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043B1 -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043B1
KR100348043B1 KR1019990058237A KR19990058237A KR100348043B1 KR 100348043 B1 KR100348043 B1 KR 100348043B1 KR 1019990058237 A KR1019990058237 A KR 1019990058237A KR 19990058237 A KR19990058237 A KR 19990058237A KR 100348043 B1 KR100348043 B1 KR 10034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inge bracket
torsion ba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670A (ko
Inventor
주수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043B1/ko
Priority to JP2000300025A priority patent/JP2001173307A/ja
Priority to AU65437/00A priority patent/AU6543700A/en
Priority to DE10051711A priority patent/DE10051711A1/de
Publication of KR2001005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42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being a cam and a torsion bar, e.g. motor vehicle hing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에 고정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힌지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도어에 고정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구비한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에 반작용 회전력을 주도록 상기 제1힌지 브라켓에 결합된 토션 바와, 상기 제2힌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션 바에 작용력을 주도록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구비된 굴곡면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도어 체커가 없더라도 도어를 소정의 각도로 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apparatus used both as door checker and 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힌지 장치는 차체(몸체)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2) 및 도어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4)이 핀(6)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이러한 도어 힌지 장치는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를 지지하는 역활만을 하게 된다.
그런데, 자동차의 도어는 일정각도에서 하프 오픈(half open) 및 풀 오픈(full open)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도어 힌지 장치는 도어를 지지하는 역활만을 하게 되므로, 하프 오픈(half open) 및 풀 오픈(full open)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도어 체커(door checker)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를 별도로 부착하는 구조는, 도어 체커의 열림 궤적과 도어 힌지의 열림 궤적의 조립 오차 및 핀 자체의 오차로 인해, 자동차를 장기간 사용할 시에 도어 판넬의 처짐이 생기면, 도어 판넬이 도어 체커 상면에 간섭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를 개폐할 시에 소음이 생길 뿐만 아니라 도어 체커 상면이 심하게 마모되는 등 도어의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힌지가 도어 체커의 역활을 동시에 하게 하여 부품의 모듈화를 이루고 제조비를 줄이며 도어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이는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도어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힌지 브라켓 14 : 제2힌지 브라켓
16 : 힌지축 18 : 토션바
20 : 굴곡면부 32 : 걸림턱
42 : 로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힌지 장치는 몸체에 고정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힌지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도어에 고정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구비한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반작용 회전력을 주도록 상기 제1힌지 브라켓에 결합된 토션 바와, 상기 제2힌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션 바에 작용력을 주도록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구비된 굴곡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곡면부가 힘을 가하는 토션 바의 자유단에는 로울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굴곡면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는 상기 제1힌지 브라켓을 외측으로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토션 바의 중간부는 상기 제1힌지 브라켓의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는, 제1힌지 브라켓(12)이 몸체(차체)에 고정되고, 제2힌지 브라켓(14)이 힌지축(16)에 의해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제2힌지 브라켓(14)에 반작용 회전력을 주도록 토션 바(18)가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에 결합되며, 상기 제2힌지 브라켓(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션 바(18)에 작용력을 주도록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굴곡면부(20)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은 볼트에 의해 자동차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부(22)(22')와, 상기 토션바(18)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도록 고정 플랜지부(22)(22')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후측판부(26)에서 서로 이어진 수직 플랜지부(28)(2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 플랜지부(28)(28')의 상단부에는 상기 힌지축(16)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측판부(26)의 하단에는 상기 토션 바(18)의 중간부가 걸리도록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2)의 단부는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션 바(18)가 하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부려져 있다. 이때 걸림턱(32)의 단부의 내측에 상기 토션 바(18)를 밀착 시킨 후, 프레스 압착하여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힌지 브라켓(14)은 볼트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부(34)(34')와, 상기 고정 플랜지부(34)(34')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측에서 연결대(36)에 의해 서로 이어진 수직 플랜지부(38)(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힌지 브라켓(14)의 수직 플랜지부(28)(28')와 상기 제2힌지 브라켓의 수직 플랜지부(38)(40)은 상기 힌지축(16)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굴곡면부(20)는, 수직 플랜지부(38)의 단부면에 상기 힌지축(16)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잇빨과 유사하게 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18)는 일측이 트인 장공 형상의 고리와 유사하게 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18)는, 그 일단은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의 수직 플랜지부(28')에 끼워져 고정되고, 후측판부(26)를 향하여 제1힌지 브라켓(12)을 감싸서, 그 중간부는 상기 걸림턱(32)에 걸리고, 그 타단은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의 수직 플랜지부(28)의 외면측에 근접하고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18)의 타단(자유단)에는 상기 굴곡면부(20)가 접촉하도록 로울러(42)가 외삽되어 있다.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션 바(18)의 일단을 상기 제1힌지 브라켓(12)의 수직 플랜지부(28')의 구멍에 끼운 후,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방향으로 토션 바(18)를 밀어 타단(자유단)에 상기 로울러(42)을 끼운 다음, 토션 바(18)의 위치를 적절히 맞추어 로울러(42)를 고정하는 한편, 토션 바(18)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단으로 한다. 상기 로울러(42)는 핀에 의해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션 바(18)의 중간부는 상기 걸림턱(32)에 걸리게 한 후, 걸림턱(32)의 단부를 구부려 토션 바가 처짐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힌지 브라켓(14)을 힌지축(16)으로 힌지 결합한다. 이때, 상기 굴곡면부(20)가 상기 로울러(42)에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에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B)에 제1힌지 브라켓(12)가 고정되고 도어(D)에 제2힌지 브라켓(14)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D)를 열면, 제2힌지 브라켓(14)이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굴곡면부(20)의 골과 산은 로울러(42)의 외면에 접촉하면서 소정각도로 열리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굴곡면부(20)의 산이 로울러(42)에 접촉하면 토션 바(18)가 눌리게 되어 도어가 열리지만, 굴곡면부(20)의 골이 로울러(42)의 면에 대향하게 되면 토션 바(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울러(42)가 골에 약간 수용되므로, 더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도어(D)는 열린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하프 오픈(half open)하거나 풀 오픈(full open)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체커의 역활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가 주행중에 사람이 부주의하게 도어에 힘을 가하더라도 토션 바의 탄성에 의해 쉽게 도어가 열리지 않으므로, 안전운행에 도움이 된다.
또한, 도어를 개폐할 시에 굴곡면부의 산이 토션 바의 힘을 이기는 한계 힘만 가하면, 이후에는 굴곡면부의 골로 토션바가 수용되어 확실히 개폐되므로, 끝까지 도어를 밀고 당길 필요가 없다.
또한, 별도의 도어 체커가 불필요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제조비용이 적게든다.

Claims (3)

  1. 몸체에 고정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힌지 브라켓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도어에 고정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구비한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반작용 회전력을 주도록 상기 제1힌지브라켓에 결합된 토션 바와,
    상기 제2힌지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션 바에 작용력을 주도록 상기 제2힌지 브라켓에 구비된 굴곡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면부가 힘을 가하는 토션 바의 자유단에는 로울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굴곡면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는 상기 제1힌지 브라켓을 외측으로 감싸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토션바의 중간부는 상기 제1힌지 브라켓의 걸림턱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KR1019990058237A 1999-12-16 1999-12-16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KR10034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37A KR100348043B1 (ko) 1999-12-16 1999-12-16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JP2000300025A JP2001173307A (ja) 1999-12-16 2000-09-29 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装置
AU65437/00A AU6543700A (en) 1999-12-16 2000-10-11 apparatus used both as door checker and door hinge
DE10051711A DE10051711A1 (de) 1999-12-16 2000-10-18 Türgelenk mit einem Türsteller für ein Kraft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237A KR100348043B1 (ko) 1999-12-16 1999-12-16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670A KR20010056670A (ko) 2001-07-04
KR100348043B1 true KR100348043B1 (ko) 2002-08-09

Family

ID=1962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237A KR100348043B1 (ko) 1999-12-16 1999-12-16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173307A (ko)
KR (1) KR100348043B1 (ko)
AU (1) AU6543700A (ko)
DE (1) DE10051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44A (ko) * 2003-05-24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568A (ko) * 2001-06-25 200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KR20030022923A (ko) * 2001-09-11 2003-03-19 일진산업주식회사 차량용 힌지
KR100448063B1 (ko) * 2002-05-21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KR20040029787A (ko) * 2002-10-02 200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DE10346809B4 (de) * 2003-10-06 2005-12-15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Türscharnier
JP5606724B2 (ja) * 2009-11-24 2014-10-15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装置
KR101438639B1 (ko) * 2013-07-09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기의 도어 정위치 장치
CN106073216B (zh) * 2016-08-21 2019-02-01 江西远洋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摇手隐藏式双驱动密集架
CN106073205B (zh) * 2016-08-21 2019-02-15 江西远洋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全隐藏式铰接装置及其密集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44A (ko) * 2003-05-24 2004-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3307A (ja) 2001-06-26
KR20010056670A (ko) 2001-07-04
AU6543700A (en) 2001-06-21
DE10051711A1 (de)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043B1 (ko)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장치
JP3585873B2 (ja) ドアチェッカのチェックプレート軸支構造
JP2002533252A (ja) 車両ドア支柱ボタン
JPS62164977A (ja)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CA2213147A1 (en) Door panel mating assembly
US8109848B2 (en) Pivotal connection of a bicycle derailleur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JP2978129B2 (ja) 2軸型裏蝶番
JP4331860B2 (ja) 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
JPH0941768A (ja) スウィング窓の開放固定装置
JPH0311335Y2 (ko)
KR20020093233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조립체
JP3961928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ヒンジ構造
KR10052192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스톱퍼 플레이트 및 캡 스톱퍼의조립구조
JP2002263322A (ja) 遊戯機扉のヒンジ機構
JP2534715Y2 (ja) ヒンジ装置
KR100901289B1 (ko) 자동차 트렁크의 토션바 조립구조
KR20050045391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JP3251139B2 (ja) リッドの開閉装置
JP2001027073A (ja) 復帰付勢型ヒンジ
KR20020075030A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KR20020082354A (ko) 자동차 도어의 힌지 조립체
KR0118551Y1 (ko) 도어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JPH0397298A (ja) カバー構造
KR20030086631A (ko) 회전 슬라이드 방식의 연료필러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