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79B1 -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 Google Patents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79B1
KR100352779B1 KR1019990026332A KR19990026332A KR100352779B1 KR 100352779 B1 KR100352779 B1 KR 100352779B1 KR 1019990026332 A KR1019990026332 A KR 1019990026332A KR 19990026332 A KR19990026332 A KR 19990026332A KR 100352779 B1 KR100352779 B1 KR 10035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laminate
cross
section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416A (ko
Inventor
다케나카가즈히코
다카오카다츠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1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92Inductor filters, i.e. inductors whose parasitic capacitance is of relevance to consider it as filter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는, 내부도체가 표면에 형성된 한 절연성 시트, 내부도체가 표면에 형성된 또 다른 절연성 시트 및 보호용 시트가 상호 적층되어 구성된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 사이의 거리가 소정치 이하로 설정될 때, 단면측의 인덕터를 구성하는 내부도체는 내측의 내부도체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있다.

Description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Lamination Type Inductor Array}
본 발명은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하면 고주파 전자회로 등에서 노이즈 필터(noise filter) 등으로서 사용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한 예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다. 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15는 내부도체 5a∼8a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sheet) 1, 내부도체 5b∼8b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2, 및 보호용 시트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 형상의 내부도체 5a∼8a, 5b∼8b는 각각 시트 1, 2의 앞쪽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측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1∼3은 중첩되고, 그 다음에 일체적으로 소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체 10이 형성된다. 적층체 10의 앞쪽 측면 및 뒤쪽 측면 상에는 각각 입력 외부전극 11a∼14a 및 출력 외부전극 11b∼14b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도체 5a, 5b는 외부전극 11a, 11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5를 구성한다. 내부도체 6a, 6b는 외부전극 12a, 12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6을 구성한다. 내부도체 7a, 7b는 외부전극 13a, 13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7을 구성한다. 내부도체 8a, 8b는 외부전극 14a, 14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8을 구성한다.
이제까지, 종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15에서, 내부도체 5a, 5b, 6a, 6b, 7a, 7b, 8a, 8b의 형상은 각각 동일하고, 인덕터 5∼8도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인덕터 어레이 15가 소형화되도록 적층체 10의 외형 치수를 한층 더 줄일 때, 적층체 10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과 인접하는 인덕터 5, 8 사이의 거리 d1(도 10 및 도 11 참조)은 인덕터 5∼8 상호간의 거리 d2보다 짧다.
이러한 사실때문에, 적층체 10의 단면측의 인덕터 5, 8과 이 단면 사이에서 형성되며, 인덕터 5, 8의 자력선 ψ가 관통하는 자로(magnetic path)의 단면적은 작다. 그러므로, 인덕터 5, 8의 자로의 자기 저항은 증가하고, 인덕터 5, 8의 인덕턴스는 인덕터 6, 7의 인덕턴스보다 작다. 예를 들어, 도 13에 적층체 10의 비투자율이 20일 때의 실측치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 d1이 0.5㎜ 미만일 때, 단면측의 인덕터 5, 8의 인덕턴스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거리 d1이 0.2㎜일 때, 인덕터 5, 8의 인덕턴스는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 6, 7의 인덕턴스보다 약 5% 작다. 거리 d1이 0.1㎜일 때, 인덕터 5, 8의 인덕턴스는 내측의 인덕터 6, 7의 인덕턴스보다 약 13% 작다. 또한, 시트 1∼3이 20 이외의 비투자율을 가지고 있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15에 있어서는, 단면측의 인덕터 5, 8의 인덕턴스가 내측의 인덕터 6, 7의 인덕턴스와 다르기 때문에, 그 결과 적층체10의 내부에서 인덕터의 형성 위치에 의해 인덕터 5∼8의 노이즈 제거 능력 등의 전기 특성에 있어서 분산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체 내부에서의 형성 위치에 상관없이 각 인덕터가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지고 있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는, 절연성 재료층과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의 내부도체를 적층시켜 구성한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쌍의 입출력 외부전극; 및 상기 내부도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입출력 외부전극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동일하도록,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형상이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형상과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각 인덕터는 내부도체의 형성 위치를 토대로 한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도체를 가지고 있으며, 각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동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 길이를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선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 자력선의 수의 증가로 인해,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자로의 단면적이 줄어듬으로써 발생되는 인덕턴스의 저하가 보상된다.
또한,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가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측을 향하여 구불구불한 선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자로의 단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 자로의 단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자로의 자기 저항이 억제된다.
또한,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폭을 이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폭보다 넓게 함으로써,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자력선이 관통하는 자로의 단면적이 보다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자로의 자기 저항은 증가된다. 이 자기 저항의 증가에 의해,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이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는, 적층체가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라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인덕터의 각 인덕턴스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제 1 구현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를 따라 절단하여 자로(magnetic path)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내부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제 2 구현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내부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제 3 구현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내부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제 4 구현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ⅩⅡ-ⅩⅡ를 따라 절단하여 자로를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적층체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 사이의 거리 d1과, 이 인덕터의 인덕턴스의 변화율과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1, 22, 23 ... 절연성 시트
26a∼28a, 26b∼28b ... 내부도체
30 ... 적층체
31a∼36a ... 입력 외부전극
31b∼36b ... 출력 외부전극
35 ...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0 ...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1, 42, 43 ... 절연성 시트
45a∼48a, 45b∼48b ... 내부도체
50 ...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1, 52, 53 ... 절연성 시트
55a∼58a, 55b∼58b ... 내부도체
60 ..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61, 62, 63 ... 절연성 시트
65a∼68a, 65b∼68b ... 내부도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의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구현예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구현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35는 내부도체 25a∼28a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21, 내부도체 25b∼28b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22, 및 보호용 시트 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절연성 시트 21∼23의 재료로서는 페라이트(ferrite) 등의 자성체 재료, 세라믹 등의 유전체 재료 및 절연체 재료가 사용된다. 제 1 구현예에서는, 비투자율이 20인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내부도체 25a∼28a, 25b∼28b는 인쇄,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vapor deposition) 등의 방법에 의해 절연성 시트 21, 2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도체 25a∼28a, 25b∼28b의 재료로서는 Ag, Ag-Pd, Ag 합금, Cu, Cu 합금, Ni, Ni 합금 등이 사용된다.
내부도체 25a∼28a, 25b∼28b는 각 시트 21, 22의 앞쪽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측의 가장자리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시트 21, 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시트 21, 22의 좌우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내부도체 25a, 25b, 28a, 28b는 내부도체 25a, 25b, 28a, 28b의 내측에 위치된 각 내부도체 26a, 26b, 27a, 27b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있는 대략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내부도체 26a, 26b, 27a, 27b도 직선 형상이다.
시트 21∼23은 중첩되고, 그 다음에 일체적으로 소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의 적층체 30이 형성된다. 적층체 30의 앞쪽 측면 및 뒤쪽 측면 상에는 각각 입력 외부전극 31a∼34a 및 출력 외부전극 31b∼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전극 31a∼34b는 Ag, Ag-Pd, Ag 합금, Cu, Cu 합금등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 소성하여, 또는 건식 도금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각 양단부가 외부전극 31a, 3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내부도체 25a, 25b는 외부전극 31a, 31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어서, 실질적인 직선 형상의 인덕터 25를 구성한다. 동일하게, 내부도체 26a, 26b는 외부전극 32a, 32b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26을 구성한다. 내부도체 27a, 27b는 외부전극 33a, 33b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27을 구성한다. 내부도체 28a, 28b는 외부전극 34a, 34b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직선 형상의 인덕터 28을 구성한다. 즉, 이들 인덕터 25∼28에 있어서, 내부도체 25a∼28b는 각각 동일한 시트 상에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35에 있어서,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적층체 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인덕터 25∼28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인덕터 어레이 35를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적층체 30의 양단면 각각과 이 양단면에 인접하는 단면측의 인덕터 25, 28 사이의 거리 d1을 0.5㎜ 이하로 설정하더라도, 인덕터 25, 28의 내부도체 25a, 25b, 28a, 28b가 인덕터 26, 27측을 향하여 구불구불한 선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인덕터 25, 28과 적층체 30의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로의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자로의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인덕터 25, 28의 자로의 자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된다. 그 결과, 인덕터 25∼28 각각의 자력선 ψ가 관통하는 자로의 단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고, 자기 저항(자계 강도)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인덕터25∼28 각각의 인덕턴스가 협소한 편차로 거의 동일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35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인덕터 어레이 35는 복수개의 인덕터 어레이가 탑재된 마더기판(mother board)의 형태로 양산된다. 이 경우에, 마더기판의 인덕터 어레이 35가 각 제품 크기에 따라서 절단될 때에 절단 위치가 약간 변위되더라도, 인덕터 25, 28과 적층체 30의 단면 사이에 형성된 자로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인덕터 25, 28의 인덕턴스의 변화율은 작다. 그 결과, 절단 위치의 변위로 인한 인덕턴스의 변동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 수치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부도체 25a∼28b의 도체폭 W를 0.15㎜로 설정한다. 시트 21, 22의 좌우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내부도체 25a, 25b, 28a, 28b 사이의 거리 d1을 0.15㎜로 설정한다. 동일한 시트 상에서 상호 이웃하고 있는 내부도체 25a∼28a 사이 및 내부도체 25b∼28b 사이의 거리 d2는 0.7㎜로 설정되어 있다.
이제, 예를 들어, 상기 거리 d1이 0.15㎜이고, 내부도체 25a∼28b가 종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호 동일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직선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도 13으로부터, 적층체 30의 단면측의 인덕터 25, 28의 인덕턴스가 내측의 인덕터 26, 27의 인덕턴스보다 약 9.1% 작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현예에서는, d1 = 0.15㎜에서, 단면측의 인덕터 25, 28의 내부도체 25a, 25b, 28a, 28b가 인덕터 26, 27의 측을 향하여 d3 = 0.43㎜의 구불구불한 선으로 뻗어있다. 도 6에서, L1 = 1.2㎜, L2 = 0.2㎜ 이다.
[제 2 구현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0은 내부도체 45a∼48a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41, 내부도체 45b∼48b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42, 및 보호용 시트 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41, 42의 좌우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내부도체 45a, 45b, 48a, 48b는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내부도체 45a, 45b, 48a, 48b의 내측에 위치된 각 내부도체 46a, 46b, 47a, 47b도 대략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내부도체 46a, 46b, 47a, 47b의 도체폭은 내부도체 45a, 45b, 48a, 48b의 도체폭보다 넓다.
시트 41∼43은 중첩되고, 상기 제 1 구현예의 인덕터 어레이 35와 동일하게, 일체적으로 소성되어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그 후에, 적층체의 표면에 입력 외부전극 및 출력 외부전극이 형성된다. 내부도체 45a, 45b, 46a, 46b, 47a, 47b, 48a, 48b는 각각 외부전극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대략 직선 형상의 인덕터 45, 46, 47, 48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0에 있어서, 인덕터 46, 47의 내부도체 46a, 46b, 47a, 47b의 도체폭이 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인덕터 46, 47의 자력선 ψ가 관통하는 자로의 단면적은 줄어들고, 자기 저항은 증가된다. 이 경우에, 적층체의 양단면 각각과 이 양단면에 인접하는 단면측의 인덕터 45, 48 사이의 거리 d1을 0.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인덕터 45, 48의 자로의 자기 저항이 증가된다.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0을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인덕터 46, 47의 증가된 자기 저항을 인덕터 45, 48의 자로의 증가된 자기 저항과 동일화시킨다. 그러므로,각 인덕터 45∼48 각각의 인덕턴스가 협소한 편차로 거의 동일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하여 인덕터 어레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부도체 45a, 45b, 48a, 48b의 도체폭 W를 0.15㎜로 설정한다. 시트 41, 42의 좌우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내부도체 45a, 45b, 48a, 48b 사이의 거리 d1을 0.15㎜로 설정한다. 상호 이웃하고 있는 내부도체 45a∼48a 사이 및 내부도체 45b∼48b 사이의 거리 d2를 0.7㎜로 설정한다. 이 경우, 내측의 인덕터 46, 47의 내부도체 46a, 46b, 47a, 47b의 도체폭 W1를 0.25㎜로 설정한다. 이 때에, 도 6에서, L1 = 1.2㎜, L2 = 0.2㎜ 이다.
[제 3 구현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0은 내부도체 55a∼58a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51, 내부도체 55b∼58b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52, 및 보호용 시트 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51, 52의 좌우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내부도체 55a, 55b, 58a, 58b는 내부도체 55a, 55b, 58a, 58b의 내측에 위치된 각 내부도체 56a, 56b, 57a, 57b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있는 대략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부가하여, 내부도체 56a, 56b, 57a, 57b는 그들의 도체폭이 내부도체 55a, 55b, 58a, 58b보다 넓은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시트 51∼53은 중첩되고, 상기 제 1 구현예의 인덕터 어레이 35와 동일하게, 일체적으로 소성되어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그 후에, 적층체의 표면에 입력 외부전극 및 출력 외부전극이 형성된다. 내부도체 55a, 55b,56a, 56b, 57a, 57b, 58a, 58b는 각각 외부전극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대략 직선 형상의 인덕터 55, 56, 57, 58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0에 있어서, 인덕터 55, 58의 내부도체 55a, 55b, 58a, 58b가 인덕터 56, 57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인덕터 55, 58과 적층체의 단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자로의 단면적은, 인덕터 55, 58의 자로의 자기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도록, 증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인덕터 56, 57의 내부도체 56a, 56b, 57a, 57b의 도체폭이 보다 넓어짐에 따라, 인덕터 56, 57의 자력선 ψ가 관통하는 자로의 단면적은 줄어들고, 자기 저항은 증가된다. 따라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0을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적층체의 양단면 각각과 이 양단면에 인접하는 단면측의 인덕터 55, 58 사이의 거리 d1을 0.5㎜ 이하로 설정하기 때문에, 인덕터 55, 58의 자로의 증가된 자기 저항과 인덕터 56, 57의 자로의 증가된 자기 저항이 동일하게 됨으로써, 각 인덕터 55∼58 각각의 인덕턴스가 협소한 편차로 거의 동일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인덕터 어레이 50은, 상기 제 1 구현예의 인덕터 어레이 35와 동일하게, 절단 위치의 변위에 의해 인덕턴스의 변동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하여 인덕터 어레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도체 55a, 55b, 58a, 58b의 도체폭 W를 0.15㎜로 설정한다. 시트 51, 52의 좌우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내부도체 55a, 55b, 58a, 58b 사이의 거리 d1을 0.15㎜로 설정한다. 상호 이웃하고 있는 내부도체 55a∼58a 사이 및 내부도체 55b∼58b 사이의 거리 d2를 0.7㎜로 설정한다. 이 경우에,단면측의 인덕터 55, 58의 내부도체 55a, 55b, 58a, 58b는 인덕터 56, 57측을 향하여 d3 = 0.2㎜의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 있고, 인덕터 56, 57의 내부도체 56a, 56b, 57a, 57b의 도체폭 W1은 0.2㎜로 설정한다. 이 때에, 도 8에서, L1 = 1.2㎜, L2 = 0.2㎜ 이다.
[제 4 구현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60은 내부도체 65a∼68a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61, 내부도체 65b∼68b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 62, 및 보호용 시트 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61, 62의 좌우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내부도체 65a, 65b, 68a, 68b는 내부도체 66a, 66b, 67a, 67b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있는 대략 직선 형상의 도체이다.
시트 61∼63은 중첩되고, 상기 제 1 구현예의 인덕터 어레이 35와 동일하게, 일체적으로 소성되어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그 후에, 적층체의 표면에 입력 외부전극 및 출력 외부전극이 형성된다. 내부도체 65a, 65b, 66a, 66b, 67a, 67b, 68a, 68b는 각각 외부전극 사이에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대략 직선 형상의 인덕터 65, 66, 67, 68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60에 있어서, 인덕터 65, 68의 내부도체 65a, 65b, 68a, 68b가 내부도체 66a, 66b, 67a, 67b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인덕터 65, 68의 내부도체 65a, 65b, 68a, 68b는 도체 길이가 인덕터 66, 67의 내부도체 66a, 66b, 67a, 67b의 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인덕터 65, 68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선 ψ의 수가 증가되고, 인덕터어레이 60을 소형화시키기 위해서, 적층체의 양단면 각각과 이 양단면에 인접하는 단면측의 인덕터 65, 68 사이의 거리 d1을 0.5㎜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인덕터 65, 68의 인덕턴스의 감소가 보상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인덕터 65∼68의 각 인덕턴스가 협소한 편차로 대략 동일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60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구현예]
상술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병렬로 접속시킨 복수개의 내부도체로 1개의 인덕터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1개의 인덕터는 사양(specification)을 토대로 1개의 내부도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를 제조하는 경우에, 내부도체가 표면에 형성된 절연성 시트들을 상호 적층시킨 후에 일체적으로 소성하는 공정으로만 필수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소성된 절연성 시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공법에 의해서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를 제조하여도 된다. 즉, 인쇄 수법에 의해 페이스티(pasty) 절연성 재료로 절연층을 형성한 후에, 이 절연층의 표면에 페이스티 도전성 재료를 도포하여 내부도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페이스티 절연성 재료로 상기 내부도체의 위를 도포함으로써 내부도체를 내장한 절연층이 형성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내부도체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도포함으로써,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 길이를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도체 길이보다 길게 하고,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인덕터의 내부도체를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측을 향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뻗어있게 하고,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폭보다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도체폭을 넓게 하는 등의 그외의 수단에 의해, 적층체 내의 각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대략 동일하며, 인덕터 상호간의 인덕턴스의 편차가 작은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는,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로 설정하므로, 큰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9)

  1. 절연성 재료층과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의 내부도체를 적층시켜 구성한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쌍의 입출력 외부전극; 및
    상기 내부도체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입출력 외부전극에 접속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로서,
    상기 각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동일하도록,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하는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형상이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하는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인덕터의 내부도체의 형상과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는 도체 길이가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의 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가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인덕터측을 향하여 구불구불한 선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는 도체폭이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의 도체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는 도체폭이 상기 적층체의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의 도체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가0.5㎜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직사각의 평행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인덕터가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과 이 단면에 인접한 상기 인덕터의 상기 내부도체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KR1019990026332A 1998-07-02 1999-07-01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KR100352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50498A JP3371812B2 (ja) 1998-07-02 1998-07-02 積層型インダクタアレイ
JP10-187504 199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16A KR20000011416A (ko) 2000-02-25
KR100352779B1 true KR100352779B1 (ko) 2002-09-16

Family

ID=1620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32A KR100352779B1 (ko) 1998-07-02 1999-07-01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91667B1 (ko)
JP (1) JP3371812B2 (ko)
KR (1) KR100352779B1 (ko)
CN (1) CN1135575C (ko)
TW (1) TW425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901A (ja) * 1999-05-07 2000-11-24 Murata Mfg Co Ltd 積層型lcフィルタ
JP3444230B2 (ja) * 1999-05-07 2003-09-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lcフィルタ
US6476695B1 (en) * 1999-05-26 2002-11-05 Sharp Kabushiki Kaisha High frequency module
JP3508644B2 (ja) * 1999-09-17 2004-03-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インダクタアレイ
JP3446681B2 (ja) * 1999-09-28 2003-09-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インダクタアレイ
KR100382765B1 (ko) * 2001-06-15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수신용 수동소자와 그 집적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6911889B2 (en) * 2001-08-20 2005-06-28 Steward, Inc. High frequency filter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5136065B2 (ja) * 2008-01-10 2013-0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2009170446A (ja) * 2008-01-10 2009-07-30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15357A1 (en) * 2013-07-09 2015-01-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inductor
CN104966601A (zh) * 2014-03-26 2015-10-07 莱尔德电子材料(深圳)有限公司 用于共模扼流圈的非磁性铁氧体电介质
JP2016025192A (ja) * 2014-07-18 2016-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817431B (zh) * 2014-08-21 2022-03-04 乾坤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电感的结构及制造多个电感的方法
JP2016149427A (ja) * 2015-02-12 2016-08-18 Tdk株式会社 積層インピーダンス素子及び積層インピーダンス素子の製造方法
CN113228503A (zh) * 2018-12-20 2021-08-06 阿维科斯公司 包括高精度电感器的多层电子装置
JP7180582B2 (ja) * 2019-10-03 2022-1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JP7160017B2 (ja) * 2019-11-06 2022-10-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アレイ部品
US11941455B2 (en) * 2019-12-13 2024-03-26 Micron Technology, Inc. Shadow computations in base stations
JP7226409B2 (ja) * 2020-07-31 2023-02-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及びdcdcコンバータ
JP7276283B2 (ja) * 2020-08-26 2023-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115U (ko) * 1985-06-21 1987-01-09
JPS6244522U (ko) * 1985-09-06 1987-03-18
JPH01179413A (ja) * 1988-01-08 1989-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拡散炉ウエハハンドラ装置
US4918417A (en) * 1988-06-09 1990-04-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Inductor having parallel line electrodes
US5034709A (en) * 1988-11-17 1991-07-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JPH04306909A (ja) * 1991-04-04 1992-10-2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電磁遅延線
JPH0521409U (ja) * 1991-08-30 1993-03-19 太陽誘電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JPH0563032U (ja) * 1992-01-31 1993-08-2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lc複合部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115U (ko) * 1985-06-21 1987-01-09
JPS6244522U (ko) * 1985-09-06 1987-03-18
JPH01179413A (ja) * 1988-01-08 1989-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拡散炉ウエハハンドラ装置
US4918417A (en) * 1988-06-09 1990-04-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Inductor having parallel line electrodes
US5034709A (en) * 1988-11-17 1991-07-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JPH04306909A (ja) * 1991-04-04 1992-10-2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電磁遅延線
JPH0521409U (ja) * 1991-08-30 1993-03-19 太陽誘電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JPH0563032U (ja) * 1992-01-31 1993-08-20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lc複合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71812B2 (ja) 2003-01-27
CN1241010A (zh) 2000-01-12
US6191667B1 (en) 2001-02-20
TW425580B (en) 2001-03-11
CN1135575C (zh) 2004-01-21
KR20000011416A (ko) 2000-02-25
JP2000021633A (ja) 200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779B1 (ko) 적층형 인덕터 어레이
US5602517A (en) Laminate type LC composite device having coils with opposing directions and adjacent leads
US6157285A (en) Laminated inductor
US6727782B2 (en) Multilayered LC composite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590486B2 (en) Multilayer inductor
US622342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type chip inductors
US6114936A (en) Multilayer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3446681B2 (ja) 積層インダクタアレイ
JPH1197244A (ja) 積層型インダクタ
US6229425B1 (en) Common mode inductor
JP3077061B2 (ja) 積層型コイル
JP4415986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2005175300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4423830B2 (ja) 積層型方向性結合器
JP3554780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2607853Y2 (ja) Lc複合部品アレイ
JP4803295B2 (ja) 積層型方向性結合器
JP4182159B2 (ja) 電子部品
JP2000348940A (ja) 積層型インダクタ
WO2005060093A1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H0729737A (ja) チップインダクタ
JP3245835B2 (ja) 積層型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2006086216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3106675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4325357B2 (ja) 積層コイル部品および積層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