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439B1 -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439B1
KR100346439B1 KR1019990053510A KR19990053510A KR100346439B1 KR 100346439 B1 KR100346439 B1 KR 100346439B1 KR 1019990053510 A KR1019990053510 A KR 1019990053510A KR 19990053510 A KR19990053510 A KR 19990053510A KR 100346439 B1 KR100346439 B1 KR 10034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mbination
headlight
combination lamp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711A (ko
Inventor
권태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4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60Q1/2626Screw-nut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라이트 본체와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의 경계부의 일정 간격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어서, 외관 이미지가 향상되며,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도 또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자동차 헤드라이트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는 야간에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 본체; 헤드라이트 본체의 귀퉁이에서 엘(L) 형상을 하여 부착되며 차체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 구멍이 존재하는 헤드라이트 브라켓; 헤드라이트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며 또한 자동차의 측면 전방에 부착되어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상부에는 나사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 1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측면 차체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일측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헤드램프 본체 쪽으로 사각의 돌출부가 있는 리브를 포함한다. 조립시 돌출부가 있는 리브가 헤드램프 확장부의 구멍에 결합되므로 간격이 유지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structure for coupling a head light and a front combination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라이트 취부면에 플랜지를 이용하여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를 헤드라이트에 같이 결합하여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디 전면부는 외관에서 보면 야간시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헤드라이트와 진행 방향을 다른 자동차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및 라지에이터 그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헤드라이트는 자동차 전면부의 양쪽에 배열되며,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는 헤드라이트 양옆에 전면부와 측면부를 걸쳐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로 자동차에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 본체(10)는 가운데 볼트 구멍이 있어서, 차체에 볼트 이음이 가능하도록 4개의 헤드라이트브라켓(11)로 구성되어 있다. 또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는 상부에 나사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별도의 제 1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1), 일측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에 연결되며 타측은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라이트 본체(10)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의 차체 부착 단면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 본체(10)가 차체에 체결되어 있고, 옆으로는 전면과 측면부에 걸쳐서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가 부착된다. 그리고 헤드라이트 본체(10)과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의 경계에는 소정의 간극(A)이 존재하게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본체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본체 결합 구조에서는, 헤드라이트 본체(10)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의 경계에 소정의 간극(A)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결합구조가 없으므로, 시간이 지나거나, 작은 충격에도 틈새를 유지할 수 없어서 틈새가 벌어져 외관 이미지도 떨어 졌고, 또한 작은 충격에도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0)가 이탈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트 본체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의 경계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결합하여, 외관 이미지 향상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개략적인 확대 결합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10 : 헤드라이트 20, 220: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11, 211 : 헤드라이트브라켓 22: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브라켓
212: 확장부 213: 구멍
223: 리브 224: 돌출부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는
야간에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 본체; 헤드라이트 본체의 귀퉁이에서 엘(L) 형상을 하여 부착되며 차체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 구멍이 존재하는 헤드라이트 브라켓; 헤드라이트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며 또한 자동차의 측면 전방에 부착되어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상부에는 나사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 1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측면 차체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일측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헤드램프 본체 쪽에 사각의 돌출부가 있는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라이트브라켓 중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쪽에 부착되는 헤드라이트브라켓은 확장부를 가지며, 상기 확장부에는 사각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결합 구조(200)는, 야간에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사각형 헤드라이트 본체(210); 사각형 헤드라이트 본체(210)의 사각 귀퉁이에서 엘(L) 형상을 하여 부착되며 차체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 구멍이 존재하는 헤드라이트브라켓(211); 자동차에서 헤드라이트 본체(210)의 측면에 부착되며 또한 자동차의 측면 전방에 부착되어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20);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220)에서 상부에는 나사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 1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21);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220)에서 측면 차체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일측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220)에 연결되며, 타측은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22);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220)에서 헤드램프 본체(210) 쪽에 하나의 사각의 돌출부(224)가 있는 리브(rib; 223)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라이트브라켓(211) 중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21) 쪽에 부착되는 헤드라이트브라켓(211)은 확장부(212)를 가지며, 확장부(212)에는 하나의 사각의 구멍(213)이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사각의 구멍(213)은 상술한 리브(223)에 형성된 사각의 돌출부(224)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므로써 양자가 결합될 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200)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헤드라이트 본체(210)는 각 사각 귀퉁이의 헤드라이트 브라켓(211)를 통해 차체에 결합된다. 그리고 헤드 라이트 본체(210)과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220)은 동시에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220)에서 헤드램프 본체(210) 쪽의 리브(223)의 사각의 돌출부(224)가 헤드라이트브라켓(211) 중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221) 쪽에 부착되는 헤드라이트브라켓(211)은 확장부(212)의 확장부(212)에는 사각의 구멍(213)에 바람직하게 삽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돠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200)에서는, 헤드 라이트 본체(210)과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220) 사이에서 헤드 라이트 브라켓(211)에 확장부(212) 내의 사각 구멍(213) 내에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본체(220)의 리브(223)의 사각의 돌출부(224)가 삽입되는 구조 이므로, 헤드 라이트 본체(210)와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220)의 경계부의 일정 간격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2)

  1. 야간에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헤드라이트 본체;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의 귀퉁이에서 엘(L) 형상을 하여 부착되며 차체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 구멍이 존재하는 헤드라이트 브라켓;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의 측면에 부착되며 또한 자동차의 측면 전방에 부착되어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
    상기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상부에는 나사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 1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상기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측면 차체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일측은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 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제 2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상기 프런트 컴비네이션램프본체에서 헤드램프 본체 쪽에 하나의 사각의 돌출부가 있는 리브; 및
    상기 헤드라이트브라켓 중 상기 프런트 컴비네이션브라켓 쪽에 부착되는 상기 헤드라이트브라켓에 형성되며, 하나의 사각의 구멍을 갖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의 사각의 돌출부가 상기 헤드라이트브라켓의 확장부에 형성된 상기 사각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2. 삭제
KR1019990053510A 1999-11-29 1999-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KR10034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10A KR100346439B1 (ko) 1999-11-29 1999-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510A KR100346439B1 (ko) 1999-11-29 1999-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11A KR20010048711A (ko) 2001-06-15
KR100346439B1 true KR100346439B1 (ko) 2002-08-01

Family

ID=1962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510A KR100346439B1 (ko) 1999-11-29 1999-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4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010U (ko) * 1995-03-11 1996-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010U (ko) * 1995-03-11 1996-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방 컴비네이션램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711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824A (en) Vehicular clearance lamp having improved lateral illumination
US6238072B1 (en) Vehicle lamp
KR100346439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및 프런트 컴비네이션 램프 결합 구조
KR100411143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완충구조
JPH11238403A (ja) 車輌用灯具
JPH11203912A (ja) 車輌用灯具
KR0143249B1 (ko) 자동차용 프론트범퍼의 포그램프
KR102674515B1 (ko) 투광등이 내장된 일체형 신호등
KR970005195Y1 (ko) 차량의 안개등
JP4120005B2 (ja) ランプの防曇構造
US6588921B2 (en) Reflector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19980047270U (ko) 자동차 헤드 램프용 스페이서 장착 구조
KR0126418Y1 (ko) 자동차의 포그 램프 취부 구조
KR0135364Y1 (ko) 에어 튜브식 헤드램프 고정장치
KR200145748Y1 (ko) 차량용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조립체의 램프 하우징
KR0121961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마크 램프
KR19980047041U (ko) 자동차용 그릴의 단차접합구조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JPH11213707A (ja) 車輌用灯具
KR19980040095U (ko)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 램프의 결합구조
KR19980046800U (ko) 자동차의 램프
KR19980045759U (ko) 헤드램프 장착구조
KR19980027753U (ko) 차량용 헤드램프 몰딩부의 패드 결합구조
KR19990003065U (ko) 자동차의 차폭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