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371B1 -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371B1
KR0181371B1 KR1019960001386A KR19960001386A KR0181371B1 KR 0181371 B1 KR0181371 B1 KR 0181371B1 KR 1019960001386 A KR1019960001386 A KR 1019960001386A KR 19960001386 A KR19960001386 A KR 19960001386A KR 0181371 B1 KR0181371 B1 KR 018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eight
urethane foam
part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195A (ko
Inventor
고중백
조호규
현명억
김영웅
김일순
Original Assignee
이내흔
현대건설주식회사
김정돈
미원상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내흔, 현대건설주식회사, 김정돈, 미원상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내흔
Priority to KR101996000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371B1/ko
Publication of KR97005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29C44/16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shaped by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45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 C08G18/2054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4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cles consisting of a foamed macromolecular core and a macromolecular surface layer having a higher density than the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 단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우레탄 폼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문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올 100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부, 피페라진계 촉매 0.1 내지 3중량부, 가교제 1 내지 15중량부, 난연제 2 내지 20중량부, 물 0.1 내지 4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혼합폴리올을 믹싱헤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시켜서 액상 우레탄폼을 만들고, 상기 액상 우레탄폼을 문틀재의 외형이 내부에 형성되는 문틀재용 몰드의 내부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에 몰드로부터 문틀재를 탈형하여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함으로써, 고밀도를 가지는 표피층은 그 두께가 1 내지 5㎜가 되며 체적비는 5 내지 25%가 되며, 중간층은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가지도록 액상우레탄폼을 발포시켜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하여서, 목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작업성과 구조적인 성능을 가지면서도 수분에 의한 뒤틀림 변형이나 부패가 방지되는 합성수지 문틀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이다.

Description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문틀재의 사시도.
(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문틀재의 사시도.
제2도의 (a)는 제1도 (a)의 문틀재가 결합되어 문틀을 이루는 상태의 사시도.
(b)는 제1도 (b)의 문틀재가 결합되어 문틀을 이루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합성수지 문틀재 11,12 : 양단부
14 : 표피층 15 : 중간층
20 : 나사못 100 : 문틀
본 발명은 내수성, 단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우레탄 폼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문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틀은 문짝을 지지하므로 문짝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문짝의 충격하중을 받는 구조재이다. 이러한 문틀은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콘크리트 문틀은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성형 양생한 것으로 내수성은 좋은 반면 중량이 무거워서 시공시 취급이 어렵고 외관이 수려하지 못한 것은 물론 단열성이 크게 떨어지며, 시공중이나 시공후에 파손되는 경우 보수가 어려워지는 결함이 있었다.
알루미늄 문틀은 내습성 및 가공성이 좋고 경량이어서 취급이 편리하나 단열성이 크게 떨어지며 가격이 높아서 그 사용이 크게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목재문틀은 위에 설명된 문틀들에 비하여, 작업성이나 구조적인 성능면에서의 장점들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재문틀은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되면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심지어는 부패되기도 한다. 이와같이 수분에 내수 내습성능이 취약한 목재문틀이 욕실이나 화장실과 같이 습기가 많은 장소에 사용되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분을 가장 많이 접촉하는 부분이 되는 욕실의 문틀에서 밑틀(Sill)부분은 마블로 별도 제작하여 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밑틀을 마블로 시공하여도 문틀의 선틀부분의 하부가 변형되거나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었을 뿐아니라, 문틀의 시공과정이 이중으로 시행되어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목재문틀의 결함들을 감안하여 종래 단열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문틀재를 제작하여 문틀을 조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종래의 합성수지 문틀재는 염화비닐 중합체를 주원료로 하여 양질의 안정제와 충격강화제를 첨가시켜서 가운데에 중공부를 가지는 단면형태로 압출성형하여 제작되었다.
이러한 염화비닐 중합체를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는 습기에 대한 변형이 없는 장점은 있으나, 중공부를 가지는 단면형태로 압출성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문틀로 조립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작용하는 각종의 하중을 지탱할 만한 구조적인 강도와, 문짝의 설치에 사용되는 경첩고정용 나사못을 지탱할 만한 살두께를 가지지 못하는 결함이 있었다. 그렇다고 중공부가 없는 단면형태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작하는 것은 재료사용량의 증대로 인하여 문틀의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되므로 경제적인 현실상 어려운 일이었다.
한편, 최근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제작되는 목재 대체용의 각종 판재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저밀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작한다면, 중공부가 없는 문틀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우레탄 폼을 이용한 목재 대체품의 제조방법으로는 적절한 문틀재를 제조할 수 없었다.그 이유는 발포되어서 밀도가 작아진 저밀도의 우레탄폼으로 문틀재를 제작한다면, 문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의 하중을 지탱할 만한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발포시키지 아니한 고밀도의 우레탄폼으로 문틀재를 제작한다면, 오히려 목재보다 중량도 더 무거워지고, 가격도 고가가 되어서 건축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우레탄 폼을 이용한 대체목재의 단면을 절단하여 살펴보면 그 표피층의 밀도는 중간층의 밀도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액상의 우레탄폼이 몰드의 내부에 주입되면, 세포들이 발포되면서 표피층으로 확상되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표피층은 상대적으로 고밀도를 가지게 되는데 반하여 중간층은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가지게 된다.
바로 이러한 우레탄폼의 발포현상을 이용하여 비교적 고밀도를 가지는 단면의 표피층과 저밀도를 가지는 중간층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한다면 이상적인 문틀재를 제조할 수 있으리라고 여겨진다.
이는 단면의 중간층은 훔하중을 크게 받지 아니하는 반면에, 단면의 표피층은 대부분의 휨하중을 받게되는 단며의 구조역학적인 성질과 부합되기 때문이다.
또, 구조역학적인 문제가 적절히 해결하여서 중간층이 중공부로 형성되지 않는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한다면, 이러한 합성수지 문틀재는 종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문틀재에 비하여 사용성이나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문짝을 달기 위해 문틀의 단면의 중간층을 경유하는 못이나 나사못이 단면의 중간층에서서 적절한 힘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못이나 나사못의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작업성과 구조적인 성능을 가지면서도 수분에 의한 뒤틀림 변형이나 부패가 방지되는 합성수지 문틀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올 100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부, 피페라진계 촉매 0.1 내지 3중량부, 가교제 1 내지 15중량부, 난연제 2 내지 20중량부, 물 0.1 내지 4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혼합폴리올을 믹싱헤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시켜서 액상 우레탄폼을 만들고, 상기 액상 우레탄폼을 문틀재의 외형이 내부에 형성되는 문틀재용 몰드의 내부에 주입하여, 발포 및 경화시킨 후에 몰드로부터 문틀재를 탈형하여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10)를 제조함으로써, 고밀도를 가지는 표피층(14)은 그 두께가 1 내지 5㎜가 되며 체적비는 5 내지 25%가 되며, 중간층(15)은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가지도록 액상우레탄폼을 발포시켜서 합성수지 문틀재(10)를 제조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발포제로서는 물을 촉매로서는 피페라진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위에서 물은 발포제로서 종래에 주로 사용되어 왔던 CFC계의 용제(일반적으로 프레온GAS)의 대체재료로서 선택된 것이다. 그 이유는 CFC계의 용제의 발포제는 대기중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데 비하여 물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물을 발포재로 선택하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며, 이산화탄소는 표피층을 두껍게 형성하는 데 커다란 장애요인이 된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없애주기 위해서 선택되는 것이 피페라진계 촉매이다.
피페라진계 촉매는 초기반응이 서서히 진행되다가 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온도가 되면 급격히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는 감온성 촉매이다. 일반적으로 혼합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액상의 우레탄폼은 초기에는 낮은 온도를 유지하다가 혼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발열현상으로 인하여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바로 이때 피폐라진계 촉매는 그 반응이 급격히 활성화되어서 액상우레탄폼의 발포현상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여준다.
이와같이 액상우레탄폼의 발포현상이 신속하게 진행되면, 셀이 몰드의 표피층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고밀도를 가지는 문틀재의 표피층은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피폐라진계 촉매는 물이 발포제로 사용되는 혼합폴리올에 혼합되어서 액상우레탄폼이 문틀전용몰드의 내부에서 발포되는 과정에서 표피층을 두껍게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문틀전용몰드를 통하여 합성수지 문틀(100)을 생산되므로, 첫째, 목재문틀과는 달리 문틀형상의 가공작업으로 인한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둘째, 표피층(14)은 휨하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정도의 고밀도와 두께를 가지며, 중간층(15)은 저밀도를 가지므로, 구조적인 성능 뿐아니라 작업성도 우수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문틀재(10)는 제1도 (a),(b)의 도시와 같이, 문틀(100)을 이루는 선틀재, 밑틀재, 또는 윗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양단부가 직각으로 끊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경사지게 끊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문틀재(10)들은 제2도 (a),(b)의 도시와 같이 그 양단부(11)(12)들을 접착제로 접착하여서 4각형의 문틀(100)로 조립제작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 양단부(11)(12)들을 나사못(20)으로 고정하여서 4각형의 문틀로 조립제작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폴리올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로 크게 구분된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메틸글리코사이드, 에틸렌디아민, 톨루엔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솔비톨, 스크로즈, 만니히베이스 등 활성화 수소원자를 2개이상 함유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와 같은 개시제의 존재하게 부가중합시켜 제조한 수산기가가 100 내지 1,000㎎KOH/g(바람직하게는 200내지 800㎎KOH/g)이고, 평균분자량이 200내지 1,200(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9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비스하이드록시디에톡시벤젠, 1.4-디클로로헥산디올, 비스페놀A, 등 비교적 저분자량의 디올과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말레인산, 1.3-디클로로헥산디카르본산, 테트라프탈린산, 이소프탈린산, 프탈린산 등의 다가산과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수산기가가 100내지 500㎎KOH/g, 평균분자량 200 내지 1,0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된다.
연쇄확장 및 우레탄 폴리머내의 모듈러스(Moduls)를 증가시키고 전이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40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m-페닐렌디아민,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롤 등이 단독 또는 2개이상 함께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이다.
계면활성제는 여러 종류의 것이 사용가능하나, 특히 실리콘 타입의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아킬렌디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데, 이것은 혼합물안의 조성물을 유화시켜 유레탄폼 내의 셀의 크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발포폼의 가스손실 및 밀도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이다.
피페라진계촉매는 감온성을 특성으로 가지며, n,n'-디메틸피페라진,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렌피페라진, n-메틸-n'-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등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이다.
물은 발포제로 사용되는 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중량부이다.
그리고, 우레탄폼이 연소되는 경우, 자체 소화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난연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난연제로는 트리스(2-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테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2.2-비스-(클로로메틸)프로필렌포스페이트 등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중량부이다.
기타 첨가제로는 가소제, 안료, 충진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가수분해방지제 등이 제품의 성질 및 용도에 따라서 소량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중합MDI(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이네이트, 1.5-디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6-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로헥실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트 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그리고 폴리올 및 가교재등으로 변형된 중합MDI가 가능하며 특히 중합MDI 및 변형MDI를 사용하는 것이 물성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자량이 600인 글리세린을 개시제로 사용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50중량부, 분자량이 800인 수크로오스를 개시제로 사용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30중량부, 분자량이 800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20중량부, 계면활성제로서 UCC의 L5420 2중량부, 피페라진계 촉매로서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렌피페라진 1.5중량부, 가교제로서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5중량부, TCPP 15중량부, 및 발포제로서 물 2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혼합폴리올을 믹싱헤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사용되는 중합MDI로서 DOW의 PAPI 135K를 INDEX 105로 혼합시켜서 액상 우레탄폼을 만들고, 상기 액상 우레탄폼을 문틀재의 외형이 내부에 형성되는 문틀재용 몰드의 내부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에 몰드로부터 문틀재를 탈형하여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하였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물성을 실험해본 결과, 전체밀도는 0.4g/㎠, 표면밀도는 0.7g/㎠, 표피층의 두께는 3㎜, 압축강도는 130kgf/㎠, 인장강도는 100kgf/㎠, 휨강도는 185kgf/㎝, 체결력은 350kgf이었다.
위의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는 목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작업성과 구조적인 성능을 가지면서도 오히려 목재보다 매우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할 뿐아니라, 수분에 의한 뒤틀림 변형이나 부패가 방지되며, 제조비용도 저렴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목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작업성과 구조적인 성능을 가지면서도 수분에 의한 뒤틀림 변형이나 부패가 방지되는 합성수지 문틀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올 100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부, 피페라진계 촉매 0.1 내지 3중량부, 가교제 1 내지 15중량부, 난연제 2 내지 20중량부, 물 0.1 내지 4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혼합폴리올을 믹싱헤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시켜서 액상 우레탄폼을 만들고, 상기 액상 우레탄폼을 문틀재의 외형이 내부에 형성되는 문틀재용 몰드의 내부에 주입하여, 발포 및 경화시킨 후에 몰드로부터 문틀재를 탈형하여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함으로써, 고밀도를 가지는 표피층은 그 두께가 1 내지 5㎜가 되며 체적비는 5 내지 25%가 되며, 주간층은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가지도록 액상우레탄포을 발포시켜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함을 특지응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메틸글리코사이드, 에틸렌디아민, 톨루엔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솔비톨, 스크로즈, 만니히베이스 등 활성화 수소원자를 2개이상 함유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와 같은 개시제의 존재하게 부가중합시켜 제조한 수산기가가 100 내지 1,000㎎KOH/g이고, 평균분자량이 200내지 1,2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펜탄디올, 3-메틸-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비스하이드록시디에톡시벤젠, 1.4-디클로로헥산디올, 비스페놀A, 등 비교적 저분자량의 디올과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말레인산, 1.3-디클로로헥산디카르본산, 테트라프탈린산, 이소프탈린산, 프탈린산 등의 다가산과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수산기가가 100내지 500㎎KOH/g, 평균분자량 200 내지 1,000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40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m-페닐렌디아민,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롤 등이 단독 또는 2개이상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 타입의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알킬렌디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페라진계촉매는 n.n'-디메틸피페라진, n.n.n'-트리메틸아미노에틸렌피페라진, n-메틸-n'-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등이 단독 또는 2개이상 함께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폴리올에는 난연제로서 트리스(2-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테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2.2-비스-(클로로메틸)프로필렌포스페이트 등이 단독 또는 2개이상 함께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중량부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중합MDI(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이네이트, 1.5-디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6-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로헥실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MDI 및 변형MDI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의 제조방법.
  10. 폴리올 100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5중량부, 피페라진계 촉매 0.1 내지 3중량부, 가교제 1 내지 15중량부, 난연제 2 내지 20중량부, 물 0.1 내지 4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혼합폴리올을 믹싱헤드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시켜서 액상 우레탄폼을 만들고, 상기 액상 우레탄폼을 문틀재의 외형이 내부에 형성되는 문틀재용 몰드의 내부에 주입하여, 발포 및 경화시킨 후에 몰드로부터 문틀재를 탈형하여서,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를 제조함으로써, 고밀도를 가지는 표피층은 그 두께가 1 내지 5㎜가 되며 체적비는 5 내지 25%가 되며, 중간층은 상대적으로 저밀도를 가지도록 액상우레탄폼이 발포되어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KR1019960001386A 1996-01-23 1996-01-23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018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386A KR0181371B1 (ko) 1996-01-23 1996-01-23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386A KR0181371B1 (ko) 1996-01-23 1996-01-23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95A KR970059195A (ko) 1997-08-12
KR0181371B1 true KR0181371B1 (ko) 1999-05-15

Family

ID=1944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386A KR0181371B1 (ko) 1996-01-23 1996-01-23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07B1 (ko) * 2000-05-17 2002-10-19 박홍수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KR100412228B1 (ko) * 2001-02-01 2003-12-24 한림인텍 주식회사 열간 성형이 용이한 연속기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그 발포체를 이용한 자동차 마감재
KR200453040Y1 (ko) * 2008-09-26 2011-04-07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문틀용 몰딩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0546A (ko) * 2017-11-24 2019-03-22 최주환 내부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외부는 밀집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신규한 우레탄 발포 공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10B1 (ko) * 2001-09-28 2007-11-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탈형성이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KR100483377B1 (ko) * 2002-05-30 2005-04-22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합성목재 문틀 제조방법
KR100557319B1 (ko) * 2002-10-16 2006-03-03 김석운 천연 나무무늬 문지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07B1 (ko) * 2000-05-17 2002-10-19 박홍수 인 함유 변성 폴리에스테르 프리폴리머, 이의 제조방법,이를 포함하는 속건성 2성분계 폴리우레탄 난연도료의제조방법
KR100412228B1 (ko) * 2001-02-01 2003-12-24 한림인텍 주식회사 열간 성형이 용이한 연속기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그 발포체를 이용한 자동차 마감재
KR200453040Y1 (ko) * 2008-09-26 2011-04-07 주식회사 진영엘디엠 문틀용 몰딩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0546A (ko) * 2017-11-24 2019-03-22 최주환 내부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외부는 밀집한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물품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신규한 우레탄 발포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195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09637T3 (en) HYBRID SYSTEMS OF FOAMED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POLYURETHANES
US6769220B2 (en) Structural member
US7794817B2 (en) Filled polymer composite and synthetic building material compositions
JP6279576B2 (ja) 複合フォーム
US6211259B1 (en) Low volatile reinforcing system
BRPI0621070A2 (pt) processo para produzir um forro de teto automotivo
JPH0242648B2 (ko)
CA2036760A1 (en) Reinforced foam composites comprising hydroxy-containing vinyl ester resin
PT897402E (pt) Processo de fabrico de corpos moldados elasticos em poliuretano com uma superficie compacta e um nucleo celular
BRPI0712357A2 (pt) material compósito,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material compósito,e, uso de polìmero hiperramificado
US3476634A (en) Heat and sound insulation
US5834529A (en) Pressurized, blowing agent-containing isocyanate semiprepolymer mixtures based on lignin-polyether polyols and their use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s
KR0181371B1 (ko) 우레탄 폼을 이용한 합성수지 문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19122A (ko) 높은 반발 탄성 및 낮은 영구 압축 변형률을 갖는 저밀도 폴리우레탄 신발창 또는 밑창부
JP2581884B2 (ja) エネルギー吸収性の、水で発泡させ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5143941A (en) Energy absorbing, water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
US6284841B1 (en) Structural member
GB2264083A (en) Composite foam-filled articles
US5167884A (en) Energy absorbing, water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
US5223551A (en) Urea-modified isocyanurates and method of making rigid foams thereof
US5114985A (en) Dibasic acid esters as cell openers in low density rigid polyurethanes useful in pour-behind-fabric applications of low density SRIM
KR100929196B1 (ko) 강도가 개선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 및 그를 이용한용도
AU2011202857B2 (en) Improved polyurethane panel
JP2002337159A (ja) 天然繊維で補強された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ア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30003765A (ko) 슬랩용 발포체에 사용되는 저급 불포화 폴리에테르 폴리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