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207B1 -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조정장치및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조정장치및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207B1
KR100344207B1 KR1019990060839A KR19990060839A KR100344207B1 KR 100344207 B1 KR100344207 B1 KR 100344207B1 KR 1019990060839 A KR1019990060839 A KR 1019990060839A KR 19990060839 A KR19990060839 A KR 19990060839A KR 100344207 B1 KR100344207 B1 KR 100344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cathode ray
ray tube
hold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352A (ko
Inventor
히라야마가즈마사
요시다마키
아사카다츠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0004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4Factory adjustment of completed discharge tubes or lamps to comply with desired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정장치는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의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며, 조정의 대상이 되는 편향요크를 넥부에 장착한 음극선관은 그 관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소정의 조정 위치에 고정되며, 조정장치는 조정위치에 고정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하고,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통하여 표시한 테스트 화상을 복수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하고, 편향요크의 넥부에 대한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DEVICE FOR ADJUSTING DEFLECTION YOKE OF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한 편향요크의 위치나 각도를 자동 조정하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넥부에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크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이하, PC마그네트라고 함)가 부착된다.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통하여 정상적인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넥부에 대해 PC마그네트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고, 또 넥부에 대해 편향요크를 적절한 위치 및 각도로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의 넥부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경우,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통하여 테스트용 화상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컨버전스(convergence)나 퓨리티(purity)를 평가하고, 또 화상의 형광면에 대한 회전, 수직위치, 수평위치, 변형등을 판단하여 정상적인 화상이 표시되도록 편향요크의 위치나 각도를 수작업으로 조정했다.
편향요크를 조정하는 경우, 음극선관의 관축에 따른 전후방향, 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 관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경사시키는 틸트(tilt)방향 또는 관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경사시키는 요잉(yawing)방향으로 편향요크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퓨리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의 관축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편향요크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편향요크를 넥부에 장착한 음극선관을 전용 조정기에 로딩하여 조정하는 방법이나 팰릿(pallet)에 탑재한 음극선관을 컨베이어를 통해 소정의 조정위치로 반송하여 조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방법이 형광면을 통하여 표시한 화상을 보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편향요크의 위치나 각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조정의 정밀도가 낮고 신뢰성이 부족하여 만족할만한 조정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특히, 편향요크를 수작업으로 조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최근 점점 고정밀 미세화하고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 수작업에 의한 조정에서는 조정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또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커져 편향요크를 단시간에 확실히 조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한 편향요크를 고정밀도, 또 고속으로 적절한 위치 및 각도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의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조정의 대상이 되는 편향요크를 넥부에 장착한 음극선관을 팰릿에 로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조정장치의 승강 베이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 및 편향요크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요잉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기구의 측면도,
도 5는 편향요크를 관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편향요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편향요크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틸트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편향요크를 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로테이션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조정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1은 도 5의 아래쪽에서 올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향요크 조정장치 11 : 가대
12 : 컨베이어 13 : 팰릿
15 : 음극선관 15a : 넥부
15b : 페이스면 16 : 지지부
17 : 편향요크 18 : PC마그네트
20 : 애노드 21 : 애노드콘택트
22 : 소켓 24 : 팰릿 유지장치
25 : 유지핀 26 : 바닥판부
27 : 구멍 30 : 승강 베이스
30a : 수직부 30b : 수평부
31 : 슬라이드레일 32, 57 : 에어실린더
32a, 57a, 85 : 작동 로드 34, 46, 61, 70 : 모터
35, 63, 71 : 샤프트 40, 74 : 숫나사
36a, 36b, 63a, 63b : 베벨기어 37, 48, 64, 69 : 나사
39 : 슬라이드 베이스 49, 67 : 암나사
34a, 40a, 46a, 61a, 70a : 브래킷 41 : 슬라이드기구
42 : 회전샤프트 43 : 지지통
44 : 긴 구멍 45 : 회전 베이스
47, 62 : 조인트 51 : 유지기구
52 : 요잉기구 53 : 베이스
54, 55 : 척 54a : 후단
56, 73 : 핀 56a : 링크아암
57b, 66 : 연결부재 59, 66a : 캠종동부
60 : 캠판 60a : 상단변
60b : 하단변 65 : 판캠
68 : 틸트기구 75 : 작동부재
76 : 로테이션기구 80 : 조정장치
81 : 회전부재 82 : 지지부재
83 : 아암 84 : 작동 아암
86 : 유지부재 100 : 연산제어장치
101 : 카메라 102 : 제어기
103 : 화상처리장치 104 : 모니터
105 : 모터제어장치 106, 110 : 콘택트
107 : 전자밸브 108 : TV전원
109 : 편향전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는 상기 음극선관에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이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하고, 해당 편향요크의 상기 넥부에 대한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는 상기 음극선관을 그 관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이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음극선관에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이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로테이션기구와,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틸트기구와,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요잉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방법은 소정의 조정위치에 배치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공정과; 상기 음극선관을 통하여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공정과, 이 검출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이동시키고 상기 편향요크의 상기 넥부에 대한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조정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방법은 상기 음극선관을 그 관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소정의 조정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공정과, 이 지지공정으로 소정의 조정 위치에 지지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공정과, 상기 음극선관을 통하여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공정과, 이 검출 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공정과,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로테이션공정과,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틸트공정과,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요잉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조정장치(이하, 단지 조정장치라고 함)(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조정장치(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가대(1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조정의 대상이 되는 편향요크(17)를 넥부에 장착한 음극선관은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은 팰릿에 탑재되어 컨베이어(12)를 통하여 가대(11)를 통하여 반송된다.
도 2에는 음극선관(15)을 탑재한 팰릿(13)을 도시하고 있다. 음극선관(15)은 팰릿(13)의 대략 연직방향으로 뻗어난 지지부(16)에 의해 그 관축(Z0)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유지 고정된다.
팰릿(13)에 탑재된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는 편향요크(17) 및 복수의 PC마그네트(18)가 음극선관(15)의 페이스면(15b)측으로부터 차례로 장착되어 있다. 또, 음극선관(15)의 퍼넬에는 애노드(20)가 설치되어 있다. 팰릿(13)측에는 이 애노드(20)에 대향하여 애노드콘택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애노드콘택트(21)는 지지부(16)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는 소켓(22)이 접속된다.
애노드콘택트(21) 및 소켓(22)은 음극선관(15)을 팰릿(13)에 장착한 후, 각각 음극선관(15)의 대응하는 부분(애노드(20), 넥부(1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팰릿(13)의 하부에는 조정장치(1)측의 후술하는 TV전원이나 편향전원과 팰릿(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후술하는 콘택트(110)(도 9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콘택트(110)에는 애노드콘택트(21), 소켓(22) 및 편향요크(1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2)의 아래쪽의 소정 위치에는 팰릿 유지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팰릿유지장치(24)는 그 상면부에 복수의 유지핀(25)을 갖고, 유지핀(25)을 상승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를 갖는다. 음극선관(15)을 탑재한 팰릿(13)이 컨베이어(12)를 통하여 가대(11)내의 소정의 조정위치에 반송되었을 때, 컨베이어(12)를 정지하고 에어실린더를 구동하여 유지핀(25)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정위치에 반송된 팰릿(13)의 바닥판부(26)에 설치된 복수의 구멍(27)에 팰릿유지장치(24)의 복수의 유지핀(25)이 각각 끼워 맞춰지고 팰릿(13)이 컨베이어(12)에서 독립된 상태로 소정의 조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1에서는 컨베이어(12)에 의한 팰릿(13)의 반송방향을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팰릿(13) 자체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팰릿(13)에 탑재된 음극선관(15)의 넥부(15a)가 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바로 앞쪽을 향하는 배치가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팰릿(13)이 조정장치(1)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서 도면에 수직인 방향, 즉 조정위치로 설정된 음극선관(15)의 관축(Z0)에 따른 전후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도 1에서 팰릿(13)의 반송방향 a, 즉 음극선관(15)의 관축(Z0)과 직교하는 수평방향(X-X)을 X방향으로 하고, 음극선관(15)의 관축(Z0)과 직교하는 연직방향(Y-Y)을 Y방향으로 한다.
가대(11)에 부착된 조정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조정 위치에 설정된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장착된 편향요크(17)의 위치나 각도를 조정한다. 이하, 이 조정장치(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장치(1)는 가대(11)의 상부에 부착된 슬라이드레일(31)에 대해 Y방향으로 승강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승강 베이스(30)를 갖는다. 승강 베이스(30)는 서로 직교하는 관계로 L자형상으로 접속된 수직부(30a) 및 수평부(30b)를 갖는다. 수직부(30a)는 슬라이드레일(31)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수평부(30b)에는 가대(11)의 상부에 부착된 에어실린더(32)의 작동 로드(32a)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베이스(30)는 에어실린더(32)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레일(31)에 따라서 승강 이동된다.
도 5 및 도 11에는 편향요크(17)를 관축(Z0)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위한 슬라이드기구(41)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베이스(30)의 수평부(30b)에는 브래킷(34a)을 통하여 슬라이드기구(41)의 모터(34)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34)의 회전축에는 X방향으로 뻗어난 샤프트(35)가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35)의 선단에는 서로 직교하는 관계로 설치된 한쌍의 베벨 기어(36a, 36b)를 통해 나사(37)가접속되어 있다. 즉, 나사(37)는 Z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편, 수평부(30b)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는 판형상의 슬라이드베이스(39)가 수평부(30b)에 대해 Z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39)의 Z방향에 따른 한단에는 상술한 나사(37)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40)가 브래킷(40a)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기구(41)의 모터(34)를 회전하면 샤프트(35) 및 한쌍의 베벨기어(36a, 36b)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어 나사(37)가 회전된다. 나사(37)가 회전되면 나사(37)에 끼워맞춘 암나사(40)가 Z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베이스(39)가 승강 베이스(30)에 대해 Z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편향요크(17)를 관축(Z0)과 직교하는 수직축(Y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요잉기구(5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기구(41)의 슬라이드베이스(39)에는 Y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요잉기구(52)의 회전샤프트(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통(43)이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승강 베이스(30)의 수평부(30b)에는 이 지지통(43)의 Z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Z방향으로 뻗어난 긴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샤프트(42)는 슬라이드베이스(39)의 이동과 함께 Z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축(Y0)을 갖는다.
회전 샤프트(42)의 하단에는 수평면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베이스(45)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베이스(39)에는 회전 베이스(4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6)가 비교적 긴 브래킷(46a)을 통하여 슬라이드베이스(39)에서 떨어져 부착되어 있다. 모터(46)의 회전축에는 대략 X방향으로 뻗어난 길고 가느다란 조인트(47)를 통하여 X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나사(4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베이스(45)의 회전 중심에서 기울어진 윗면에는 나사(48)에 끼워 맞추는 암나사(49)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46)를 회전하면 조인트(47)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어 나사(48)가 회전한다. 나사(48)가 회전하면 나사(48)에 끼워 맞춘 암나사(49)가 X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베이스(45)가 슬라이드베이스(39)에 대해 회전축(Y0)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회전 샤프트(42)의 회전축(Y0)은 음극선관(15)의 관축(Z0)과 교차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 관축(Z0)과 회전축(수직축)(Y0)이 교차하는 점은 편향요크(17)의 조정 기준점(W0)(도 7 참조)이 된다.
다음으로, 조정위치에 설정된 음극선관(15)의 나사부(15a)에 장착된 편향요크(17)를 유지하는 유지기구(5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기구(51)는 상술한 요잉기구(52)의 회전 베이스(45)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음극선관(15)의 관축(Z0)과 직교하는 면을 따라서 뻗어난 판형상의 베이스(53)를 갖는다. 도 6에는 유지기구(51)를 음극선관(15)의 페이스면(15b)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53)의 하단에는 한쌍의 척(chuck)(54, 55)이 각각 핀(56)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각 척(54, 55)의 회동 중심에서 기울어진 부위에는 한쌍의 척(54, 55)을 연결한 링크아암(56a)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링크아암(56a)은 한쪽의 척(54)의 회동에 연동시키고, 다른쪽 척(55)을 상반된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기능한다.
베이스(53)에는 척(54, 55)을 개폐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57)가 부착되어 있다. 에어실린더(57)의 작동 로드(57a)의 선단에는 연결부재(57b)를 통하여 한쪽 척(54)의 핀(56)에서 떨어진 후단(54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기구(51)의 에어실린더(57)를 작동시키면 작동로드(57a) 및 연결부재(57b)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어 척(54)의 후단(54a)이 핀(5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한쪽의 척(54)이 회동하면 링크아암(56a)을 통하여 다른쪽 척(55)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한쌍의 척(54, 55)이 개폐된다. 한쌍의 척(54, 55)이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유지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편향요크(17)가 각 척(54, 55)의 선단에 의해 좌우로부터 끼워진다.
다음으로, 유지기구(51)에 의해 유지된 편향요크(17)를 상술한 조정 기준점(W0)을 통해 관축(Z0)과 직교하는 수평축(X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틸트기구(6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트기구(68)는 상술한 요잉기구(52)의 회전 베이스(45)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설치된 판캠(65)을 갖는다. 판캠(65)은 상술한 조정기준점(W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Z방향으로 뻗어있다. 이 판캠(65)에는 복수의 캠종동부(66a)를 구비한 연결부재(66)가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66)에는 상술한 유지기구(51)의 베이스(53)가 후술하는 캠기구를 통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기구(51)의 베이스(53)는 판캠(66)을 따라서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트기구(68)는 연결부재(66)를 요동시키기 위한 모터(61)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61)는 비교적 긴 브래킷(61a)을 통하여 회전 베이스(45)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61)의 회전축에는 대략 X방향으로 뻗어난 조인트(62) 및 X방향으로 뻗어난 샤프트(63)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63)의 모터(61)에서 떨어진 선단에는 한쌍의 기어(63a, 63b)를 통해 Z방향으로 뻗은 나사(64)(도 6, 도 7)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64)에는 연결부재(66)에 고정되어 설치된 암나사(67)가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틸트기구(68)의 모터(61)를 회전시키면 조인트(62), 샤프트(63) 및 한쌍의 베벨기어(63a, 63b)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어 나사(64)가 회전된다. 나사(64)가 회전하면 연결부재(66)에 고정되어 설치된 암나사(67)가 Z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연결부재(66)가 판캠(65)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편향요크(17)를 유지한 유지기구(51)의 베이스(53)가 이동하고, 편향요크(17)가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틸트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으로, 유지기구(51)에 의해 유지된 편향요크(17)를 관축(Z0)을 중심으로회전시키는 로테이션기구(7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기구(76)는 상술한 틸트기구(68)의 연결부재(66)의 하단에 고정되어 설치된 캠판(60)을 갖는다. 캠판(60)은 상술한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이루는 상단변(60a) 및 하단변(60b)을 갖는 대략 부채형으로 형성되어 관축(Z0)과 직교하는 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캠판(60)의 상단변(60a) 및 하단변(60b)에는 상술한 유지기구(51)의 베이스(53)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4개의 캠종동부(59)가 끼워 맞춰지고, 베이스(53)가 캠판(60)에 대해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로테이션기구(76)는 베이스(53)를 관축(Z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70)를 갖는다. 모터(70)는 상술한 요잉기구(52)의 회전 베이스(45)에 대해 비교적 긴 브래킷(70a)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모터(70)의 회전축에는 대략 X방향으로 뻗어난 샤프트(71)를 통하여 X방향으로 뻗어난 나사(69)가 연결되어 있다. 나사(69)의 양 단은 연결부재(68)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나사(69)에는 X방향으로 뻗어난 한쌍의 핀(73)을 갖는 암나사(74)가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핀(73)에는 베이스(53)의 상단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작동부재(75)의 U자형 홈이 핀(73)에 대해 아래쪽에서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로테이션기구(76)의 모터(7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71)를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어 나사(69)가 회전한다. 나사(69)가 회전하면 나사(69)에 맞춘 암나사(74)가 나사(69)를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지기구(51)의 베이스(53)가상술한 캠판(60)에 대해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정장치(1)에 의하면 유지기구(51)에 의해 유지된 편향요크(17)는 조정위치에 설정된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대해 다음과 같이 4개의 방향으로 조정된다. 편향요크(17)는 첫번째로, 로테이션기구(76)의 모터(70)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관축(Z0)(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두번째로, 틸트기구(68)의 모터(61)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수평축(X0)(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세번째로, 요잉기구(52)의 모터(46)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수직축(Y0)(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이들 제 1 에서 제 3의 회전은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 편향요크(17)는 네번째로, 슬라이드기구(41)의 모터(34)를 회전하여 슬라이드베이스(39)를 Z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조정 기준점(W0)을 관축(Z0)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관축(Z0)에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를 구동하는 모터(34, 46, 61, 70)로서 서보모터, 예를 들면 펄스모터를 사용하고, 각 모터에 의한 자계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각 모터를 조정 대상이 되는 편향요크(17)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모터(34, 46, 61, 70)를 관축(Z0)에서 적어도 300mm이상 떨어지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조정 기준점(W0)에서 어긋난 점을 중심으로 각 기구(41, 52, 68, 76)를 동작시키면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통해 테스트 화상을 표시했을 때 전자빔이 다른 편심 성분을 갖고 이동해버리기 때문에 편향요크(17)를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조정할 수 없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행 착오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17)의 위치 결정이 완료되는 일도 있지만, 많은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악화된다. 이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정 기준점(W0)을 중심으로 각 기구를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술한 조정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에 대해서 도 9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정장치(1)의 제어계는 각종 연산처리를 하고, 또 각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제어장치(100)를 갖는다.
연산제어장치(100)에는 복수대의 카메라(101)를 카메라 제어기(102)를 통하여 접속한 화상처리장치(103)가 접속되어 있다. 복수대의 카메라(101)는 팰릿(13)에 탑재되어 소정의 조정 위치로 설정된 음극선관(15)의 페이스면(15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연산제어장치(100)에는 복수대의 카메라(101)를 통하여 취득한 비디오 신호에 기초한 계측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104)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제어장치(100)에는 모터 제어장치(105)를 통하여 상술한 각 기구(41, 52, 68, 76)의 모터(34, 46, 61, 7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제어장치(100)에는 상술한 팰릿유지장치(24)의 복수의 유지핀(25)을 팰릿(13)를 향해 상승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 조정장치(1)의 승강 베이스(30)를 팰릿(13)에 대해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32), 유지기구(51)의 한쌍의 척(54, 55)을 개폐시키는 에어실린더(57) 및 팰릿(13)에 부착된 콘택트(110)를 향해서 콘택트(106)를 상승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자밸브(10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제어장치(100)에는 TV전원(108) 및 편향전원(109)이 접속되어 있다. 각 전원(108, 109)은 콘택트(106)를 통하여 팰릿(13)의 콘택터(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각 전원(108, 109)은 소켓(22), 커넥터(111) 및 애노드콘택트(21)를 통하여 음극선관(15)의 넥부(15a), 편향요크(17) 및 애노드(20)에 소정의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음극선관(15)의 형광면을 통하여 소정의 테스트 화상을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정장치(1)에 의한 편향요크(17)의 조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정 동작에 앞서 컨베이어(12)에 따른 도시하지 않은 로딩부에 있어서, 넥부(15a)에 조정의 대상이 되는 편향요크(17)와 PC마그네트(18)를 장착한 음극선관(15)을 작업자가 팰릿(13)에 로딩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소켓(22)을 삽입하고, 편향요크(17)의 커넥터(111)를 접속하고, 애노드(20)에 애노드콘택트(21)를 삽입한다. 또, 음극선관(15)을 로딩한 팰릿(13)을 컨베이어(12)를 통하여 반송하고, 팰릿(13)이 소정의 조정 위치에 온 시점에서 컨베이어(12)를 정지한다.
이후, 조정장치(1)의 연산제어장치(100)가 팰릿유지장치(24)의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를 작동하고, 복수의 유지핀(25)을 상승시켜 팰릿(13)의 구멍(27)에 삽입 통과하여 팰릿(13)을 조정 위치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연산제어장치(100)가 조정장치(1)의 에어실린더(32)를 작동하여 조정장치(1)를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유지기구(51)의 에어실린더(57)를 작동하고,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장착된 편향요크(17)를 한쌍의 척(54, 55)에 의해 유지한다. 동시에 콘택트(106)를 상승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를 작동하고, 콘택트(106)를 팰릿(13)의 콘택트(110)에 접속한다. 그리고, TV전원(108) 및 편향전원(109)을 통하여 음극선관(15)에 대해 각종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형광면을 통하여 소정의 테스트 화상을 표시한다.
또, 형광면을 통하여 표시한 테스트 화상을 복수대의 카메라(101)를 통하여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제어기(102)를 통하여 화상처리장치(103)에 입력한다. 연산제어장치(100)는 화상처리장치(103)에서 처리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래스터로테이션(raster rotation)의 오차량, 퓨리티의 오차량 및 컨버전스의 오차량을 연산한다.
연산제어장치(100)는 연산한 각종 오차량에 기초하여 조정장치(1)의 각 기구를 작동시켜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대한 편향요크(17)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한다.
연산제어장치(100)는 우선 음극선관(15)의 컷오프를 조정한 후, 산출한 래스터로테이션의 오차량에 기초하여 모터제어장치(105)를 제어하고, 로테이션기구(76)의 모터(70)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편향요크(17)가 관축(Z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래스터로테이션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또, 연산제어장치(100)는 산출한 퓨리티의 오차량에 기초하여 모터제어장치(105)를 제어하고, 슬라이드기구(41)의 모터(34)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편향요크(17)가 관축(Z0)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퓨리티가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또, 퓨리티를 조정할 때, 퓨리티의 측정값을 모니터(104)를 통하여 표시하여 작업자에 의해 2극 PC마그네트(18)가 조정된다.
또, 연산제어장치(100)는 산출한 컨버전스의 오차량에 기초하여 모터제어장치(105)를 제어하고, 틸트기구(68)의 모터(61) 및 요잉기구(52)의 모터(46)를 구동한다. 틸트기구(68)의 모터(61)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17)가 조정 기준점(W0)을 통과하는 수평축(X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요잉기구(52)의 모터(46)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17)가 조정 기준점(W0)을 통과하는 수직축(Y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컨버전스가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또, 컨버전스를 조정할 때, 컨버전스의 측정값을 모니터(104)를 통하여 표시하여 작업자에 의해 4극 또는 6극 PC마그네트(18)가 조정된다.
조정 작업이 종료되면 연산제어장치(100)는 에어실린더(57)를 작동하여 척(54, 55)을 해방하고, 편향요크(17)의 구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32)를 작동하여 조정장치(1)를 상승시킨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를 작동하고, 팰릿 유지장치(24)의 유지핀(25) 및 콘택트(106)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컨베이어(12)를 주행시켜 팰릿(13)을 하류측에 있는 처리 공정으로 반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정장치(1)에 의하면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장착한 편향요크(17)를 관축(Z0)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41), 관축(Z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션기구(76), 관축(Z0)과 직교하는 수평축(X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틸트기구(68) 및 관축(Z0)과 직교하는 수직축(Y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요잉기구(52)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넥부(15a)에 대한 편향요크(17)의 위치 및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편향요크(17)의 넥부(15a)에 대한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요크(17)를 자동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팰릿(13)에 로딩한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장착한 편향요크(17)를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유지하고, 넥부(15a)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조정장치(8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조정장치(80)는 연직방향으로 뻗어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81)를 갖는다. 이 회전부재(81)는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회전부재(81)의 하면측에는 지지부재(82)가 대략 연직방향으로 뻗어나 일체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82)의 하단에는 아암(83)을 통하여 작동 아암(84)의 기단부가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작동 아암(8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신축하는 작동 로드(85)의 선단에는 편향요크(17)를 유지한 유지부재(86)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정장치(80)는 관축(Z0)과 수평축(X0)이 교차하는 조정 기준점(W0)(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편향요크(17)를 모든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정장치(80)는 상술한 조정장치(1)의 슬라이드기구(41), 로테이션기구(76), 틸트기구(68) 및 요잉기구(5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조정장치(80)를 이용하여 편향요크(17)를 수평축(X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아암(83)과 작동아암(84)사이의 회동축(X1)에서 조정 기준점(W0)까지의 거리(r)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편향요크(17)를 틸트회동시킨다. 이 경우, 작동로드(85)를 화살표 a방향으로 신축시키고, 작동 아암(84)의 원운동과 작동로드(85)의 직선 운동을 조합하여 편향요크(17)를 수평축(X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또, 작동 아암(84)의 회동과 작동 로드(85)의 작동을 동기시키기 위해 조정장치(80)는 원호 보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조정장치(80)에서도 음극선관(15)의 넥부(15a)에 대해 편향요크(17)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한 편향요크를 고정밀도, 또 고속으로 적절한 위치 및 각도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음극선관을 그 관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음극선관에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기구;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로테이션기구;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틸트기구; 및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요잉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테이션기구, 틸트기구 및 요잉기구는 상기 관축과 수평축과 수직축이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상기 편향요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기구, 틸트기구 및 요잉기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관축으로부터 적어도 300㎜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장치.
  17. 음극선관을 그 관축이 수평방향으로 뻗어나도록 소정의 조정위치로 지지하는 지지공정;
    상기 지지공정으로 소정의 조정위치에 지지된 음극선관의 넥부에 장착된 편향요크를 유지하는 유지공정;
    상기 음극선관을 통해 비쳐진 화상을 검출하는 검출공정;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공정;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로테이션공정;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틸트공정: 및
    상기 검출공정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공정으로 유지한 편향요크를 상기 관축과 직교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요잉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션공정, 틸트공정 및 요잉공정에서는 상기 관축과 수평축과 수직축이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상기 편향요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공정, 틸트공정 및 요잉공정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관축으로부터 적어도 300㎜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조정방법.
KR1019990060839A 1998-12-25 1999-12-23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조정장치및 조정방법 KR100344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012798 1998-12-25
JP10-370127 1998-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352A KR20000048352A (ko) 2000-07-25
KR100344207B1 true KR100344207B1 (ko) 2002-07-20

Family

ID=1849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839A KR100344207B1 (ko) 1998-12-25 1999-12-23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조정장치및 조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14110B1 (ko)
KR (1) KR100344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915B2 (en) * 2001-06-07 2003-10-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and inspecting cathode-ray tube panels
US20090248190A1 (en) * 2008-03-28 2009-10-01 Spangler John M Portable modular manufacturing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331A (ja) * 1985-02-22 1986-08-27 Toshiba Corp 偏向ヨ−ク保持方法
JPH0268833A (ja) * 1988-09-02 1990-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画質調整方法
JPH02168532A (ja) * 1988-12-21 1990-06-28 Toshiba Corp Crt組立装置
JPH04188536A (ja) * 1990-11-21 1992-07-07 Hitachi Ltd カラーディスプレイ色純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528923A (ja) * 1991-07-24 1993-02-05 Toshiba Corp ブラウン管の特性調整装置
JPH097523A (ja) * 1995-06-14 1997-01-10 Sony Corp 偏向ヨークの傾き調整装置
JPH10188809A (ja) * 1996-12-20 1998-07-21 Spemac Srl 自動物品位置決め機構
JPH1186733A (ja) * 1997-09-08 1999-03-30 Hitachi Media Electron:Kk 偏向ヨークの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232A (en) 1977-12-21 1979-07-09 Toshiba Corp Color television regulator
US4405950A (en) * 1981-05-15 1983-09-20 Rca Corporation Television display system handling and adjustment apparatus
JPH10162741A (ja) 1996-11-27 1998-06-19 Toshiba Corp 陰極線管の画像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331A (ja) * 1985-02-22 1986-08-27 Toshiba Corp 偏向ヨ−ク保持方法
JPH0268833A (ja) * 1988-09-02 1990-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画質調整方法
JPH02168532A (ja) * 1988-12-21 1990-06-28 Toshiba Corp Crt組立装置
JPH04188536A (ja) * 1990-11-21 1992-07-07 Hitachi Ltd カラーディスプレイ色純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528923A (ja) * 1991-07-24 1993-02-05 Toshiba Corp ブラウン管の特性調整装置
JPH097523A (ja) * 1995-06-14 1997-01-10 Sony Corp 偏向ヨークの傾き調整装置
JPH10188809A (ja) * 1996-12-20 1998-07-21 Spemac Srl 自動物品位置決め機構
JPH1186733A (ja) * 1997-09-08 1999-03-30 Hitachi Media Electron:Kk 偏向ヨークの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14110B1 (en) 2003-02-04
KR20000048352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6195B (zh) 带电粒子束装置
US4973216A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mponent insertion in P.C. boards
US20200290206A1 (en) Operation tool for grasping workpiece including connector and robot apparatus including operation tool
US8358422B2 (en) Robot and auto-zeroing method
JPH11195899A (ja) 基板支持ピン配置方法,配置検査方法および装置
US6559461B1 (en) Wafer scanning support unit of ion implantation apparatus
KR100344207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조정장치및 조정방법
KR102205638B1 (ko) 산업용 로봇의 보정값 산출 방법
JPH03114128A (ja) イオン注入装置
JP2002118398A (ja) プリント配線板の位置検出方法
JP2000243294A (ja) 陰極線管の偏向ヨーク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
KR20190099127A (ko) 산업용 로봇의 보정값 산출 방법
EP2346073A1 (en) Prealigner
JP4255997B2 (ja) 半導体ウエハの外観検査装置
JPH0468995A (ja) Ccdカメラの光軸調整装置
JP2023532340A (ja) ロボットシステム用自動教示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JP2715071B2 (ja) 部品の組み付け位置自動調整装置
KR20190099139A (ko) 산업용 로봇의 보정값 산출 방법
JP3702685B2 (ja) 荷電粒子線装置
JP3223713B2 (ja) アパーチャグリルの後付スプリング用溶着装置
KR100278517B1 (ko) 음극선관의제조방법및검사장치
KR950008029Y1 (ko) 요크 조립장치의 편향요크홀더
JP3307753B2 (ja) 多軸リンク式エレクタの制御方法
JP4124872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の吸着ノズルの高さ調節方法
JP3538211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