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621B1 -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621B1
KR100353621B1 KR1020000009425A KR20000009425A KR100353621B1 KR 100353621 B1 KR100353621 B1 KR 100353621B1 KR 1020000009425 A KR1020000009425 A KR 1020000009425A KR 20000009425 A KR20000009425 A KR 20000009425A KR 100353621 B1 KR100353621 B1 KR 10035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ke
cylinder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647A (ko
Inventor
누마타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1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 H01F7/124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by mechanical latch, e.g. de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8Cylinder to end cap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83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with an externally threaded sleeve around the neck or the head of the screw-threaded element for adjustably fastening a plate or frame or the like to a fix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실린더튜브(14) 및 록본체(20)를 관통하는 취부용 홀(62a∼62d)에 나입함에 따라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가 일체로 연결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홀(66)이 형성된 관통홀장착 볼트(64a∼64d), 및 상기 관통홀(66)을 따라 삽통시킴에 따라 일체로 연설된 상기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를 벽면(82)에 고정하는 취부용 볼트(68a∼68d)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Attachment Structure for Brake-Equipped Cylinder}
본 발명은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를 다른 부재 또는 벽면 등에 간단히 취부할 수 있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제품반송 또는 위치결정 등에 브레이크장착 실린더가 사용되고 있다.
도 6에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가 도시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는 실린더튜브(1) 내에 미도시의 피스톤이 수용된 실린더본체(2), 및 상기 실린더본체(2)와 일체로 연결되며 피스톤로드(3)를 소정 위치에 제동시키는 브레이크부(4)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튜브(1)의 네모서리에 관통하는 취부용 홀(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부용 홀(5)에 각각 타이로드(6)가 관통된다. 상기 타이로드(6)의 양단면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너트(7a, 7b)에 의해 상기 실린더본체(2)와 브레이크부(4)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를 판상부재(8)에 취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판상부재(8)에 관통하는 홀(9)을 천공하고, 나사부재(9a)를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면과 반대쪽 면으로부터 상기 홀(9)로 관통한다. 이 나사부재(9a)를 너트(7b)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입함에 따라 브레이크장착 실린더가 판상부재(8)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에서는 취부면과 반대쪽 면으로부터 나사부재를 삽통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벽면를 취부면으로 사용하면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를 직접 취부하기 곤란하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은 브라킷 등의 취부용 금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취부작업이 번잡해지며 부품개수가 많아져 제조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를 다른 부재 또는 벽면 등에 간단히 취부할 수 있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브라킷 등의 취부용 금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부품개수가 줄어 들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한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가 적용된 실린더장치를 구성하는 취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린더장치의 축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브레이크기구에 설치된 록링을 압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나타낸 부분종단면도,
도 4는 벽면에 실린더장치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종단면도,
도 5는 도 4와 반대방향에서 실린더장치를 판상부재의 취부면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방법을 나타낸 종단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튜브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챔버를 따라 섭동변위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일단부가 체결된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본체,
상기 실린더튜브에 연결되는 록본체를 가지며, 피스톤로드를 체결하는 브레이크기구가 설치된 브레이크부,
상기 실린더튜브 및 록본체를 관통하는 취부용 홀에 나입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본체와 브레이크부를 일체로 연설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삽통시킴에 따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실린더본체 및 브레이크부를 다른 부재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취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홀장착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는 작은 직경부와 큰 작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작은 직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 큰 직경부의 내벽면에 형성된 각진 소켓, 및 상기 각진 소켓을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다.
또 상기 취부부재는 관통홀을 따라 삽입되어 관통홀을 관통하는 기다란 취부용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취부용 홀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튜브 및 록본체의 네모서리부에 근접하는 4곳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취부부재는 상기 취부용 홀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취부용 볼트는 실린더본체 쪽의 취부용 홀 또는 브레이크부 쪽의 취부용 홀중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부부재를 취부용 홀을 따라 삽입하고, 관통홀을 관통하는 취부부재의 일단부를 벽면 나사홀에 나합시킴으로써 브레이크장착 실린더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에 대해서 적당한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번호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가 적용된 실린더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린더장치(10)는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압력유체 출입포트(12a, 12b)를 갖는 실린더본체(16), 및 상기 실린더본체(16)와 일체로 연결되고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가 형성된 록본체(20)를 갖는 브레이크부(22)로 구성된다.
또한 실린더튜브(14) 및 록본체(20)는 표면에 경질의 알루마이트로 처리된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 재료로 형성하면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본체(16)는 실린더튜브(14) 내에 형성된 실린더챔버(24)을 따라 직선으로 섭동변위하는 피스톤(26), 상기 피스톤(26)의 거의 중앙부에 연결된 피스톤로드(28), 상기 피스톤(2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을 따라 장착된 링형 마그네트(30) 및 피스톤패킹(32)을 포함한다.
실린더튜브(14)에는 실질적으로 실린더챔버(24)를 형성하는 칼라부재(34)가 고정되고, 상기 칼라부재(34)와 피스톤로드(28)의 섭동부위에는 로드패킹(36) 및 스크래퍼(38)가 환형홈에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부(22)에는 피스톤로드(28)를 둘러싸는 로드커버(40)가 멈춤링(42)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로드커버(40)와 피스톤로드(28)의 섭동부위에는 로드패킹(44) 및 부쉬(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커버(40)와 칼라부재(34)와의 사이에는 브레이크기구(48)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기구(48)는 스프링부재(50: 도 3, 참조)의 탄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록링(52), 상기 록링(52)에 연결된 레버(54), 상기 록링(52)에 장착되는 피벗핀(56), 및 상기 피벗핀(56)에 체결되는 피벗키(5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벗핀(56)은 록링(52)이 경동할 때의 지점으로서 기능을 하고, 레버(54)는 수동으로 브레이크록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록링(52)의 내주면에는 록링(52)이 경동할 때에 릴리이프로서 기능을 하는 환형홈(59)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어서, 실린더장치(10)에 구비되고, 실린더장치(10)를 다른 부재 또는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취부기구(6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취부기구(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4) 및 록본체(20)의 네모서리에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4개의 취부용 홀(62a∼62d), 상기 취부용 홀(62a∼62d)에 나입되며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를 일체로 연결하는 4개의 관통홀장착 볼트(연결부재: 64a∼64d), 및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의 관통홀(66)을 따라 삽입되는 4개의 취부용 볼트(취부부재: 68a∼68d)를 포함한다.
상기 취부용 볼트(68a∼68d)는 실린더본체(16) 쪽에서 취부용 홀(62a∼62d)에 삽입되거나, 또는 브레이크부(22) 쪽에서 취부용 홀(62a∼62d)에 삽입될 수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는 각각 금속제 재료로 되어 있고, 작은 직경부(70)와 큰 직경부(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는 상기 작은 직경부(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4), 큰 직경부(72)의 내벽면에 형성된 6각 소켓(76), 및 상기 6각 소켓(76)을 포함하며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홀(6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튜브(14)의 취부용 홀(62a∼62d)의 내부면에는 제1 암나사부(78)가 형성되고, 록본체(20)의 취부용 홀(62a∼62d)의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80)가형성되는데, 제1 암나사부(78)와 직경이 거의 같으며 제1 암나사부(78)와 동축을 이룬다. 이 경우 각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를 취부용 홀(62a∼62d)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취부용 홀부(62a∼62d)의 제1 및 제2 암나사부(78, 80)로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의 수나사부(74)를 나합시킨다. 따라서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가 일체로 강력히 고정된다. 또한 큰 직경부(72)에 형성된 6각 소켓(76)에 미도시된 6각 렌치를 삽입하고, 상기 6각 렌치에 의해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를 나입하면 보다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가 적용된 실린더장치(10)는 기본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이고, 이하에 그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린더장치(10)를 벽면에 직접 취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는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벽면(82)을 정면으로 한 상태에서 실린더장치(10)의 네모서리부에 형성된 취부용 홀(62a∼62d)에 4개의 취부용 볼트(68a∼68d)를 각각 삽입한다. 상기 취부용 볼트(68a∼68d)를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의 관통홀(66)에 관통함에 따라, 취부용 볼트(68a∼68d)의 일단부에 설치된 나사부(84)를 벽면(82)에 형성된 나사홀(86)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4개의 취부용 볼트(68a∼68d)에 의해 실린더장치(10)를 벽면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취부용 볼트(68a∼68d)는 실린더본체(16) 쪽 또는 브레이크부(22)쪽 어느 방향으로도 취부용 홀(62a∼62d)에 삽입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장치(10)를 벽면(82)에 취부하는 경우 실린더본체(16)를 벽면에 접촉시켜 취부하는 방법, 또는 브레이크부(22)를 판상부재(88)의 취부면(90: 도 5, 참조)에 접촉시켜 취부하는 방법 모두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장치(10)에서는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에 형성된 관통홀(66)을 통해 취부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취부용 볼트(68a∼68d)를 나입할 수 있게 때문에, 종래기술의 취부면과는 반대 쪽 면에서 취부용 볼트(68a∼68d)를 나입할 필요가 없어 간단히 취부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장치(10)를 벽면(82)에 취부하는 경우, 브라킷 등의 취부용 금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줄어 들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실린더장치(10)에 부설된 미도시된 유니트커버 등도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미도시된 튜브를 통해 한쌍의 압력유체 출력포트(12a, 12b)와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를 각각 압력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해 둔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소정 각도로 경동하는 록링(52)에 의해 피스톤로드(28)가 록된 상태로 된다. 즉, 스프링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피벗핀(56)을 기점으로 하여 록링(52)이 소정 각도로 경동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피스톤로드(28)는 록링(52)에 의해 피스톤로드(28)의 외주면에 체결됨으로써 록된다.
상기 브레이크기구(48)의 록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미도시된 절환밸브를 절환하여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로부터 압력유체를 공급한다.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의 작용으로 스프링부재(50)의 탄력에 대항하여 록링(52)이 화살표 A방향(도 2, 참조)으로 압압되고, 상기 록링(52)이 피스톤로드(28)의 축에 대해 직교한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기구(48)의 록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기구(48)의 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압력유체 출입포트(12a)를 통해 실린더챔버(24)에 압력유체를 공급한다. 실린더챔버(24)에 공급된 압력유체의 작용으로 피스톤(26)이 압압되고, 피스톤(26)이 실린더챔버(24)를 따라 섭동변위한다. 그 결과, 피스톤(26)과 피스톤로드(28)가 일체로 변위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26)이 칼라부재(34)에 당접함에 따라 변위 종단위치가 되고, 피스톤(26)의 변위가 제한된다.
미도시된 절환밸브를 절환하여 제2 압력유체 출입포트(12b)로부터 압력유체를 공급함에 따라 피스톤(26)이 상기와 다른 방향으로 변위되고,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미도시된 절환밸브의 절환작용에 의해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에 압력유체의 공급이 정지되어 상기 브레이크해제용 압력유체포트(18)가 대기 개방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프링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피벗핀(56)을 기점으로 하여 록링(52)이 경동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기구(48)는 작동되어 피스톤로드(28)가 록되는 초기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장치는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취부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취부부재를 나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취부면과 반대 쪽 면에서 취부용 볼트를 나입할 필요가 없어 취부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 벽면에 취부할 경우, 브라킷 등의 취부용 금구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실린더튜브(14)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챔버(24)를 따라 섭동변위하는 피스톤(26)과, 상기 피스톤(26)에 일단부가 체결된 피스톤로드(28)를 갖는 실린더본체(16),
    상기 실린더튜브(14)에 연결되는 록본체(20)를 가지며, 피스톤로드(28)를 체결하는 브레이크기구(48)가 설치된 브레이크부(22),
    상기 실린더튜브(14) 및 록본체(20)를 관통하는 취부용 홀(62a∼62d)에 나입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본체(16)와 브레이크부(22)를 일체로 연설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홀(66)이 형성된 연결부재(64a∼64d), 및
    상기 연결부재(64a∼64d)에 형성된 관통홀(66)을 따라 삽통시킴에 따라 일체로 연결된 상기 실린더본체(16) 및 브레이크부(72)를 다른 부재 또는 벽면에 고정하는 취부부재(68a∼68d)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64a∼64d)는 작은 직경부(70)와 큰 직경부(7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작은 직경부(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74), 큰 직경부(72)의 내벽면에 형성된 각진 소켓(76), 및 상기 각진 소켓(76)을 포함하고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홀(6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는 관통홀(66)을 따라 삽입되어 관통홀(66)을 관통하는 기다란 취부용 볼트(68a∼68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용 홀(62a∼62d)은 일체로 연결된 실린더튜브(14) 및 록본체(20)의 네모서리부에 근접하는 4곳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64a∼64d) 및 상기 취부부재(68a∼68d)는 상기 취부용 홀(62a∼62d)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용 볼트(68a∼68d)는 실린더본체 쪽의 취부용 홀(62a∼62d) 또는 브레이크부 쪽의 취부용 홀(62a∼62d) 중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기구(48)는 피벗핀(56), 상기 피벗핀(56)의 지지점에 대해서 경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로드(28)의 외주면을 체결하는 록링(52), 및 상기 피스톤로드(28)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링(52)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의 상기 수나사부(74)에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78)는 상기 실린더본체(16)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장착 볼트(64a∼64d)의 상기 수나사부(74)에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80)는 상기 브레이크부(22)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암나사부(78, 80)는 실질적으로 동일 직경을 갖도록 동심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KR1020000009425A 1999-03-05 2000-02-25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KR10035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8892 1999-03-05
JP11058892A JP2000257607A (ja) 1999-03-05 1999-03-05 ブレーキ付シリンダ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647A KR20000062647A (ko) 2000-10-25
KR100353621B1 true KR100353621B1 (ko) 2002-09-27

Family

ID=1309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425A KR100353621B1 (ko) 1999-03-05 2000-02-25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2078B1 (ko)
JP (1) JP2000257607A (ko)
KR (1) KR100353621B1 (ko)
CN (1) CN1108222C (ko)
DE (1) DE10008941B4 (ko)
TW (1) TW516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92973C (en) * 1999-12-21 2007-05-22 Vari-Form Pressure activated piston and cylinder unit for use in a die
JP3688592B2 (ja) * 2001-03-08 2005-08-31 Smc株式会社 ロック解除状態保持機構
DE10213833B4 (de) * 2002-03-27 2011-02-24 Frenotech Establishment Feststellvorrichtung
WO2016006437A1 (ja) * 2014-07-09 2016-01-14 Smc株式会社 シリンダ用ガイド機構及びガイド機構付シリンダ
JP6524471B2 (ja) * 2015-04-17 2019-06-05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548083B2 (ja) * 2016-03-17 2019-07-24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CN108825602B (zh) * 2018-09-05 2023-12-29 深圳广晟幕墙科技有限公司 围栏装饰件连接结构
BE1026534B1 (nl) * 2019-04-25 2020-03-06 Goforit ! Bvba Multifunctioneel verbindingsstuk voor het bouwen van een videomuur
DE102021105747A1 (de) * 2021-03-10 2022-09-15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 Verbindung für Kraftfahrzeuglei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204A (ja) * 1989-08-16 1991-04-15 Philips Gloeilampenfab:Nv 単一偏光モード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6107U (ja) * 1991-10-17 1993-05-18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シリンダ
US5241896A (en) * 1992-05-27 1993-09-07 Phd, Inc. Pneumatic cylind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406A (en) * 1915-09-16 1916-02-22 Thomas B Taylor Hollow sheet-metal bolt.
US2632425A (en) * 1950-05-26 1953-03-24 Reginald L Grover Piston lock
DE1210283B (de) 1958-12-06 1966-02-03 Bosch Gmbh Robert Steuergeraet fuer Druckmittel
DE2812927A1 (de) 1978-03-23 1979-10-04 Roetelmann & Co Zwischenplatte fuer ein hydraulisches verkettungssystem
DE3031349A1 (de) * 1979-11-20 1981-05-21 Willy Waltalingen Fink Druckluft-vibrator mit hin- und herbeweglichem kolben
DE19543471C1 (de) * 1995-11-22 1997-01-09 Festo Kg Klemmeinhe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204A (ja) * 1989-08-16 1991-04-15 Philips Gloeilampenfab:Nv 単一偏光モード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6107U (ja) * 1991-10-17 1993-05-18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シリンダ
US5241896A (en) * 1992-05-27 1993-09-07 Phd, Inc. Pneumatic cylind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647A (ko) 2000-10-25
JP2000257607A (ja) 2000-09-19
TW516986B (en) 2003-01-11
DE10008941B4 (de) 2004-10-07
DE10008941A1 (de) 2000-09-14
CN1108222C (zh) 2003-05-14
CN1265952A (zh) 2000-09-13
US6382078B1 (en) 200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621B1 (ko) 브레이크장착 실린더의 취부구조
US4633897A (en) Actuator mount for valves
US7395836B2 (en) Screwable check valve
US5921734A (en) Lock nut device
KR970002010A (ko) 금속연결맞춤기
EP0403539A1 (en) ROTATABLE PROTECTIVE NOSE CONSTRUCTION FOR FASTENING FASTENINGS.
US5447030A (en) Vehicle brake booster
BRPI0407528B1 (pt) extremidade de abertura ajustável de rosca reta
US6073971A (en) Fitting arrangement
WO2008107516A1 (en) Connection arrangement and a locking bolt included therein
US6030003A (en) Gas supply device
US5148720A (en) Lock-up solenoid assembly
JP2005530104A5 (ko)
US4641730A (en) Assembly component for a disc brake
EP1154343A2 (en) Valve, particularly thermostatic valve for heating systems
KR200319826Y1 (ko) 유압식 너트
KR200337739Y1 (ko) 파이프의 결합 구조
CN113653706B (zh) 一种作动器机械零位锁、作动器及运输装置
US61100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automatic transmissions
NO20171737A1 (no) Boltsammenstilling for aksial og radial oppspenning av elementer sammenføyd ved hjelp av skruer
JPH0720343U (ja) 建設機械の配管接続構造
EP1378672B1 (en) Screw connecting means, especially for grooved profile elements
EP1367198B1 (en) Lock
JP2002061609A (ja) シリンダの結合構造及びシリンダの結合方法
JP2004141992A (ja) 埋込ボルト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