로 폐쇄하고, 다음 상기 블레더의 압력을 타이어의 성형을 보장하는데 충분한 성형 압력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황 말기에서, 스킨과 상기 블레더를 분리하고 가황된 타이어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블레더를 수축한다.
이것은 팽창 가능한 블레더상에 완전히 타이어를 제조하고, 다음 블레더에 대해 블랭크의 어떠한 이동 없이 동일 블레더상에서 타이어를 가황하는 것이다. 사용된 블레더는 조립 단계 동안의 적층시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이루는 천연 고무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블레더상에 적층된 고무 밴드가 적층된 장소에 유지되기 위해서 블레더에 부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밴드를 적층하기 위해서, 예비 성형된 밴드를 적층하는 방법, 또는 블레더 상에 적층되는 정확한 장소의 함수로써 완전히 제어된 고무량을 직접 압출하는 방법 등의 다른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 필요한 것은 블레더를 사용한 후 타이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양호한 가공하지 않은 부착제를 얻을 수 있는 재료(다시 말하면, 가공하지 않은 고무가 적층의 요구 조건에 충분하게 부착하는 재료)로 형성하고, 또한 가황 타이어의 분리를 보장하는 재료로 형성해야 한다. 예를 들면, 블레더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표면 덮개(surface covering)를 가지는 고무로 형성된다. 상술한 특성 또는 이의 조합 외에도, 타이어 내에 사용된 생산품, 특히,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이루는 생산품에 모순되는 수준을 가지는 탄성 중합체도 사용될 수 있다.
"타이어 제조"는 완전한 그리고 부분적인 제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크라운 보강제와 트레드만을 포함하는 유니트의 제조 또는 이러한 유니트가 없는 타이어의 제조를 포함한다. 가황 블레더 또는 그 밖의 2단 드럼(second-stage drum)과 같은 수용 드럼이 소정의 주요 성분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진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으로 형성된 복잡한 제품을 수용하는 다른 종래 장치와 대조적으로, 제조된 대상물이 무엇이든지, 기준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지지체상에 권취되어 적층되는 모든 가공하지 않는 재료 뿐만 아니라 완전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모든 하기의 재료를 수용한다.
"도넛 형상의 지지체"는 타이어의 내면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에 가깝도록 실린더 형상이 아닌 겉모양 외면을 가진 형상의 지지체이다. 그러므로 이 형상은 비드 와이어(bead wires)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홈 또는 숄더를 양측면 상에 형성한, 유사한 원통형 표면을 가진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1단 조립 드럼(first-stage assembly drum)의 형상과 다른 성질을 가진다. 이 형태의 회전체는 거의 원호 또는 사다리꼴과 유사한 방사상 섹션을 가질 수 있다.
타이어의 최종 제조 및 가황 형상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로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게 보강 블레더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승용차 타이어의 팽창 압력과 동일한 크기의 압력으로 한번 팽창되면, 강성 형태로써 거동하는 가요성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미국 특허 제 4,801,344, 4,804,436 와 4,963,207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강성 코어상의 타이어의 제조에 알려진 타이어 조립 기구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축시 수축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가요성 블레더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을 제안하는데, 상기 모듈은 상기 블레더를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블레더에 의해 팽창 상태에서 도넛 형상 지지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팽창 가능한 챔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은 타이어의 조립을 허용하고 그 다음 가황 스테이션에서 타이어의변동을 허용한다. 모듈은 적합하게 가장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유체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두 개의 접속 소켓을 가진다. 가황 스테이션에서, 사용된 유체는 예를 들어 모듈이 열을 생성할 수 있는 레지스터를 구비한 경우에 전류이거나, 모듈의 내측에 열을 전도하는 열 교환 유체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접속 소켓은 전기 소켓 또는, 가스 또는 액체 유체용 커넥터일 수 있다. 판 사이의 밀봉 수단에 의해, 매번 압력하에 있는 유체를 제공하는 공급원에 연결할 필요 없이, 타이어의 조립 동안 팽창 상태 그대로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으로 이송될 수 있는 자발적인 팽창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두 비드가 제공된 블레더를 포함하는 모듈을 제공하며, 각각의 비드는 판 상에 고정되며, 상기 모듈은 판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강성 벽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벽은 가황 후 상기 모듈로부터 타이어를 분리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수축 가능하며, 타이어의 조립을 위한 기준으로써 작용하는 연속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전개 가능하다.
이 장치의 장점은 밴드의 권취부에 의해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이루는 고무의 적층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제 1 고무 권취부가 매우 쉽게 부착되는 재료,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상기 벽의 재료로 선택할 수 있다. 인접한 권취부의 수가 지지체를 완전히 덮을 때까지 약간 중첩된다면, 밴드의 상호간의 부착력은 고무 자체가 블레더에 쉽게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층된 고무를 지지체 상의 적소에 유지하는 것이 충분하다.
적합하게는, 상기 벽은 상기 모듈로 제조된 타이어의 내면의 방사상 섹션이팽창하는 반지름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에, 블레더와 관련된 강성벽의 다른 장점은 지지체가 타이어의 내부 형상과 정확히 일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성형 작업도 없이 타이어를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지지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벽의 외면과 타이어의 트레드의 성형을 위한 몰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몰드는 타이어의 내면에 성형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가요성 블레더를 포함하는 모듈을 사용하고, 상기 블레더는 두 개의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은 각각의 상기 비드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두 개의 판을 가지며, 제거되거나 도입될 수 있어 가공하지 않은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황 스테이션에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황 스테이션은 상기 모듈이 가황 스테이션에서 장착될 때 상기 판사이의 상대적인 축선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타이어의 완전 제조에 필요한 모듈에 대한 모든 작동(판의 이동, 블레더의 팽창 압력의 조정 등)은 이 가황 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황 스테이션은 압력하의 유체 공급원에 모듈을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은 타이어의 조립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먼저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모듈이 가공하지 않은 타이어를 지지하는 가황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 가황에 필요한 압력과 열을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타이어의 가황 후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블레더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동을 모듈에 부과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블레더를 지지하는 판을 멀리 이동함으로써 블레더의 접힘을 야기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접힘체와 블레더 내의 충분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블레더는 타이어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가황 타이어가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접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조립 유니트와, 연합 가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기를 제안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용 제조기는 조립 단계 동안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이루는 가공하지 않은 고무를 유지할 수 있고, 타이어의 가황 후 타이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팽창 가능한 가요성 블레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더로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수단을 가진 하나 이상의 조립 스테이션과, 상기 블랭크의 가황을 보장하는데 적합한 수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가황 스테이션과, 상기 스테이션 사이로 상기 모듈을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
제 1 도는 두 개의 비드(11)를 가지는 가요성 블레더(10)를 도시한다. 각각의 비드는 판(30, 31) 상에 장착된다. 블레더(10)는 한 비드(11)에서부터 다른 비드로 연장되는 90°배향된(타이어 산업에서 사용된 통상의 각도에 따라) 보강 와이어(12)를 가진다. 블레더(10)는 또한 0°배향되어 있는 와이어(13)를 가진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와이어(12, 13)는 도면애서 단지 국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90°와이어와 0°와이어를 조합함으로써, 팽창시 블레더의 외면의 볼록부의 윤곽(profile)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즉, 제 1 도의 점 P 로 도시한 방사상 섹션의 외형).
판(31)은 상기 판에 동축인 홈 내에 장착된 도넛 형상의 밀봉 조인트(33)를 가진다. 판(30)은 두 개의 판(30, 31)이 서로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밀봉 조인트(33)에 맞닿게 되는 숄더(32)를 가진다. 판(31)은 판(30, 31)을 연결할 수 있는 록킹 기구(34)를 포함한다. 록킹 기구(34)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몇개의 가요성 블레이드(35)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35)의 한 단부는 판(30)에 제공된 원주 방향 홈(36)내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35)는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불변하는 클립(37)에 의해 원주 방향 홈(36)내에 유지되고 스프링(39)의 작용하에서 멈춤부(38)에 대향해 있는 록킹 위치 내에 유지된다. 조립 및 잠금 위치에서, 판(30, 31)은 판(31)상에 배치된 자동 폐쇄 밸브(55)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기밀 외피(S)를 블레더(10)와 함께 이루는 림(15)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모듈(1)은 타이어의 제조 조건에 따라 몇몇 장소에 배치할 수 있는 개별 유니트이다. 판(30)은 림(15)을 파지할 수 있는 그립을 제공하는 연장부(16)를 가진다. 유사한 방식으로, 판(31)은 림(15)을 파지할 수 있는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는 연장부(17)를 가진다.
블레더(10)를 제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블레더의 내면의 형상을 결정하는 제거 가능하거나 파괴 가능한 강성 코어를 사용한다. 상기 강성 코어상에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 HNBR 또는 탄성 중합체 에틸렌 아크레이트 고무 또는 플루오르화 탄성 중합체 등과 같은 적합한 고무 제품이 적층되고 보강 와이어는 적당한 방법으로 적층된다. 그래서, 조립체는 바람직한 가황 압력을 부과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외부 몰드 또는 압력솥(Autoclave)을 사용하여 가황된다.
90°와이어와 0°와이어의 사용은 윤곽의 우수한 제어를 허용하지만 지지체의 곡률 반경의 반전을 얻을 수 없다. 다시 말하면, 타이어의 제조 지지체의 외면을 오목하게 할 수 없다. 다시 언급하면, 블레더의 방사상 섹션 상의 굴곡점(P)을 얻을 수 없다. 제조할 타이어의 최종 내부 형태와 가능한 가깝게 하기 위해서, 제조될 타이어의 섹션이 굴곡점을 포함하는 장소 P 아래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강성 벽(4)을 적합하게 사용하고 있다. 제조될 타이어의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T)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블레더(10)와 벽(4)에 대하여 블랭크가 어떻게 배치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강성벽(4)이 사용되는 경우에, 0°와이어는 굴곡점(P) 위에 방사상으로 있는 블레더(10)의 부분만 보강한다. 이 경우, 블레더 내에 펴져 있는 기계 요소와 같은 다른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타이어가 제조되는 지지체의 외면의 방사상 섹션의 형상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강성벽(4)의 구조는 특히 제 2 도와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강성벽(4)은 타이어가 모듈(1)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가황된 후 수축될 수 있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강성벽(4)은 페탈형 부재(petal-like members)(40, 41)의 조립체로 형성된다. 전개 위치(제 1 도 내지 제 4 도)에서, 부재는 타이어의 조립을 위해 기준으로 작용하는 연속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부재는 힌지(46)상에 장착되고(특히, 제 2 도의 파단 부분 참조), 모듈(1)의 중앙을 향해 부재를 안내하는 회전에 의해 재차 접혀질 수 있다(제 5 도). 이 접힘 이동이 상기 부재의 방사상 상부 부분을 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시키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는 감소한다. 그러므로, 부재를 중첩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부재(40)가 먼저 재차 접혀지고 그 다음 부재(41)만 접혀지므로,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 위치에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 이동은 하기에 설명하겠다. 먼저, 부재(40, 41)가 강성벽(4)을 형성하는 위치는 부재(40, 41)가 자신의 연장부(43)에 맞닿아 놓이는 멈춤부(42; 제 1 도 참조)에 의해 형체가 정해진다. 이들은 팽창 가능한 블레더(10)에 의해 멈춤부(42)에 대해 유지된다.
부재(40, 41)의 에지(47)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스듬히 위치되며서로 보충적인 지지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벽은 두 그룹(한 그룹은 도면 부호 40으로 다른 그룹은 도면 부호 41로 표시됨) 내에 분포된 짝수의 부재를 포함하고,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부재는 상이한 그룹에 속한다. 제 2 도와 제 3 도에 도시하지 않은 블레더(10)는 제 3 도의 화살표 M의 측면과 제 2 도의 후방에 배치된다. 화살표 M은 블레더(10)가 부재(40, 41)에 대향해 압력 하에 적용되는 힘이 며, 이 힘은 부재(40, 41)를 멈춤부(42)에 대향해 위치시킨다. 블레더(10)가 수축되거나 진공 하에 놓이면, 부재(40, 41)에 대향하는 힘은 중단된다. 이들은 제 5 도에 도시한 위치를 향해 자유로이 스윙(swing)할 수 있다. 이 스윙 운동은 화살표 M의 반대 방향으로 일어난다. 측부 에지(47)의 비스듬한 형상으로 인해, 부재(40)의 스윙은 항상 부재(41)의 스윙 보다 앞서고, 부재(41)의 멈춤부(42)에 대한 복귀는 항상 부재(40)의 복귀보다 앞선다. 그러므로, 부재(40, 41)의 엇갈린 배치가 항상 가능하며 블록킹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부재(40, 41)상에 장착된 스프링(48)은 압력 하에 있는 블레더(10)에 의해 발생된 힘에 대향하는 힘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48)에 의해 발생된 힘은 제 5 도에 도시한 수축 형상으로 부재(40)를 연속적으로 접는 경향이 있다. 부재의 수축 위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위치까지의 이동은 블레더(10)의 팽창에 의해 제어된다. 대향 통로는 블레더(10)의 수축에 의해 허용된다. 상기 부재의 이동을 위한 특정 제어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스프링(48)은 모듈(1)의 측면상에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가황 타이어가 방출된다. 그 이유는 하기에 설명하겠다. 그러나, 두 개의 벽은 동일한 스프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제 4 도와 제 5 도는 가황 스테이션 내에 장착된 모듈(1)을 도시한다. 여기에 타이어의 외면의 성형용 몰드가 있는데, 이는 공지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셀(57)과 조립 섹터(58)를 포함한다. 가황 스테이션은 판(31)이 장착될 수 있는 그리퍼 (gripper)(50)를 포함하며, 상기 판은 돌출부(spurs)(50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퍼(50) 상에 장착된 밀봉 조인트(52)는 그리퍼와 판(31) 사이의 기밀을 보장한다. 슬라이드 블록(501)은 록킹 기구(34)에 대향해 압박될 수 있다.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는 몰드의 축선의 레벨에 배치된다. 이것은 왼쪽 판(30)을 결합시킨다. 로드(511)에 의해 제어된 록커(510)에 의해 연장부(16)의 레벨에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밀봉 조인트(53)는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와 판(30)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 밀봉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그리퍼(50)와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 사이에 제공된다. 조립체는 판(30, 31)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라도 판(30, 31) 사이의 기밀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자동 폐쇄 밸브(55) 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다소 이동되는 다른 자동 폐쇄 밸브(56)(제 2 도 참조)는 가황 스테이션에서 블레더(10) 내에 순환되는 열교환유체용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 유체는 가황에 필요한 압력을 블레더(10) 상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은 일반적으로 성형 압력 보다 크며, 가황에 필요한 열을 타이어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열 교환 유체용 도관과 상기 유체용 순환 및 가열 수단은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타이어 제조는 하기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조립 스테이션과 가황 스테이션을 가지는 타이어 제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도에서, 일점 쇄선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왼쪽에는 림(15)을 지지하는 브래킷(6)이 있으며, 오른쪽에는 림(15)이 장착된 허브(7)가 있다.
브래킷(6)은 허브(7)를 포함하는 조립 스테이션에서 모듈(1)을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허브(7)상에 모듈(1)을 장착한 후, 브래킷은 모듈로부터 제거되고 이동된다. 그러므로 모듈(1)은 조립 스테이션에 설치되고 타이어의 성분은 적층의 필요에 따라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이루는 부틸-베이스 혼합물을 블레더(10)상에 적층하는 것을 시작으로 모든 필요한 성분이 그 위에 위치된다. 즉, 적층될 장소에 따라 타이어 내의 고무의 기능에 따라 공식화된 모든 고무 혼합물과 타이어의 보강재를 이루는 보강 와이어가 위치된다. 그러므로 모든 필요한 성분은 상기 블레더의 필요한 장소에서 적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구조 자체는 아니므로 특정 타이어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블랭크(T)의 조립 후, 브래킷(6)은 재차 모듈(1)을 파지하며, 다음 허브(7)로부터 이격되며 조립 스테이션에서 가황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가황 스테이션에서 모듈(1)의 사용을 지금 제 4 도와 제 5 도를 참조로 설명하겠다. 브래킷(6)(제 1 도 참조)은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지지하는 모듈(1)을 가져와 그리퍼(56)에 제공한다. 돌출부(500)는 림(15) 둘레를 폐쇄한다. 브래킷(6)은 림(15)으로부터 해제되어 비워진다.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는 판(30)과 결합할 때까지 판에 근접한다. 록커(510)는 판(30)을 파지한다. 그 다음, 외부 몰드{셀(57), 섹터(58)}를 폐쇄하고 타이어의 가황에 대한 모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는 외부 몰드의 개구에서 시작하여 몰드로부터 제거된다. 블레더(10)를 수축하고 부재(40, 41)를 재차 스욍하기 위해서, 블레더(10)에 의해 형성된 외피 내의 진공의 작용은 판(30, 31)의 상대적인 분리의 축선 이동과 조합된다. 슬라이드 블록(501)은 록킹 기구(34) 상에 위치된다. 제 5 도로부터 그리퍼 (50)에 대한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의 슬라이딩이 판을 분리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이한 밀봉 조인트에 의해, 이 외피는 기밀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블레더(10)의 접힘과 복귀 이동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진공 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더(10)의 한 접힘부는 제 5 도에 나타낸다. 또한 공기는 블레더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타이어와 블레더(10) 사이에 압력 하에 주입될 수 있다. 이 주입의 양호한 포인트는 방사상 상부 부분으로 부재를 복귀하는 것이다. 에어 채널(18)은 부재의 두께 내에 제공된다. 부재의 표면 상의 유출 (debouching)은 도면부호 14로 나타낸다(제 4도 참조).
다음, 타이어는 트레드에 의해 타이어를 파지하는 언로딩 조작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는 타이어와 모듈 사이의 상대적인 축선 이동에 의해 비워질 수있다. 판(30, 31)의 분리 이동이 타이어의 방출 보다 먼저 이루어지면, 판(30)의 이동에 따르지 않는 경향이 있는 타이어의 방출은 모든 경우에 빈 측면(제 5 도의 왼쪽)상에 있는 판(30)의 부재(40, 41)의 조립체에 방해받지 않고 통과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측면만이 타이어의 방출을 방해 하지 않으며 똑바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소 이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48)의 역할이다.
중앙 실린더-피스톤 유니트(51)는 판(30)을 가져와 재차 판(31)과 판(30)을 접촉시키며, 이 때, 슬라이드 블록(501)은 판을 록킹하기 위해 다시 이동하고 림 (15)을 재구성한다. 이 방법으로 블레더 내측의 압력은 다음 타이어의 조립을 위해 적당한 레벨로 재설정될 수 있다.
고무 블레더를 보강하기 위한, 높은 견고성을 가진 0°와 90°와이어{예를 들어 아라미드(aramid)}의 사용은 주어진 압력에서 블레더 형상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 내부 압력의 작용 하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특성을 고무 블레더에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하학 형상으로 매우 양호한 조립 지지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금속으로 형성된 강성 코어와 유사한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예를 들어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이루는 고무의 체적 내의 오차에 의한 성형 체적 내의 작은 변동을 매우 쉽게 수용할 수 있는 가황 블레더를 가진다. 다소의 추가의 형상을 수용할 수 있는 블레더를 가진다. 이 블레더가 제공되면, 타 이어의 최종 크기 보다 약간 적은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소정의 트레드 패턴으로 몰드의 섹터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심지어 가황 단계를 시작하는 동안 상기 블레더가 팽창 압력의 부분만으로 성형 압력을 타이어에 전달하면, 현재까지 사용된 비보강 블레더와 유사하다. 셀과 성형 섹터로 형성된 성형 공동은 반 강성(semi-rigid)을 띨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코어 없이 보다 적은 부품을 가진 몰드로 성형하는 장점과, 따라서 내부 코어를 제거하고 재장착할 기구를 구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 및 성형 작업이 없는 제조 방법의 장점을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모든 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을 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제 1 도는 타이어의 조립 단계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제조 모듈의 도면.
제 2 도는 상기 제조 모듈의 제 1 도의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 의 방향에서 본 모듈의 상세도.
제 4 도는 가황 단계중의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타이어가 제거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듈 30, 30 : 판
10 : 블레더 11 :비드
12,13 : 와이어 30,31 : 판
40, 41 : 페탈형 부재

Claims (10)

  1.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형성하는 조립 단계 및, 가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단계 중에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형성하는 천연 고무의 접착에 의해 유지 가능하며 가황 후 타이어로부터 분리 가능한 팽창 가능한 블레더를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넛 형상을 갖는 조립체용 기준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조립 압력으로 상기 블레더를 팽창하는 단계와,
    밴드를 권취시킴으로써 타이어의 내부 스킨을 형성하는 고무를 적층하며, 필요한 순서에 따라 모든 소정의 성분을 상기 블레더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가공하지 않은 블랭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블랭크를 가황하는 단계 및,
    상기 블레더를 수축하며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 압력의 작용 하에 타이어의 내부 표면의 최종 제조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적용 가능한 보강 고무 블레더를 사용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내부 스킨의 고무를 적층하기 위해 밴드를 권취하는 동안 발생되는 인접 권취부는 전체 지지체가 덮여질 때까지 중첩되는 타이어 제조 방법.
  4. 수축시 수축 가능한 팽창 가능한 가요성 블레더(10)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1)에 있어서,
    상기 블레더를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블레더에 의해 팽창 상태에서 도넛 형상 지지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팽창 가능한 챔버(S)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수단과,
    가황을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두 개의 접속 소켓 및,
    상기 블레더가 팽창할 때 상기 블레더(10)에 인접하며 상기 블레더의 외부에 배치되며, 판(30,31)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강성 벽(4)을 포함하며,
    상기 강성 벽은 가황 후 상기 모듈(1)로부터 타이어를 분리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수축 가능하며, 타이어의 조립을 위한 기준으로써 작용하는 연속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전개 가능한 타이어 제조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벽은 상기 모듈의 외부로부터 볼 때,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정점 평면에 수직인 축 주위로 각각 상기판(30,31)으로 분절되며, 전개 위치에서 연속 표면을 형성하며 수축 위치에서 하나가 다른 것의 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한 세트의 페탈(40,4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벽은 두 그룹으로 분포된 짝수의 페탈을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페탈은 상이한 그룹에 속하며, 수축 위치로의 스윙에 의해 페탈은 모듈의 중심을 향해 축방향으로 지향되는 타이어 제조 모듈.
  8. 제 5 항에 있어서, 전개 위치에서, 상기 벽은 제조된 타이어의 지지체의 외부 표면의 방사상 섹션이 여전히 볼록한 반지름으로 적어도 방사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더는 보강 코드에 의해 보강되며, 상기 보강 코드(12,13)의 일부는 90°로 배치되며 하나의 힐로부터 다른 힐로 전개되며, 다른 보강 코드는 0°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더는 HNBR 탄성 중합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고무 탄성 중합체 또는 소정의 플루오르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 모듈.
KR1019950014108A 1994-05-27 1995-05-26 타이어제조방법및장치 KR100359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6656A FR2720326A1 (fr) 1994-05-27 1994-05-27 Assemblage et vulcanisation de pneumatique.
FR94/06656 1994-05-27
FR94-06656 1994-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74A KR950031474A (ko) 1995-12-18
KR100359008B1 true KR100359008B1 (ko) 2003-02-05

Family

ID=946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108A KR100359008B1 (ko) 1994-05-27 1995-05-26 타이어제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853526A (ko)
EP (1) EP0685321B1 (ko)
JP (1) JP3771300B2 (ko)
KR (1) KR100359008B1 (ko)
CN (1) CN1076660C (ko)
BR (1) BR9502573A (ko)
CA (1) CA2150070A1 (ko)
DE (1) DE69514715T2 (ko)
FR (1) FR2720326A1 (ko)
RU (1) RU2147519C1 (ko)
TW (1) TW3103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3049A1 (de) * 1994-12-05 1996-06-13 Continental Ag Kern zum Aufbau eines Fahrzeugluftreifens
ES2184937T3 (es) 1996-08-01 2003-04-16 Conception & Dev Michelin Sa Nucleo destructible, utilizable particularmente para la fabricacion de un neumatico.
JP3999331B2 (ja) * 1998-02-25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KR100675773B1 (ko) * 1998-12-17 2007-02-01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차륜용 타이어 부품 제작 방법 및 장치
JP3999390B2 (ja) * 1999-01-13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4323050B2 (ja) 1999-03-16 2009-09-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装置及びブラダ着脱方法並びにタイヤ製造方法
EP1522400A1 (en) * 1999-07-06 2005-04-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vulcanizing tires
KR100339171B1 (ko) * 1999-07-30 2002-05-31 마스다 노부유키 타이어 가황 설비 및 타이어 가황 방법
US6620367B1 (en) * 1999-08-17 2003-09-1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Tire vulcanizing method and tire vulcanizer
JP3668073B2 (ja) * 1999-09-29 2005-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製造方法
US7005023B2 (en) * 1999-10-29 2006-02-28 Pirelli Pneumatici S.P.A. Method of manufacturing tires
CN1319726C (zh) * 1999-12-01 2007-06-06 倍耐力轮胎公司 用于同时制造不同类型轮胎的设备
JP4493203B2 (ja) * 2000-12-12 2010-06-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ES2254705T3 (es) * 2002-05-31 2006-06-16 Pirelli Pneumatici S.P.A.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neumaticos y soporte toroidal para dicha fabricacion.
AU2003219526A1 (en) * 2003-03-10 2004-09-30 Pirelli Pneumatici S.P.A.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US7833374B2 (en) * 2003-03-14 2010-11-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ly expansible tire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forming tires
US20040177914A1 (en) * 2003-03-14 2004-09-16 Jean-Claude Girard Radially expansible tire assembly drum and method for forming tires
US7459117B2 (en) 2003-04-17 2008-12-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curing tires using a self-locking tire mold
US20040244914A1 (en) * 2003-06-09 2004-12-09 Wyko, Inc. Collapsible shaping drum
ATE344131T1 (de) * 2003-09-05 2006-11-15 Michelin Soc T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r herstellung von reifen dargestellten formkernen bzw. hergestellte reifen und vorrichtung zur reifenherstellung
US20050133149A1 (en) * 2003-12-19 2005-06-23 Sieverding Mark A. Single station tire curing method and apparatus
ATE439231T1 (de) * 2004-09-20 2009-08-15 Pirelli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reifen
ATE400425T1 (de) * 2004-09-20 2008-07-15 Pirell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ifen
EP1833663B1 (en) 2004-12-28 2014-08-27 Pirelli Tyr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yres
JP2007022045A (ja) * 2005-07-21 2007-02-01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製造用シェーピングブラダー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4134137B2 (ja) * 2005-10-05 2008-08-13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JP4134138B2 (ja) * 2005-10-05 2008-08-13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JP4437330B2 (ja) * 2005-10-05 2010-03-24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BRPI0520726B1 (pt) * 2005-11-30 2016-04-12 Pirelli processo e aparelho para construção de pneus
US20070125497A1 (en) * 2005-12-02 2007-06-07 Lundell Dennis A Heated tire building core assembly and method
US7621308B2 (en) * 2005-12-02 2009-11-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latching and transport mechanism
DE102006015910A1 (de) * 2006-04-05 2007-10-1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uffläche für einen Fahrzeugreifen
WO2008007398A1 (en) 2006-07-11 2008-01-17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neumatic tyres
US20080084007A1 (en) * 2006-10-05 2008-04-10 Carlisle Intangible Company Low aspect ratio tire curing bladder
US20100032079A1 (en) * 2006-12-06 2010-02-11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PL2117820T3 (pl) * 2007-02-15 2012-05-31 Pirelli Sposób i aparat do wytwarzania opon
US7891962B2 (en) 2007-12-21 2011-02-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manipulator apparatus
US7785061B2 (en) * 2007-12-21 2010-08-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orienting a tire and core assembly in a tire manufacturing line
US8113806B2 (en) * 2007-12-21 2012-02-1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assembling and storing a tire building core
US7802975B2 (en) * 2007-12-21 2010-09-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Loading apparatus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tire curing mold
US7874822B2 (en) * 2007-12-21 2011-01-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segment manipulator apparatus
US7910043B2 (en) * 2007-12-21 2011-03-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and cure station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US8127434B2 (en) * 2007-12-21 2012-03-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assembly and disassembly of a tire curing mold
US7896632B2 (en) * 2007-12-21 2011-03-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 tire building core
US7854603B2 (en) * 2007-12-21 2010-12-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assembly and disassembly station
US8431062B2 (en) * 2007-12-21 2013-04-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curing line
US7887312B2 (en) * 2008-11-12 2011-02-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core
US20100143083A1 (en) * 2008-12-04 2010-06-10 Dennis Alan Lundell Tire building core transport assembly and method
US20100139844A1 (en) * 2008-12-04 2010-06-10 Dennis Alan Lundell Tire building core handling mechanism and method
WO2010150826A1 (ja) * 2009-06-23 2010-12-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加硫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加硫装置
JP6143362B2 (ja) 2010-10-01 2017-06-07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ジョー及び/又は電極、及び電気手術用増幅器を持つ電気手術器具
US20120168060A1 (en) * 2010-12-31 2012-07-05 Joseph Carmine Lettieri Tire mandrel
WO2012099117A1 (ja) * 2011-01-17 2012-07-26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タイヤブラダー
CN104844918B (zh) * 2015-05-14 2018-04-06 南京金三力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耐超低温、耐高温油的低压变乙烯丙烯酸酯橡胶材料
JP6735079B2 (ja) * 2015-10-15 2020-08-05 Toyo Tire株式会社 ブラダー固定ユニット
WO2018122644A1 (en) * 2016-12-28 2018-07-05 Pirelli Tyre S.P.A. Method for loading a green tyre for bicycle in a vulcanisation mould and apparatus for moulding and vulcanising
JP6962056B2 (ja) 2017-08-03 2021-11-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用のモーターサイクルタイヤの製造方法
CN115816724B (zh) * 2023-02-14 2023-04-21 天津市环宇橡塑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密封罩硫化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0109A (en) * 1959-10-27 Building core for pneumatic tires
US1405427A (en) * 1921-05-06 1922-02-07 Miller Rubber Co Apparatus for building cord tires
US1717437A (en) * 1925-12-31 1929-06-18 Nat Rubber Machinery Co Tire-building core
US1667127A (en) * 1926-07-26 1928-04-24 Fisk Rubber Co Vulcanization of tire casings
US1923705A (en) * 1930-09-29 1933-08-22 Goodyear Tire & Rubber Pneumatic tire building chuck
US2824336A (en) * 1953-03-19 1958-02-25 Us Rubber Co Apparatus for treating pneumatic tires
US2855629A (en) * 1955-06-10 1958-10-14 Nat Ind Inc Tire retreading apparatus
US3107192A (en) * 1960-03-16 1963-10-15 Goodyear Tire & Rubber Apparatus for shaping tires
FR1311160A (fr) * 1961-06-15 1962-12-07 Dunlop Sa Machine à replier sur eux-mêmes des manchons en matières souples telles que des tissus gommés
US3329748A (en) * 1963-02-04 1967-07-04 Uniroyal Inc Processes of curing tires
FR1383893A (fr) * 1963-10-29 1965-01-04 Pneumatiques, Caoutchouc Manufacture Et Plastiques Kleber Colombes Machine pour la confection des pneumatiques
DE1934465A1 (de) * 1969-07-08 1971-01-21 Continental Gummi Werke Ag Trommel oder Dorn zum Aufbauen von Luftreifen
US3726742A (en) * 1970-12-16 1973-04-10 Harris F Tire builder
US3990930A (en) * 1971-09-09 1976-11-0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ladder for tire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5143070B2 (ko) * 1972-05-31 1976-11-19
US3945866A (en) 1974-05-24 1976-03-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apparatus for large tires
US4239565A (en) * 1974-11-29 1980-12-16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Off-the-highway radial tire building system
DE2734587A1 (de) * 1977-08-01 1979-02-15 Continental Gummi Werke Ag Verfahren zum aufbauen von guertelreifen-rohlingen
IT1092388B (it) * 1978-02-03 1985-07-12 Italmatic Srl Pressa automatica,per la ricostruzione di pneumatici,provvista di una camera di vulcanizzazione aperta,di tipo flessibile
US4474633A (en) * 1982-06-03 1984-10-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radial tires
FR2597784B1 (fr) 1986-04-25 1990-10-26 Michelin & Cie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de renforcements pour pneumatiques
FR2597783B1 (fr) 1986-04-25 1988-08-26 Michelin & Cie Moule rigide pour le moulage et la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FR2599297B1 (fr) 1986-06-02 1988-08-12 Michelin & Cie Procede et machine de fabrication d'un renforcement pour pneumatiques
FR2603841B1 (fr) 1986-09-17 1989-02-24 Michelin & Cie Procede de fabrication d'un pneumatique avec pose des produits caoutchouteux et des elements de renforcement sur un support, dispositif de pose des produits caoutchouteux et machine qui utilise de tel(s) dispositif(s)
US4877469A (en) * 1987-03-18 1989-10-31 The Armstrong Rubber Company Reinforced tire curing blad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EP0580991B1 (en) * 1992-06-29 2000-01-26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s, rubber compounds, and rubber curing bladders having self release or low adhesion to curing or cured hydrocarbon rubbers
IT1257548B (it) * 1992-07-01 1996-01-30 Firestone Int Dev Spa Metodo e stampo di vulcanizzazione per la realizzazione di pneumatici di veicoli strada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0070A1 (fr) 1995-11-28
CN1076660C (zh) 2001-12-26
RU95108316A (ru) 1997-01-20
JP3771300B2 (ja) 2006-04-26
DE69514715T2 (de) 2000-06-29
BR9502573A (pt) 1995-12-26
RU2147519C1 (ru) 2000-04-20
JPH07314573A (ja) 1995-12-05
US5853526A (en) 1998-12-29
EP0685321B1 (fr) 2000-01-26
EP0685321A1 (fr) 1995-12-06
KR950031474A (ko) 1995-12-18
US6203641B1 (en) 2001-03-20
DE69514715D1 (de) 2000-03-02
CN1126140A (zh) 1996-07-10
FR2720326A1 (fr) 1995-12-01
TW310301B (ko) 199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008B1 (ko) 타이어제조방법및장치
EP0015224B1 (en) Building and shaping a tire
KR100991587B1 (ko) 환형 아펙스 및 비드 소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EP14817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s o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4214939A (en) Tire building machine
EP1030789B1 (en) A tyre and air tube,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CN102159383B (zh) 用于模制和硫化轮胎的方法和设备
EP2091723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KR100538312B1 (ko) 타이어의 공기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CA1149273A (en) Tire building machine
EP1629962B1 (en) Tire curing bladder
JP2000296523A (ja) 車の車輪用タイヤの成形・硬化方法及びその装置
EP0509095B1 (en) Green tire building apparatus
KR820001882B1 (ko) 타이어 성형기
GB2140751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tyres
EP2452809A1 (en) Segmented tire building core and method of making a tire
KR820002061B1 (ko) 타이어 성형기
JPH0156662B2 (ko)
TH318A (th) การสร้างและการขึ้นรูปยา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