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569B1 -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569B1
KR100348569B1 KR1019990062239A KR19990062239A KR100348569B1 KR 100348569 B1 KR100348569 B1 KR 100348569B1 KR 1019990062239 A KR1019990062239 A KR 1019990062239A KR 19990062239 A KR19990062239 A KR 19990062239A KR 100348569 B1 KR100348569 B1 KR 100348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ever
shift
for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106A (ko
Inventor
허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5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시 조작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 케이스에 내장되고 변속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시 변속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작력 저감기구는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변속레버가 시프트 조작되는 방향으로 중간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배가시켜 주도록 지렛대의 양쪽 끝부분에 중앙측이 각각 장착되고 그 양쪽 끝부분은 변속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변속레버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제1, 2탄성부재와; 상기 제1, 2탄성부재의 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변속레버 케이스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 Shift lever assembly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감소시켜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하거나, 변속단의 변속을 행하면 변속레버와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에 의해 변속단이 선택되고, 시프트 케이블에 의해 변속 조작이 행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변속레버(102)가 변속레버 케이스(104)의 일측에 힌지축(106)으로 연결되고, 이 변속레버(102)의 하단은 시프트 케이블(108)과 연결되어 있다.
즉, 변속레버(102)를 도면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변속레버(102)의 하단의 직선 이동되고 이 변속레버(102)의 작동을 받는 시프트 케이블(108)이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변속기로 전달되어 변속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의 조작이 운전자의 조작력에 의해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변속력에 필요한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이로 인하여 변속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레버의 변속 조작시 조작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A부의 상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 B-B 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변속기 케이스 6 : 변속레버
8 : 시프트 케이블 12 : 지렛대
14 : 제1탄성부재 16 : 제2탄성부재
18 : 지지부재 26 : 고정핀
28 : 연결부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 케이스에 내장되고 변속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시 변속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작력 저감기구는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변속레버가 시프트 조작되는 방향으로 중간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배가시켜 주도록 지렛대의 양쪽 끝부분에 중앙측이 각각 장착되고 그 양쪽 끝부분은 변속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변속레버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제1, 2탄성부재와; 상기 제1, 2탄성부재의 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변속레버 케이스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차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변속레버 케이스(2)와, 이 변속레버 케이스(2)의 일측에 힌지축(4)으로 연결되고 운전자가 변속작용을 위해 조작하는 변속레버(6)와, 이 변속레버(6)의 하단과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레버(6)의 변속 조작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시프트 케이블(88)과, 변속레버 케이스(2)에 내장되고 변속레버(6)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속레버(6)의 변속 조작시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변속레버(6)는 상측에 손잡이(10)가 부착되고, 중간측이 변속레버 케이스(6)에 힌지축(4)으로 결합되며, 하단은 시프트 케이블(8)이 연결되고, 그 일측으로 변속단을 선택하는 셀렉트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된다.
조작력 저감기구는 변속레버(6)의 시프트 조작시 조작력을 저감시키기 위한기구로서, 변속레버(6)의 일측 즉, 변속레버 케이스(2)와 힌지축(4)으로 연결되는 부위와 시프트 케이블(8)이 연결되는 부위 사이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장착되는 지렛대(12)와, 이 지렛대(1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배가시켜 주도록 지렛대(12)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탄성부재(14,16)와, 이 탄성부재(14,16)의 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변속레버 케이스(2)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재(18)로 이루어진다.
지렛대(1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중간부분이 변속레버(6)의 일측에 고정되어 변속레버(6)가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지렛대(12)의 한쪽 끝부분을 상승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하강하게 된다.
탄성부재(14,16)는 상기 지렛대(12)의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탄성부재(14,16)로 이루어지고, 지렛대(12)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2탄성부재(14,16)는 그 중간측이 지렛대(12)의 끝부분이 연결되고, 한쪽 끝부분은 변속레버 케이스(2)의 내측벽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변속레버(6)와 지렛대(12)가 연결되는 부위의 아래쪽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 2탄성부재(14,16)와 지렛대(12)가 연결되는 연결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탄성부재(14,16)의 중간측에 장착홈(22)이 형성되고, 지렛대(12)의 끝부분에 지렛대(12)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홈(2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장착홈(22)과 지렛대의 장홈(24) 사이에는 고정핀(26)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부는 변속레버(6)가 셀렉트 조작을 할 때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이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핀(26)이 지렛대의 장홈(24)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변속레버(6)와 제1, 2탄성부재(14,16) 사이의 연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6)의 일측에 연결부재(28)가 장착되고, 이 연결부재(28)는 양쪽 측면에 변속레버(6)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 라인(3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라인(30)에는 탄성부재의 끝부분인 아이엔드부(32)가 삽입된다. 즉,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시 연결부재(28)도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데, 이때 탄성부재의 아이엔드부(32)가 연결부재의 가이드 라인(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을 보상한다.
지지부재(18)는 변속레버 케이스(2)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 끝부분이 직각을 꺽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지지부재의 상측면은 제1, 2탄성부재(14,16)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부재의 하측면과 접촉되어 제1, 2탄성부재(14,16)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이다.
변속레버(6)를 시프트 조작을 위해 도면에서 보아 좌측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조작하면, 변속레버(6)의 좌측에 위치된 지렛대(12)는 아래로 이동되고, 변속레버(6)의 우측에 위치되는 지렛대(12)는 위로 이동된다. 그러면, 좌측 지렛대에 연결되는 제1탄성부재(14)가 펴지면서 하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변속레버(6)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힘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된 지지부재(18)의 상측면에 제1탄성부재(14)의 하측면이 접촉되면서 제1탄성부재(14)가 일정범위 이상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와 반대로 변속레버를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밀면 제2탄성부재가 상기에서 설명한 제1탄성부재와 동일한 작용을 하여 변속레버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를 시프트 조작할 때 제1 및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변속레버를 변속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속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변속레버 케이스에 내장되고 변속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시 변속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조작력 저감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작력 저감기구는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변속레버가 시프트 조작되는 방향으로 중간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배가시켜 주도록 지렛대의 양쪽 끝부분에 중앙측이 각각 장착되고 그 양쪽 끝부분은 변속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변속레버의 일측 사이에 연결되는 제1, 2탄성부재와; 상기 제1, 2탄성부재의 하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변속레버 케이스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탄성부재는 상기 지렛대의 상하 이동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탄성부재와 지렛대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제1, 2탄성부재의 중간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렛대의 끝부분에 지렛대의 직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장착홈과 지렛대의 장홈 사이에 고정핀이 장착되어 상기 고정핀이 장홈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탄성부재와 변속레버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변속레버의 일측에 연결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양쪽 측면에 변속레버의 전후방향으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에는 탄성부재의 끝부분인 아이엔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라인을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19990062239A 1999-12-24 1999-12-24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34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239A KR100348569B1 (ko) 1999-12-24 1999-12-24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239A KR100348569B1 (ko) 1999-12-24 1999-12-24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106A KR20010064106A (ko) 2001-07-09
KR100348569B1 true KR100348569B1 (ko) 2002-08-10

Family

ID=1962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239A KR100348569B1 (ko) 1999-12-24 1999-12-24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5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995A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변속기의 셀렉트 레버 중립 선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995A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변속기의 셀렉트 레버 중립 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106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569B1 (ko)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2529373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309353B1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100461823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348568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의 위치 결정기구
JP6653975B2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368649B1 (ko) 직접 조작식 변속조작기구의 진동저감장치
CN212338135U (zh) 双顶针自动换挡器总成及车辆
KR101902417B1 (ko)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053346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0410475B1 (ko) 변속레버 어셈블리
KR200188454Y1 (ko) 기어변속레버의 작동소음 저감장치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960003196Y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포지셔너
KR10021316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레버 변속감 구조
KR100526874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200162152Y1 (ko) 변속 레버의 소음 저감형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KR100283322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00259636B1 (ko) 변속기의셀렉트레버중립선정구조
KR200142571Y1 (ko) 오토 트랜스밋션 레버
KR10042766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461811B1 (ko) 시프트 레일 디텐트 장치
KR19980036590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고정 구조
KR200236367Y1 (ko) 접이식변속레버
KR100211399B1 (ko)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