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098B1 -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098B1
KR100352098B1 KR1020000064874A KR20000064874A KR100352098B1 KR 100352098 B1 KR100352098 B1 KR 100352098B1 KR 1020000064874 A KR1020000064874 A KR 1020000064874A KR 20000064874 A KR20000064874 A KR 20000064874A KR 100352098 B1 KR100352098 B1 KR 10035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ray tube
cathode ray
color cath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406A (ko
Inventor
이와사키가츠요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01J29/56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4Magnetic lenses
    • H01J29/68Magnetic lenses using permanent magne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총의 스크린측 단부에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11, 11′, 12, 12′)를 2쌍 배치하고,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간에 국소적인 배럴형 자계를 형성하여, 사이드 빔의 한쪽 단면 형상이 다른쪽 단면 형상보다도 가로로 긴 또는 세로로 긴 정도가 강해지도록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킨다. 사이드 빔에 스폿 스큐를 역보정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 스큐의 대칭성이 개선되므로, 포커스 품질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Color cathode ray tube and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본 발명은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는, 셀프 컨버전스 때문에,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에 각각 강한 핀쿠션형(도 8) 및 배럴형(도 9)의 스큐(skew)를 갖게 한다. 이것에 부수되는 영향이 포커스와 컨버전스에 나타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 진원(眞圓) 형상이어야 할 빔 스폿이 편향 스큐를 받아, 화면 상하에서는 가로로 긴 형상이며 회전하고, 화면좌우에서는 가로로 긴 형상이고 또한 양 사이드 빔간에 스큐의 정도가 다름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빔 스폿의 흐림에 의한 헤이즈(도 12에 점선으로 나타낸다)를 발생시켜, 화면 대각 코너에서는 가로로 긴 것이 회전한 것 같은 형상이 되고, 또한 헤이즈의 크기도 사이드 빔간에 비대칭이 되어 있어, 이들은 모두 화질 열화의 한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컨버전스에 있어서는 사이드 빔(B, R)에 대한 중앙 빔(G)의 컨버전스점이 달라 색 어긋남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도시 생략).
이들 현상에 대해, 종래는 화면 상하에서의 스폿 형상과 3색의 컨버전스를 동시에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공평 5-36894호 공보에서는 편향 요크 후단부에 자성체편을 장착하여 수직 자계의 후단부를 국소적으로 핀쿠션형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또, 화면 상하 좌우에서의 사이드 빔에 대한 중앙 빔의 컨버전스의 개선을 위해, 예를 들면 특개소 57-172636호 공보나 특개소 54-146572호 공보에서 보듯이, 전자 총 선단부에 자성편을 설치하여, 사이드 빔에 대한 중앙 빔이 받는 자계의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컨버전스 조정을 행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명에서는, 사이드 빔에 대한 중앙 빔의 컨버전스나 화면 상하에서의 스폿 형상은 개선 가능해도, 화면 좌우에서의 스폿 스큐 및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은 개선할 수 없어 화질이 열화된 채로 있었다.
이것을 도 11에서 설명한다. 빔이 지면의 뒷면에서 표면으로 이동하고, 또한 우로 편향되는 경우, 핀쿠션 자계는 상향이 되어 있다. 이 때, B, G, R 빔은편향 작용과 동시에, 자계의 방향과 수직 방향의 힘에 의해 스폿 형상을 가로로 길게 변형시키는 작용을 받는다. R 빔은 B 빔보다 우측에 위치하므로 항상 강한 가로로 긴 스큐 효과를 받아, 결과로서 B, R간에 가로로 긴 정도로 비대칭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네크측에서 3 빔에 각각 상기 스폿 스큐를 역보정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 스큐의 대칭성을 개선하여 포커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칼라 수상관 및 칼라 수상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계 발생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전자 총의 선단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계 발생 부재의 정면도,
도 4는 국소적인 배럴 자계가 사이드 빔에 작용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자계 발생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제 3 실시형태의 자계 발생 부재의 정면도,
도 8은 핀쿠션형 스큐를 부여한 수평 편향 자계의 개념도,
도 9는 배럴형 스큐를 부여한 수직 편향 자계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스폿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전자 빔에 수평 편향 자계가 작용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 장치에서의 스폿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퍼넬
3 … 네크부 4 … 형광면
5 … 섀도우 마스크 6 … 전자 빔
7 … 편향 요크 8 … 컨버전스 요크
9 … 전자 총 10 … 탑 유닛
11, 11′, 12, 12′… 필드 컨트롤러(자계 발생 부재)
13, 13′, 14, 14′… 수직 평면부
15, 15′, 16, 16′… 내접부
20 … 전자 빔 통과구멍 21 … 저면부
22 … 원통부 31 … 국소 자계
61, 61′… T자형 필드 컨트롤러
71, 71′, 72, 72′… 굽힘부
본 발명의 제 1 칼라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으로서,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기 사이드 빔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인라인면과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국소적인 배럴형 자계를 통과시켜, 상기 사이드 빔의 한쪽 단면 형상이 다른쪽 단면 형상보다도 가로로 긴나 또는 세로로 긴 정도가 강해지도록 상기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빔간의 스폿 형상의 비대칭에 따라, 편향 자계에 입사하기 전에 미리 전자 빔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켜 두므로, 스폿 형상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칼라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전자 총의 스크린측 단부에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를 2쌍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간에 국소적인 배럴형 자계를 형성하여, 상기 사이드 빔의 한쪽 단면 형상이 다른쪽 단면 형상보다도 가로로 긴 또는 세로로 긴 정도가 강해지도록 상기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편향 요크에 입사하기 전의 사이드 빔에 국소적인 배럴 자계를 작용시켜,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간에 형성되는 국소 자계의 강도는 수평 편향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스폿 형상의 스큐 정도에 따라, 사이드 빔에 작용하는 국소적인 배럴 자계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간에 형성되는 국소 자계는 편향 요크가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자계에 의해 유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빔에 작용하는 국소적인 배럴 자계의 강도를, 수평 편향의 정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전자 빔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고, 상기 판상의 자성체는 상기 사이드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사이드 빔에 국소적인 배럴 자계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 빔간의 간격보다도, 자성체의 간격을 좁게 설정함으로써, 사이드 빔에 작용하는 자계의 강도가 빔 단면 내에 있어서 불균일한 것이 됨과 동시에, 좌우의 사이드 빔으로의 작용 방법이 다르므로, 한쪽의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가로로 길게, 다른쪽의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세로로 길게 변형할 수 있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자성체의 전자 빔측 선단이 굽혀져, 상기 인라인 방향과 평행한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국소적인 배럴 자계가 작용하는 영역이 커지므로, 스폿 스큐의 보정 작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는 통상체의 내면에 부착된 대략 V자형의 4개의 자성체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계 발생 부재를 구성할 수 있어, 전자 총의 선단부로의 부착도 간단해진다.
또, 제 2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또한 상기 3개의 전자 빔중 센터 빔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1쌍의 자계 발생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센터 빔에 국소적인 배럴 자계를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센터 빔에 작용하는 자속 밀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컨버전스의 조정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칼라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전자 총의 스크린측 단부에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쌍을 이루는 판상 부재가 2쌍 배치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전자 빔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고, 상기 판상의 자성체는 상기 사이드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사이드 빔에 국소적인 배럴 자계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 빔간의 간격보다도 자성체의 간격을 좁게 설정함으로써, 사이드 빔에 작용하는 자계의 강도가 빔 단면 내에 있어서 불균일한 것이 됨과 동시에, 좌우의 사이드 빔으로의 작용 방법이 다르므로, 한쪽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가로로 길게, 다른쪽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세로로 길게 변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 빔간의 스폿 형상의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제 3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자성체의 전자 빔측 선단이 굽혀져, 상기 인라인 방향과 평행인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국소적인 배럴 자계가 작용하는 영역이 커지므로, 스폿 스큐의 보정 작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3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통상체의 내면에 부착된 대략 V자형의 4개의 자성체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자계 발생 부재를 구성할 수 있어, 전자 총의 선단부로의 부착도 간단해진다.
또, 제 3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또한 상기 3개의 전자 빔중 센터 빔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1쌍의 판상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상기 센터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센터 빔에 작용하는 자속 밀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컨버전스의 조정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 장치는, 상기 제 1 ∼ 제 3중 어느 한 칼라 음극선관과, 핀쿠션형 수평 편향 자계 및 배럴형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 스큐의 대칭성이 개선되므로, 포커스 품질이 개선된 칼라 수상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칼라 음극선관 장치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칼라 음극선관 장치는 직사각형의 패널(1)과 패널(1)에 일체화된 깔대기상의 퍼넬(2)로 이루어지는 유리 외위기(外??器)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1)의 내면에는 3색 형광체로 이루어지는 형광면(4)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면(4)에 대향하여 소정 거리를 유지하고 색선별용 섀도우 마스크(5)가 부착되어 있다. 퍼넬(2) 후부의 네크부(3)의 내부에는 3개의 전자 빔(6)을 생성하는 전자 총(9)이 내장되고, 또한 네크부(3)의 외부에는 3개의 전자 빔(6)을 상하 좌우로 편향하는 편향 요크(7)와 화면 중앙에서의 색 어긋남과 색 얼룩을 조정하는 소위 컨버전스 요크(8)를 구비하고 있다.
편향 요크(7)는 3개의 전자 빔(6)을 편향함과 동시에, 화면 전역에 있어서의색 어긋남 및 화면 상하에서의 래스터 스큐를 직선상으로 자동 보정하기 위해, 강한 핀쿠션 스큐(도 8)를 갖는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 코일(도시 생략)과, 강한 배럴형 스큐(도 9)를 갖는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코일(도시 생략)을 갖는다.
도 2는 전자 총(9)의 스크린측 선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집속 전극(51, 52)이 각각 서포트 로드(53)에 고정되고, 집속 전극(52)의 스크린측 단부에 소위 탑 유닛(10)이 도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 유닛(10)은 원통부(22) 및 전자 빔 통과구멍(20)이 3개 형성된 저면부(21)로 이루어지는 컵상 부재의 내면에, 자계 발생 부재(판상 부재)로서의 대략 V자형의 자성편으로 이루어지는 2쌍의 필드 컨트롤러(11, 11′, 12, 12′)가 내접하여 유지된 것이다. 필드 컨트롤러(11, 11′, 12, 12′)는 3개의 전자 빔중의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인라인 방향(3개의 전자 빔의 배열 방향)과 수직 또한 전자 빔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된 수직 평면부(13, 13′, 14, 14′)와, 원통부(22)의 내면에 접하는 내접부(15, 15′, 16, 16′)를 각각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수직 평면부 13과 13′, 및 1쌍의 수직 평면부 14와 14′는 각각 동일면 내에 배치되고, 각 면은 사이드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인라인 방향과 수직인 면보다도 내측(센터 빔측)으로 어긋나 있고, 각각 수직축(관축을 통과하는 상하 방향축)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탑 유닛(10)은 편향 요크(7)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편향 자계의 형성 영역 내 또는 그 입구 근방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필드 컨트롤러의 작용에 대해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빔이 스크린측에서 보아 우측으로 편향되는 경우를 생각하면, 핀쿠션형 수평 편향 자계(30)의 방향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향해 있다. 자계는 먼저 하측의 필드 컨트롤러(11′, 12′)의 내접부(15′, 16′)에 흡수된다. 흡수된 자계는 수직 평면부 13′, 14′로부터 각각 수직 평면부 13, 14로 전달되어 내접부(15, 16)를 통과하여 필드 컨트롤러로부터 나간다. 수직 평면부 13′, 14′로부터 수직 평면부 13, 14로 전해질 때 형성되는 국소 자계(31)는 수직 평면부 13과 13′을 연결하는 축과, 수직 평면부 14와 14′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각각 배럴형이 되어 있다.
배럴형의 국소 자계(31)의 중심축은 양 사이드 빔 축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국소 자계(31)를 통과하는 적색 전자 빔(R)과 청색 전자 빔(B)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각각 다른 것이 된다. 국소 자계(31)중에 진원 단면의 적색 전자 빔(R)(파선으로 나타낸다)이 입사하면, 소위 배럴형 자계의 작용을 받는다. 적색 전자 빔(R) 단면의 내측(녹색 전자 빔(G)측)에는 외측 방향으로의 힘(화살표로 나타낸다)이 작용하는 한편, 단면의 외측에서는 자계와 직각인 방향으로 힘(화살표로 나타낸다)을 받은 결과, 전체적으로 적색 전자 빔(R)이 외측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단면 형상이 세로로 길어진다(실선으로 나타낸다). 한편, 국소 자계(31)중에 진원 단면의 청색 전자 빔(B)(파선으로 나타낸다)이 입사하면, 소위 핀쿠션형 자계의 작용을 받는다. 청색 전자 빔(B)의 단면의 외측(녹색 전자 빔(G)과는 반대측)에는 내측 방향으로의 힘(화살표로 나타낸다)이 작용하는 한편, 단면의 내측에서는 자계와 직각인 방향으로 힘(화살표로 나타낸다)을 받은 결과, 전체적으로 청색 전자빔(B)이 내측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단면 형상이 가로로 길어진다(실선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양 사이드 빔이 스크린에 도달했을 때, 양 사이드 빔간의 스폿 스큐의 비대칭은 개선되게 된다.
국소 자계(31)의 강도의 조정은 이하와 같이 행한다. 필드 컨트롤러의 내접부(15, 15′, 16, 16′)의 길이 및 폭(관축 방향의 길이)의 한쪽 또는 양쪽을 크게 하여 내접부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수평 편향 자계가 보다 많이 내접부에 흡수되므로, 국소 자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필드 컨트롤러의 수직 평면부(13, 13′, 14, 14′)의 폭(관축 방향의 길이)을 크게 하면, 국소 자계가 전자 빔에 작용하는 영역이 길어지므로, 효과가 커진다.
본 실시형태의 각부 치수의 바람직한 일례는 이하와 같다. 음극선관은 46cm(19인치)의 것으로, 네크 직경은 29.1mm, 탑 유닛 원통부(22)의 직경은 21.5mm, 탑 유닛(10)의 폭(관축 방향 길이)은 8mm, V자형 필드 컨트롤러의 내접부(15, 15′, 16, 16′)의 길이는 6mm, 필드 컨트롤러의 수직 평면부(13, 13′, 14, 14′)의 길이는 4.5mm, 필드 컨트롤러의 폭(관축 방향 길이)은 3mm이다. 각각 두께는 0.1mm이다. 전자 빔 통과구멍(20)의 중심 간격은 5.5mm, 구멍직경은 3mm, 수직 평면부13과 14 및 13′와 14′의 간격은 7mm이므로, 수직 평면부는 양 사이드의 전자 빔 통과구멍의 중심보다 각각 2mm만큼 중앙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필드 컨트롤러(11, 11′, 12, 12′) 및 탑 유닛 원통부(22)의 재질은 퍼멀로이 외에, 페닛재(「μ-Metal」, Ni 42%-Fe 합금) 등의 고투자재이면 된다. 또, 탑 유닛의 각 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제조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주변부에서의 스폿 형상의 스큐가 개선되고, 도 12에 나타낸 종래의 것보다도 진원에 가까워진다. 비대칭레벨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각 빔을 자스트 포커스시켰을 때의 전압(포커스 전압)이 있으나, 종래품에서는 적색 전자 빔에 있어서 화면 좌측과 우측에서의 포커스 전압의 차가 약 200V 존재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이 40V 이하로 저하하여, 실질적인 조정 오차 범위 내로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필드 컨트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국소 자계(31)는 편향 요크(7)가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자계에 의해 유기되고, 그 강도는 편향 요크(7)가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자계의 강도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의 정도는 수평 방향의 편향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비대칭성의 정도에 따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상기 V자형 필드 컨트롤러(11, 11′, 12, 12′)에 더해, 수직축 상에 대략 T자형의 필드 컨트롤러(61, 61′)를 추가하여, 사이드 빔에 대한 중앙 빔에 작용하는 자속 밀도를 조정함으로써, 컨버전스의 조정에 여유를 갖게 한 것이다.
중앙의 녹색 전자 빔(G)에 대응하는 국소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녹색 전자 빔(G)에 작용하는 수평 편향 자계에 국소 자계가 중첩되므로, 녹색 전자 빔(G)의 수평 편향량이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린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청색 전자 빔(B) 및 적색 전자 빔(R)의 세로선보다도 내측에 녹색 전자 빔(G)의 세로선이 비춰지는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
T자형 필드 컨트롤러(61, 61′)의 치수는 원통부와 내접부의 길이를 4mm, 수직 평면부(61a, 61a′)의 길이를 7.5mm로 하고 있다. 수직 평면부(61a, 61a′)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한 센터 빔의 중심축(관축)을 통과하는 면 내에 설치된다.
(실시형태 3)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필드 컨트롤러의 수직 평면부(13, 13′, 14, 14′)의 선단부를 각각 약 2mm 외측으로 굽혀, 인라인 방향과 대략 평행인 굽힘부(71, 71′, 72, 72′)를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 영역을 넓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굽힘부(71, 71′, 72, 72′)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용 자계역이 넓어져, 스폿 보정 작용이 강해진다. 이 경우, 굽힘부(71, 71′, 72, 72′) 선단의 인라인 방향의 위치가 사이드 빔(B, R)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형태 2에 나타낸 중앙 빔에 작용하는 국소 자계를 발생시키는 T자형 필드 컨트롤러(61, 61′)를 설치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 빔간의 비대칭 스큐의 대칭성을 개선함으로써 포커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칼라 수상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으로서,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기 사이드 빔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인라인면과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국소적인 배럴형 자계를 통과시켜, 상기 사이드 빔의 한쪽 단면 형상이 다른쪽 단면 형상보다도 가로로 긴 또는 세로로 긴 정도가 강해지도록 상기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전자 총의 스크린측 단부에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를 2쌍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쌍을 이루는 자계 발생 부재간에 국소적인 배럴형 자계를 형성하여, 상기 사이드 빔의 한쪽 단면 형상이 다른쪽 단면 형상보다도 가로로 긴 또는 세로로 긴 정도가 강해지도록 상기 사이드 빔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간에 형성되는 국소 자계의 강도는 수평 편향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간에 형성되는 국소 자계는 편향 요크가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자계에 의해 유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전자 빔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고,
    상기 판상의 자성체는 상기 사이드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자성체의 전자 빔측 선단이 굽혀져, 상기 인라인 방향과 평행한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부재는 통상체의 내면에 부착된 대략 V자형의 4개의 자성체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8.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3개의 전자 빔중 센터 빔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1쌍의 자계 발생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센터 빔에 국소적인 배럴 자계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9. 인라인형 전자 총을 구비하는 칼라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전자 총의 스크린측 단부에 3개의 전자 빔중 사이드 빔의 각각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쌍을 이루는 판상 부재가 2쌍 배치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전자 빔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고,
    상기 판상의 자성체는 상기 사이드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내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자성체의 전자 빔측 선단이 굽혀져, 상기 인라인 방향과 평행인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통상체의 내면에 부착된 대략 V자형의 4개의 자성체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2. 제 9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3개의 전자 빔중 센터 빔을 상하로부터 감싸도록 1쌍의 판상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판상 부재는 인라인 방향과 수직 또는 상기 센터 빔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 내에 배치된 판상의 자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13. 제 1, 2, 및 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칼라 음극선관과, 핀쿠션형 수평 편향 자계 및 배럴형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편향 요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장치.
KR1020000064874A 1999-11-02 2000-11-02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 KR100352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11998 1999-11-02
JP31199899A JP2001135259A (ja) 1999-11-02 1999-11-02 カラー陰極線管、カラー陰極線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406A KR20010051406A (ko) 2001-06-25
KR100352098B1 true KR100352098B1 (ko) 2002-09-12

Family

ID=1802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874A KR100352098B1 (ko) 1999-11-02 2000-11-02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53644B1 (ko)
EP (1) EP1100108A3 (ko)
JP (1) JP2001135259A (ko)
KR (1) KR100352098B1 (ko)
CN (1) CN1303119A (ko)
TW (1) TW466530B (ko)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102B2 (ko) * 1974-10-14 1981-04-08
US4142131A (en) * 1975-11-12 1979-02-27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JPS53147436A (en) 1977-05-27 1978-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Color receiving tube
NL7802129A (nl) 1978-02-27 1979-08-29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gekleurde beelden.
US4396862A (en) 1978-05-01 1983-08-02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with means for affecting magnetic deflection fields in electron gun area
DE2840211C2 (de) * 1978-09-15 1982-11-1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Einstellung von Konvergenz und Farbreinheit einer Farbbildröhre
JPS5728451A (en) 1980-07-28 1982-02-16 Hitachi Ltd Diagnostic system for relay controller
JPS57168455A (en) 1981-04-07 1982-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Color cathode-ray tube
JPS57172636A (en) 1981-11-26 1982-10-23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r picture tube
JPS58225543A (ja) 1982-06-23 1983-12-27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装置
NL8303423A (nl) * 1983-10-06 1985-05-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JPS617543A (ja) * 1984-06-20 1986-01-14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
JPS61264643A (ja) * 1985-05-20 1986-11-22 Hitachi Ltd カラ−ブラウン管
KR900008203B1 (ko) 1986-03-18 1990-11-05 마쯔시다덴시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편향 요우크
JPS63897A (ja) 1986-06-19 1988-01-05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2608920B2 (ja) 1988-06-24 1997-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cカードおよびicモジュール
US5225736A (en) * 1988-06-27 1993-07-06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NL8802194A (nl) * 1988-09-06 1990-04-02 Philips Nv Coma-gecorrigeerd beeldweergeefsysteem.
JPH0652190B2 (ja) 1989-07-24 1994-07-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子天びん
US5179319A (en) * 1989-07-31 1993-01-12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RT
JPH0536894A (ja) 1991-07-31 1993-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イブリツド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70998B (ko) * 1992-04-17 1996-02-21 Toshiba Co Ltd
KR960028150A (ko) * 1994-12-23 1996-07-22 구자홍 티브이(tv)의 코마에러 보정장치
TW263592B (en) * 1995-01-31 1995-11-21 Mitsubishi Electric Machine Convergence modification device
US5777429A (en) * 1996-02-22 1998-07-07 Sony Corporation Device for correction of negative differential coma error in cathode ray tubes
JP3528526B2 (ja) * 1997-08-04 2004-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0251761A (ja) * 1998-12-28 2000-09-14 Toshiba Corp カラー陰極線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3119A (zh) 2001-07-11
TW466530B (en) 2001-12-01
EP1100108A2 (en) 2001-05-16
KR20010051406A (ko) 2001-06-25
JP2001135259A (ja) 2001-05-18
US6753644B1 (en) 2004-06-22
EP1100108A3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7656B2 (ko)
JPS6081736A (ja) 電子銃構体
EP0742576B1 (en) CRT employing deflection defocusing correction
KR100352098B1 (ko) 칼라 음극선관 및 칼라 음극선관 장치
US5177399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3034906B2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偏向装置
JP3616581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インライン型電子銃
JPH05325825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EP0170319A1 (en) Colour display tube
EP1204131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JP3672390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JPS63207035A (ja) カラ−受像管
JP3655647B2 (ja) カラー受像管
JPH07211251A (ja) 陰極線管の偏向収差補正方法および陰極線管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825265B2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偏向装置
JP3640694B2 (ja) カラー受像管
KR100235999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KR840001000B1 (ko) 셀프 콘버징 칼라 이메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859900B2 (ja) カラー受像管
JPH08250037A (ja) 陰極線管
JPH07169410A (ja) カラー受像管用インライン型電子銃
EP0348912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40076117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9219157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