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399B1 -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399B1
KR100211399B1 KR1019950046349A KR19950046349A KR100211399B1 KR 100211399 B1 KR100211399 B1 KR 100211399B1 KR 1019950046349 A KR1019950046349 A KR 1019950046349A KR 19950046349 A KR19950046349 A KR 19950046349A KR 100211399 B1 KR100211399 B1 KR 10021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gear shift
manual transmission
shifting
transmis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860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399B1/ko
Publication of KR97003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를 조작할 때 발생하는 걸림감, 조작력 과대, 절도감 부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브라켓트에 쉬프팅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기어 쉬프트 레버를 보유하는 수동변속차량에 있어서, 상기한 기어 쉬프트 레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노브와, 이 노브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전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자석편과, 상기한 자석편이 쉬프팅 시 전자석이 될 수 있도록 기어 쉬프트레버의 쉬프팅 방향에 마련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한 자석편으로 전류가 흐를 때 자력에 의해 쉬프팅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한 공간부에 현수되는 질량추를 포함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러 쉬프트 레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제1도는 종래의 기어 쉬프트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쉬프트 레버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기어 쉬프트 레버의 주요부 측단면도.
제4도는 기어 쉬프트 레버를 조작할 때 필요한 조작력과 스트로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브라켓트 24 : 쉬프트 레버
26,28 : 고정편 30,32 : 탄성편
38 : 쉬프트 레버 노브 40 : 공간부
42,44 : 자석편 46 :질량추
48 : 가이드
본 발명은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력을 가볍게 하며,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어 쉬프트 레버에 관한 것이다.
수동 변속차량은 기어 쉬프팅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운전석에 쉬프트 레버를 설치하여 이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싱크로나이저의 동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수동 변속차량에 설치되는 기어 쉬프트 레버를 나타내고 있다.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트(2)에는 쉬프트를 위한 힌지핀(4)이 설치되어 기어 쉬프트 레버(6)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어 쉬프트 레버(6)의 상단부 위에는 운전자가 기어 쉬프팅을 할 때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레탄 재질의 노브(8)를 고정하고 있으며, 이 쉬프트 레버가 전후로 이동시 스트로크를 제한 하기 위한 스톱퍼(10)가 상기한 브라켓트(2)에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어 쉬프트 레버는 셀렉트시 리턴 스프링의 작용으로 레버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으나 절도감을 좋게하고 변속감을 향상시킬수 있는 수단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이러한 구조의 쉬프트 레버는 쉬프팅을 행할 때 운전자의 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작력을 강하게 해야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도감을 향상시키며, 조작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수동 변속차량의 쉬프트 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브라켓트에 쉬프팅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기어 쉬프트 레버를 보유하는 수동 변속차량에 있어서, 상기한 기어 쉬프트 레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쉬프트 레버 노브와, 이 쉬프트 레버 노브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 전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자석편과, 상기한 자석편이 쉬프팅시 전자석이 될 수 있도록 기어 쉬프트 레버의 쉬프팅 방향에 마련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한 자석편으로 전류가 흐를 때 자력에 의해 쉬프팅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한 공간부에 현수되는 질량추를 포함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를 제공한다.
상기한 공간부에는 질량추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설치되는 수동 변속차량이 기어 쉬프트 레버를 제공한다.
상기한 자석편은 원주 방향으로 굽혀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쉬프트 레버의 측단면도로서, 브라켓트(20)에 힌지핀(22)을 통하여 쉬프트 레버(24)는 전후로 요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상의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브라켓트(20)에서 전후로 요동하는 쉬프트 레버(24)의 요동범위 내에 스위칭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이 스위칭 수단은 쉬프트 레버(24)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켓트(20)의 전후 내측면에 배터리(미도시)의 양극단자와 연결되는 고정편(26)(28)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고정편들과 선택적으로 접촉이 될 수 있도록 탄성편(30)(32)을 약간 띄운 상태로 브라켓트의 상부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위칭 수단이 온 상태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선(34)(36)을 탄성편과 연결하여 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쉬프트 레버 노브(38) 내로 매립시키고 있다.
상기한 배선(34)(36)은 쉬프트 레버 노브(38)의 전후 방향으로 각각 공간부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 자석편이 위치하는 공간부 중앙에는 질량추(46)가 현수되어 있으며, 자석편은 각각의 변속단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에서 원주 방향이란 자석편의 형상이 원주와 같은 곡률로 라운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질량추(46)는 전후만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40)의 좌우에 가이드(48)를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어 쉬프트 레버는 도면에서 좌측방향이 전진 1,3,5단측을 쉬프팅하는 방향이고, 도면에서 우측방향이 전진 2,4단 및 후진을 쉬프팅하는 방향이다.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기어 쉬프팅을 하게 되면 전진 1단의 경우 기어 쉬프트 레버(24)가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변속이 이루어지지 직정에 스위칭 수단의 고정편(26)과 탄성편(30)이 접촉을 하면서 배선을 통하여 자석편(42)측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므로 이 자석편은 스위칭 수단이 온되어 있는 동안에 전자석이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쉬프트 레버 노브(38) 의 공간부(40)에 현수된 질량추(46)는 자력에 의하여 자석편(42)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가함과 동시에 이 자석편에 흡착된다.
따라서 제4도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듯이, B점에서 자석편이 전자석이 되면 이 시점에서 동기되려는 관성이 작용하면서 질량추(46)가 자중에 의하여 변속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즉, 쉬프트 레버의 조작방향의 좌우 양측에 전자석을 설치하므로서 좌우 어느 일측으로 진행도중에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쉬프트 레버의 진행속도가 빨라져 결과적으로 조작려과 절도감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서 쉬프팅되는 각도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절도감이 향상된다.
곡선 D가 종래의 조작력과 스트로크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그 것은 곡선 Q가 된다.
그리고 스트로크가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질량추의 신속한 이동으로 인한 마찰 등의 감소로 C의 거리가 거의 0”으로 될 수 있는데 이것은 변속시 개운치 못한 조작감을 해소시켜 준다.
게다가 종래에는 A점에서 변속이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B점에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Ea-Eb 만큼의 조작력을 줄일 수 있으며, 질량추의 가압력으로 변속시 발생하던 걸림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각 변속단에서는 전자석이 계속 작동종이므로, 정속주행 또는 험로주행시 싱크로나이저의 점진적인 이동으로 기어의 빠짐이 발생할 수 있는 기어 점프 아웃(gear jump out)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변속단에서 중립위치로 할 경우에도 전자석 작동의 영향으로 조작시와 같은 매끈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브라켓트에 쉬프팅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기어 쉬프트 레버를 보유하는 수동 변속차량에 있어서, 상기 기어 쉬프트레버(24)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쉬프트 레버 노브(38); 상기 쉬프트 레버 노브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딘 자석편(42,44); 상기 쉬프트 레버의 쉬프팅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편에 흐르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쉬프트 레버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편(42,44)이 자화되면 저석편의 자력에 의해 쉬프팅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질량추(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버(24)의 공간부에는 질량추(46)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4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편(42,44)은 상기 질량추(46)의 운동방향에 설치되어, 질량추(46)에 대향된는 구조이고, 일측단은 상기 스위치 수단과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일측단과 반대되는 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일측단이 전원과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자석편(42,44)과 연결되어 쉬프트 레버(24)의 쉬프팅 동작시 쉬프트 레버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추(46)는 쉬프트 레버 노브(38)의 공간부에 현수되어 쉬프트 레버(24)의 쉬프팅 동작시 상기 자석편(42,44)에 충격을 가하면서 흡착되어 쉬프트 레버의 에퍼트(EFFORT)를 저감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KR1019950046349A 1995-12-04 1995-12-04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KR10021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349A KR100211399B1 (ko) 1995-12-04 1995-12-04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349A KR100211399B1 (ko) 1995-12-04 1995-12-04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860A KR970035860A (ko) 1997-07-22
KR100211399B1 true KR100211399B1 (ko) 1999-08-02

Family

ID=1943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349A KR100211399B1 (ko) 1995-12-04 1995-12-04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86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059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100380064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970059540A (ko)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JPH07144554A (ja) ハンドルに操作装置を備えた自動車
JPH09118145A (ja) 自動車のシフタ−
KR20010045504A (ko)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유닛용 슬라이더
KR100211399B1 (ko) 수동 변속차량의 기어 쉬프트 레버
KR101459957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US6272944B1 (en) Shift lever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JPH0448355Y2 (ko)
JP2002362179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534873B1 (ko) 변속 케이블 어셈블리
JP2524953B2 (ja) シフトレバ―装置
JP3400182B2 (ja) 車両用変速装置
CN212338135U (zh) 双顶针自动换挡器总成及车辆
KR100512425B1 (ko) 수동모드 겸용 자동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345121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0412853B1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KR100270051B1 (ko) 수동 변속기의 백업 램프 스위치 구조
JP2938137B2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操作構造
KR100360652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JPH11291784A (ja) コラムシフト装置
JP2001171385A (ja) 作業車の走行変速操作装置
KR20010066665A (ko)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JPH09263152A (ja) 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