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775B1 - 면역강화제 - Google Patents

면역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775B1
KR100348775B1 KR1019940701840A KR19940701840A KR100348775B1 KR 100348775 B1 KR100348775 B1 KR 100348775B1 KR 1019940701840 A KR1019940701840 A KR 1019940701840A KR 19940701840 A KR19940701840 A KR 19940701840A KR 100348775 B1 KR100348775 B1 KR 10034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und
formyl
viru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리차드 로데스
Original Assignee
더 웰컴 파운데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29220715A external-priority patent/GB922071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29226874A external-priority patent/GB9226874D0/en
Application filed by 더 웰컴 파운데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더 웰컴 파운데이션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75Nitriles; Iso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종양제 또는 항감염제를 갖는 면역강화제(immunopotentiatory agents)로서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조합물인 제품의 용도 및 종양 또는 감염증과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상기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강화제
본 발명은 항종양제 또는 항감염제를 갖는 면역강화제(immunopotentiatory agents)로서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의 조합물인 제품의 용도 및 종양 또는 감염증과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상기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면역계의 제 1 보호 기능은 바이러스, 리케차, 마이코플라스마, 박테리아, 진균 및 모든 유형의 기생충을 비롯한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것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특히 면역 반응이 약해졌을 때 면역반응의 개량은 임의의 상기 병원균들에 의한 감염 또는 침입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킨다.
면역계의 제 2 보호 기능은 이물 조직, 예컨대 태아-어머니의 관계와 같은 천연 이물 조직 또는 이식 내과의에 의해 형성된 것과 같은 인공 이물 조직의 접목을 방해한다.
면역계의 또 다른 보호 기능은 암으로 발전하는 악성 세포를 방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면역강화제는 종양에 대한 거부 반응을 증진시키고 종양의 재발을 억제하는데 사용되어 그밖의 치료요법을 형성한다.
또다른 보호 기능은 양성 억제 메카니즘의 자기(self)에 대한 비-반응성의 유지를 포함한다. 자가-면역(anto-immune)및 이와 관련된 장애에 있어서, 자기-항원을 향한 면역반응성 또는 과도하게 높은 반응은 명백하고 자기파괴된다.
면역계 각각의 보호 기능은 면역강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타 약물, 예컨대 침입한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거나 죽이는 역활을 하는 약물과 함께 사용하는 비특이요법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내성은 면역강화제를 예컨대, 바이러스, 종양 세포등에 사용되는 백신과 같은 항원과 함깨 사용함으로써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에 의해 특이면역성 또는 내성을 유발할 수 있다. 후자는 알레르기 또는 자가-면역질병에 있어서 항원을 사용함으로써 예시하였다. 면역강화제를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 특히 후자는 감염증, 자가-면역및 암이 흔히 발생하는 연령층에 사용된다. 투여 시간 및 경로는 반응 결과가 양성 인지 음성 인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역반응을 향상시키는 임의의 약물은 투약 시간 및 복용량에 따라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 따라서, 특정 조건하에서 면역강화제는 알레르기, 자가-면역및 이식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면역강화제란 약화된 면역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정상적인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상기 작용 둘다를 할 수 있는 약물을 의미한다. 그러나 면역계의 특정 요소 때문에 면역강화제는 면역 억제효과 또한 나타낼 수 있다.
면역반응은 입체-특이 수용체가 항원이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특이화된 분자(MHC)와 결합하는 항원성 분절에 의해 야기되는 T-림프구에 의해 일어난다. T-세포 수용체와 항원-MHC 복합체간의 특이 상호작용외에도 T-세포는 항원이 존재하는 세포에 의해 공급된 동시 자극 신호(costimulatory signals)가 필요하다. 항원이 존재하는 세포와 T-세포간의 상호작용은 7-세포 수용체 : 항원-MHC 상호 작용에의해 분자의 일부가 부수적으로 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상호 작용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부착 분자의 일부는 동시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 그외에도, 세포 표면 리간드간의 과도 공유 결합 화학 반응이 T-세포의 항원-특이 활성에 필수적이라는 연구가 생체외에서 이루어졌다(로데스, 제이.(1989), J. Immunol. 143 : 1482 ; 가오, 엑스. 엠.과 로데스, 제이.(1990), J. Immunol. 144-2883 ; 로데스, 제이.(1990), J. Immunol. 145:463). 상기 연구는 APC 와 T-세포 표면상의 기들간의 카르보닐-아미노 축합 반응(시프 염기(Schiff base) 구조물)을 형성하였다.
WO 9203164 특허 명세서에는 시트 염기를 형성하는 리간드의 발현을 효소학적으로 증가시키는 일을하는 신규의 보조제인 나고(NAGO)가 개시되어 있다. DE 3508875 특허 명세서에는 헤르페스(Herpes) PSR 바이러스로 감염된 토끼에 사용하는 면역강화제로써 신알데히드(cinnaldehyde)를 개시하고 있다. EP 54924 특허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들과 이의 합성 및 산소-해리 커브의 "왼쪽-이동제"로서의 성질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모든 참고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 인용하였다.
면역강화 약물의 치료대상은 바이러스 간염 및 인체 면역결핍성 바이러스와 같은 만성 바이러스 감염증을 포함한다. 암 역시 치료 대상이 된다. 만성 바이러스 감염증 및 악성 종양이 각종 방법으로 면역계을 회피(evasion)한다. 따라서, (바이러스로 감염되거나 악성인) 비정상 세포에 대하여 세포 독성 T-세포 및 항체가 생성될지라도 면역계은 병원균의 성장을 중단시키는데 실패한다. 회피의 일반적인 과정은 바이러스와 종양이 자기에 대하여 비-반응성이 유지되는 메카니즘을 개발함으로써 존재할 수 있다. 자기-반응성 T-세포는 동시 자극 신호의 부재하에서 T-세포 수용체(TCR)의 결찰에 의해 태아가 발육되는 동안 제거된다. 그결과 상기 T-세포는 계획된 세포 죽음을 겪게된다. 그 주변의 자기-반응성 T-세포 역시 동시 자극의 부재하에서 TCR의 결찰을 통해 비-반응성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현상을 아네르기(anergy)라 하다. 동시 자극 신호가 파괴되는 경우에 병원성 돌기에서 면역계의 회피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질병에 반응하는 T-세포는 아네르기가 되거나 계획된 세포 죽음을 겪게 된다. AIDS 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더 많다. 시프 염기-형성 면역강화제는 이들의 T-세포에 대하여 동시자극을 제공하는 역활을 하기 때문에 상기 회피 메카니즘을 막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상기 방식에서 시프 염기-형성 면역강화제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지속하게 하고 특정 악성 종양을 진행시키는 면역성의 병변을 정확히 교정한다.
카르보닐-아미노 축합 반응에 관여하는 특정의 작은 분자가 면역강화제로서 작용한다는 놀라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면역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신알데히드 화합물이 배제된다는 조건하에서, T-세포 표면 카르보닐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시프 염기 또는 하이드라존을 형성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
상기일반식에서, R 은 수소이거나, 치환된 페닐에 의해 임의 치환된 메틸이거나, 또는 히드록시 또는 두개의 C1-4알킬기로 임의 치환된 메틸 및 히드록시기이고 ;
R1은 CH2COR2기 (이때, R2는 CO(CH2)xCO2H 원자단(x 는 1 내지 7임)으로 임의 치환된 메틸임) 또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형태이거나 ; 또는
R1은 A-Ph 원자단(이 때, A 는 O, CH2, CH(CH3), CO 또는 단일 결합이고 Ph 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임)이거나 ; 또는
R 이 R1에 연결되어 한개의 고리가 벤젠인 임의 치환된 9 또는 10-원 2 환식 고리 화합물을 형성한다.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로 나타낸 화합물(이 때, A 및 Ph 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음)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은 일반식(I)의 범위에 속하는 바람직한 세부 화합물을 구성한다 :
상기식에서, R3는 H, C1-4알킬 또는 CH2(C6H4)R4(이 때, R4는 히드륵시임), 또는 C1-4알콕시이다.
식(I)의 범위에 속하는 바람직한 세부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하기 일반식(III)로 나타내었다 :
상기 일반식에서, R7은 CH2COR2원자단이며, 이때 R2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식(I)의 범위에 속하는 또 다른 바람직한 세부 화합물인 2 환식 고리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V)이다:
상기 일반식에서, R8은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이고 ;
A1은 O, CO 또는 CH2이며 ;
은 폐놀기에 의해 임의 치환된 C2·3알킬렌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약제의 제조에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
상기 일반식에서,
z 는 0 또는 1 이고 ;
n 은 0 또는 1 이며 ;
B 는 수소 또는 C1-4알킬이고 ;
B1은 수소 또는 임의 치환된 페닐이고 ;
B2는 수소, 메틸이거나, CO(CH2)xCOOH 원자단(이 때, x 는 1 내 7 임)에 의해 임의 치환된 메틸이거나,
B1이 폐닐인 경우에 B2는 산소, 또는 B1에 결합된 산소를 임의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 연쇄이며, 이때 한개의 원소가 산소이고 그 나머지 원소는 탄소인 임의 치환된 8 또는 10-원 2 환식 고리 화합물을 형성하고,
z 가 0인 경우에 ; B1은 수소일 수 없으며, B2는 반드시 수소이어야 한다.
B1이 임의 치환된 페닐인 경우에 바람직한 치환체는 하기 일반식(VI)에 정의한 바와 같은 Y1, Y2, Y3, Y4, Y5및 Y6으로 한정된다.
식(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원자단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 염을 하기 일반식(Vl)로 나타내었다 :
상기 일반식에서, Y1수소, 히드록시, C1-4알킬 아미노 및 알킬부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카노일아미노중에서 선택되고 ;
Y2, Y3및 Y4는 각각 수소, 할로겐, C1-4알킬, C1-4알콕시, 할로알킬, 히드록실 및 벤질옥시중에서 선택되며 ;
Y5는 히드록실 또는 Q1원자단(이 때, Q1
Q2및 Q3는 각각 수소 및 C1-4알킬중에서 선택되되 ; X 는 시아노, 카르복실 또는 이의 작용성 카르복실산 유도체, 5-테트라졸릴 및 알킬부에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설포닐카르바모일중에서 선택되며 ; n 은 0 내지 6임)이고 ;
Y6는 -(CPH2P)CHO 이고, 이때, p 는 0 내지 5 이며,
p 가 1 보다 큰 경우에, Y6원자단의 포르밀(-CHO)은 임의의 탄소원자상에 존재할 수 있고 알킬렌(CPH2P)은 선형으로 존재하거나 측쇄로 존재할 수 있거나 ; 또는
Y6이 (CH2CO)q-X1또는 (COCH2)q-X1(이 때, q 는 1 내지 3 이고, X1은 메톡시페닐임)이거나, 또는 C1-4알킬이다.
X 가 시아노, 5-테트라졸릴, 알킬부에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지닌 알킬설포닐카르바모일 및 -CO.Y 원자단(이때, Y 는 -OR9(이 때, R9은 수소, C1-4알킬 또는 밴질임)이거나, -NR10R11(이 때, R10및 R11각각은 수소 또는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지닌 알킬임)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은 일반식 (VI)의 범위에 속하는 바람직한 부류의 화합물을 구성한다.
식(VI) 화합물중의 X가 카르복실산 유도체인 화합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 1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특히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를 갖는 알킬 및 벤질과 아미노산 에스테르(예, L-발릴 또는 L-이소루실)와 같은 아르알킬인 알킬에스테르 및 아르알킬 에스테르 같은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에스테르를 비롯한 약학적 허용 에스테르 ; 및
치환되지 않은 아미드, N-치환 아미드 및N,N- 이치환 아미드(시클릭 아미드 및 헤테로시클릭 아미드 포함)를 비롯한 약학적 허용 아미드(이 때, 치환기(들)는(은) 예컨대 알킬, 특히 C1-4알킬(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및 t-부틸)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임).
Y1이 알킬 아미노인 일반식(VI)의 화합물은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 상기 염중에서 산이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용체로 약제에 사용되지만 산의 종류가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적합한 산은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바, 예를 들면 염산 및 아세트산이다.
B1및 B2가 수소, C1-4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히드록시에 의해 치환된 페놀기에서 선택된 최대 4 개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쿠마린, 테트랄론, 벤조푸라논 또는 나프토퀴논중에서 선택되는 2 환식 고리 화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기에 제시한 화합물을 포함한다(화합물 이름은 표2 에 제시하였음) :
5-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탄아미드,
N,N-디에틸 5-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탄아미드,
N-이소프로필 5-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탄아미드,
에틸 5-(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
5-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타노니트릴,
(±)-5-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2-메틸펜탄산과 이의 염,
5-(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2,2-메틸펜탄산과 이의 염,
메틸 3-(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3-(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과 이의 염,
벤질 5-(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타노에이트,
5-[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N-부틸]테트라졸과 이의 염,
7-(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헵탄산과 이의 염,
5-(2-포르밀-3-히드록시-4-n-프로폭시페녹시)펜탄산과 이의 염,
5-(4,6-디클로로-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탄산과 이의 염,
5-(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N-메틸설포닐펜탄아미드,
에틸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5-(4-클로로-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펜탄산과 이의 염,
5-(3-아세틸아미노-2-포르밀페녹시)펜탄산과 이의 염,
아미노구아니딘,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부탄산과 이의 염,
6-(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헥산산과 이의 염,
에틸 4-(3-아세틸아미노-2-포르밀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4-(3-아세틸아미노-2-포르밀페녹시메틸)벤조산과 이의 염,
2-(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과 이의 염,
5-[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페닐]테트라졸과 이의 염,
5-(2-포르밀-3-히드록시-4-메톡시페녹시)펜탄산과 이의 염,
3- (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프로피오니트릴.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명이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과 이의 염인 하기 일반식(Ia)의 화합물이다 :
상기 일반식(Ia)의 화합물은 EP00549724B 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면역계의 장애 및/또는 무능한 숙주 방어 메카니즘이 있는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거나 면역계의 활성을 정상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면역계의 장애 및/또는 무능한 숙주 방어 메카니즘이 있는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거나 면역계의 활성을 정상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은 면역결핍증 포유류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기타 항바이러스제 또는 기타 항암제와 같은 다른 치료 요법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면역반응의 강화란 약화된 면역기능의 회복 또는 정상적인 면역기능의 증강 또는 상기 기능 둘다를 의미한다. 면역기능을 체액성(항체-매개) 면역, 세포성(T-세포-매개) 면역, 또는 대식 세포 및 과립구 매개 내성의 발생 및 발현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역결핍증 환자"란 용어는 부족하거나 결핍된 면역계를 갖는 환자를 의미한다. 면역결핍증 환자는 T-림프구 증식 분석 수단에 의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분석을 사용한 면역결핍증 환자는 유사 분열 항원 및 추상 항원의 자극에 대한 T-세포의 반응 능력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상기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유사 분열 및 추상 항원의 예로는 각각 식물성 혈구 응집소(PHA)와 중독성 파상풍이 있다.
애들러 등의 문헌[Cancer (1980) 45, 2062-2063]에서 유방암 환자를 PHA 를 사용한 T-림프구 증식 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PHA 에 반응한 림프구의 정량 평가는 자극 지수(SI)를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문헌에서 14 이하의 SI 값을 면역결핍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본원 역시 PHA 에 대한 반응에서 14 이하의 SI 값을 갖는 암 환자를 면역결핍으로 생각하였다.
면역결핍 및 면역억제는 림프구, 특히 면역반응을 편성하는 T-세포에 대한 신호활동에 병변이 존재하는 많은 임상학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세포는 유효한 면역반응을 개시하기 위해 2 가지 신호를 필요로 하며, 이들은 다음과 같다 :
ii)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T-세포 수용체의 작업, 및
iii) 동시 자극성 수용체를 통한 자극.
신호(ii)가 없을 경우, T-세포는 반응에 실패할 뿐만 아니라 만성적으로 마비되거나 아네르기가 될 수도 있다. 지속적인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감염 및 신생 질병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제 2 신호의 전달을 간섭하므로써 면역반응을 회피하여 T-세포 반응 감퇴증을 발생할 수 있다. 식(I)의 화합물은 T-세포에 대한 동시자극성 신호를 대체하거나 보상하므로써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면역계가 부족하게되거나 결핍될 수 있는데는 여러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따라서, 예컨대 면역계 결핍은 미숙아 또는 조산아(신생아)에서 흔히 발견된다. 또한, 암 화학 요법의 부작용으로서 방출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특정 약물에 의한 억제로부터 야기될 수도 있다. 면역계 구성 성분 1 종 이상이, 예를 들면 특정 형태의 암의 경우처럼, 비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것도 면역결핍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면역결핍증은 인체 면역결핍성 바이러스(HIV)를 비롯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유효량"이란 감염을 억제 또는 경감시키기 위해 면역기능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거나, 면역기능을 정상 수준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한편으로 포유류(인체 포함)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면역결핍증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을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을 급성 및 만성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염에 의한 면역강화 요법을, 바람직하게는 항바이러스제와 함께 사용하여 대처할 수 있는 급성 바이러스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포진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피코르나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간염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풍진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두진 바이러스, 호흡기 유착 바이러스, 파필로마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뉴우캐슬병 바이러스, 광견병바이러스, 및 아르보바이러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 염에 의한 면역강화 요법을 사용하여 대처할 수 있는 만성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로는 지속성 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엡스타인 바르(Epstein Barr) 바이러스 감염증, 지속성 풍진 감염증, 파포바이러스 감염증, 간염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체 면역결핍성 바이러스 감염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에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는 각기 간염 A,B,C,D 및 E 의 다섯가지 형태가 인식되어 있다.
DNA 바이러스중, 포진 군에 속하는 것들이 사람의 바이러스성 질병의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다. 이 군에는 포진 단순 바이러스형 1 과 2(HSV),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러스(VZV),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엡스타인-바르바이러스(EBV), 인체 간염 바이러스형 6(HHV-6) 및 인체 간염 바이러스형 7 이 포함된다. HSV1과 HSV2는 사람의 가장 흔한 감염 작인의 일부이다. 이들 바이러스 대부분은 숙주 신경 세포에서 존속할 수 있고 ; 일단 감염되면, 개체는 육체적으로, 또한 정신학적으로 고통이될 수 있는 감염증의 재발성 임상학적 증상의 위험에 당면하게 된다.
HSV 감염증은 피부, 구강 및/또는 생식기의 광범위하고 신중한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원발성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사전 노출된 개체에서의 감염증보다 더욱 극심한 경향이 있지만 준임상적일 수 있다. HSV에 의한 눈의 감염증은 각막염 또는 백내장을 유발하므로써 숙주의 시력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신생아, AIDS 환자를 비롯한 면역절충 환자에서의 감염증 또는 중심신경계로의 감염증 침투는 치명적일 수 있다.
바이러스의 전파는 숙주와 수용체간의 직접적인 육체 접촉에 의한 것이므로 ; HSV 감염 확산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서 고려되며, 유효한 백신을 아직까지 입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바리셀라 조스터(VZV)는 수두 및 대상 포진을 유발하는 포진바이러스이다. 수두는 면역성이 없는 숙주에서 발생되는 원발성 질병이며 유아에 있어서는 대개 폐포성 피진과 고열을 특징으로 하는 보통의 질병이다. 대상포진 또는 조스터는 바리셀라-조스터 바이러스에 의해 사전 감염되었던 성인에게서 발생하는 재발성 질병이다. 대상 포진의 임상학적 증상은 신경통 및 분포면에서 일방적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폐포성 피진을 특징으로 한다. 염증의 확산은 마비 또는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수막에 영향을 받게 되면 혼수 상태를 일으킬 수 있다. 면역결핍 환자에 있어서 VZV 는 전파성이 있어서 위중하거나 심지어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VZV 는 이식을 위해, 또는 악성 신형성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성 약물을 수용한 환자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며, AIDS 환자의 경우 이들의 손상된 면역계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된다.
통상적으로 기타 포진 바이러스로서, CMV 에 의한 감염증은 바이러스와 숙주의 종신 연합을 유발하며, 원발성 감염증에 이어서, 바이러스는 수년동안 탈피될 수 있다. 임신중의 산모 감염에 따른 선천성 감염증은 임상학적 작용, 예를 들면 사망이나 심한 질병(선천성소두증, 간비종, 황달, 정신감퇴), 실명을 초래하는 망막염 또는, 덜 극심한 형태로서, 성장 실패, 및 심장과 귀 감염 이환성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성 종양, 이식후 면역억제성 약물 치료 또는 인체 면역결핍성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결과로서 면역절충된 환자에서의 CMV 감염증은 망막염, 폐염, 위장 장애 및 신경학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AIDS 환자에서의 CMV 감염증은 성인 인구의 50-80% 에 있어서 유력한 이환율 또는 인과율이 되는데, 이것이 잠재된 형태로 존재하여 면역절충된 환자에 있어서 재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엘스타인-바르 바이러스(EBV)는 감염성 단핵증과 모상 백반증을 일으키고, 또한 비인두암, 면역아세포성 임파종, 부르키트(Burkitt) 임파종과 같은 인체의 암의 작인으로서 제안되고 있다.
HBV 는 세계적으로 주요한 증요성을 지닌 바이러스 병원균이다. 이 바이러스는 원발성 간세포 종양과 병인론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세계 간암의 80% 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에서는 수만명 이상이 해마다 HBV 병으로 입원하고, 평균 250 명이 돌발성 질환으로 사망한다. 미국에는 현재 오십만 내지 백만의 감염 보균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만성 활성 간염은 일반적으로 보균자의 25% 이상이 갖고 있는 것이며, 종종 경변으로 진행한다. HBV 감염의 임상적 영향은 두통, 고열,불쾌, 오심, 구토, 식욕 불량, 및 복통을 포함한다. 이 바이러스의 복제는 보통 면역반응에 의해 조절되어 인체내에서 수주 또는 수개월간 지속되는 회복 과정을 유지하나, 감염은 더욱 심해져 상술한 지속적인 만성 간 질병으로 유발한다.
RNA 바이러스들 중의 1 군인 레트로바이러스는 특히 중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레트로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의 아군을 형성하며, 이 RNA 바이러스들은 복제하기 위해 먼저 그 게놈 RNA 를 DNA 로 '역전사'해야만 한다('전사'란 통상적으로 DNA 로부터 RNA 의 합성을 의미함). DNA 가 형성되면, 그 바이러스 게놈은 숙주 세포 게놈내로 혼입될 수 있고, 이것은 복제를 위한 숙주 세포의 전사/해독 기구에 이용된다. 일단 혼입되면, 바이러스성 DNA 는 숙주 DNA 와 사실상 구별할 수 없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바이러스는 세포의 수명을 지속시킬 수 있다.
HIV 감염으로 초래되는 면역억제의 경우, 예방은 HIV 에 대해 혈청 양성반응으로서 진단된 환자, 즉, HIV 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는 환자, 및 PGL(진행성 전신 임파선증) 또는 ARC(AIDS-관련 복합 증후)를 지닌 환자 뿐만아니라 AIDS 에 걸린 환자 또는 HIV 감염이 검출되되 않는 AIDS-유사 면역결핍증을 겪고 있고, 또한 임의의 특정 바이러스에 대해 특이적이지 않은 수단에 의해 면역회복을 필요로하는 환자에게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감염증이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단독형이나 다른 치료제와의 복합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치료법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작용성 유도체,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약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들) 및 약학적 활성제는 함께 투여되거나 별도로투여될 수 있으며, 별도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동시적으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활성성분(들) 및 약리학적 활성제(들)의 양 및 상대적인 투여 시기는 목적하는 복합 치료 효과를 성취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복합 치료법은 본 발명의 한 화합물이나 이의 생리학적 작용성 유도체, 및 하기 기술되는 제제들중의 하나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 치료제의 예로는 HIV 감염증 또는 관련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제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3'-아지도-3'-데옥시티미딘(지도부딘), 다른 2',3'-디데옥시뉴클레오시드류(예, 2',3'-디데옥시시티딘, 2',3'-디데옥시아데노신 및 2',3'-디데옥시이노신), 카르보비르, 비고리 뉴클레오시드류(예, 아사이클로비르), 2',3'-디데히드로티미딘, 프로테아제 억제제(예, N-3차-부틸-데히드로-2-[2(R)-히드록시-4-페닐-3(S)-[[N-2-퀴놀일-카르보닐)]-L-아스파르기닐]부틸]-(4aS,8aS)-이소퀴놀린-3(S)-카르복스아미드(Ro 31-8959)), 옥사티올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예, 시스-1-(2-히드록시메틸)-1,3-옥사티올란-5-일)-시토신, 또는 시스-1-(2-(히드록시메틸)-1,3-옥사티올란-5-일)-5-플루오로-시토신), 3'-데옥시-3'-플루오로티미딘, 2',3'-디데옥시-5-에티닐-3'-플루오로우리딘, 5-클로로-2',3'-디데옥시-3'-플루오로우리딘, 리바비린, 9-[4-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부트-1-일]구아닌(H2G)), TAT 억제제 (예, 7-클로로-5-(2-피릴)-3H-1,4-벤조디아제핀-2(H)-온(Ro5-3335), 또는 7-클로로-1,3-디히드로-5-(1H-피롤-2-일)-3H-1,4-벤조디아제핀-2-아민(Ro24-7429)), 인터페론(예, α-인터페론), 신장 분비 억제제(예, 프로베네시드), 뉴클레오시드 수송 억제제(예, 디피리다몰 ; 펜토시필린, N 아세틸시스테인, 프로시스테인, α-트리코산틴, 포스포노포름산 뿐만 아니라, 면역지연제로 인터루킨 II 가 있음), 백혈구 거대 세포 콜로니 증식 인자, 에리쓰로포에틴, 가용성 CD4및 이들의 유전자가 조작된 유도체를 포함한다. HBV 감염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상기 추가 치료제의 예로는 카르보비르, 옥사티올란 뉴클레오티드 유도체(예를 들면, 시스-1-(2-(히드록시에틸)-1,3-옥사티올란-5-일)-시토신 또는 시스-1-(2-(히드록시메틸)-1,3-옥사티올란-5-일-5-플루오로-시토신), 2',3'-디데옥시-5-에티닐-3'-플루오로우리딘, 5-클로로-2',3'-디데옥시-3'-플루오로우리딘, 1-(β-D-아라비노푸라노실)-5-프로피닐우라실, 아사이클로비르 및 인터페론(예, α 인터페론)을 포함한다.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에 걸린 환자중 60% 이상이 뉴모시스티스 카리니(Pneumocystis Carinii) 폐렴을 겪고 있다는 것은 보고된 바있다(Hughes, W.T.(1987) Treatment and Prophylaxis ofPneumocystis cariniipneumonia, Parasitology Today 3(11) 332-335).
뉴모시스티스 카리니폐렴은 치료받지 않는다면 면역절충 숙주에 있어서 거의 항상 치명적이다. 이 질환에 대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치료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코트림옥사올) 및 펜타미딘이다. 그러나, 이 치료제 둘다 AIDS 환자에게 있어서 약 50-70% 만이 효과적이고 일반적인 것보다 훨씬 높은 역반응 발생율(약 50%)을 산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있다(Wofsy, C.B. Antimicrobial Agents Annual, 1986, Vol 1. p.377-400). 따라서, 특히피. 카리니폐렴 예방을 위한 신규 제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포유류(인간 포함)의뉴모시스티스 카리니감염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으로서, 본 발명은 디죠지 증후군, 진균 감염증,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 결핵, 나병 및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와 같은 상대적인 T-세포 결핍증을 초래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으로서, 본 발명은 포유류(인간 포함)의 암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면으로서, 본 발명은 방사선 요법과는 다르게 암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또한 종래 EP54924 에 기술된 투여량보다도 훨씬 낮은 1일 투여량으로 더오랜 지속기간 동안 암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투여량의 지속 기간은 방사능 감작이나 다른 형태의 종양 산소화에 요구되는 지속 기간보다 더 길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하기에 특히 적합한 암 종류의 예로는 흑색종, 경관암, 유방암, 결장암, 두부 및 경부암, 위암, 신장암, 후두암, 직장암 및 비-호지킨임파종을 포함한다. 종양 특이적인 항원이나 정상 세포상에서 드물게 발현되거나 매우 낮은 농도로 발현되는 항원을 발현하는 암이 아마도 치료학적 대상일 것이다. 아네르기이거나 무능한 종양 특이적인 세포독성 T-세포를 함유하는 암이 아마도 치료법의 대상일 것이다. 또한 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외과적으로 절제된 종양 역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치료법에 적합하다. 또한, 최소 질환이나 국소 질환을 지닌 초기 단계의 암환자를 치료하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외에서 클론화된(부분적으로) 활성화 T-세포에 동시-자극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면으로서, 본 발명은 백신 보조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백신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항원 성분을 조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비경구(피하, 피내, 근육내 및 정맥내 포함), 직장 및 흡입중에서 선택되는 경로에 의해 인체에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의 유효 투여량의 정도는 수용체의 특성, 관련된 면역강화제의 종류, 치료할 질환의 정도, 및 투여 경로를 비롯한 많은 요인들에 의존적이며, 궁극적으로는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를 것이다.
전술한 질환들 각각에 대해 유효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1 일당 0.5 내지 50 mg/kg(사람의 체중)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 일당 0.1 내지 20 mg/kg(체중)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일당 1 내지 10 mg/kg(체중)이며 ; 최적 투여량은 1 일당 3 mg/kg(체중)이다. 상기 투여량은 인체 사용량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1 일 동안 적절한 간격을 두고 투여되는 2 내지 4 회의 준투여량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3회의 준투여량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0.03 mg 내지 33 mg 범위, 바람직하게는 0.16 mg 내지 166 mg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6.6 mg(산)/kg(체중) 범위이며, 최적 투여량은 1.0 mg(산)/kg(체중) 이다. 따라서, 50 kg 인 사람에 대한 1 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5 mg 내지 5 g(산)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25 mg 내지 2.5 g(산)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mg 내지 1 g(산) 범위이다. 최적의 인체 1 일 투여량은 150 mg(산)이다. 목적하는 투여량은 1 일 투여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 일 이상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28 일 이상 동안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 화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으나, 약학적 조제물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의 하나 이상의 허용 담체 및 임의적으로는 다른 치료 성분과 함께 함유할 수 있다. 담체(들)는 제제중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수용체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용성" 이어야만 한다.
제제는 가장 적합한 투여 경로가 예를 들면 수용체의 질환에 따라다르지만, 경구, 비경구(피하, 피내, 근육내 및 정맥내 포함) 및 직장 투여에 적합한 제제를 포함한다. 제제는 단위 투여량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편리하며, 제약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모든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활성 성분)과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으로 이루어진 담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제는 활성 성분을 액상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그 둘다와 균일하고 친밀하게 혼합한 다음, 필요하다면 그 생성물을 목적하는 제제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제는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캡슐, 카세제, 또는 정제와 같은 별개의 유니트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중의 용액이나 현탁액으로서 ; 또는 유중수(oil-in-water) 액체 유탁액이나 수중유(water-in-oil) 액체 유탁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환괴, 지제 또는 이고(paste)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적절한 기계내에서 분말이나 과립과 같은 유동 형태의 활성 성분을 임의적으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윤활성 계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하며 압축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성형 정제는 적절한 기계내에서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가습된 분말 화합물의 혼합물을 성형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정제를 임의적으로 코팅하거나 새김눈을 그을 수도 있으며, 활성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거나 조절 방출되도록 조제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황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및 목적하는 수용체의 혈액과 제제가 등장성이 되도록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 및, 현탁화제 및 증량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멸균 현탁액을 포함한다. 제제는 예를 들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엘과 같은 단위 투여량 용기, 또는 다중 투여량 용기에 제공될 수 있고, 사용하기 전에 바로 주사용 물과 같은 멸균 액상 담체를 첨가하면 되는 동결 건조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즉석용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전술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제제는 코코아 버터와 같은 통상의 담체와 함께 좌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EP54924호에는 일반식(Ia)의 화합물을 코나 폐 경로로 투여하거나, 또는 상기 화합물을 상기 방식으로 투여한다면 상기 문헌에 교시된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어떤 암시도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 또한 상기 명세서에는 코나 폐 경로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제제에 대한 설명이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협강을 통한 폐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미크론의 직경을 지닌 입자가 수용체의 기관지내로 전달되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제로서 가능한 한가지 형태는 미분 분말 형태이며, 이것은 흡입 장치중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하게는 젤라틴과 같은 통과성 캡슐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거나, 적합한 액상 분무제 및 임의적으로 계면활성제 및/또는 고체 희석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자가-분무(self-propelling) 제제로서 제공되는 것이 편리하다. 자가-분무 제제는 또한 활성 성분이 용액이나 현탁액의 소적의 형태내에 분배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가-분무 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과 유사하고 소정의 공정에 의해제조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 제제는 목적하는 분무 특성을 갖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작동하는 밸브가 장착된 용기내에 제공되며 ; 이 밸브는 각각의 작동시마다 예를 들면 50내지 100 μl와 같은 고정 용량을 전달하는 계량형인 것이 유리하다.
추가의 가능성으로서 활성 성분은 미세 분무기 또는 연무기 중에 사용하기 위한 용액 형태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가속 기류 또는 초음파 교반이 사용되어 흡입용의 미세한 소적 연무질이 산출된다.
코에 투여하기 적합한 제제는 상술한 폐 투여에서와 일반적으로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이 제제는 투여하면 비강내 정체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미크론 범위내의 입자 직경을 가져 야만 하며 ; 이것은 적절하게는 적합한 입자 크기의 분말을 사용하거나 적절한 밸브를 선택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제제로는 코에 밀착시킨 용기로부터 비측 도입을 통해 급속히 흡입 투여하기 위한 2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갖는 거친 분말, 및 수성이나 유성 용액중에 활성 성분을 0.2 내지 5% w/v 함유하는 비측적하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량 제제는 활성 성분의 상술한 유효 투여량, 또는 이것의 적절한 분획을 함유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임의의 방법으로서 이해해서는 안된다. 모든 온도는 ℃ 단위이다.
약학적 제제
분무용 용액
본 발명의 화합물 1.0 mg
주사용 물 총 10.0 mL 로 채움.
일반식(I)의 화합물을 주입액으로서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0.2 μm 기공 크기의 여과막을 통해 통과시켜 살균하고, 그 여과액을 멸균 용기에 수집한다. 무균 조건하에서 멸균 유리 앰플에 10 mL/앰플를 주입시키고 유리를 용융시켜 각 앰플을 밀봉시킨다.
자가-분무 제제
미립자화한 본 발명의 화합물 1.0 mg
분무제 총 5.0 mL 로 채움
미립자화한 일반식(I)의 화합물을 분무제내에 현탁시킨다. 이 현탁액을 가압하에 밸브 오리피스를 통해 예형된 밸브가 장착된 분무질 캐니스터통내로 5 mL/캐니스터 충전시킨다.
이 분무제는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및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시판용 혼합물이다.
흡입용 분말
미립자화한 본 발명의 혼합물 1.0 mg
락토오즈 29.0 mg
미립자화한 일반식(I)의 화합물을 락토오즈와 함께 분쇄하여 배합한다. 결과적으로 산출되는 분말 배합물을 경질 젤라틴 캡슐 외피내로 1 캡슐당 30 mg 을 충전시킨다. 또는, 미립자화한 일반식(I)의 화합물을 플러그내로 압축될 수 있고, 소량의 일반식(I)의 화합물을 기류내로 전달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비측 적하제
본 발명의 화합물 100 mg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10 mg
주사용 물 총 10 mL 로 채움.
일반식(I)의 화합물과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주사용물중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적당한 점적병에 10 mL/병을 충전시키고 점적병 노즐과 병의 마개를 확고히 고정시켜 밀봉한다.
정제
상기 화합물, 락토오즈, 및 전분을 함께 혼합한 다음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으로 과립화한다. 과립을 건조시킨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고 평균 중량이 260 mg 인 정제로 압축시켰다.
캡슐
상기 화합물, 이염기성 인산 칼슘 이수화물, 및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를 함께 혼합한 다음 메틸셀룰로오즈 수용액으로 과립화한다.
건조후, 과립을 스테아르산 및 활석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젤라틴 캡슐내로 평균 충전 중량이 230 mg 이 되도록 충전한다.
좌약
상기 화합물을 150 μ 이하의 입자 크기로 마쇄한다. 좌약 기제를 38-40℃에서 첨가한다. 혼합하여 균일한 분산액을 제공한다. 좌약 금형내로 쏟아 냉각시킨다.
주사액-정맥내 단독 투여량
본 발명의 화합물 100 mg
수산화 나트륨 용액(30%) 적당량
주사용 물 총 5 mL 로 채움.
주사용 물 일부중에 상기 화합물을 현탁시킨다.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를 10 내지 10.5 로 조정한다. 충분량의 주사용 물을 첨가하여 필요한 최종 용량을 산출시킨다. pH 를 재검한다. 0.22 μ 기공 크기의 멸균 여과 막을 통해 통과시켜 멸균시킨다. 무균 조건하에서 멸균 바이엘내로 충전시킨 뒤 동결 건조한다.
주사액-근육내 다중 투여량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및 클로로크레졸을 주사용물에 용해시킨다. 0.22 μ 여과 살균한다. 상기 멸균 화합물을 20 μ 이하의 입자 크기로 마쇄하여 여과 용액을 첨가한다. 균일한 분산액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한다. 멸균 유리 바이엘내에 충전시킨다.
지속 방출형 정제
수소화된 카스터 오일은 용융시키고 150 μ 이하의 입자 크기로 마쇄된 상기화합물을 첨가한다. 카제인을 첨가한다. 균일해 질때까지 혼합한다. 냉각 및 제분하여 과립화한다. 이것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에 혼합한 뒤, 1,200 mg 의 평균 중량이 되도록 압축시킨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량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을 상술한 바와 같이 1일 투여량 또는 단위 1 일 준 투여량, 또는 이것의 적절한 분획만큼 함유하는 것이다.
상술한 특정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제제는 당해의 제제 형태에 관련하여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타 제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 허용성 염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종류의 저장부 제제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단 제제가 수용체의 체내에 배치된 후 활성 성분이 장기간 동안 방출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시험 결과를 하기 실시예에 기술한다 :
실시예 1
쥐의 등 중심선에 항원 단독, 항원과 통상의 보조제, 또는 항원과 테스트 화합물을 피하 투여했다. 이어서, 동일한 투여 부위에 4 일 이하의 기간 동안 명시된 부가의 테스트 화합물을 투여했다. 7 일 후, 국부(사타구니) 림프절을 떼어내고, 림프절 세포를 항원만으로 재자극시켰다. DNA 로의3H-티미딘 흡수를 사용한 표준절차 및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학으로 림프구의 항원 특이 증식을 4 일 후에 측정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항원과 테스트 화합물을 투여하여 체액성 면역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했다. 1-2 주 후에, 정맥 천자로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효소 결합된 면역흡착제 분석 (ELISA)으로 혈청 항체를 분석했다.
결과
제 1 도의 데이타는 항원(키홀 림펫 혜모시아닌)에 대한 프라이밍(priming)시킨 T-림프구에 대한 투카레졸의 효과를 나타낸다. BIOS 쥐에 50 μg 의 항원 단독으로(■) 또는 통상의 보조제 알럼(◇) 또는 100 μg 의 루카레졸(◆)를 투여했다.
제 2 도의 데이타는 BIOS 쥐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재조합 핵단백질(NP)에 대해 프라이밍시킨 T-세포에 대한 작은 시프 염기 형성 화합물 p-히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pHPA)(화합물 1)의 효과를 나타낸다. 0 일째에 쥐에서 1 μg 의 NP 단독으로() 또는 1 mg 의 pHPA()과 함께 투여했다. 1 일 및 2 일째에(총 3 회 투여) pHPA 그룹에 1 mg 의 pHPA 를 투여했다. 7 일 후에 국부 림프절을 떼어내고, A/오쿠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림프절 세포를 재자극시켰다. 설명한 바와 같이, 4 일 후에 항원 특이 증식을 측정했다.
제 3 도에 나타낸 데이타는 BIOS 쥐의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 반응에 대한 시프 염기 형성 케톤 디옥소헵탄산(DHA)(화합물 12) 및 3-히드록시-1-(4-메톡시페닐)-3-메틸-2-부타논(HMMB)(화합물 18)의 효과를 나타낸다. 0 일째에 KLH(10 μg)을 단일 투여했고, 0,1,2 및 3 일째에 동일 부위에 테스트 화합물을 투여했다.7 일 후에, 국부 림프절을 떼어내고, 항원으로 LNC 를 재자극시켜 표준 절차로 T-세포 프라이밍 측정했다. 하기와 같이, 테스트 화합물을 통상의 보조제 수산화 알루미늄(항원과 혼합된 100 μg)와 비교했다. 항원 단독(). 항원 + 알럼(□). 항원 + DHA 1 mg(◆). 항원 + HMMB 2 mg(◇).
제 4 도의 데이타는 T-세포 반응에 대한 아미노구아니딘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은 세포상 카르보닐군과 쉽게 반응하여 카르보닐-아미노 축합물을 형성하는 친핵체 히드라진이다. (형성된 상기 결합은 시프 염기와 유사하지만 더욱 안정적인 하이드라존이다) 쥐에서 KLH(50 μg) 단독 투여(), 프로인드 완전 보조액으로 유화시키거나(◇), 또는 2 mg 의 아미노구아니딘(□)으로 유화시킨 것을 투여했다. 국부 림프절에 프라이밍 T-세포를 표준 절차로 분석했다.
제 5 도의 데이타는 T-세포 반응성에 대해 하이드라존 형성 분자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히드라지드의 효과를 나타낸다. 쥐에게 항원(50 μg 의 난알부민) 단독(), 100 μg 의 알럼(◇)과 함께, 또는 10 mg 의 PCH 투여후, 동일 부위에 10 mg 의 PCH 로 2 회 이상 투여()했다. 표준 절차로 T-세포 프라이밍을 분석했다.
제 6 도의 데이타는 표준 물리화학 보조제 알럼과 비교하여 항원(10 μg 의 난알부민)에 대한 1차 항체 반응의 시프 염기 형성 화합물 DHA 및 HMMB 의 효과를 나타낸다. 항원 단독(□), 항원 1 알럼(). 항원 + 2 mg DHA(◆). 항원 + 1 mg DHA(◇). 항원 + 2 mg HMMB().
제 7도의 데이타는 BIOS 쥐의 KLH에 대한 1 차 항체 반응의 HMMB 효과를 나타낸다. 쥐에게 10 μg 의 항원 단독() 또는 항원 + 2 mg 의 HMMB(?)을 공급했다.
상기 결과는 세포 표면기를 갖는 카르보닐-아미노 축합물(시프 염기 또는 하이드라존)을 형성할 수 있는 소량의 화합물이 쥐의 면역반응을 강화시켰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 : 투카레졸의 항암 활성
하기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암컷 C57BL/6 쥐의 피하 이식한 쥐의 콜론 선암 38(MCA38)의 성장에 대한 투르카졸의 활성을 평가했다 :
0 일 째 15 마리의 암컷 및 16 마리의 수컷 C57BL/6 쥐 각각을 2 mm3의 종양 1 개를 피하 이식했다. 쥐를 무작위 추출하고, A 군, 5 마리의 암컷 및 5 마리 수컷, B 군, 5 마리의 암컷 및 5 자리 수컷, C 군, 5 마리의 암컷 및 6 마리 수컷의 3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5 일 내지 22 일 째 테스트군 B 및(각각을 이틀에 1 회로(총 9 회 투여) 589C80(쥐 1 마리당 0.2 ml 의 PBS 에 용해된 1 mg 또는 0.2 mg, 복강내 투여). 비교용 쥐 (A 군)는 PBS 만 투여.
24 일째 모든 쥐를 죽이고, 종양을 절제하고, 무게를 단다. 테스트군의 평균 및 중간 종양 중량을 비교용 쥐와 비교한다.
1M KOH를 적가하여 pH를 10.0으로 만든 후, 진한 HCl을 적가하여 pH 를 중성으로 되돌려 PBS 에 투카레졸을 용해시켰다.
이틀 마다 약물이 공급된 투여 스케줄을 선택하여 7 일이 아닌 14 일로 투여 기간을 연장시켰다. 이로써, 종양을 13 일 내지 25 일전까지, 즉 실험 종료 2 일전까지 약물에 노출시켰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종양 성장(과립 형태로 홑어짐) 패턴은 칼리퍼로 부피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데이타를 나타내지 않는다.
표 1
실시예 3 : 표 2 의 결과에 대한 실험 프로토콜
5 년 동안 파상풍 독소로 면역된 건강한 공혈자의 혈액을 정맥천자로 채취했다. 피콜 트리오실(노르웨이, 오슬로, 니코메드 에이에스, 림포프렙)에서 밀도 구배 원심분리로 단핵 세포 분획을 제조했다. 세포를 세척하고, 10% 의 본래의 혈청을 함유한 RPMI 1640 조직 배양 매질(스코틀랜드 에이르셔, 플로우 래버러토리즈)에 재현탁시키고, 항생제를 보충한다. 1 ml 당 106이 되게 세포수를 조절하고, 96-웰의 조직 배양 미량 역가 플레이트(U 자형 웰)(타이터텍, 플로우 리버러토리즈) 각각의 웰에 100 μl 의 분액을 놓았다. 10 μl 부피씩 테스트 화합물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이 단계에서 적절한 부형제 조절물을 첨가했다. 친화력 정제 파상풍 독소를 1 ml 당 10 μg 의 최종 농도로 첨가했다. 37℃ 에서 5% CO2를 함유한 습윤 공기하에서 5 일 동안 최종 18 시간의 배양액 (1 μ Ci/웰)에 존재하는3H 티미딘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시켰다. 반자동 시스템(스카트론)으로 유리 미세 섬유 종이상에 세포를 수집하고, DNA 에 티미딘 혼입 정도를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학으로 측정했다. 표준 화합물 p-히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와 비교하여 IC50 비율을 측정했다.
시프 염기 형성 화합물이 면역반응에 양성으로 또는 음성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에 의한 메카니즘은 상기 화합물이 림프구 및 항원 제공 세포(APC)의 표면에서 아미노기와 반응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T-세포를 동시에 자극하며, 세포 표면상의 리간드 사이의 생리학적 시프 염기 형성으로 제공된 동시 자극을 증폭시킨다. 그러나, 고농도의 화합물은 세포상 리간드 사이의 반응을 대신하여, 동시 자극을 제공하는 것외에 ACP 를 T-세포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저농도 및 중간 농도는 면역반응을 향상시키는 반면,높은 농도는 이를 억제시키게 된다. 억제 효과는 생체외에서 더 효과적이며 (ACP 의 표면상의 처리된 항원은 제한 요소임), 생체내 면역보강 용량을 나타내는 시프 염기 형성 용량의 측정을 제공한다. 또한, 시프 염기 형성, 이성질체화의 가역성 및 양성자화 및 탈양성자화 사이클은 면역보강에 중요하며, 이는 생체외의 면역억제와 생체내의 면역보강의 단순한 평형을 유도한다. 또한, 생체내 역가는 화합물의 반감기, 용해도 및 약력학 특성에 영향을 준다.
실시예 4 : 세포 표면상의 ε-아미노기상의 화합물에 의한 시프 염기 형성에 대한 경쟁적 분석
림프구 세포 표면의 아미노기상의 시프 염기의 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세포 표면 아민상의 시프 베이스 형성에 대한 경쟁적 분석을 사용한다 : 설포-NHS-비오틴은 단백질상에서 유리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아미드 결합을 형성시킨다. FITC(형광 이소티아네이트)-아비딘-비오틴 친화력 라벨 시스템과 설포-NHS-비오틴을 사용하여 세포 표면 아미노기를 염색시키고, 형광 활성 세포 분류(FACS) 분석으로 측정했다. 하기와 같은 분석을 사용하여, 시프 염기 형성 알데히드 및 케톤은 설포-NHS-비오틴과 세포 표면과의 반응을 경쟁적으로 억제시킨다 :
말초 혈액 탄핵 세포를 제조하고, 인산염 완충 염수내에서 1 ml 당 5×106으로 조절한다. 1개의 샘플에 5 mM 농도로 테스트 화합물을 첨가했다. 30분 동안 37℃ 에서 세포를 배양한다. 대조용 샘플을 PBS 로 배양시킨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10 mM 의 NaCNBH3(중성 pH 로 보정함)를 첨가한다. 세포를 PBS 에서 2 회 세척한다. 1 시간 동안 37℃ 에서 5 mM 의 최종 농도로 설포-NHS-비오틴을 첨가한다. 통상 저장물의 FITC-아비딘 1:50 희석물을 4℃에서 30 분 동안 첨가했다. 저온의 PBS 에서 세포를 3 회 세척했다.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켰다. FACS 분석을 실시한다.
표 2

Claims (12)

  1. 면약 강화에 효과적인 함량의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투카레졸)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을 암에 걸려있거나 또는 걸리기 쉬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투여하여 면역 반응을 강화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결장 직장암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악성 흑색종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신장암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면역 강화에 효과적인 함량의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투카레졸]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을 5일 이상 매일 투여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효과적인 함량이 1일당 50 내지 200 mg 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적인 함량이 1일당 50 내지 200 mg 인 방법.
  8. 4-(2-포르밀-3-히드록시페녹시메틸)벤조산[투카레졸]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염을 포함하는 암에 걸려있거나 또는 걸리기 쉬운 포유류의 면역 반응을 강화시키는 데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결장 직장암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악성 흑색종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신장암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코 또는 폐 경로로 투여하도록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
KR1019940701840A 1992-10-01 1993-09-30 면역강화제 KR100348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20715A GB9220715D0 (en) 1992-10-01 1992-10-01 Immunopotentiatory agent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GB9220715.8 1992-10-01
GB929226874A GB9226874D0 (en) 1992-12-23 1992-12-23 Immunopotentiatory agents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GB9226874.7 1992-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8775B1 true KR100348775B1 (ko) 2003-02-11

Family

ID=2630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840A KR100348775B1 (ko) 1992-10-01 1993-09-30 면역강화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5508310A (ko)
EP (3) EP0609606B1 (ko)
JP (2) JP3717950B2 (ko)
KR (1) KR100348775B1 (ko)
CN (1) CN1213746C (ko)
AT (1) ATE146075T1 (ko)
AU (1) AU676491B2 (ko)
CA (1) CA2124677C (ko)
CZ (1) CZ132794A3 (ko)
DE (1) DE69306545T2 (ko)
DK (1) DK0609606T3 (ko)
ES (1) ES2096215T3 (ko)
GR (1) GR3022541T3 (ko)
HR (1) HRP931243A2 (ko)
HU (1) HUT70482A (ko)
IL (1) IL107157A0 (ko)
MX (1) MX9306079A (ko)
NZ (1) NZ256110A (ko)
RU (1) RU94028670A (ko)
SG (1) SG48993A1 (ko)
SI (1) SI9300514A (ko)
SK (1) SK65294A3 (ko)
WO (1) WO1994007479A2 (ko)
YU (1) YU62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539795A (en) * 1994-08-25 1996-03-14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ethods of treating cold symptoms using pentoxifylline
GB9601544D0 (en) 1996-01-26 1996-03-27 Smithkline Beecham Plc Pharmaceuticals
US5977081A (en) * 1997-05-20 1999-11-02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Triterpene saponin analogs having adjuvant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US6080725A (en) * 1997-05-20 2000-06-27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Immunostimulating and vaccine compositions employing saponin analog adjuvants and uses thereof
AU9597198A (en) * 1997-10-03 1999-04-27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Imine-forming polysaccharides,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as adjuvants and immunostimulants
US6262029B1 (en) 1998-08-14 2001-07-17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Chemically modified saponins and the use thereof as adjuvants
GB9818627D0 (en) 1998-08-26 1998-10-21 Glaxo Group Ltd Improvements in dva vaccination
US6939896B2 (en) * 1999-12-21 2005-09-06 Astrazeneca Ab Cd45 inhibitors
DE60023744T2 (de) * 1999-12-21 2006-09-21 Astrazeneca Ab Cd45 inhibitoren
US7638496B2 (en) 2000-02-15 2009-12-29 Valeant Pharmaceuticals North America Nucleoside analogs with carboxamidine modified monocyclic base
AU2001245823A1 (en) * 2000-03-17 2001-10-03 Corixa Corporation Novel amphipathic aldehydes and their use as adjuvants and immunoeffectors
CZ304942B6 (cs) 2000-03-31 2015-02-04 Purdue Research Foundation Léčivo pro zvyšování specifické eliminace populace tumorových buněk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obsahující konjugát fosfát-FITC nebo fosfát-dinitrofenyl
WO2001076626A2 (en) * 2000-04-11 2001-10-18 Galenica Pharmaceuticals, Inc. Lipophilic aromatic aldehyde and ketone derivatives and the use thereof as immunostimulants and adjuvants
IL158532A0 (en) * 2001-05-02 2004-05-12 Purdue Research Foundation Treatment and diagnosis of macrophage mediated disease
ES2338305T3 (es) * 2001-09-28 2010-05-06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odo de tratamiento que utiliza conjugados ligando-inmunogeno.
US8246969B2 (en) 2001-11-16 2012-08-21 Skinmedica, Inc. Compositions containing aromatic aldehydes and their use in treatments
US20030157154A1 (en) * 2002-01-04 2003-08-21 Bryan Fuller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xy aromatic aldehydes and their use in treatments
US6911434B2 (en) * 2002-02-04 2005-06-28 Corixa Corporation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treatment of infectious and other diseases with immunoeffector compounds
MXPA05003347A (es) * 2002-09-27 2005-11-23 Martek Biosciences Corp Terapia profilactica con acido docosahexaenoico para pacientes con inflamacion subclinica.
WO2004103233A1 (en) * 2003-05-15 2004-12-02 Cutanix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a combination of a pharmaceutical agent or a cosmetic agent and an oxy group-bearing aromatic aldehyde
KR20050118057A (ko) * 2004-04-24 2005-12-15 김상희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US7622128B2 (en) * 2005-12-13 2009-11-24 University Of Washington Porphyromonas gingivalis 1435/1449 LPS as an immune modulator
WO2007092299A2 (en) * 2006-02-03 2007-08-16 Purdue Research Foundation Targeted conjugates and radiation
WO2009065002A1 (en) * 2007-11-15 2009-05-22 Endocyte, Inc. Method of administering conjugates
CA2823647C (en) 2011-01-07 2016-07-19 Allergan, Inc.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benzaldehydes and use thereof for lightening skin or treating hyperpigmenation and hypermelanosis disorders
MX2017011374A (es) 2015-03-06 2018-01-23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Método de tratamiento de cáncer asociado con una mutación de ras.
KR20180027563A (ko) 2015-07-13 2018-03-14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리나불린 조성물
US10912748B2 (en) * 2016-02-08 2021-02-09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tucaresol or its analogs
KR20190015361A (ko) 2016-06-06 2019-02-13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호중구감소증을 줄이는 조성물 및 방법
JP2020503363A (ja) 2017-01-06 2020-01-30 ビヨンドスプリング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ューブリン結合化合物およびその治療的使用
JP2020514412A (ja) 2017-02-01 2020-05-21 ビヨンドスプリング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好中球減少症の低減方法
CN112135614A (zh) 2018-01-24 2020-12-25 大连万春布林医药有限公司 通过施用普那布林减少血小板减少症的组合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6731A (en) * 1978-03-20 1979-10-02 Rikagaku Kenkyusho Carcinostatic agent
JPS5545658A (en) * 1978-09-28 1980-03-31 Rikagaku Kenkyusho Carcinostatic agent
JPS5569510A (en) * 1978-11-16 1980-05-26 Mitsubishi Chem Ind Ltd Carcinostatic agent
DK160866C (da) * 1980-12-18 1991-10-14 Wellcome Found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phenoletherforbindelser
LU85365A1 (de) * 1984-05-16 1986-01-29 Chimicasa Gmbh Verfahren und praeparat zur stimulierung des immunsystems
DE3431236A1 (de) * 1984-08-24 1986-02-27 Carnivora-Deutschland GmbH, 7109 Jagsthausen Verwendung von 1,4-naphthochinon-derivaten in niedrigen konzentrationen zur immunstimulation
DE3528709A1 (de) * 1985-08-09 1987-02-19 Schleicher Peter Mundpflegemittel
JPS63264409A (ja) * 1988-01-13 1988-11-01 Rikagaku Kenkyusho 制癌剤
JPH03254007A (ja) * 1990-03-01 1991-11-13 Tir Syst Ltd 非吸収性で且つ透過率が可変のカバーを有した照明装置
GB9018061D0 (en) * 1990-08-17 1990-10-03 Wellcome Found Compositions for vaccines
EP0499015A1 (en) * 1991-02-15 1992-08-19 Fockerman, Jasmine Benzopyran phenol derivates for use as antibacterial, antiviral or immunostimulating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60A (ja) 1995-01-06
YU62793A (sh) 1998-05-15
CA2124677C (en) 2008-09-09
GR3022541T3 (en) 1997-05-31
MX9306079A (es) 1994-06-30
NZ256110A (en) 1997-07-27
AU4831193A (en) 1994-04-26
ATE146075T1 (de) 1996-12-15
EP0609606A1 (en) 1994-08-10
HUT70482A (en) 1995-10-30
EP0678298A2 (en) 1995-10-25
WO1994007479A3 (en) 1994-07-21
JPH07504204A (ja) 1995-05-11
US5508310A (en) 1996-04-16
CN1213746C (zh) 2005-08-10
DE69306545T2 (de) 1997-04-03
CN1091005A (zh) 1994-08-24
SI9300514A (en) 1994-06-30
EP0609606B1 (en) 1996-12-11
WO1994007479A2 (en) 1994-04-14
EP0678298A3 (en) 1996-05-29
SG48993A1 (en) 1998-05-18
EP0614357A1 (en) 1994-09-14
SK65294A3 (en) 1995-03-08
AU676491B2 (en) 1997-03-13
HU9401631D0 (en) 1994-08-29
CA2124677A1 (en) 1994-04-14
DE69306545D1 (de) 1997-01-23
JP3717950B2 (ja) 2005-11-16
HRP931243A2 (en) 1995-12-31
CZ132794A3 (en) 1995-02-15
RU94028670A (ru) 1996-05-20
ES2096215T3 (es) 1997-03-01
IL107157A0 (en) 1993-12-28
DK0609606T3 (ko) 199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775B1 (ko) 면역강화제
US4861759A (en)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619774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viral disorders
EP0291633B1 (en) Use of 3'-azido-3'-deoxythymidine in the treatment or prophylaxis of human retroviral infections
JP2008255121A (ja) 抗b型肝炎ウイルス活性を有するヌクレオシド
IE62795B1 (en)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hiv-infections
US5254539A (en) Method of treating HIV with 2',3'-dideoxyinosine
US5872151A (en) Immunopotentiatory agents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US5958980A (en) Immunopotentiatory agent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US3624215A (en) 8-substituted theophyllines as anti-anxiety agents
US6096786A (en) Immunopotentiatory agent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US5580577A (en) Method of treating the symptoms of human rhinovirus infection
AP620A (en) Uses of a flavin in the treatment of ill-effects caused by viral infections.
KR100294836B1 (ko) 바이러스감염증예방치료제
JPH05331061A (ja) アポトーシス誘起剤
US20160159778A1 (en) Novel ureido derivatives of naphthalenesulfonic acids
US6306901B1 (en) Agent for prophylaxis and therapy of diseases
JPH02117621A (ja) 抗ウイルス医薬組成物
JPH08502044A (ja) ヒトウイルス感染の治療
CA1340519C (en) Antiviral nucleosides
JPH0551566B2 (ko)
JPH0551567B2 (ko)
JPH08208635A (ja) 抗ウイルス化合物及び医薬組成物
IL85096A (en) Use of (3-azido- (3-deoxythymidin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ections caused by human viruses
WO1996033711A2 (en) Use of thioketene derivativ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tis 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