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807B1 -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807B1
KR100355807B1 KR1020000026340A KR20000026340A KR100355807B1 KR 100355807 B1 KR100355807 B1 KR 100355807B1 KR 1020000026340 A KR1020000026340 A KR 1020000026340A KR 20000026340 A KR20000026340 A KR 20000026340A KR 100355807 B1 KR100355807 B1 KR 10035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hosphorus
modified polyester
polyester prepolymer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659A (ko
Inventor
박홍수
김성계
최용호
김성길
우종표
Original Assignee
박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수 filed Critical 박홍수
Priority to KR102000002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80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9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난연성분으로서 인산염인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DPP)를 택하고 2염기산, 디올 및 트리올과 축중합시켜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이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시켜 3차원 망상구조의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도료는 비난연도료의 도막물성보다 오히려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인 함유량 증가에 따라 건조시간이 짧아져 도료업계에서 최근 가장 선호도가 높은 소위 속건성 도료에 속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연소성 시험을 거쳐 난연성을 판독한 결과, 난연성 측정법인 수직법에서 DPP함량 20wt% 이상에서 불꽃에 연소되지 않으므로써 우수한 난연효과를 지닌 난연도료임이 판명되었다.

Description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Modified polyester pre-polymer containing phospate,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rapid curing type two-component polyurethane flame retardant coating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난연성분으로서 인산염인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DPP)를 택하고 2염기산, 디올 및 트리올과 축중합시켜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이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시켜 3차원 망상구조의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화재 참사가 많아져 인명손상은 물론이고 재산피해도 막대한데, 도료분야는 건축물의 모든 내장재 부문에 코팅처리를 하기 때문에 난연도료의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고, 근자에 이르러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상온경화형인 폴리우레탄 도료의 난연화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과제이다. 폴리우레탄 도료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폴리우레탄 도막이 표면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고도의 내마모성, 뛰어난 내후성과 내약품성을 지니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 건조시간이 짧고 가사시간이 긴 도료를 선호하는 경향을 미루어 볼 때, 폴리우레탄 만큼 이상적인 장점을 지닌 도료가 없기 때문이다.
폴리우레탄 도료는 1947년 독일의 바이엘(Bayer)사에서 데스모듀(Desmodur;상품명,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데스모펜(Desmophen; 상품명, 폴리올계)의 2성분계의 소위 D/D 도료로서 공업화한 것이 그 시초인데, 그 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오늘날에는 1성분계와 2성분계로 대별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는 발포성 난연도료와 비발포성 난연도료 중 주로 비발포성의 난연성 도료에 속하는데, 이는 유기질계의 자기소화성 난연제 성분을 도입하기 때문이다. 폴리우레탄의 연소성은 구조상 폴리올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큰 영향을 미치는데, 폴리우레탄 도료에 난연성을 부여할 때 폴리올 쪽에는 주로 인, 염소 및 브롬기를 함유하는 폴리올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쪽에는 지방족 내지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도입하는 경향이 많다.
한편, 최근의 화재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화재시 불꽃에 대한 피해보다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독한 가스로 인한 사상자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 및 유독성 물질 배출금지에 따른 조치로 난연도료의 유독성 연소가스, 예를 들어, 할로겐화 수소 또는 불화수소 발생량 등의 배출한도 규제책이 금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따라서 무독성의 난연도료의 개발이 필수적인데, 무독성계 난연도료 중 가장 인기있는 분야는 인 함유 도료이다. 인 함유 도료는 할로겐계, 소위 브롬이나 염소기를 도입한 난연도료보다 2∼4배의 난연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인 함유 난연도료에 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 제95-07109377호는 발포형 내화피복용 열가소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내수성과 내후성이 우수하고 자유로운 착색이 가능한 발포형 내화피복을 가지는 강재 및 그의 조성물을 고체표면에 필름상으로 접착 피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열가소성수지로서 ABS수지 또는 PVC계 수지를, 불연재로서 무수인산 또는 폴리인산암모늄을, 탄소생성 재료로서 셀룰로오스 등 다당류를, 또한 불연성 가스발생 재료로서 멜라민 또는 디시안디아미드를 각각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일본 공개특허 제94-0671802호는 난연성, 접착성, 내블럭킹성을 지닌 난연 테이프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 시트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에 의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블럭킹 방지제로서 SiO2, 난연제로서 테트라브로모 무수프탈산 또는 폴리인산염 등을 블렌드하고서, 경화제로서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하여 경화시켜 난연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난연도료를 난연 테이프에 응용하여 물성시험을 행한 결과, 종래의 난연 테이프에 비해 한층 양호한 난연성을 얻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407,981호에서는 폴리올로서 디에틸 에틸포스포네이트,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 및 디에틸 메틸포스포네이트 3종류를 택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트리클로로이소프로필 알콜과 디브로모펜틸글리콜 2종류를 선정하여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포옴을 제조하여 그의 난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난연포옴을 경화시킬때의 적정 반응조건이 열거되어 있지 않고, 더욱이 난연처리후의 물성시험을 통한 물성저하 여부 등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그러나, 전술한 상기 특허중 전자의 2가지 특허들은 반응형이 아닌 단순혼합에 의해 제조된 난연도료이기 때문에 도장 후 시간이 경과하면 난연제가 도막표면으로 블루밍되어 나와 난연성의 저하 및 이로 인한 기타 물성이 저하된다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특허들은 난연성분인 폴리올을 직접 합성하지 않았으며, 그의 용도가 폴리우레탄 난연포옴으로 국한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열거한 이들 선행기술들은 비록 난연성은 양호하다고는 하나, 반응형 도료가 아닌 단순 블렌드나 혼련 등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도막표면의 균열에 의한 상분리 현상, 도막물성의 저하 및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난연성 물질의 침출, 즉, 블루밍 현상 등의 부작용을 갖고 있으며, 설령 반응형 난연도료라고 할지언정 도막물성 시험에서 최근 선호되고 있는 속건성 도료 입증 내지는 난연도료와 비난연도료와의 상세한 도막물성 비교시험 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반응형의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로서 우수한 난연효과 뿐만 아니라 제반 도막물성 등을 자세히 밝힌 선행기술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특성을 갖는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환경친화적인 무독성의 인계 난연도료로서, 현재 시판의 거의 대부분을 점유하며 연소(화재)시 심한 독성의 가스가 발생되는 할로겐계 난연도료를 대체시킬 수 있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난연특성 뿐만 아니라 다른 기계적인 물성도 우수한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C3∼C6의 알킬기이고, n은 1∼2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은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 30∼80중량부에 디올 80∼120중량부, 2염기산 160∼300중량부 및 트리올 90∼130중량부를 축중합시켜 제조되며, 수평균분자량 범위가 1,000∼10,00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400∼500중량부에 수지 경화제로 240∼300중량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와 수지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블렌드하여 상온경화시켜 인 함유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조함과 동시에, 제반 도막물성 측정을 통하여 제조된 난연도료와 비난연도료와의 도막물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C3∼C6의 알킬기이고, n은 1∼2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난연성분인 인과 히드록시기를 갖고 있으며, 수평균분자량 범위는 약 1,000∼10,000 정도이다. 단 히드록시기 양은 도료의 도막물성에 적합한 히드록시기 함량 6.5 또는 히드록시기 값 215선을 유지하여 산출된 값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평균분자량이1,000미만이면 도료 도막형성이 어렵고 내후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며, 10,000을 초과하면 도료 용도의 도막생성이 불가능하고 또한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분자량이 커짐으로써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난연성분으로서 인산염인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를 택하고 이를 디올, 2염기산 및 트리올과 축중합시켜 제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는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 30∼80중량부에 디올 80∼120중량부, 2염기산 160∼300중량부 및 트리올 90∼130중량부를 축중합시켜 제조된다. 이때, 상기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의 사용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난연효과가 저하되고, 80중량부를 초과하면 난연성은 좋아지나 도막이 딱딱해지고, 특히 도막의 결함인 클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디올의 사용량이 80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굴곡강도가 떨어지고, 120중량부를 초과하면 곁사슬이 없는 직쇄상의 구조가 많아져 굴곡강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2염기산의 사용량이 160중량부 미만이면 도막 경도가 상승하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면 반대로 도막 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트리올의 사용량이 90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밀도가 적어져 도막이 묽어지는 경향이 있고, 130중량부를 초과하면 관능도가 증가하여 가교밀도가 많아져 도막이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디올로는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또는 1,6-헥산디올이 바람직하고, 2염기산은 아디프산, 피메르산 또는 수베르산이 바람직하며,또한 트리올은 글리세린, 트리메틸올메탄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바람직하다.
한편,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400∼500중량부에 수지 경화제로 240∼300중량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성분에 기타 성분인 백색안료, 습윤분산제 및/또는 플로우개량제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배합하여 상온경화시켜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사용량이 400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밀도가 낮아져 도막의 내수성, 내약품성 및 경도가 저하되고, 500중량부를 초과하면 400중량부 미만 사용한 경우와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이 240중량부 미만이면 가교밀도가 낮아져 결국 도막이 너무 묽게되어 도막형성이 어렵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교밀도가 높아져 결국 도막이 너무 딱딱해져서 굴곡강도 및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 함유 2성분계 폴리우레탄의 도막시편은 3종류로 제조하였다. 냉간압연강판(KS D 3512)을 사용할 때는 KS M 5000-1111의 도료 시험용 철판의 제조방법에 따라, 주석판(KS D 3516)을 사용할 때는 KS M 5000-1112의 도료 시험용 주석판 제조방법에 따라서, 또한 유리판을 사용시는 규격을 200mm×150mm×5mm로 맞추고 도포와 건조방법은 상기 주석판과 냉간압연강판의 조건과 같게 하였다.
한편, 제조된 도막시편에 의한 도막물성 시험방법으로서, 점도 측정은 크렙스-스토머(Krebs-Stormer) 점도계로서, 건조시간 측정은 고화 건조법으로서, 가사시간 측정은 상기 점도 측정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점도가 최고값인 140 KU에 도달하면 경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스워드(Sward) 경도법으로서, 60경면광택도 측정은 KS M 5000-3312의 도료의 60경면광택도 시험법으로서, 접착력은 시편을 주석판으로 제조하여 도료의 접착력 시험법으로서, 내마모성은 시편을 냉간압연강판으로 제조하여 도료의 내마모성 시험방법(FS 141-6152)에 의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촉진 내후성 측정은 크세논 웨더-오메터(Xenon weather-ometer)로서, 황변도 측정은 스펙트로 컬러 메터(Spectro color meter)로서, 명도지수차 측정은 KS M 5000-3031의 도료 색상의 명도지수차 시험방법에 의거하였다. 아울러, 제조된 인 함유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난연성은 수직시험(ASTM D 568-77)과 수평시험(ASTM D 653-88)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비교제조예 1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
500㎖의 4구 플라스크에 하기 표 1의 비교예 1 배합조건으로 하여 시약을 가한 후 온도 70℃부터 질소가스를 흡인시켰고, 10℃/hr의 속도로 승온하여 에스테르화하였다. 140℃에서 탈수가 시작되어 190℃까지 탈수가 진행되었으며, 220℃에서 3시간 반응을 지속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는데 반응의 종말점은 산가 측정과 탈수량을 계산하여 결정하였다. 반응생성물을 10배량의 크실렌에 침전시켜 정제한 다음 50℃, 4mmHg하에서 감압건조하여 담황색의 점도투명 액상인 히드록시기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구조는 FT-IR로 측정한 결과 3500cm-1에서 OH기를, 1750cm-1에서 C=O기를, 2970cm-1에서 CH2기를 확인하였다. NMR 측정결과는 δ0.9ppm에서 -CH3-C를, δ1.5ppm에서 -CH2-C를, δ3.5ppm에서 C-CH2-O-를, δ4.1ppm에서 C-CH2-OCO-피크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C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7,290 이었으며, 동적점도는 470 stroke로 나타났다.
제조예 1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
인산염인 디메틸페닐 포스포네이트(DPP) 함량 10wt%인 변성폴리에스테르 제조는 하기 표 1의 실시예 1 배합조건으로 하였고, 기타 합성방법은 비교예 1과 같게 하였다. 반응생성물을 10배량의 증류수와 노르말헥산으로 정제한 다음, 감압건조하여 미황색의 점도투명 액상인 디메틸페닐 포스포네이트 함량 10wt%인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를 얻었다.FT-IR에 의한 구조확인에서 1740cm-1에 C=O 신축진동, 1180cm-1에 C-O- 신축진동으로 에스테르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3450cm-1에 OH기의 신축진동, 1060cm-1에 제1 급 알코올의 신축진동 흡수가 각각 나타난다는 점에 비추어 히드록시기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1060cm-1에 인산염의 특성기(-O-PO-O-)의 신축진동 흡수피크가 제1 급 알코올의 신축진동 흡수피크와 서로 중복되어 크게 나타난다는 점에 비추어 DPP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NMR 측정에서는 δ0.9ppm에서 CH3-C를, δ1.4ppm에서 -CH2-C를, δ3.6ppm에서 C-CH2-O-를, δ4.1ppm에서 C-CH2-OCO-를, δ7.5ppm 부근에서 벤젠고리의 -CH=CH- 수소 흡수피크가 나타나 구조확인이 가능하였다. 또한 GPC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2,470이었으며, 동적점도는 200 stroke이었다.
제조예 2∼3
인 함량에 변화에 따른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
인 성분인 DPP 함량 15wt%(실시예 2) 및 20wt%(실시예 3)인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는 제조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다.FT-IR에 의한 구조확인에서 DPP 함량 15wt% 및 20wt%로 갈수록 인산염의 특성기(-O-PO-O-)의 피크가 1060 cm-1와 1610 cm-1에서 점차 크게 나타나는 점으로부터 DPP의 함량증가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외의 피크들은 제조예 1의 DPP 함량 10wt%인 경우와 동일하게 나타났다.NMR 측정에서는 DPP 함량 15wt% 및 20wt%로 갈수록 δ7.5ppm 부근에 벤젠고리의 -CH=CH- 수소 흡수피크가 점차 크게 나타남으로써 화학식 1의 구조에서 DPP의 함량이 점차 많이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타의 피크들은 제조예 1의 DPP 함량 10wt%인 경우와 거의 흡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또한, GPC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2,950(실시예 2)과 2,470(실시예 3)로 각각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수평균분자량값을 비교해 볼 때, DPP함량이 많아질수록 수평균분자량 값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OH와 COOH 비에서 반응성을 약화시키는 OH기가 점점 증가됨으로써 결국 분자량 값이 감소되었다고 판단된다.한편, DPP 함량 15wt% 및 20wt%인 경우의 동적점도는 110 stoke와 25 stoke로 각각 나타나 DPP 함량 증가에 따라 점도가 저하됨으로써 제조된 프리폴리머의 고형분 함량증가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3
2성분계 폴리우레탄 도료의 제조
인 함유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경화의 2성분으로 이루어진다.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는 비교예 1과 실시예 1∼3 모두의 배합비를 같게 취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은하기 표 1의 배합조건으로 하였는데 모체수지에 부틸아세테이트 및 톨루엔을 각각 가하여 희석시킨 후 백색안료인 TiO2, 습윤·분산제인 Byk P-104S 및 플로우개량제인 다우 코닝-11(Dow Corning-11)을 균일하게 배합하여 조제하였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경화용액은 역시 하기 표 1의 배합조건에 따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인 데스모듀(Desmodur) N-100에 크실렌과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를 각각 가하여 희석시켜 조제하였다. 한편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는 도막을 만들고자 할 시간에 맞추어 위에서 각각 조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경화용액을 블렌드하여 제조하였다.
난연도료의 물성시험
비교예 1 및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로서 도막제작 후의 인 성분 함량에 따른 도막물성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난연도료인 실시예 1∼3과 비난연도료인 비교예 1의 물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경도와 내마모성은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점도, 건조시간, 접착력, 촉진내후성, 황변도 및 명도지수차 값은 오히려 난연도료쪽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사시간과 60°경면광택도 값은 다소 저하되었으나 대체로 도료 물성평가 기준내에 들어 양호한 편이었다.
상기 결과를 보아 도막의 밀착성, 내마모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장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 함유량 증가에 따라 건조시간과 가사시간이 짧아졌는데, 이는 산으로서 작용한 DPP가 산 촉매 역할을 한 결과로추측되어진다.
난연도료의 난연효과
하기 표 1에 난연도료(실시예 1∼3)와 비난연도료(비교예 1)의 연소성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수직시험에서 비난연도료의 완전 연소시간이 101초인데 반하여 실시예 1과 2는 188초와 305초로 각각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은 불꽃 발화 후 곧 불꽃이 꺼졌다. 또한 수평시험에서는 비난연도료의 완전 연소시간이 182초로 나타났으나, 기타 난연도료의 시료는 불꽃을 강하게 점화시켜도 발화된 후 곧 꺼짐으로써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위의 결과로서 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연소시 인 화합물의 열분해가 먼저 일어나 도막표면에 폴리메타인산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시켜 결국 무염연소 과정을 억제하여 불에 타지 않는다고 해석되었다.
구 분 성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인 미함유및 인 함유변성폴리에스테르프리폴리머 BDAATMP톨루엔DDP 80.7g223.9g121.0g15.0g- 80.3g193.0g120.4g15.0g37.0g 80.0g177.6g120.1g15.0g55.6g 79.8g162.2g119.7g15.0g74.1g
2성분계폴리우레탄도료 부틸아세테이트톨루엔TiO2Byk P-104SD.Corning-11N-100크실렌셀로솔브아세테이트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도막물성 점도(KU)건조시간(분)가사시간(시간)경도(7일)60°경면광택도접착력(%)내마모성촉진내후성황변도(ΔN)명도지수차(ΔL) 8028084095362.02900.0752.01 7512064891642.18920.0581.83 606054692622.01950.0370.95 586044490612.21880.0140.45
난연성 수직법(초)수평법(초) 101182 188- 305- --
주) 상기 표 1에서, BD: 1,4-부탄디올, AA: 아디프산, TMP: 트리메틸올프로판,
DPP: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 N-100: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직법: ASTM D 586-77, 수평법: ASTM D 653-88
실시예 4∼9
반응물 성분 변화에 의한 난연도료의 물성 및 난연성
하기 표 2에 나타낸 배합비로 각종의 폴리우레탄 난연도료를 제조하여 도막물성과 난연성을 비교 검토하였는데,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반응물 성분만을 변화시켰다. 실시예 4∼9의 수평균분자량은 GPC측정으로 1,000∼ 10,000의 범위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4 및 5의 경우는 디올 종류를 변화시킨 것으로, 디올로서 1,5-펜탄디올과 1,6-헥산디올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막물성에서는 점도와 경도가 저하되고 건조시간이 길어지며 가사시간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및 7의 경우는 2염기산을 변화시켜 피메르산과 수베르산을 각각 사용한 결과인데, 실시예 2와 비교하여 큰 차이점은 없었으나 점도가 상승하고, 건조시간이 짧아지며 항변도가 다소 저하되었다. 실시예 8 및 9에서는 트리올을 변화시켜 글리세린과 트리메틸올에탄을 사용한 것인데, 점도와 경도가 다소 저하되고 접착력이 증가하며 느린 건조시간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난연성 시험에서는 실시예 4∼9 모두가 실시예 2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반응물 성분 변화에 의한 난연도료의 물성과 난연성 검토 결과 대체로 모든 물성값들이 도료 물성평가 기준내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성 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인 미함유 및 인 함유변성폴리에스테르프리폴리머 PDHDPASAGCTMEBDAATMP톨루엔DPP 93.6g------177.6g120.1g15.0g55.6g -106.2g-----177.6g120.1g15.0g55.6g --244.8g---80.0g-120.1g15.0g55.6g ---266.2g--80.0g-120.1g15.0g55.6g ----82.8g-80.0g177.6g-15.0g55.6g -----108.0g80.0g177.6g-15.0g55.6g
2성분계폴리우레탄 도료 부틸아세테이트톨루엔TiO2Byk P-104SD.Corning-11N-100크실렌셀로솔브아세테이트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252.0g84.0g299.0g1.7g1.7g268.8g117.6g117.6g
도막물성 점도(KU)건조시간(분)가사시간(시간)경도(7일)60°경면광택도접착력(%)내마모성촉진내후성황변도(ΔN)명도지수차(ΔL) 586664392632.11940.0400.92 577063992612.00920.0380.85 665854590622.17950.0760.98 705554688632.19950.0881.23 557453890672.22930.0150.90 577054091652.19930.0180.90
난연성 수직법(초)수평법(초) 301- 297- 300- 295- 306- 305-
주) 상기 표 2에서, PD: 1,5-펜탄디올, HD: 1,6-헥산디올, PA: 피메르산,
SA: 수베르산, GC: 글리세린, TME: 트리메틸올에탄
수직법: ASTM D 568-77, 수평법: ASTM D 653-88
본 발명은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난연처리후 도막물성이 극히 저하되는 것이 통례인데 제조된 난연도료의 도막물성은 비난연도료에 비해 오히려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도료업계에서 최근 가장 선호하는 소위 속건성 도료임이 입증되었으며, 우수한 난연효과를 보여주었다.
종래의 폴리우레탄계 난연도료는 단순혼합에 의해 제조되는 즉, 혼합형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난연도료는 반응형 타입이기 때문에 도장 후 도막이 균열되는 도막결함 현상이나 장기간에 걸쳐 난연성 물질이 서서히 침출되는 블루밍 현상 등이 전혀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도료는 환경친화적인 무독성의 인계 난연도료로서, 현재 시판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연소(화재)시 심한 독성의 가스가 발생하는 할로겐계 난연도료를 대체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수평균분자량 범위가 1,000∼10,000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C3∼C6의 알킬기이고, n은 1∼20의 정수이다.
  2. 디메틸페닐포스포네이트 30∼80중량부에 디올 80∼120중량부, 2염기산 160∼300중량부 및 트리올 90∼130중량부를 축중합시켜 제조되며, 수평균분자량 범위가 1,000∼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C3∼C6의 알킬기이고, n은 1∼20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은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또는 1,6-헥산디올이고, 2염기산은 아디프산, 피메르산 또는 수베르산이며, 트리올은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의 제조방법.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400∼500중량부에 수지 경화제로 240∼300중량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C3∼C6의 알킬기이고, n은 1∼20의 정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페닐에탄 디이소시아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난연도료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난연도료가 백색안료, 습윤분산제, 플로우개량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 제조방법.
KR1020000026340A 2000-05-17 2000-05-17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KR10035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40A KR100355807B1 (ko) 2000-05-17 2000-05-17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40A KR100355807B1 (ko) 2000-05-17 2000-05-17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659A KR20010105659A (ko) 2001-11-29
KR100355807B1 true KR100355807B1 (ko) 2002-10-19

Family

ID=1966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340A KR100355807B1 (ko) 2000-05-17 2000-05-17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8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752A (en) * 1973-09-17 1976-03-02 Hoechst Aktiengesellschaft Flame retarding linear polyesters and shaped articles thereof
JPH0565339A (ja) * 1991-07-10 1993-03-19 Sanyo Chem Ind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法
JPH0782358A (ja) * 1993-08-30 1995-03-28 Ind Technol Res Inst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法
JPH0912694A (ja) * 1995-06-29 1997-01-14 Ind Technol Res Inst 高分子量ポリエステル型難燃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42404A (ko) * 1996-11-13 1998-08-17 콜린 디. 킨턴 알킬렌-다리 걸친 알킬 포스포네이트
KR0181371B1 (ko) * 1996-01-23 1999-05-15 이내흔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752A (en) * 1973-09-17 1976-03-02 Hoechst Aktiengesellschaft Flame retarding linear polyesters and shaped articles thereof
JPH0565339A (ja) * 1991-07-10 1993-03-19 Sanyo Chem Ind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法
JPH0782358A (ja) * 1993-08-30 1995-03-28 Ind Technol Res Inst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法
JPH0912694A (ja) * 1995-06-29 1997-01-14 Ind Technol Res Inst 高分子量ポリエステル型難燃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81371B1 (ko) * 1996-01-23 1999-05-15 이내흔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42404A (ko) * 1996-11-13 1998-08-17 콜린 디. 킨턴 알킬렌-다리 걸친 알킬 포스포네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659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3551A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US5070172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CA1136336A (en) Polyurethane from trans-cyclohexan-1,4- diisocyanate
Patel et al. Waterborne polyurethanes: A three step synthetic approach towards environmental friendly flame retardant coatings
Wang et al. Synthesis of reactive DOPO-based flame retardant and its application in polyurethane elastomers
JP2006152291A (ja) ポリウレタン発泡材を製造するための高分岐ポリオールの使用、該高分岐ポリオールを含む二成分発泡システム、並びに該二成分発泡システムの使用
CN114573775B (zh) 含磷阻燃共聚型水性聚氨酯及其制备方法
JP201514331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ジオ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
HUE029630T2 (en) A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hard foam
KR20110093778A (ko) 적은 양의 디옥산 폐기물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 방법
JP6582515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皮革用接着剤
KR102163340B1 (ko) 후가교성 반응형 인계 폴리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후가교성 반응형 인계 폴리올로 제조되는 난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CN116804075A (zh) 一种可生物降解的高强度聚氨酯材料及其制备方法
US3663514A (en) Light-stable polyurethane coatings
Kapatel et al. Green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flame retardant waterborne polyurethanes: synthesis and its characterizations
KR100355807B1 (ko)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Kapatel et al. Flame retardant waterborne polyurethane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different properties
WO2023076139A1 (en) Flame retardant rigid high density polyurethane foam
EP3075755A1 (en) Ambient temperature curable isocyanate-free compositions for preparing crosslinked polyurethanes
KR20110027680A (ko) 염소화 폴리에터 및 그로부터 얻어진 폴리우레탄
Mishra et al.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s: Effect of PPG molecular weight on properties of phosphate based polyurethanes
CN114127144A (zh) 用于聚氨酯聚合物的过渡金属螯合多元醇共混物
KR100515732B1 (ko) 트리포스포러스 함유 변성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및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2성분계 폴리우레탄난연도료
Barot et al. Synthesis of Flame 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 Using Bis (2-hydroxyethyl) terephthalate Derived from Chemical Scavenging of Waste Clothes
JP2011190392A (ja) 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