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174B1 - 헤테로상올레핀중합체물질로내충격성이개질된프로필렌중합체물질의그래프트공중합체를포함하는폴리올레핀조성물 - Google Patents

헤테로상올레핀중합체물질로내충격성이개질된프로필렌중합체물질의그래프트공중합체를포함하는폴리올레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174B1
KR100350174B1 KR1019950022434A KR19950022434A KR100350174B1 KR 100350174 B1 KR100350174 B1 KR 100350174B1 KR 1019950022434 A KR1019950022434 A KR 1019950022434A KR 19950022434 A KR19950022434 A KR 19950022434A KR 100350174 B1 KR100350174 B1 KR 10035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propylene
ethylene
weight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431A (ko
Inventor
지닌에이.스미쓰
Original Assignee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00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B)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 및 임의로, (C)그래프트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로 내충격성이 개질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본 발명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헤테로상(heterophasic) 올레핀 중합체 물질, 및 임의로 그래프트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올레핀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 및 ASA 중합체로 내충격성 개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314,904호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 특히,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그래프트 인터폴리머를 제조하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특정하게 선택된 혼화성 고무상 물질과 블렌딩시킴으로써 "고무 플라스틱(gum plastic)"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된 스티렌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7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이다. 따라서,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 우세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그래프트 공중합체에서 폴리프로필렌은 미량 성분에 불과하고 분산상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결합된 스티렌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특성이 우세하다.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을 고에너지 이온화 조사선에 노출시킨 다음, 조사된 폴리올레핀을 스티렌 또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37,933호에는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중합체, 특히 폴리비닐 할라이드 폴리올레핀 그래프트 중합체 및 ASA 중합체의 블렌드가 기재되어 있다. ASA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염소화 폴리올레핀 또는 올레핀-디올레핀 개질 중합체(예: 에틸렌/프로필렌 폴리엔 개질 중합체)로 개질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SAN)이다. 올레핀-디올레핀 개질 중합체로 개질된 ASA 중합체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60 내지 95%이다. 고무는 미량 성분에 불과하고 분산상으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SAN의 특성이 우세하다. 또한, 중합체성 성분들의 매트릭스 상은 혼화성이어야 한다.
독립형 구조적 플라스틱으로서 중합체들의 물리적 블렌드에 비해 프로필렌 중합체 주쇄에 중합성 단량체(들)가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의 이점은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보다 잘 균형잡힌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이 발견되는 경우 더 잘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잘 균형잡힌 특성들을 이루기 위한 시도로 다양한 조성물이 수득되어 왔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990,558호에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그래프트된 스티렌계 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60 내지 95중량%와, 하나 이상의 모노알케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i), (i)의 수소화 공중합체인 하나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ii) 또는 하나 이상의 (i)과 하나 이상의 (ii)와의 혼합물(iii) 20 내지 100중량%(1) 및 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즉 EPM 또는 EPDM 0 내지 80중량%(2)를 포함하는 고무 성분(b) 5 내지 40중량%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계 강성 열가소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286,791호에는 그래프트 중합된 하나 이상의 비닐 단량체(들)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10 내지 90%; Mw/Mn이 8 내지 60이고 용융 유량이 0.5 내지 50이며 25℃에서 94% 이상이 크실렌 불용성인 분자량 분포가 넓은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B) 90 내지 10%; 및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 및 임의로 비공액 디엔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를 두 개 이상 함유하는 올레핀 고무(i), 하나 이상의 모노알케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 디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수소화 생성물(ii), 중합시에 Tg가 20℃ 미만인 고무상 중합체(들)를 형성하는 중합성 단량체(들)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iii) 및 이의 혼합물(iv)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무 성분(C) 2 내지 25%를 포함하는 내충격성 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1992년 3월 6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07/847,387호에는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 내지 70%인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40 내지 90%;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 내지 50%인 올레핀 고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여기서, 그래프팅 단량체(들)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i), 아크릴계 화합물(ii), (i)과 (ii)와의 혼합물(iii) 및 C1-10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하나 이상의 (i) 또는 하나 이상의 (ii), 또는 하나 이상의 (i)과 하나 이상의 (ii)와의 혼합물과 공중합 가능하며, 50%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기타의 단량체(iv)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B) 5 내지 40%; 및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 및 임의로 비공액 디엔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들을 두 개 이상 함유하는 올레핀 고무(i) 및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 및 위에서 정의된 (i)로 내충격성이 개질된 C4-C10α-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ii)으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되지 않은 올레핀 고무(C) 5 내지 20%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블렌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성들은 보다 잘 균형이 잡히지만, 용접선 강도 및 이의 보유성은 다소 손실된다.
따라서, 용접선 강도 및 용접선 강도 보유성이 실질적으로 손실되지 않고 특성들의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는 내충격성 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개질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와 같은 올레핀 고무 대신에,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과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과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격성 개질시킴으로써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접선 강도 및 이의 보유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과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향상된 용접선 강도 및 이의 보유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기타 특성들의 균형을 보유한다.
당해 조성물은 사출성형품 및 압출 프로파일에 대한 독립형 구조 플라스틱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방향족 비닐 화합물(i), 아크릴계 화합물(ii), (i)과 (ii)와의 혼합물(iii) 및 하나 이상의 (i) 또는 하나 이상의 (ii), 또는 하나 이상의 (i)과 하나 이상의 (ii)와의 혼합물과 공중합가능한 기타 단량체(iv)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함량이 5 내지 70%인 그래프트된 단량체(들)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9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이소택틱 지수가 80을 초과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α-올레핀(여기서, R은 C2-C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과의 공중합체(ii) 및 프로필렌과 (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프로필렌을 80% 초과하여 함유하고 이소택틱 지수가 80을 초과하는 공중합체(a) 약 10 내지 50%,
에틸렌을 55%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α-올레핀을 1 내지 10% 함유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을 55%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 및 α-올레핀을 55%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며,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인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공중합체 분획(b) 약 5 내지 20% 및
에틸렌을 20 내지 40%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α-올레핀이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양이 20 내지 40%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 및 α-올레핀을 20 내지 40% 함유하는 에틸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 임의로 디엔 0.5 내지 10%와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점도가 1.5 내지 4.0dl/g인 공중합체 분획(c) 약 40 내지 8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전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분획(b)와 분획(c)의 합이 약 50 내지 90%이고, (b)/(c)의 중량비가 0.4 미만인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5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i), 및 에틸렌 및 C4-C8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C) 0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제공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모든 % 및 부는 중량% 및 중량부이다.
성분(A)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는 이소택틱 지수가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8인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i), 에틸렌 및 C4-C8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최대 중합된 에틸렌 함량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4%이고, 올레핀이 C4-C8α-올레핀인 경우, 최대 중합된 이의 함량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6%인 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ii), 또는 에틸렌 및 C4-C8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최대 중합된 C4-C8α-올레핀 함량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6%이고, 에틸렌이 α-올레핀들 중의 하나인 경우, 최대 중합된 에틸렌 함량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4%인 두 개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삼원공중합체(iii)일 수 있다.
C4-C8α-올레핀은 직쇄 또는 측쇄 C4-C8α-올레핀(예: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3,4-디메틸-1-부텐, 1-헵텐, 3-메틸-1-헥센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는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성분(a)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그래프트되는 단량체(들)는 스티렌, 알킬 또는 알콕시 환-치환된 스티렌(여기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C1-4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알콕시, 또는 이의 혼합물이고, 알킬 또는 알콕시 환-치환된 스티렌은 5 내지 95%의 양으로 존재한다) 및 α-메틸 스티렌 또는 α-메틸 스티렌 유도체 5 내지 40%와 스티렌, 알킬 또는 알콕시 환-치환된 스티렌과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비닐 화합물(i),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C1-4알콕시 치환된 페닐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아크릴계 화합물(ii), (i)과 (ii)와의 혼합물(iii),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되고, 하나 이상의 (i) 또는 하나 이상의 (ii), 또는 하나 이상의 (i)과 하나 이상의 (ii)와의 혼합물과 공중합 가능하며,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의 양으로 존재하는 기타 단량체(iv)일 수 있다.
바람직한 그래프팅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α-메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로니트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이다.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적합한 입상 형태는 분말, 플레이크, 과립, 구형체, 입방체 등을 포함한다. 약 0.07 이상의 기공 용적 분획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된 구형 입상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제조하는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중량 평균 직경이 약 0.4 내지 7mm이고, (2) 표면적이 0.1㎡/g 이상이며, (3) 기공 용적분획이 약 0.07 이상(여기서, 입자 중의 기공의 40% 이상은 직경이 1μ 이상이다)인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다. 이러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히몬트 이탈리아 에스.알.엘.(HIMONT Italia S.r.l.) 및 히몬트 유.에스.에이,(HIMONT U.S.A.)에서 시판되고 있다.
성분(B)의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에서, (a)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의 양으로 존재한다. (a)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면, 이소택틱 지수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이다. (a)가 공중합체이면,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프로필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이다.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의 성분(b)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의 양으로 존재한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한 결정화도는 전형적으로 약 20 내지 60%이다. 일반적으로,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함량 또는, 둘다 존재하는 경우,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조합은 5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이다.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의 성분(c)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c)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함량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이다. 성분(c)가 삼원 공중합체이면, α-올레핀은 전형적으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고유 점도는 1.7 내지 3dl/g이다.
전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b)와 (c)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이고, (b)/(c)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0.3이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 중의 에틸렌 단위 또는 α-올레핀 단위 또는, 둘다 존재하는 경우, 에틸렌과 α-올레핀 단위의 총량은 약 15 내지 약 35%이다.
일반식 CH2=CHR의 적합한 α-올레핀은 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헥센-1 및 옥텐-1을 포함한다. 이는, 성분(a)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경우, 생성되는 중합체의 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이 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와 (c)의 제조 동안에, 디엔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전형적으로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 디엔 단량체이며, 전형적으로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한다.
DSC로 측정한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은, 12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용융 피크 및 -10 내지 -35℃의 온도에서 존재하는 유리 전이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피크를 갖는다.
추가로, 이들 조성물을 굴곡 모듈러스가 150MPa 미만, 일반적으로는 20 내지 100MPa이고, 항복시 인장 강도가 10 내지 20MPa이며, 파단점 신도가 400% 초과이고, 75% 변형시 인장 세트가 20 내지 50%이며, 쇼어 D 경도가 20 내지 35이고, 이 조드 충격 시험을 -50℃에서 수행하는 경우, 파괴되지 않는다(취성 충격 파괴가 없음).
헤이즈 값은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이다.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에틸렌 및α-올레핀과의 삼원 공중합체가 성분(a)로서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의 성분(a)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및 올레핀 고무 물질의 유리 라디칼 부위에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유리 라디칼-개시된 그래프트 중합으로 제조된다. 유리 라디칼 부위는 조사에 의해 또는 유리 라디칼 생성 화학 물질(예: 적합한 유기 과산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유리 라디칼 부위가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입상형태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고에너지 이온화 조사선을 사용하여 약 10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조사시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내에 유리 라디칼 부위를 생성시킨다. 조사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실질적으로 비산화 대기, 예를 들면, 불활성 기체하에 유지되면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및 그래프팅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내지 80%의 입상 그래프팅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사용하여 약 3분 이상의 시간 동안 약 100℃ 이하의 온도에서 처리한다.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선택된 시간 동안, 동시에 또는 임의의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단량체에 노출시킨 후, 실질적으로 비산화 환경에서 유지시키면서, 생성되는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처리하여 잔여의 유리 라디칼을 실질적으로 모두 불활성화시키고 미반응 그래프팅 단량체를 상기 물질로부터 제거한다.
생성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유리 라디칼 불활성화는 유리 라디칼트랩(trap)으로서 작용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메틸-머캅탄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열하여 수행한다. 전형적으로, 불활성화 온도는 1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20분 이상 동안 불활성화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라디칼 불활성화 전후에 또는 불활성화와 동시에 그래프트 공중합체로부터 미반응 그래프팅 단량체를 제거한다. 불활성화 전 또는 불활성화 동안에 제거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비산화 환경을 유지한다.
유리 라디칼 부위를 유기 화합물에 의해 생성시키는 방법에서, 유기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유기 퍼옥사이드는 처리 동안에 사용된 온도에서 분해 반감기가 약 1 내지 240분인 유리 라디칼 중합 개시제이다. 적합한 유기 퍼옥사이드는 아실퍼옥사이드[예: 벤조일 및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알킬 및 아르알킬 퍼옥사이드[예: 디-3급-부틸 퍼옥사이드, 디쿠밀 퍼옥사이드, 쿠밀 부틸 퍼옥사이드, 1,1-디-3급-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2,5-디메틸-2,5-디-3급-부틸퍼옥시헥산 및 비스(α-3급-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퍼옥시에스케르[예: 3급-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급-부틸퍼벤조에이트, 2,5-디메틸헥실-2,5-디-(퍼벤조에이트), 3급-부틸-디-(퍼프탈레이트), 3급-부틸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 및 1,1-디메틸-3-하이드록시부틸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 및 퍼옥시 카보네이트[예: 디-(2-에틸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및 디(4-3급-부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당해 퍼옥사이드는 그대로 또는 활성 농도가 0.1 내지 6.0pph,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pph(여기서, pph는 프로필렌중합체 물질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인 희석제 매질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입상 형태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약 60 내지 125℃의 온도에서 상술한 유리 라디칼 중합 개시제 0.1 내지 6.0pph로 처리한다. 중합체 물질은, 개지제를 사용한 처리 시간과 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단량체의 총 첨가 농도 5 내지 240pph에서 분당 4.5pph를 초과하지 않는 첨가 속도로 약 5 내지 240pph의 그래프팅 단량체로 처리한다. 환원하면, 단량체 및 개시제는 동시에 가열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에 첨가될 수 있거나, (1) 개시제 첨가가 완료된 후, (2) 개시제가 첨가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완료되지는 않은 상태에서, 또는 (3) 개시제 첨가를 완료한 후의 지연 시간 또는 유지 시간 후에 단량체를 첨가할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그래프트된 후, 실질적으로 비산화 환경에서 유지시키면서, 생성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20분 이상 동안 12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처리시켜 어떠한 미반응 개시제도 분해시키고 잔여의 유리 라디칼을 불활성화시킨다. 라디칼 불활성화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불활성화와 동시에 어떠한 미반응 그래프팅 단량체도 상기 물질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성분(B)로서 사용되는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은 고도의 입체특이적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2단계 이상으로 순차적 중합에 의해 제조하는데, 제1 단계에서는 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에틸렌, α-올레핀, 또는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중합하여 성분(a)를 형성하며, 그 다음 단계에서는 혼합물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α-올레핀,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및 임의의 디엔을 중합하여 성분(b)와 (c)를 형성한다.
중합 공정은 분리된 반응기들을 사용하여 액상, 기체상 또는 액체-기체 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들 모두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희석제로서 액체 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성분(a)의 중합을 수행하고, 프로필렌의 부분 탈기를 제외하고는 중간 단계 없이 기체상에서의 성분(b)와 (c)의 중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중합 반응은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 또는 액상 또는 기체상 단량체의 존재하에 불활성 대기중에서 수행한다.
적합한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에는 포화된 탄화수소(예: 프로판, 부탄, 헥산 및 헵탄)가 포함된다.
수소는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연쇄 전달제로서 필요한 만큼 첨가될 수 있다.
성분(a)의 중합 및 성분(b)와 (c)의 중합에 대한 반응 온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성분(a)의 중합은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성분(b)와 (c)의 중합은 40 내지 65℃이다.
액상 단량체에서 수행하는 경우, 성분(a)의 중합 압력은 촉매 혼합물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소량의 불활성 희석제의 증기압 및 임의의 단량체와 분자량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수소의 과압에 의해 결과적으로 개질된, 사용되는 작동 온도에서의 액상 프로필렌의 증기압에 필적하는 압력이다.
기체상에서 수행되는 경우의 성분(b)와 (c)의 중합 압력은 5 내지 30atm일수 있다. 2단계에 대한 체류 시간은 분획(a)와 (b)+(c)의 바람직한 비율에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15분 내지 8시간이다.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는 활성화된 염화마그네슘 상에 지지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내부 공여체) 및 할로겐 함유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성분(1), 비할로겐 함유 Al-트리알킬 화합물(2) 및 전자 공여체 화합물(내부 공여체)(3)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티탄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Ti-할로겐 결합을 갖는 화합물(예: 티탄의 할라이드 및 알콕시 할라이드)을 포함한다.
벌크 밀도가 높은 유동성 구형 입자 형태의 이들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고체 촉매 성분은 (a) 표면적이 100㎡/g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g이고, (b) 다공도가 0.25 내지 0.4cc/g이며, (c) X-선 스펙트럼에서 33.5°와 35°의 각도 2θ사이에서 할로가 존재하고, 14.59°의 2θ에서 반사가 부재하는 염화마그네슘 반사를 나타내어야 한다. 부호는 브래그 각(Bragg angle)이다.
고체 촉매 성분은, 일반적으로 MgCl21mol당 알콜 3mol을 함유하는, 이염화마그네슘과 알콜(예: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2-에틸헥산올)과의 부가물을 형성시키고, 부가물을 유화시키며, 에멀션을 신속하게 냉각시켜 부가물을 구형 입자로 고화시키고, MgCl21mol당 알콜 함량을 3mol에서 1 내지 1.5mol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온도를 50℃에서 130℃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입상 부가물을 부분적으로 탈알콜화시킴으로써 제조한다. 그 다음, 부분적으로 탈알콜화된 부가물을0℃에서 TiCl4에 현탁시켜 TiCl4에 대한 부가물의 농도가 40 내지 50g/ℓ TiCl4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80 내지 135℃의 온도로 약 1 내지 2시간 동안 가열한다. 온도가 40℃에 도달하면, 충분한 전자 공여체를 가하여 Mg 대 전자 공여체의 목적하는 몰 비를 수득한다.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아릴 프탈레이트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 디-n-부틸, 및 디-n-옥틸 프탈레이트를 TiCl4에 가한다.
열처리 시간이 종료되면, 과량의 뜨거운 TiCl4를 여과 또는 침강으로 분리하고, TiCl4로 1회 이상 반복하여 처리한다. 그 다음, 고체를 적합한 불활성 탄화수소 화합물(예: 헥산 또는 헵탄)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고체 촉매 성분은 전형적으로 하기 특성들을 갖는다.
표면적: 100㎡/g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g
다공도: 0.25 내지 0.4cc/g
기공 용적 분포: 기공의 50%의 반경이 100Å 초과
X-선 스펙트럼: 염화마그네슘 반사가 나타나는데, 이는 33.5°와 35°의 각도 2θ에서 최대 강도를 갖는 할로를 나타내며, 14.95°의 2θ에서 반사가 없다.
촉매는, 고체 촉매 성분을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 알루미늄 및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과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혼합하여 수득한다.
다양한 전자 공여체 화합물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이란식 R'R"Si(OR)2의 실란 화합물(여기서, R' 및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C1-18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18사이클로알킬 또는 C6-18아릴 라디칼이며, R은 C1-4알킬 라디칼이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실란 화합물에는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사이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 메틸-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사이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사이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및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이 포함된다.
Al/Ti의 비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200이며, Al/실란의 몰 비는 1/1 내지 1/100이다.
촉매를 소량의 올레핀 단량체와 예비 접촉시키고(예비 중합), 현탁액 속의 촉매를 탄화수소 용매 중에 유지시키며, 촉매 중량의 0.5 내지 3배 양의 중합체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실온 내지 60℃의 온도에서 중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비 중합은 또한 액상 또는 기체상 단량체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촉매 중량의 1000배 이하의 양의 중합체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올레핀 중합체 중의 촉매 잔사의 함량 및 양은 충분히 적어서 전형적으로 디애싱(deashing)이라고 칭하는 불필요한 촉매 잔사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올레핀 중합체는 타원형 입자 형태이며, 입자 직경이 0.5 내지 7mm이다.
성분(c)의 그래프트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이소택틱 지수가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8인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i),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C8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ii)일 수 있으며, 단, 올레핀이 에틸렌인 경우, 최대 중합된 에틸렌 함량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4%이며, 올레핀이 C4-C8α-올레핀인 경우, 최대 중합된 이의 함량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6%로서, 이것은 성분(A)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주쇄를 제조하는 데 유용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에 대해 기재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그래프트 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고무 성분 100부당 첨가제(예: 충전제, 보강제 등) 약 80부 이하(총량)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혼합 장치, 즉 1축 또는 2축 스크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또는 기타 통상적인 용융 혼합 장치에서 성분들을 기계적으로 블렌딩함으로써 제조한다. 조성물의 성분들을 혼합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하기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시험 샘플들과 물리적 특성들은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 및 측정한다.
인장 강도 ASTM D-638(신장 강도계 없이 2in/min의 크로스헤드 사용)
파단점 신도 ASTM D-638
파단점 용접선 ASTM D-638(이중 게이트 T-바에서 측정)
굴곡 모듈러스 ASTM D-790 및 D-618, 공정 A(0.5in/min의 크로스헤드 속도 및 성형된 T-바의 중앙 부분)
굴곡강도 ASTM D-638, 공정 A(성형된 T-바의 중앙 부분)
노치드 이조드 ASTM D-256-87
비노치드 이조드 ASTM D-4812
용접선 강도 ASTM D-638(이중 게이트 T-바아 상에서 측정)
보존된 용접선 용접선 강도를 인장 강도로 나누어 측정.
강도
용융 유량(MFR) ASTM D-1238, 조건 L
실시예 1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8.7%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드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cc/g, Mw/Mn4.1,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8.9%)(A) 77%; MFR이 20dg/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35%, 에틸렌을 6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8%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 및 0.1% 이르가녹스(Irganox) 1010 테르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탄 안정화제, 주성분이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 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인 0.08%산도스탑(Sandostab) PEP-Q 조성물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07%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텀블 블렌딩(tumble blending)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라이스트리쯔(Leistritz)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싱 34mm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445°F 및 375rpm에서 35lb/hr로 압출한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튼펠드(Battenfeld) 사출 성형기에서 450°F의 배럴 온도 및 135°F의 성형 온도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7.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그래프트 공중합체(A) 78%를 사용하고, 에틸렌을 3.5% 함유하고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a) 33%, 에틸렌을 7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4%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9.6%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2%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성분들을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에틸렌을 3.3% 함유하고 MFR이 20g/10min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a) 30%, 에틸렌을 71.6%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62.3%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2%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4.5%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7%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42%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4.5%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8%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42%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4.5%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8%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42%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2%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cc/g, Mw/Mn4.1, 실온에시의 크실렌 불용도 98.9%)(A) 85%, 및 에틸렌을 60%인 함유하는 폴리사르(Polysar)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V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2
본원에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8.7%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증합체(A) 8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41.4%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3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8.7%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64%, 및 히몬트 이탈리아 에스.알.엘.로부터 시판되는 히팍스(Hifax) 7095 에틸렌-프로필렌-부텐 3원 공중합체(B) 36%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1.2%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4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8.7%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6%,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15% 및 프로-팍스(Pro-fax) 652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두 개의 개질제의 양은 총 24%임) 9%의 (B)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3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7%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 내지 6의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비교 실시예 1, 2 및 4의 대조용 조성물은 유사한 강성과 내충격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1, 2 및 4의 대조용 조성물 보다 훨씬 높은 용접선 강도 및 강도 보유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 실시예 3의 조성물은 우수한 용접선 강도 및 강도 보유성을 갖는다는 것이 주목되지만, 내충격성 특성이 부족하다.
실시예 7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8.7%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6c/g, Mw/Mn4.1,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8.9%)(A) 70%; 에틸렌을 3.6% 함유하고 MFR이 200g/10min 초과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a) 50%, 에틸렌을 72.5%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5.5%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44.5%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30%; 및 이르가녹스 1010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안정화제, 주성분이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렌-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인 0.08% 산도스탑 PEP-Q 조성물 및 0.07%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일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텀블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들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라이스트리쯔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싱 34mm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445°F 및 375rpm하에 35lb/hr로 압출시킨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튼펠드 사출 성형기에서 450°F의 배럴 온도 및 135°F의 성형 온도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실시예 8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1%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7%, MFR이 2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35%, 에틸렌을 6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8%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 50:50 블렌드 중의 0.2% 이르가녹스 B-222 2,2-비스[[3-[3,5-비스(1,1-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안정화제와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드 안정화제 및 0.1%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 및 160°F의 성형 온도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7%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에틸렌을 3.5% 함유하고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a) 33%, 에틸렌을 7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4% 및 에틸렌 함량이 22.5%인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9.6%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를 사용함을 실시예 7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7%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5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1%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cc/g, Mw/Mn4.1,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응도 98.9%)(A) 83%,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7%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7%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6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를 41.1% 함유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85%,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5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9%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7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를 48.7% 함유하는,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0%, 및 MFR이 90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40%, 에틸렌을 96.6% 함유하고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10.2% 및 에틸렌을 4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9.8%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30%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7%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8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1%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85%,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 및 50:50 블렌드 중의 0.2% 이르가녹스 B-225 2,2-비스[[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안정화제와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 포스파이트 안정화제 및 0.1%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 및 160°F의 성형 온도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5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4.9%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7 내지 9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5, 6 및 8의 조성물보다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 실시예 7은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이 주목되나, 내충격 특성은 부족하다.
실시예 10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9%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2g/10min, 다공도 0.61cc/g, Mw/Mn4.8,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응도 97%)(A) 81%; MFR이 2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a) 35%, 에틸렌을 6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공중합체 분획(b) 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8%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르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16%, 히몬트 유.에스.에이 및 히몬트 이탈리아, 에스.알.엘.로부터 시판되는 프로-팍스 652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3%; 및 0.1% 이르가녹스 1010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안정화제, 이의 주성분이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인 0.08% 산도스탑 PEP-Q 조성물 및 0.07%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텀블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라이스트리쯔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싱 34mm 2축 압출기 속에서 445°F 및 375rpm하에 351b/hr로 압출한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튼펠드 사출 성형기에서 배럴 온도 450°F 및 성형 온도 135°F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7.2%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9%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85%,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8%,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7%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9.0%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4.5%인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S/MMA/AN)(단량체 비: S/MMA/AN 45/25/30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펠렛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cc/g, Mw/Mn4.1,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응도 98.9%)(A) 64.4%, 헤테로상 폴리올레핀 조성물(B) 22.8%, 프로-팍스 652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12.8%, 및 50:50 블렌드 중의 0.2% 이르가녹스 B-225 2,2-비스[[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안정화제와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안정화제 및0.1%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 및 160°F의 성형 온도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MA/AN 35.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9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2%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2g/10min, 다공도 0.61cc/g, Mw/Mn4.8,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7%)(A) 95%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9.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0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2%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단량체 비: S/AN 67/33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90%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0%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9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7.1%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 비교 실시예 1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비교 실시예 1이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0 내지 12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9 및 10의 조성물보다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9%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S/MA)(단량체 비: S/MA 61.4/38.6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다공도 0.46cc/g, Mw/Mn4.1,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8.9%)(A) 61.6%; 에틸렌을 3.5%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랜덤 공중합체 (a) 33%, 에틸렌을 7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4%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c) 59.6%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1%; 프로팍스 680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15.3%; 및 0.1% 이르가녹스 1010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급-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안정화제, 이의 주성분이 테트라키스(2,4-디-3급-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인 0.08% 산도스탑 PEP-Q 조성물 및 0.07%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텀블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라이스트리쯔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싱 34mm 2축 압출기에서 482°F 및 375rpm하에 35lb/hr로 압출한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텐펠드 사출 성형기에서 배럴 온도 490°F 및 성형 온도 150°F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A 28.3%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9%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α-메틸스티렌(S/MA/α-MS)(단량체 비: S/MA/α-MS 19.4/36.6/44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61.6%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A/α-MS 28.3%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1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33.3%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S/MA)(단량체 비: S/MA 61.4/38.6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85%,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A 28.3%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4에 나타태었다.
비교 실시예 12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33.3%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α-메틸스틸렌(S/MA/α-MS)(단량체 비: S/MA/α-MS 19.4/36.6/44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85%,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4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MA/α-MS 28.3%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표 4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14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11 및 12의 조성물보다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4.5%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MMA/MeAc)(단량체 비: MMA/MeAc 95/5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2g/10min, 다공도 0.61cc/g, Mw/Mn4.8,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7%)(A) 64.1%;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단독 중합체(a) 33%, 에틸렌을 7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4%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9.6%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1%; 히몬트 유.에스.에이 및 히몬트 이탈리아, 에스.알.엘.로부터 시판중인 프로-팍스 680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12.8%; 및 50:50 블렌드 중의 0.2% 이르가녹스 B-225 2,2-비스[[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에이트 안정화제 및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안정화제 및 0.1%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때까지 텀블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은 라이스트리쯔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성 34mm 2축 압출기에서 445°F 및 375rpm하에 351b/hr로 압출한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튼펠드 사출 성형기에서 배럴 온도 450°F 및 성형 온도 160°F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MMA/MeAc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0.0%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MMA/MeAc)(단량체 비: MMA/MeAc 95/5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0%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6.9%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MMA/MeAc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35%, 에틸렌을 6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8%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1%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MMA/MeAc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3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1.2%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MMA/MeAc)(단량체 비: MMA/MeAc 95/5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2g/10min, 다공도 0.61cc/g Mw/Mn4.8,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7%)(A) 85%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15%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S/AN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4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50%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단량체 비: MMA/MeAc 95/5중량%)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70%, 및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a) 37%, 에틸렌을 92.3%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증합체 분획(b) 15.7% 및 에틸렌을 47.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47.3%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23.1%, 및 프로-팍스 680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6.9%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비교 실시예 13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MMA/MeAc 35%의 유효 조성 및 고무 15%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표 5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5 내지 17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13 및 14의 조성물 보다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8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45.9%인 스티렌(PS)으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g/10min, 벌크 밀도0.333g/cc(poured), Mw/Mn4.95,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6.4%)(A) 54%; MFR이 20g/10min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35%, 에틸렌을 63.4%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8%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30.8%, 히몬트 유.에스.에이 및 히몬트 이탈리아, 에스.알.엘.로부터 시판되는 프로-팍스 680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15.2%; 및 50:50 블렌드 중의 0.2% 이르가녹스 B-225 2,2-비스[[3-[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폭시]메틸]-1,3-프로판디일-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파노레이트 안정화제 및 트리스(2,4-디-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안정화제 및 0.1% 칼슘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를,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까지 텀블 블렌딩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라이스트리쯔에서 제조한, 배기되고 끝이 가느다란 역회전 인터메싱 34m 2축 압출기에서 445°F 및 375rpm하에 351b/hr로 압출한다. 압출된 혼합물을 5온스, 25톤의 바텐펠드 사출 성형기에서 배럴 온도 450°F 및 성형 온도 160°F로 사출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PS 24.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2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에틸렌을 3.5% 함유하고 MFR이 10g/10min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랜덤 공중합체(a) 33%, 에틸렌을 73.4% 함유하고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7.4%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고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59.6%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30.8%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PS 24.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2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에틸렌을 3.6%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a) 50%, 에틸렌을 72.5%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5.5% 및 에틸렌을 22.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44.5%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0%, 및 프로-팍스 680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C) 6%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PS 24.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2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5
기재된 과산화물법에 의해 제조된, 총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그래프트 중합된 단량체 함량이 31%인 스티렌(PS)으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구형 형태, MFR 9.2g/10min, 벌크 밀도 0.333g/cc(poured), Mw/Mn4.95, 실온에서의 크실렌 불용도 96.4%)(A) 80% 및 에틸렌을 60% 함유하는 폴리사르 306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B) 20%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PS 24.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2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6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37%, 에틸렌을 92.3% 함유하는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획(b) 15.7% 및 에틸렌을 47.5% 함유하는 무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c) 47.3%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30.8%를 사용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8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대조용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PS 24.8%의 유효 조성 및 고무 20%를 갖는다.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들을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8 내지 20의 조성물이 비교 실시예 15 및 16의 조성물 보다 용접선 강도 및 보유 강도가 더 높은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 기재한 본 발명의 기타 특징, 이점 및 양태들은 상기한 기재내용을 읽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들이 상당히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나, 기술되고 특허청구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들 양태들을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9)

  1. 방향족 비닐 화합물(i), 아크릴계 화합물(ii), (i)과 (ii)와의 혼합물(iii) 및 C1-10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하나 이상의 화합물(i), 하나 이상의 화합물(ii)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i)과 하나 이상의 화합물(ii)와의 혼합물과 공중합 가능하며, 5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기타의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iv)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 단량체(들)로 그래프트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그래프트 공중합체(A) 35 내지 95중량%,
    이소택틱 지수가 80을 초과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α-올레핀(여기서, R은 C2-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과의 공중합체(ii) 및 프로필렌과 (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프로필렌을 80중량% 초과하여 함유하고 이소택틱 지수가 80을 초과하는 공중합체(a) 약 10 내지 50중량%,
    에틸렌을 55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α-올레핀을 1 내지 10중량% 함유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을 55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 및 α-올레핀을 55중량% 초과하여 함유하는 에틸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며,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중량%인 반결정성의 거의 선형인 공중합체 분획(b) 약 5 내지 20중량% 및
    에틸렌을 20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i), α-올레핀이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의 양이 20 내지 40중량%인, 에틸렌, 프로필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ii) 및 α-올레핀을 20 내지 40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과 (a)(ii)에서 정의한 α-올레핀, 그리고 임의로 디엔 0.5 내지 10중량%와의 공중합체(ii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고유점도가 1.5 내지 4.dl/g인 공중합체 분획(c) 약 40 내지 80중량%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며, 전체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분획(b)와 분획(c)의 합이 약 50 내지 90중량%이고, (b)/(c)의 중량비가 0.4 미만인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5 내지 65중량%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및 C4-C10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그래프트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C) 0 내지 5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이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에틸렌 및 C4-C10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α-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C4-C8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두 개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과의 랜덤 3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A)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그래프트 단량체(들)가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α-메틸스티렌/말레산 무수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로니트릴,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주쇄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주쇄에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가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주쇄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가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주쇄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성분(A)가 프로필렌 중합체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α-메틸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α-메틸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말레산 무수물/α-메틸스티렌의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가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주쇄에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이 그래프트된 공중합체(A) 55 내지 85중량%, 헤테로상 올레핀 중합체 물질(B) 45 내지 1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C) 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50022434A 1994-07-29 1995-07-27 헤테로상올레핀중합체물질로내충격성이개질된프로필렌중합체물질의그래프트공중합체를포함하는폴리올레핀조성물 KR100350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83,234 1994-07-29
US08/283,234 US5455300A (en) 1994-07-29 1994-07-29 Graft copolymer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impact modified with a heterophasic olefin polymer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431A KR960004431A (ko) 1996-02-23
KR100350174B1 true KR100350174B1 (ko) 2002-11-05

Family

ID=2308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434A KR100350174B1 (ko) 1994-07-29 1995-07-27 헤테로상올레핀중합체물질로내충격성이개질된프로필렌중합체물질의그래프트공중합체를포함하는폴리올레핀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55300A (ko)
EP (1) EP0697438B1 (ko)
JP (1) JP3497278B2 (ko)
KR (1) KR100350174B1 (ko)
CN (1) CN1054867C (ko)
AT (1) ATE166912T1 (ko)
AU (1) AU688058B2 (ko)
CA (1) CA2145376C (ko)
DE (1) DE69502778T2 (ko)
TW (1) TW3833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31A (ko) * 2017-04-28 2019-11-19 보레알리스 아게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연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8023B1 (en) 1997-04-21 2001-04-17 Montell North America, Inc. Co-extruded laminate comprising at least one propylene graft copolymer layer
DE19831278A1 (de) * 1998-07-13 2000-01-27 Borealis Ag Heterophasige Polyolefinlegierungen
IT1302029B1 (it) * 1998-08-19 2000-07-20 Montech Usa Inc Processo per produrre composizioni polimeriche eterofasiche ecomposizioni cosi' ottenute
WO2002062889A1 (fr) * 2001-02-07 2002-08-15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polyolefinique
US6815506B2 (en) * 2001-10-15 2004-11-09 Jsr Corporation Oil-resistant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oldings using the same
CN1314744C (zh) * 2002-05-10 2007-05-09 胜亚诺盟股份有限公司 聚丙烯树脂组合物
CA2499951C (en)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70202285A1 (en) * 2004-12-15 2007-08-30 Fina Technology, Inc. Articles having improved clarity, prepared from propylene-ethylene copolymers
US8530577B2 (en) * 2008-06-30 2013-09-10 Fina Technology, Inc. Compatibilized polypropylene heterophasic copolymer and polylactic acid blends for injection molding applications
CN109161034B (zh) * 2018-08-20 2021-05-25 辽阳辽化奇达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非晶态α-烯烃共聚物的乳化方法
CN113767148B (zh) * 2019-10-25 2023-11-10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AU2022323375A1 (en) * 2021-08-04 2024-02-22 Beijing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Industry,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Flexible polypropylene modified insulation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0620A (ko) * 1962-12-27
EP0058979B1 (en) * 1981-02-23 1986-11-12 Sumitomo Naugatuck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color development
NL8105437A (nl) * 1981-12-02 1983-07-01 Stamicarbon Polymeercompositie.
US4537933A (en) * 1983-10-12 1985-08-27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Blends of polyolefin graft polymers and ASA polymers
JPS62241941A (ja) * 1986-04-14 1987-10-22 Tonen Sekiyukagaku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672354B2 (ja) * 1988-11-22 1997-11-05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656815B2 (ja) * 1988-11-22 1997-09-24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4990558A (en) * 1990-03-26 1991-02-05 Himont Incorporated Graft copolymer compositions
IT1243188B (it) * 1990-08-01 1994-05-2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olefiniche elastoplastiche
US5212246A (en) * 1990-09-28 1993-05-18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IL99498A0 (en) * 1990-10-05 1992-08-18 Himont Inc Blends of graft copolymers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of olefinic rubber material
US5310794A (en) * 1992-03-31 1994-05-10 Himont Incorporated Theromoplastic blends containing graft copolymers of polyacrylates as impact modifiers
US5286791A (en) * 1992-05-29 1994-02-15 Himont Incorporated Impact modified graft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propylene
US5331047A (en) * 1993-02-17 1994-07-19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31A (ko) * 2017-04-28 2019-11-19 보레알리스 아게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연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125674B1 (ko) 2017-04-28 2020-06-30 보레알리스 아게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연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3327B (en) 2000-03-01
CA2145376A1 (en) 1996-01-30
AU2725495A (en) 1996-02-08
CN1119657A (zh) 1996-04-03
DE69502778T2 (de) 1998-11-05
AU688058B2 (en) 1998-03-05
ATE166912T1 (de) 1998-06-15
CN1054867C (zh) 2000-07-26
JP3497278B2 (ja) 2004-02-16
KR960004431A (ko) 1996-02-23
US5455300A (en) 1995-10-03
JPH0859952A (ja) 1996-03-05
DE69502778D1 (de) 1998-07-09
EP0697438B1 (en) 1998-06-03
CA2145376C (en) 2002-10-22
EP0697438A1 (en) 199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3015A (en) Blends of a graft copolymer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with a graft copolymer of olefinic rubber material
JP2603423B2 (ja) 幅広い分子量分布を有するポリプロピレンを含む耐衝撃性の改良されたグラフトコポリマー組成物
KR100350174B1 (ko) 헤테로상올레핀중합체물질로내충격성이개질된프로필렌중합체물질의그래프트공중합체를포함하는폴리올레핀조성물
SK280533B6 (sk) Polyolefínové zmesi s vysokou vyváženosťou tuhosti
US6140425A (en) Process for making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containing anhydride groups
US5310794A (en) Theromoplastic blends containing graft copolymers of polyacrylates as impact modifiers
US4716197A (en) Polyethylene/EPDM-graft polystyrene blends
US20020198326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3315425B2 (ja) 耐衝撃性グラフトコポリマー
EP0953597B1 (en) Improving heat aging of grafted polyolefins using zinc mercapto compounds
CA2551792A1 (en) Fille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scratch resistance
EP0939089B1 (en) Thermally stable alpha-substituted acrylate graft copolymers of propylene
EP0390451A2 (en) Diene modified polyolefin products
JPS60212441A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H06145261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
JPH0586140A (ja) 揆液性の優れた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H0428750A (ja) 樹脂組成物
JPH0586231A (ja) 揆液性の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