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67Y1 - 접이식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접이식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367Y1
KR200236367Y1 KR2019980027107U KR19980027107U KR200236367Y1 KR 200236367 Y1 KR200236367 Y1 KR 200236367Y1 KR 2019980027107 U KR2019980027107 U KR 2019980027107U KR 19980027107 U KR19980027107 U KR 19980027107U KR 200236367 Y1 KR200236367 Y1 KR 200236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shift lever
fold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842U (ko
Inventor
신재영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27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3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367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 조작을 위해 운전석에 설치되는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레버의 중간 부분을 일측 방향으로 꺾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 레버와, 상기 하부 레버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하부 레버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레버와, 상기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의 힌지 결합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부 레버가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부 레버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접이 조작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변속 레버
본 고안은 변속 조작을 위해 운전석에 설치되는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레버의 중간 부분을 일측 방향으로 꺾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속기는 엔진과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고 수동식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 등이 있는 데, 상기 수동식 변속기에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변속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 레버는 변속 기어 박스의 쉬프트 포크에 연결되어 변속기 내부의 기어를 이동시켜 변속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속 레버는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고, 차체 바닥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높이도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변속 레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내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 기어 박스(1)와, 상기 변속 기어 박스(1)의 상측에 연결되고 긴 봉으로 형성되어 전후 좌우로 회동되는 레버부(2)와, 상기 레버부(2) 상단에 운전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노브(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설치된 종래 기술의 변속 레버는 운전자가 조작력에 따라 변속 기어 박스(1)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2)가 전후 좌우로 회동되면서 변속단을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변속 레버는 그 레버부(2)가 긴 봉형으로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서 다른 쪽으로 사람이 이동하거나 기타 내부 공간을 확보할 때는 장해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변속 레버는 대형 버스의 경우 운전자의 출입 통로 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출입이 상당히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레버를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출입 및 공간 활용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접이식 변속 레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이식 변속 레버는, 하부 레버와, 상기 하부 레버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하부 레버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레버와, 상기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의 힌지 결합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부 레버가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부 레버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접이 조작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변속 레버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 레버가 도시된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상세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 레버의 정상 작동시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 레버가 접혀진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상부 레버 51a : 스토퍼
53 : 핀 55 : 하부 레버
55a : 돌출부 55b : 홈
60 : 작동체 63 : 페달
65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변속 레버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버(51)와 하부 레버(55)가 핀(53)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부 레버(51)를 꺾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두 레버(51)(55)의 결합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작동체(60)가 설치되어, 이 작동체(60)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부 레버(51)를 차바닥(F) 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버(51)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그 하단부측에 상기 작동체(6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레버(55)는 상기 상부 레버(51)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 작동력을 기어 박스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단부 측면에는 상기 상부 레버(51)가 접어질 수 있도록 홈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부 레버(51)와 하부 레버(55)의 둘레에 끼워진 상기 작동체(60)는 하부 레버(55)의 돌출부(55a)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65)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측면에 페달(63)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페달(63)을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작동체(60)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페달(63)은 상기 작동체(60)의 측면에 힌지(63a)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할 때 수평 방향으로 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체(60)의 내부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60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레버(55)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55c)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체(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토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변속 레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 레버 정상 작동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체(60)가 상부 레버(51)의 스토퍼(51a) 바로 밑까지 올라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레버(51)가 상기 작동체(60)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하부 레버(55)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상부 레버(51)를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력이 그대로 하부 레버(55)에 전달되면서 기어 변속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레버(51)를 접기 위해서는 작동체(60)의 측면에 붙어 있는 페달(63)을 수평 방향으로 편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작동체(6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핀(53)을 중심으로 상부 레버(51)를 꺾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부 레버(51)를 접어놓은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공간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접이식 변속 레버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출입이 편리해지고, 공간활용이 용이해지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하부 레버와; 상기 하부 레버로부터 접을 수 있도록 하부 레버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레버와; 상기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의 둘레에 위치되는 작동체와, 상기 하부 레버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부 레버가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부 레버를 접을수 있도록 하는 접이 조작 수단과; 상기 작동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체(6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변속 레버.
KR2019980027107U 1998-12-29 1998-12-29 접이식변속레버 KR200236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107U KR200236367Y1 (ko) 1998-12-29 1998-12-29 접이식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107U KR200236367Y1 (ko) 1998-12-29 1998-12-29 접이식변속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842U KR20000013842U (ko) 2000-07-15
KR200236367Y1 true KR200236367Y1 (ko) 2001-10-25

Family

ID=69506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107U KR200236367Y1 (ko) 1998-12-29 1998-12-29 접이식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3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842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126A (en) Selector lever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US4630702A (en) Three-wheeled motor vehicle gear shift mechanism
KR200236367Y1 (ko) 접이식변속레버
US4991460A (en) Shift lever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870929A (en) Gear-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gearbox
JP2001315545A (ja) 手動変速機の誤操作防止機構
CN212338135U (zh) 双顶针自动换挡器总成及车辆
KR20020086788A (ko) 차량용 변속 레버
KR10041895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JPH0749132Y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ケーブル式遠隔操作装置
JP2000043600A (ja) シフトレバー
KR200227357Y1 (ko) 변속 레버
KR20100022349A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
KR100370833B1 (ko) 트럭의 캡 조정 구조
KR10049478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매뉴얼모드 판단장치
KR100287679B1 (ko) 접이식 변속레버 및 그 작동 시스템
KR0118162Y1 (ko) 자동 변속기 레버의 꺽음장치
JPH0412272Y2 (ko)
KR200152688Y1 (ko) 수동변속기의 접이식 레버
KR950004927Y1 (ko) 변속레버의 절첩장치
KR100348569B1 (ko)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JPS6216100Y2 (ko)
KR19990000201U (ko) 접이식 기어변속 레버
JPS638976Y2 (ko)
KR200156040Y1 (ko) 차량의 접을 수 있는 시프트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