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258B1 - 내용융아연합금강 - Google Patents

내용융아연합금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258B1
KR100346258B1 KR1019950002943A KR19950002943A KR100346258B1 KR 100346258 B1 KR100346258 B1 KR 100346258B1 KR 1019950002943 A KR1019950002943 A KR 1019950002943A KR 19950002943 A KR19950002943 A KR 19950002943A KR 100346258 B1 KR100346258 B1 KR 10034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steel
less
corrosion
corrosion resistance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682A (ko
Inventor
한다다쿠오
나카지마도모히꼬
아리카타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닛본츄우조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츄우조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츄우조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258B1/ko

Links

Landscapes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설비용 부재, 부품 예컨데 싱크로울 등의 소재이면서 용용아연에 대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는 재료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C : 0.17 %(이하 모두 중량 %), Si : 0.3 ~ 2% Mn : 0.3 ~ 2 %, Ni : 10 ~ 20%, Cr : 20 ~ 35%, Mo : 0.5 ~ 5%, N : 0.4초과 ~ 0.75 % 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여기에 텅스텐(W) : 5 % 이하를 추가로 함유하며, 어느 것 이든 나머지 잔부를 실질적으로 Fe 성분이 되는 내용융아연합금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융아연합금강(耐溶融亞鉛合金鋼)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설비용 부품, 부재, 예컨데 싱크로울, 코팅로울, 로울프레임 (roll frame) 및 스나우트 등의 소재로 이용되는 합금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융아연에 대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는 내용융아연합금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강재를 용융아연도금할 때 사용되는 장치의 부품, 부재, 예컨데 싱크로울, 코팅로울, 로울프레임 및 스나우트 등은 SUS309S(SAE 30309S), SUS316(SAE 30316), SUS316L(SAE 30316L)등의 스텐레스강을 소재로 하여 이를 원심주조, 사형주조(砂型鑄造) 또는 단조하여 제조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강재 용융아연도금에 있어서는, 통상, Zn-0.2 wt.%Al 으로 이루어지는 용융아연욕(Zn浴)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년에 이르러, 아연도금층의 내식성을 보다 일층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융아연욕 중에 예를 들어 5 ~ 55 wt. % 알미늄 Al 및 기타 원소를 첨가하여, 용융아연 중의 Al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Al 첨가량을 많게 한 용융아연욕(Zn浴)을 사용하면, 용융아연도금설비용 부품, 부재에 대한 부식환경이 보다 엄격해지고, 종래의 스텐레스강 재료로는 부식감량이 많아서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용아연욕(Zn浴) 중의 Al 함유량이 많아지더라도 부식감량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설비용 부품을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Al 함유량이 많은 아연(Zn)에 의한 스텐레스강의 부식 메카니즘을 예의 연구한 결과, 특히 아연 중의 Al 이 스텐레스강의 Fe 와 반응하여 용융아연도금설비용 부품부재를 부식케 하는 것임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아연(Zn) 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알미늄(Al)의 스텐레스강의 Fe 에 대한 반응에 따른 부식 (腐蝕)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식환경을 조성하지 않으면서 Al 의 제거에도 효과적인 화학성분으로 질소(N)가 가장 적합한 것임을 첨부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실험연구결과 알게 되었으며, 이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질소(N)가 대략 0.2 wt.%이상, 특히 0.3 wt. % 초과 함유되면 Al 에 의한 부식발생량이 감소됨을 알게 된 것이다. 질소(N)는 강력한 오스테나이트형성 원소이고, 내식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합금강의 강도를 높여 준다.
질소(N)를 많이 고용(固溶)시키는 원소로는 크롬(Cr)을 들 수 있는데, 이 크롬(Cr)은 용융아연의 스텐레스강의 부식에 대하여 N 을 다량 고용시킬 뿐 아니라, Cr 자체가 스텐레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Cr 의 첨가는 바로 Al 에 의한 스텐레스강의 부식과 직접적으로, 크게 연결된다는 결론에 이르게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특허청구범위 1항 기재와 같이, 기본적으로 다음의 성분조성(이하 성분조성은 중량 wt.% 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용아연합금강이다. 즉,
C : 0.17% 이하, Si : 0.3 ~ 2%
Mn : 0.3 ~ 2% Ni : 10 ~ 20%
Cr : 20 ~ 35% Mo : 0.5 ~ 5%
N : 0.3초과 ~ 0.75%
를 함유하고 나머지 잔부가 실질적으로 철 Fe 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그 특허청구범위 2항 기재와 같이 다음의 성분조성(이하 성분조성은 중량 wt.% 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융아연합금강이다. 즉,
C : 0.17% 이하, Si : 0.3 ~ 2%
Mn : 0.3 ~ 2% Ni : 10 ~ 20%
Cr : 20 ~ 35% Mo : 0.5 ~ 5%
N : 0.3초과 ~ 0.75% W (텅스텐) : 5 %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 잔부가 실질적으로 철 Fe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상의 내용융아연합금강을 구성하는 성분범위의 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C 의 경우 0.17 % 이하로 하는데, C 는 합금의 강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원소로서, 0.17 % 를 초과하면 결정립계에 탄화물이 석출되어 내식성을 열화시키므로0.17 % 이하로 한 것이다.
Si 를 0.3 ~ 2 % 로 한 것은 Si 은 용제(溶製) 시에 탈산제로 첨가함과 아울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므로 0.3 % 이상 필요하나, 2% 를 넘으면 강의 연성 (延性)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범위를 0.3 ~ 2 % 로 잡았다.
Mn 을 0.3 ~ 2 % 로 한 것은 Mn 은 용제 시에 탈산 및 탈류제로 첨가함과 아울러, 오스테나이트(Austenite)조직의 형성에 기 여하는 원소여서 0.3 % 이상 필요하나, 2 % 를 초과하면 내식성을 열화시키므로 그 범위를 0.3 ~ 2 %로 잡은 것이다.
Ni 을 10 ~ 20 % 로 한 것은 Ni 은 형성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고,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나 10 % 미만으로는 거의 효과가 없고, 20 % 를 초과하여 첨가하여도 코스트 상승만 초래할 뿐, 개선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그 범위를 10 ~ 20 % 로 잡았다.
Cr 을 20 ~ 35 % 로 한 것은, Cr 은 본 발명 합금강을 오스테나이트 단상(單相)으로 만들어 주고 내식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인데, 여기에 질화페로크롬을 첨가하면, Cr 함유량을 높임과 동시에, 용융아연부식에 대하여 효과적인 N 을 다량 고용(圖溶)시켜주므로 크롬을 첨가한다. 그러나 20 % 미만으로 하면 효과가 거의 없고, 35 % 를 초과하면 연성이 떨어지므로 그 범위를 20 ~ 35 % 로 잡은 것이다.
몰리브덴(Mo)은 0.5 ~ 5 % 로 한 바, Mo 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나, 0.5 % 미만으로는 그 효과가 없고, 5 % 를 초과하면 합금강의 연성이 떨어지는 외에도 코스트 상승되므로 그 범위를 0.5 ~ 5 % 로 하였다. 경제적인 면에서 보면 0.5 % 이상 3.0 % 미만의 범위를 잡는 것이 좋다.
질소(N)를 0.3 ~ 0.75 % 로 잡은 것은 N 은 강력한 오스테나이트형성원소이고,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이며, 합금강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상의 합금강 중의 N 과 후술하는 시험방법에 따른 부식감량 두께(mm)와의 상관관계를 제 1 도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으로부터 N 이 0.1 % 를 초과하면 효과가 있으나 0.3 % 를 초과하면 부식량이 현저히 저하함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N 은 0.3 % 이하에서는 효과가 없고, 또한 페라이트가 일부 석출하여 용융아연에 따른 크랙 (割)이 발생하기 쉽게 되므로, 0.3% 초과로 하였고, 반대로, 0.75 % 를 넘으면 질화물의 석출이 현저하게 되어 연성 및 용집성이 떨어지고, 또한 제품의 건전성을 해치므로, 본 발명은 보다 확실한 효과범위인 0.4 % 초과 ~ 0.75 % 로 하였다. N 가 스텐레스강의 내용융아연부식성에 주는 영향의 메카니즘은 확실치 않으나, 내 부식성을 현저히 높이는 것은 명백하고 이를 부품, 부채표면에 AlN 을 생성케하여 더욱 내식성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텅스텐(W)을 5 % 이하로 한 것은, 텅스텐(W)은 고용강화작용에 의해 합금의 강도를 높이고, 특히 용융아연욕의 흐름이 있는 환경하에서의 내식성을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며, 5 % 를 초과하여도, 코스트에 걸맞는 효과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5 % 이하로 하였다.
P, S 등의 불순물은 통상 강에 포함되는 범위 (예컨데 0.040 % 이하)이면 좋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의 성질을 변경하지 않는 한, Cu, Ti, Nb, Ta,Zr, V, B 기타 미량원소를 포함하여도 별 문제 없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표 1 및 표 2 에서 나타난 성분상의 재료를 고주파유도용해로에 의해 용제한 후 주조하여 60 × 310 × 30(두께) mm 의 시험편 소재를 만들었다.
이어서, 상기 소재를 기계가공으로 50 × 300 × 20(두께) mm 의 시험편으로 가공하였다.
내식성 평가 방법으로서는 표 3 에서와 같이 600℃ 를 유지하면서 보열되어 있는 Zn-55 wt.% Al 욕에 상기 시험편을 336 시간 침지하고, 부식시험을 행한 뒤 시험편의 한쪽면의 두께 감량(減量) mm 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및 표 2 와같았다.
표 1 및 표 2 에서와 같이, 본 발명상의 같은 종래강 및 비교강보다도 부식감량이 적은 것임이 밝혀지고 있다. 시험번호 No. 1 ~ 12는 두께감량이 1.5 mm 이상으로 부식감량이 크다. 시험번호 No. 13 은 부식감량은 적으나, 재료의 연성이 낮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 예에서 텅스텐(W)을 포함한 재료는 텅스텐(W)을 포함하지 않은 재료보다도 부식감량이 적다.
또한, 상기 시험편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본 발명의 스텐레스강과 표충부에 부착하고 있는 아연과의 경계에는 많은 AlN 이 관찰되고, 용융아연에 의한 합금강의 부식을 억제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상의 내용용아연합금강은 용용아연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하고, 용융아연도금욕 중 Al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 더욱 적합한 용융아연도금설비의 부품, 부재 예컨데 싱크로울, 코핑로울, 로울프레임 및 스나우트등의 재료로서 알맞고 극히 공업적 가치가 높은 합금강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한다.
제 1 도는 부식감량(減量) 과 질소(N) 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

  1. 다음의 성분조성 (성분조성은 이하 중량 wt.% 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융아연합금강(耐溶融亞鉛合金鋼)
    주성분으로서
    C : 0.17% 이하,
    Si : 0.3 ~ 2%
    Mn : 0.3 ~ 2%
    Ni : 10 ~ 20%
    Cr : 20 ~ 35%
    Mo : 0.5 ~ 5%
    N : 0.4 초과 ~ 0 .75%
    를 함유하고 나머지 잔부가 실질적으로 철(Fe)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융아연 합금강
  2. 다음의 성분조성 (이하 성분조성은 중량 wt,% 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융아연합금강
    C : 0.17% 이하,
    Si : 0.3 ~ 2%
    Mn : 0.3 ~ 2%
    Ni : 10 ~ 20%
    Cr : 20 ~ 35%
    Mo : 0.5 ~ 5%
    N : 0.4 초과 ~ 0 .75%
    W : 5%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 잔부가 실질적으로 철(Fe)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내용융아연합금강
KR1019950002943A 1994-02-18 1995-02-16 내용융아연합금강 KR100346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3256 1994-02-18
JP4325694 1994-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82A KR950032682A (ko) 1995-12-22
KR100346258B1 true KR100346258B1 (ko) 2002-11-29

Family

ID=6653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943A KR100346258B1 (ko) 1994-02-18 1995-02-16 내용융아연합금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2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015A (ko) * 1987-06-18 1989-03-17 이반 밀러 레르너 표시장치
KR930009984B1 (ko) * 1985-09-05 1993-10-13 산트라드 리미티드 높은 내부식성과 양호한 구조적 안정성이 있는 고-질소함유 듀플렉스 스텐레스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984B1 (ko) * 1985-09-05 1993-10-13 산트라드 리미티드 높은 내부식성과 양호한 구조적 안정성이 있는 고-질소함유 듀플렉스 스텐레스강
KR890001015A (ko) * 1987-06-18 1989-03-17 이반 밀러 레르너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682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32741A (ja)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二相ステンレス鋼
JP2007284799A (ja) 耐食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4199404B2 (ja) 高耐食性めっき鋼板
EP1477582A3 (en) Rust-proofing steel sheet for fuel tank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HU221990B1 (hu) Ónt és bizmutot tartalmazó cinkötvözet és eljárás acél galvanizálására
JP3270498B2 (ja) 耐割れ性及び耐食性にすぐれる二相ステンレス鋼
US5783143A (en) Alloy steel resistant to molten zinc
KR100346258B1 (ko) 내용융아연합금강
JP3437668B2 (ja) 耐溶融亜鉛合金鋼
JPS61113749A (ja) 油井用高耐食性合金
JPH0317887B2 (ko)
JP4610272B2 (ja) 耐溶融金属脆化割れ性に優れたZn−Al−Mg合金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5255784A (ja) 耐食性に優れた油井用Ni基合金
JP3283833B2 (ja) 耐溶損性に優れた溶融Al−Znめっき浴槽用鋳鉄鋳物
JP3105533B2 (ja) 焼付硬化性および耐孔あき腐食性に優れた高加工用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6228711A (ja) 耐溶融亜鉛腐食性にすぐれる合金
JP2001271136A (ja) 耐高温酸化性に優れた溶融アルミニウム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0654B2 (ja) 耐溶融亜鉛合金浴用の耐食性合金鋼
JP2726597B2 (ja) 溶融亜鉛に対する腐食抵抗性にすぐれる合金
EP1325168A1 (en) Hot-dip galvanising alloy and process
JPS624859A (ja) 耐食性のよい亜鉛合金めつき鋼線
JPS6247460A (ja) 溶融亜鉛めつき設備用部品材料
JPH06346207A (ja) 溶融亜鉛めっき用耐食性複合ロール
JP3525014B2 (ja)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851651B2 (ja) 耐溶融亜鉛めっきわれ性に優れた高張力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