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12B1 -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12B1
KR100346012B1 KR1019997003578A KR19997003578A KR100346012B1 KR 100346012 B1 KR100346012 B1 KR 100346012B1 KR 1019997003578 A KR1019997003578 A KR 1019997003578A KR 19997003578 A KR19997003578 A KR 19997003578A KR 100346012 B1 KR100346012 B1 KR 10034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valve
drainage
drai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770A (ko
Inventor
위터알디르
쉴링안토니오죠지레이타오
다실바클라우디오카미로
프란시스코에두코레이아
마리노아투르로게리오몬테이로
Original Assignee
페트롤레오 브라질레이로 에스.에이. - 페트로브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트롤레오 브라질레이로 에스.에이. - 페트로브라스 filed Critical 페트롤레오 브라질레이로 에스.에이. - 페트로브라스
Publication of KR2000005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1Breaking emulsions with mov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102With liquid empty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loat Valv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생성물 저장을 위한 탱크 바닥에 침전된 바람직하지 못한 액체, 일반적으로 액상, 를 제거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목 몸체부 (31) 와 시트 (26) , 그리고 플러그 부분 (25) 을 갖춘 계면 부유물 (8) 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30) 를 이용한다. 이 계면 부유물 (8) 은 생성물 속으로 가라앉고 액상위로 부유하도록 고안되었다. 누적된 액상이 흘러나감에 따라 액상의 높이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플러그 부분 (25) 이 시트 (26) 위로 밀봉적으로 안착하여 배수 작용이 중단된다. 이 배수 시스템은 자동과 수동이 모두 가능하다. 자동의 경우에는 액상의 존재를 감지하고, 차단 밸브 (11) 의 열림 프로세서에 명령을 보내 누적된 액상을 배수하게 하는 센서 (12) 가 사용된다. 수동의 경우에는 작동자가 주기적으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포트 (28) 를 통해 저장 탱크 (1) 내부의 액상의 존재를 체크한다. 만약 액상이 누적되었다면, 작동자는 수동 차단 밸브 (29) 를 열어 모든 누적된 액상을 배수시킨다.

Description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SYSTEM FOR DRAINING A LIQUID STORAGE TANK}
저장 탱크는 석유 산업에 자주 사용되며, 작동 유니트의 기능에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원유나 중간 생성물 또는 최종 생성물의 저장을 위해 사용된다.
생성물이 탱크에 저장되어 있을 때, 그 곳에 불필요한 액체가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일반적으로 저장되는 생성물보다 대체로 무거운 액상이 탱크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탱크로부터 액상을 배수시키는 것을 지연시키면 많은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슬러지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생성물 저장용량에 손실이 생길 수 있다. 액상의 누적으로 인해 바닥이 부식될 수 있다. 저장 탱크를 청소하기 위해 혹은 손상된 탱크 바닥을 대체하기 위해 생산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 탱크 바닥의 부식을 막기 위해 금속판들을 덧칠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부식을 막기 위해 탱크바닥의 안쪽 부분에 희생양극의 설치가 필요할 수 있다.
저장 탱크의 바닥을 칠하기 이전에, 모래 분사기나 물 분사기로 부식층을 제거하고, 그런 다음 특별한 보호 페인트를 여러 번 덧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탱크를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여러날 동안 생산을 중단해야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페인팅 작업에는 꽤 많은 비용이 든다.GB-A-16000271 호에 경계면 레벨의 표시기로서 저장기의 바닥에 위치하는 계면 부유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기 내의 혼합물의 더 밀한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부유물이 그것의 아래에 모인 더 밀한 성분 때문에 떠오르면, 더 밀한 성분은 상기 부유물이 다시 내려앉아 배출구를 닫을 때까지 배출된다.
본 발명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탱크 바닥의 액상의 누적을 막을 수 있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의 채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액체 저장용 탱크의 바닥에 모이는 침전 액체, 특히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저장 탱크의 바닥에 모인 침전 액체를 배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액체 저장 탱크의 자동 배수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액체 저장 탱크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액체 저장 탱크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를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스템을 갖추고있는 액체 저장 탱크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첫 번째 형태는 배출돼서는 안돼는 덜 밀한 상의 아래에 있고 탱크 바닥에 누적된 더 밀한 상을 저장 탱크의 내부에서부터 제거하는 것을 촉진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으로 작동되고, 다음의 요소들, 즉;
a)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최하위 레벨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로서, 끝 부분에 시트가 형성된 오목 몸체부와, 덜 밀한 상 속으로 가라앉고 더 밀한 상위에 부유하여 더 밀한 상이 배수되는 동안에 와류의 형성을 막아주는 계면 부유물과, 이 계면 부유물에 의해 가동되는 시트 막음 수단과, 그리고 배수 장치 내부에서의 계면 부유물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지만 액체가 배수 장치를 통해 하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b) 상기 배수 장치의 시트를, 배출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 박스에 연결시키는 배수 라인;
c)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 박스로 흐르는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가진 차단 밸브;
d) 상기 배수 장치의 오목 몸체부를 상기 배수 박스에 연결시키는 압력 균등화 라인 (pressure-equalization line);
e) 상기 압력 균등화 라인에 설치되는 압력 균등화 밸브로서, 액추에이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막음 수단이 배수 장치의 시트에 안착한 후에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의 균등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밸브; 및
f) 배수 장치 레벨에서 약간 위쪽에서 저장 탱크의 측벽에 설치되는 센서로서, 더 밀한 상의 존재를 감지하고 명령신호를 액추에이터에 내보내 소정의 시간동안 차단 밸브를 열어, 배수 라인에 누적되어 있는 더 밀한 상을 배수 박스에 배수시키며, 차단 밸브를 닫은 소정의 시간후에는 명령신호를 액추에이터에 내보내 소정의 시간동안 압력-균등화 밸브를 열어,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을 균등화하여 상기 계면 부유물이 더 밀한 상위로 다시 부유되도록 하여 새로운 배수유동을 일으키는 기능을 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형태는 덜 밀한 상의 아래에 있는 탱크 바닥에 누적된 더 밀한 상을 저장 탱크의 내부에서부터 제거하는 것을 촉진하도록 되어있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수동으로 작동되고, 다음의 요소들, 즉;
a)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최하위 레벨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로서 끝부분에 시트가 형성된 오목 몸체부와, 덜 밀한 상 속으로 가라앉고 더 밀한 상위에 부유하여 더 밀한 상이 배수되는 동안에 와류의 형성을 방지하는 계면 부유물과, 이 계면 부유물에 의해 가동되는 시트 막음 수단과, 및 배수 장치 내부에서의 계면 부유물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액체가 배수 장치를 통해 하방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b) 상기 배수 장치의 시트를, 배출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 박스에 연결시키는 배수 라인;
c)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 박스로 흐르는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의 수동 차단 밸브;
d) 상기 배수 장치의 오목 몸체부를 상기 배수 박스에 연결시켜주는 압력 균등화 라인;
e) 압력 균등화 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막음 수단이 배수 장치의 시트에 안착한 후에 상기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의 균등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 2 의 수동 차단 밸브; 및
f) 탱크의 액체 레벨을 조사하기 위한 레벨게이지로서, 배수 장치 레벨에서 약간 위쪽에서 저장 탱크의 측벽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탱크내의 액체 높이를 측정하여 저장 탱크 바닥에 존재하는 액상을 감지토록 하고, 이에 따라 제 1 의 수동 차단 밸브를 수동으로 열어 배수 작용이 끝날 때까지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배수 작용이 끝나면 수동으로 밸브를 닫도록 하며, 그런 다음 제 2 의 수동 차단 밸브를 수동으로 열어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계면 부유물 상·하의 압력을 균등하게 하여, 상기 계면 부유물이 밀한 상의 위로 다시 부유되도록 하여 새로운 배수유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계면 부유물은 생성물 속으로 가라앉고 생성물의 아래쪽에 있는 더 밀한 상의 윗면으로 부유하도록 고안되었다. 더 밀한 상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모든 더 밀한 상이 배수되면서, 계면 부유물의 플러그 부분이 시트위로 안착되어 배수 작용이 정지된다.
이 배수 시스템은 수동과 자동이 모두 가능하다. 수동 버전에서는 작동자가 주기적으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포트를 통해 저장 탱크 내부의 (밀한)액상의 존재를 체크한다. 만약 밀한 액상이 누적되었다면, 작동자는 수동 차단 밸브를 열어 모든 누적된 (밀한)액상을 배출시킨다.
자동 버전에서는 (밀한)액상의 존재를 감지하고, 차단 밸브의 열림 프로세서에 명령을 보내 누적된 밀한 상을 배수되게 하는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배수 라인에, 생성물(덜 밀한 상)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감지하여 차단 밸브에 닫힘 명령을 보냄으로써 센서를 지나가는 생성물 감지에 반응하여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또 하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액체저장 탱크의 배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 시스템을 갖춘 저장 탱크 (1) 을 보여준다. 탱크 (1) 는 측벽 (6) , 기초 링 (5) , 부유 덮개 (2) , 및 중심이 가장자리보다 낮게 되어 있으며 배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드는 경사면 (4) 을 가진 바닥 (3) 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화수소계인 어떤 생성물도 저장 탱크 (1)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생성물 위에는 덮개 (2) 가 떠다니기 때문에 액면 상에 가연성 가스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은 탱크 바닥의 형상에 관계없이 임의의 타입의 액체 저장 탱크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타입의 탱크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경사면 (4) 의 최하위 부분에는 저장 탱크 (1) 의 기초 링 (5) 에 가능한 가깝게 배수 장치 (30) 가 설치된다; 이것은 액체의 침전물이 있을 수 있는 최하위 레벨이다.
배수 장치 (30) 는, 도 4 에서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원뿔대 또는 다면체일 수도 있는 오목 몸체부 (31) 를 포함한다. 오목 몸체부 (31) 의 내부에는, 바닥에 플러그 부분 (25) 을 갖춘 계면 부유물 (8) 이 있다. 오목 몸체부 (31) 의 위쪽에는, 계면 부유물 (8) 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수단으로서 기능 하는 가이드 (9) 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9) 는, 액체를 어려움 없이 배수 장치 (30) 의 내부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목 몸체부 (31) 의 바닥에는 계면 부유물 (8) 의 플러그 부분 (25) 에 의해 실링되도록 결합되는 시트 (26) 가 있다. 배수 장치 (30) 의 시트 (26) 에는 배수 라인 (10) 과 압력 균등화 라인 (23) 이 연결되어 있다. 도 1은 배수 라인 (10) 과 압력 균등화 라인 (23) 이 저장 탱크 (1) 의 기초 링 (5) 너머까지 연장되어 배수 박스 (13) 에서 종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배수 라인 (10) 에는, 액추에이터 (11A) 를 구비하고 통상의 경우 닫혀있는 차단 밸브 (11) 가 설치되어 있고, 압력 균등화 라인 (23) 에는 액추에이터 (24A) 를 구비하고 통상의 경우 닫혀있는 압력 균등화 밸브 (24) 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박스 (13) 의 바닥에는, 배출 라인 (22) 으로의 출구가 있으며, 이를 통해 배수된 액상이 방출된다. 배출 라인 (22) 과 격납 베이슨 (50) 간에 바람직하지 못한 소통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수 박스 (13) 의 높이가 저장 탱크 (1) 의 격납 베이슨 (50) 의 측벽의 유효 높이와 같거나 혹은 더 높은 것이 유리하다. 배수 박스 (13) 의 바닥에는 차단 밸브 (21) 를 가지는 배출 라인 (20) 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라인 (20) 은 격납 베이슨 (50) 의 벽의 모든 액상도 배수 박스 (13) 를 통해 흘러가게 해준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차단 밸브 (21) 를 열기만 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부분이 아닌 격납 베이슨 (50) 은 누수의 경우 탱크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지면상의 벽이나 오목한 곳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말한다. 도면에는 이의 일부분만이 도시된다.
저장 탱크 (1) 의 측벽 (6) 바닥에는 배수 장치 (30) 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게 센서 (1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는 액상의 존재를 감지하고 압력 균등화 밸브 (24) 의 액추에이터 (24A) 와 차단 밸브 (11) 의 액추에이터 (11A) 에 명령신호를 내보내는 기능을 하며, 이는 아래의 설명으로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의 작동은 아주 간단하다. 저장 탱크 (1) 는 통상 저장이 요구되는 생성물을 수용한다. 만약 어떤 액상의 침전물이 있다면, 이는 생성물보다 더 밀하기 때문에 저장 탱크 (1) 의 바닥에 쌓인다.
계면 부유물 (8) 은 그 액상 위로 부유하며 생성물 속으로 가라앉도록 구성된다. 배수 장치 (30) 는 저장 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주변에는 침전된 액상이 모이게 된다. 계면 부유물 (8) 이 액상 위로 부유한 때에는 배수 라인 (10) 으로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침전된 액상이 라인 (10) 을 통해 흘러나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배수된 액상은, 차단 밸브 (11) 가 닫혀있기 때문에, 배수 라인 (10) 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침전된 액상의 레벨이 액상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12) 에 이르게 될 때까지 올라가게 되어 액상의 존재가 감지되면, 센서 (12) 는 즉시 액추에이터 (11A) 에 신호를 보내 모든 액상이 배수 라인 (10) 의 내부로 흘러나가게 하기에 충분한 소정의 시간동안 차단 밸브 (11) 를 열어 두도록 명령을 내린다. 계면 부유물 (8) 이 존재함으로써 배수 장치 (30) 내부에서의 와류의 형성이 방지되므로, 흘려보내야 하는 액상이 여전히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생성물의 배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배수 장치 (30) 의 내부의 액상의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계면 부유물 (8) 도 역시 강하하여 그 플러그 부분 (25) 이 시트 (26) 에 접근한다. 모든 액상이 다 흘러나갔을 때, 그 플러그 부분 (25) 은 시트 (26) 위에 안착되어 흐름을 차단하고, 배수 라인 (10) 을 통한 생성물의 유출을 막아줌으로써 배수과정을 끝내게 된다. 따라서 차단 밸브 (11) 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소정의 시간은 끝나게 되고, 밸브는 다시 잠기게 된다.
배수 장치 (30) 주위로 좀 더 많은 액상이 모이자 마자 계면 부유물 (8) 은 부력으로 인해 다시 떠오르려는 경향을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계면 부유물 (8) 의 윗부분에 작용하는 생성물의 정수두 (static head) 의 작용 때문에 그러한 부유는 즉각적으로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계면 부유물 (8) 의 상·하 압력을 균등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압력균등화를 발생시키기 위해, 차단 밸브 (11) 가 닫혀있는 동안의 소정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센서 (12) 가 액추에이터 (24A) 에 신호를 보내 압력 균등화가 일어나기에 충분한 소정의 시간동안 압력 균등화 밸브 (24) 를 열어둘 것을 명령하며, 그 후 압력 균등화 밸브 (24) 는 다시 닫힌다. 이때 계면 부유물 (8) 은 그 액상 위로 다시 부유하게 되고, 새로운 배수 사이클이 시작된다.
도 2 는 액체 저장 탱크를 배수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변형예이다. 더 안전한 배수 작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배수 라인 (10) 에 센서 (17)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의 기능은 배수 장치 (30) 의 작동오류를 의미하는, 배수 라인 (10) 을 통한 생성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통과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센서 (17) 는 차단 밸브 (11) 를 즉시 닫게 하는 액추에이터 (11A) 에 명령 신호를 전달해서 배수 박스 (13) 로 흐르는 바람직하지 못한 생성물의 유동이 차단되게 한다. 센서 (17) 는 제어실에 설치된 원격 계기판에도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곳에 몇 가지 형태의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배수 문제를 책임지는 작동자에게 주의를 주어 작동자로 하여금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센서 (12) 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 센서 또는 용량 센서를 액체 레벨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형태의 센서를 센서 (17) 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도 센서나 용량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의 두 문단에서 언급한 센서 형태는 단지 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액체 저장 탱크를 위한 배수 시스템은 수동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12) 대신에 레벨 측정용의 액체 레벨 게이지 (28) 를, 상기 액추에이터식 차단 밸브 (11) 대신에 수동 차단 밸브 (29) 를,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 (24) 대신에 수동 차단 밸브 (27) 를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레벨 표시기에서 액상의 존재가 수동으로 주기적으로 체크되며 수동으로 작동된다. 만약 액상이 쌓이면, 탱크 바닥에 쌓여 있는 액상을 흘려보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수동 차단 밸브 (29) 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이로 인해 모든 액상이 배수 박스 (13) 로 흘러나갈 수 있다. 배수 장치 (30)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히 작동하여, 모든 누적된 액상의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배수 박스 (13) 로 흘려보낼 더 이상의 액상이 없다고 감지되였을 때는, 수동 차단 밸브 (29) 가 수동으로 폐쇄되며, 그런 다음에는 계면 부유물 (8) 의 상·하 압력을 균등화 하기 위해 수동 차단 밸브 (27) 가 소정의 시간동안 수동으로 개방되며, 부유물 (8) 이 다시 누적된 액상 위로 부유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새로운 배수 사이클이 시작된다.
플러그 (25) 는 계면 부유물 (8) 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유물이 외부 플러그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술한 기재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배수되서는 안되는 덜 밀한 상의 아래에 있으면서 탱크 바닥에 누적된 더 밀한 상을 저장 탱크의 내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촉진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탱크의 최하위 레벨에 설치되는 배수 장치로서, 끝부분에 시트가 형성된 오목 몸체부와, 덜 밀한 상 속으로 가라앉고 더 밀한 상위에 부유하여 더 밀한 상이 배수되는 동안에 와류의 형성을 방지하는 계면부유물과, 상기 계면 부유물에 의해 가동되어 시트를 막는 막음 수단과, 상기 배수 장치 내부에서의 상기 계면 부유물의 이동은 제한하지만 액체의 통과는 허용하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상기 배수 장치의 상기 시트를, 배출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 박스에 연결시키는 배수 라인;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 박스로 흐르는 액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 밸브;
    상기 배수 장치의 오목 몸체부를 상기 배수 박스에 연결시켜주는 압력 균등화 라인;
    상기 압력 균등화 라인에 설치되는 압력 균등화 밸브로서, 상기 막음 수단이 상기 배수 장치의 시트에 안착한 후에 상기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의 균등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압력 균등화 밸브;
    상기 저장 탱크의 바닥에서 더 밀한 상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
    더 밀한 상을 상기 배수 박스에 배수하기 위해 상기 차단 밸브를 개방하도록 명령하고, 배수 작용이 끝난 후에 상기 차단 밸브를 폐쇄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수단; 및
    배수 작용이 끝난 후에, 상기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을 균등화하여 상기 계면 부유물이 더 밀한 상위로 다시 부유하여 새로운 배수 유동을 일으키도록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액추에이터 수단이 상기 차단밸브에 제공되고;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액추에이터 수단이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에서 더 밀한 상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 상기 차단 밸브를 개방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배수 작용이 끝난 후에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센서는 더 밀한 상을 감지하고, 상기 배수 라인에 누적된 더 밀한 상을 상기 배수 박스로 배수시킬 수 있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차단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수단에 명령 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 밸브가 폐쇄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센서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 2 액추에이터 수단에 명령 신호를 보내어, 상기 계면 부유물의 상·하 압력을 균등화시켜 상기 계면 부유물을 더 밀한 상위로 다시 부유하도록 하여 새로운 배수 유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어 배수 장치의 작동 오류를 의미하는 배수 라인을 통한 덜 밀한 상의 통과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에 반응하여 상기 제 1 액추에이터 수단에 명령 신호를 보내 상기 차단 밸브의 폐쇄를 명령함으로써 배수를 중단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 2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수 문제에 직면한 경우 예컨대 소정 형태의 경보장치가 경보를 보내는 제어실에, 상기 제 2 액추에이터 수단으로부터 나온 신호를 받으며, 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신호를 하기 위한 원격 계기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의 바닥에서 더 밀한 상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저장 탱크의 액체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 탱크의 측벽 바닥에 설치되는 레벨 게이지이고;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레벨 게이지가 수동으로 관찰되고, 상기 저장 탱크의 바닥에서 더 밀한 상의 존재를 감지되었을 때, 더 밀한 상의 배수를 위해 상기 차단 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배수 작용이 끝날 때까지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고 배수 작용이 끝나면 수동으로 밸브를 폐쇄하며, 그런 다음 상기 압력 균등화 밸브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계면 부유물의 상·하의 압력을 균등하게 하여, 상기 계면 부유물이 밀한 상의 위로 다시 부유하도록 하여 새로운 배수유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박스의 높이는 상기 저장 탱크의 상기 격납 베이슨의 유효 높이보다 더 높으며, 상기 배수 박스는 제 2 차단 배출 밸브가 설치된 배수 라인을 바닥에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 2 차단 배출 밸브가 개방되었을때 상기 저장 탱크의 상기 격납 베이슨이 상기 배수 박스를 통해 배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13. 제 7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 수단은, 상기 계면 부유물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시팬 위에 안착하도록 되어 있는 밸브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KR1019997003578A 1996-11-26 1997-09-18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KR100346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9605709-2 1996-11-26
BR9605709A BR9605709A (pt) 1996-11-26 1996-11-26 Sistema para drenagem de tanques de armazenamento de líquido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770A KR20000052770A (ko) 2000-08-25
KR100346012B1 true KR100346012B1 (ko) 2002-07-24

Family

ID=3633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578A KR100346012B1 (ko) 1996-11-26 1997-09-18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935427A (ko)
EP (1) EP0946237B1 (ko)
JP (1) JP3357676B2 (ko)
KR (1) KR100346012B1 (ko)
CN (1) CN1089619C (ko)
AR (1) AR010072A1 (ko)
AU (1) AU729384B2 (ko)
BR (1) BR9605709A (ko)
CA (1) CA2270212C (ko)
CO (1) CO4770878A1 (ko)
DE (1) DE69704569T2 (ko)
EA (1) EA001162B1 (ko)
ES (1) ES2156005T3 (ko)
ID (1) ID18984A (ko)
NO (1) NO321248B1 (ko)
PT (1) PT946237E (ko)
SA (1) SA97180707B1 (ko)
UY (1) UY24790A1 (ko)
WO (1) WO1998023352A1 (ko)
ZA (1) ZA97106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1462B1 (en) * 1999-05-20 2001-07-17 Clearline Systems, Inc. Combination pump and separator, especially for commercial kitchens
US20030042256A1 (en) * 2001-09-05 2003-03-06 Johnson Burton M. Floating cover
US6814841B2 (en) * 2002-04-24 2004-11-09 Proton Energy Systems, Inc. Gas liquid phase separator with improved pressure control
US8974662B2 (en) * 2002-10-30 2015-03-10 William J Gannon Filtration of a pumped hydrocarbon containing liquid
US20070034580A1 (en) * 2005-08-11 2007-02-15 Stein Matthew L Fluid filter arrangement including valve arrangement and methods
WO2011059919A1 (en) * 2009-11-12 2011-05-19 Shell Oil Company Subsea separation systems
US9086354B2 (en) * 2010-07-22 2015-07-21 Saudi Arabian Oil Company Sound-velocity dewatering system
WO2013090974A1 (en) * 2011-12-23 2013-06-27 Linc Energy Ltd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 waste stream derived from ucg product gas
EP2968830B1 (en) * 2013-03-14 2019-03-0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Humidification chamber with microstructured surface
US9702751B2 (en) * 2013-04-15 2017-07-11 Floyd Stanley Salser, JR. Dual measurement tank with nested structure
CN103511831A (zh) * 2013-10-25 2014-01-15 浙江光普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储气罐排液装置
CA2983639C (en) * 2015-04-22 2023-12-12 Mark S. RAUCH Oil monitoring system
CN106039769A (zh) * 2016-06-23 2016-10-26 武汉工程大学 一种油水分离储罐
DE102016119404B4 (de) * 2016-10-12 2018-05-09 PILODIST GmbH Phasenscheider und Verfahren zur Trennung von nicht mischbaren Flüssigkeiten
CN110177608A (zh) 2016-10-24 2019-08-27 M·S·劳赫 石油监测系统
CN110466784B (zh) * 2019-08-18 2021-07-02 南通华夏飞机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飞机油箱防腐蚀结构
CN110589271B (zh) * 2019-09-19 2021-03-30 浙江海洋大学 一种具有防腐蚀功能的油罐
CN111637272A (zh) * 2020-06-04 2020-09-08 无锡英罗唯森科技有限公司 自力式液位调节装置
CN113739074B (zh) * 2021-09-22 2023-05-16 凯泰(滁州)流体控制有限公司 球罐低位管线沉积水自动识别与排除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71406A (fr) * 1929-03-13 1929-12-12 Purgeur automatique
GB362466A (en) * 1930-07-05 1931-12-07 David Samiran Improvements in fluid separators
US2626054A (en) * 1950-09-29 1953-01-20 Henigman Frank Oil tank water drainer
US2844254A (en) * 1955-06-16 1958-07-22 Ulric F Ansley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from organic liquids and fuels
FR1285077A (fr) * 1961-03-29 1962-02-16 Faudi Feinbau Dispositif de commande pour séparateurs d'eau dans les réservoirs de filtre pour combustibles liquides
GB1072467A (en) * 1965-06-28 1967-06-14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Improvements in separating liquids
FR1516420A (fr) * 1965-06-28 1968-03-0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édé et appareil de séparation de liquides non miscibles
DE2450715A1 (de) * 1974-10-25 1976-04-29 Siegrist Kg Tabakfab Abscheider zur kontinuierlichen trennung zweier nicht mischbarer fluessigkeiten verschiedenen spezifischen gewichtes
GB1600271A (en) * 1978-04-25 1981-10-14 Gough D V Separating devices
FR2434642A1 (fr) * 1978-09-01 1980-03-28 Seres Dispositif de purge automatique d'un liquide depose dans le fond d'un reservoir contenant deux liquides non miscibles
US4264442A (en) * 1979-05-29 1981-04-28 Jackson Dirk C Liquid traps
EP0034689B1 (fr) * 1980-02-25 1983-12-28 SOCIETE D'ETUDE ET DE REALISATION D'EQUIPEMENTS SPECIAUX - S.E.R.E.S. Société anonyme dite: Dispositif de purge automatique d'un liquide déposé dans le fond d'un réservoir contenant deux liquides non miscibles
US4447321A (en) * 1982-03-29 1984-05-08 Jackson Henry D Liquid drain system
US4611627A (en) * 1985-02-07 1986-09-16 Donaldson Company, Inc. Self-venting drain valve
US5138653A (en) * 1988-09-06 1992-08-11 Patrick Le Clercq System for automatic notification of the receipt of messages in an electronic mail system
GB2236960B (en) * 1989-10-19 1993-03-10 Ludlam Sysco Limited Automatic tank drainage system
CN1076136A (zh) * 1992-03-06 1993-09-15 黄振球 有机液体疏水装置
CN2213556Y (zh) * 1994-11-25 1995-11-29 罗余军 全自动油水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0212C (en) 2002-09-10
NO992520D0 (no) 1999-05-26
CN1089619C (zh) 2002-08-28
CO4770878A1 (es) 1999-04-30
CN1237917A (zh) 1999-12-08
NO321248B1 (no) 2006-04-10
DE69704569D1 (de) 2001-05-17
ZA9710645B (en) 1998-06-12
BR9605709A (pt) 1998-08-11
EP0946237B1 (en) 2001-04-11
SA97180707B1 (ar) 2006-08-14
KR20000052770A (ko) 2000-08-25
WO1998023352A1 (en) 1998-06-04
JP2000507500A (ja) 2000-06-20
EA001162B1 (ru) 2000-10-30
NO992520L (no) 1999-05-26
AU4372897A (en) 1998-06-22
US5935427A (en) 1999-08-10
CA2270212A1 (en) 1998-06-04
AU729384B2 (en) 2001-02-01
UY24790A1 (es) 1997-12-04
ID18984A (id) 1998-05-28
EA199900412A1 (ru) 2000-04-24
ES2156005T3 (es) 2001-06-01
DE69704569T2 (de) 2001-08-09
PT946237E (pt) 2001-09-28
AR010072A1 (es) 2000-05-17
JP3357676B2 (ja) 2002-12-16
MX9708578A (es) 1998-09-30
EP0946237A1 (en) 199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012B1 (ko) 액체 저장 탱크의 배수 시스템
US4308136A (en) Internally baffled, horizontal flow, vertical oil skimmer
KR100363046B1 (ko)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분 또는 플레이트를 베이스상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
US5201082A (en) Gray water toilet system
US4051030A (en) Liquids separating system
JPH0335559B2 (ko)
US3889706A (en) Float-controlled valve
US230749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US4145286A (en) Automatic system for trapping and removing waste hydrocarbons from water
US4580592A (en) Float controlled separator valve
JPH0563392B2 (ko)
WO2010066266A1 (en) Skimming device
MXPA97008578A (en) System for draining a liquid storage tank
JP7359478B1 (ja) 省エネ型ドレントラップ並びに圧縮空気圧回路
CN213174045U (zh) 一种蒸压釜用全自动排水装置及蒸压釜排水系统
JP3909892B2 (ja) 油水分離装置
TW202320895A (zh) 混合液分離裝置
JP3962117B2 (ja) 油水分離器
JPS6238075Y2 (ko)
JPH0116484Y2 (ko)
JP2003342972A (ja) 燃料タンクの水抜き装置
JPH0124949B2 (ko)
EP2578287B1 (en) Automatic closure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JPH09287670A (ja) ボール形逆止め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貯蔵槽の排液装置
US5622619A (en) Light liquid off-take system for a separator bas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