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799B1 -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799B1
KR100345799B1 KR1019990060443A KR19990060443A KR100345799B1 KR 100345799 B1 KR100345799 B1 KR 100345799B1 KR 1019990060443 A KR1019990060443 A KR 1019990060443A KR 19990060443 A KR19990060443 A KR 19990060443A KR 100345799 B1 KR100345799 B1 KR 10034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indow regulator
mounting member
inner panel
bol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742A (ko
Inventor
유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1999006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7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인너패널에 대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장착성을 향상시키고, 조립공수를 크게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상부에서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1장착부재와;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마운팅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2장착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재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벗어난 위치에 해당되는 마운팅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3장착부재와; 장착시 상기 제1, 제2, 제3장착부재상의 각 볼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인너패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과 마운팅플레이트상에 형성된 3개의 장착부재만으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장착작업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레귤레이터가 3점 지지방식에 의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그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인너패널상에 많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WINDOW REGULATO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인너패널(Inner Panel)에 대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장착성을 향상시키고, 조립공수를 크게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도어에 설치되어 윈도우글래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케이블방식의 윈도우레귤레이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드럼(16)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의 일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과, 양쪽 끝부분이 상기 드럼(16)의 바깥쪽 둘레면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20)과, 상기 가이드레일(18)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에 고정되어 케이블의 당김방향쪽으로 이동되면서 윈도우글래스(22)를 승강·개폐시켜주는 캐리어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8) 내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브래킷(26)이 용접 결합되고, 그 장착브래킷(26)의 양단부에는 체결볼트(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는 면상에 나사공(30)을 갖는 다수의 플랜지부(32)가 절곡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터 패널(Outer Panel)과 인너패널(Inner Panel : 34) 사이에는 공동부(空洞部)가 클린칭(Clinching)방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도어(11)를 구성하는 인너패널(34)의 하부 소정 위치에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끼워 넣기 위한 소정 크기의 개구부(36)가 안쪽의 공동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6)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각각 윗쪽 과 아랫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해당되는 인너패널(34)의 면상에는 상기한 가이드레일(18)상의 장착브래킷(26)에 설치된 각 체결볼트(28)가 끼워지는 관통공(38)이 형성된다.
또, 상기 개구부(36)의 측방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인너패널(34)의 면상에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상에 형성된 플랜지부(32)의 나사공(30)과 일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구조에서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를 인너패널(34)상의 개구부(36)를 통하여 내부의 공동부로 끼워 넣고, 가이드레일(18)의 내측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된 장착브래킷(26)상의 체결볼트(28)를 인너패널(34)상의 관통공(38)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실내쪽에서 너트(40)를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2)상의 플랜지부(32)에 형성된 나사공(30)과 인너패널(34)상의 관통공(38)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독립된 체결볼트를 끼워 돌리면 그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에서는 가이드레일(18)상의 장착브래킷(26)에 설치된 체결볼트(28)를 인너패널(34)상의 관통공(38)에 정확하게 끼워 맞추기 위해서는 복수의 작업인원인 필요하고, 체결해야 하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수리작업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인너패널(34)상에 여러 개의 관통공(38)이 형성됨에 따라 도어(11)의 강성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인너패널에 대한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장착성을 향상시키고, 조립공수를 크게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방식의 자동차 윈도우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윈도우레귤레이터 12 : 마운팅플레이트
18 : 가이드레일 34 : 인너패널
36 : 개구부 50 : 제1장착부재
60 : 제2장착부재 70 : 제3장착부재
80 : 볼트부 90 : 장착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의 내측면 상부에서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1장착부재와;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마운팅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2장착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재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벗어난 위치에 해당되는 마운팅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가 일체로 설치된 제3장착부재와; 장착시 상기 제1, 제2, 제3장착부재상의 각 볼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인너패널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공을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장착부재와 제2장착부재 및 제3장착부재는 서로 삼각형의 꼭지점위치에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에서는 윈도우레귤레이터(10)가 자동차 도어의 인너패널(34)에 대하여 3점 지지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8)의 내측면 상부 소정 위치에 제1장착부재(50)가 가이드레일(18)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설치되며,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마운팅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 및 그 위치로부터일정 각도만큼 벗어난 위치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2장착부재(60) 및 제3장착부재(7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부재(50)는 그 중심에 인너패널(34)쪽으로 향하는 돌출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2)의 하단 양쪽으로는 가이드레일(18)의 내면과의 용접결합을 위한 수평부(5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2)의 내측으로부터 인너패널쪽으로 볼트부(80)가 일체로 고정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장착부재(60)와 제3장착부재(70)는 각각 마운팅플레이트(12)의 내면 가장자리로부터 인너패널(34)쪽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중심에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62)(72)와, 상기 플랜지부(62)(7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인너패널쪽(34)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볼트부(8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10)가 장착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인너패널(34)의 면상에는 상기 제1장착부재(50), 제2장착부재(60) 및 제3장착부재(70)상의 볼트부(80)가 끼워지는 장착공(9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부재를 잇는 선은 가장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삼각형이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윈도우레귤레이터를 자동차의 도어(11)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인너패널(34)의 아랫부분에 형성된 개구부(36)를 통하여 안쪽의 공동부내측으로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장착부재(50)와 제2장착부재(60) 및 제3장착부재(70)를 구성하는 각 볼트부(80)를 인너패널(34)상의 장착공(90)에 맞추어 끼우고, 자동차의 실내쪽에서 상기 각 볼트부(80)에 대하여 너트(82)를 체결하면 그 장착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윈도우레귤레이터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과 마운팅플레이트상에 형성된 3개의 장착부재만으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장착작업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레귤레이터가 3점 지지방식에 의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그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인너패널상에 많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도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18)의 내측면 상부에서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34)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80)가 일체로 설치된 제1장착부재(50)와;
    상기 윈도우레귤레이터(10)를 구성하는 마운팅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34)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80)가 일체로 설치된 제2장착부재(60)와;
    상기 제2장착부재(60)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벗어난 위치에 해당되는 마운팅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절곡형성되며, 면상에는 장착시 인너패널(34)쪽으로 돌출되는 볼트부(80)가 일체로 설치된 제3장착부재(70)와;
    장착시 상기 제1, 제2, 제3장착부재(50)(60)(70)상의 각 볼트부(8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인너패널(34)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공(9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부재(50)와 제2장착부재(60) 및 제3장착부재(70)는 서로 삼각형의 꼭지점위치에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2. 삭제
KR1019990060443A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KR10034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43A KR100345799B1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443A KR100345799B1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42A KR20000012742A (ko) 2000-03-06
KR100345799B1 true KR100345799B1 (ko) 2002-07-24

Family

ID=1962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443A KR100345799B1 (ko) 1999-12-22 1999-12-22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7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3U (ja) * 1992-09-30 1994-04-2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3U (ja) * 1992-09-30 1994-04-2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42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512A (en) Attaching device and method of bumper face
JPH0692205B2 (ja) 車両用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83261A (ja) 車両用ドアの構造及び組立方法
JPH0785970B2 (ja) 車両用ドア及び車両用ドアにおけるシール部材の調節方法
KR100295075B1 (ko) 윈도레귤레이터의장착구조및방법
US11286705B1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CN1991122A (zh) 车门金属构件模块
KR100345799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JP3899976B2 (ja) 自動車用ドアのガラスガイド構造
JPS6047126B2 (ja) 車両用屋根構造
JP3215928B2 (ja) 自動車のドア
KR200141685Y1 (ko) 차량용 도어윈도우 글래스 채널의 장착구조
KR100348050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채널 장착구조
JPH06171366A (ja) 自動車のドア
JP3449691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970006821Y1 (ko) 차량도어의 글래스홀더
JPH11343770A (ja) パワー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0118461Y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드바의 구조
JP3186856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H0356128Y2 (ko)
JPH0640862Y2 (ja) 車両用ドア構造
KR0120174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와 대쉬판넬의 결합구조
KR100405364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설치구조
KR011829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취부구조
KR200242580Y1 (ko) 화물 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