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117B1 - 탁구장치 - Google Patents

탁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117B1
KR100344117B1 KR1019980037545A KR19980037545A KR100344117B1 KR 100344117 B1 KR100344117 B1 KR 100344117B1 KR 1019980037545 A KR1019980037545 A KR 1019980037545A KR 19980037545 A KR19980037545 A KR 19980037545A KR 100344117 B1 KR100344117 B1 KR 10034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able tennis
firing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734A (ko
Inventor
도시미츠 오이시
아키히사 야마시타
히데키 고타니
고지로 미나미
히로후미 후지모토
가츠노리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oys (AREA)

Abstract

탁구 장치는 탁구대의 한쪽 코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다른 쪽 코트를 향하여 볼을 발사시키기 위한 볼 발사부, 볼 발사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부, 볼이 횡방향으로 한쪽 코트 상에 어느 측면으로 낙하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볼의 낙하 위치에 따라 이동 기구부를 구동시키고 볼 발사부를 볼의 낙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및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동 기구부는 횡방향에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 및 그 위에 볼 발사부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탁구장치{Table tennis apparatus}
본 발명은 탁구대의 다른 쪽 코트(playing surface)의 후방에 배치된 볼 발사부로부터 플레이어(player) 측의 한쪽 코트로 탁구 볼 발사하기 위한 탁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예를 들어 일본실용신안등록 제 301768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탁구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탁구 장치는 중앙에 펼쳐진 네트가 있는 탁구대, 한 코트(기계 쪽의 플레잉 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면(플레이어 쪽의 플레잉 면)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탁구 볼을 발사하는 볼 발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광학 센서가 기계의 종방향에 따라 기계쪽 코트의 좌측과 우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반면에 기계측 코트 상에서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returned) 볼의 낙하 위치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그 위치에 상응하는 득점이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며, 이로서 연습 결과가 구체적 수치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종래 탁구 장치는 코트에 대해 중앙 위치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볼 발사부 및 요동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볼은 종방향으로 직구인 것에 대하여 탁구대의 양쪽 코너를 지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수준의 연습이 가능하다.
탁구장치의 볼 발사부의 구성은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보 소58-22229 호 및 일본실용신안공보 소63-72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탁구 장치에 따라, 볼 발사부가 기계측상의 코트에 대해 중앙 위치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은 요동 기구부에 의하여 중앙 위치에서 플레이어 측의 코트 좌측 및 우측으로 간단히 배분될 수 있으며, 기계측의 코트 위의 종방향으로의 볼 낙하 위치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플레이어에게 설정된 점수를 부여한다. 따라서, 실제 경쟁적인 플레이의 다양한 모드가 재현될 수 없으며, 그 결과 실제 경쟁 플레이에 맞는 연습 및 탁구 게임에 대한 적용성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경쟁 플레이에 가까운 모드를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연습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탁구 게임에 적합한 탁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라, 플레이어 측 코트를 향하여 볼을 발사하기 위하여 탁구대의 후방에 배치된 볼 발사부; 횡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를 포함하되, 베이스 상에는 볼 발사부가 장착되며, 상기 볼 발사부를 탁구 장치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부; 횡방향으로 볼이 넘어오는 측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검출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볼이 넘어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부를 구동시키고 볼이 넘어오는 측으로 볼 발사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탁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로서, 볼이 탁구대의 후방에 배치된 볼 발사부로부터 플레이어 쪽의 코트로 발사되며, 플레이어 측으로부터 되돌아온 볼의 횡방향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동 기구부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방향에 따라 구동되며, 볼 발사부가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실제 경쟁 플레이에 가까운 모드가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탁구 장치를 탁구 연습용으로 사용할 때 연습 결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탁구 게임을 위하여 사용할 때 탁구 장치가 매우 흥미롭게 된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탁구대는 기계쪽 코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볼 발사부가 기계쪽의 코트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이 기계측의 코트 후방에 배치된 볼 발사부로부터 발사된다. 따라서, 실제 경쟁 플레이에 더욱 가까운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이동 기구부는 횡방향에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및 위에 볼 발사부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 발사부는 볼의 낙하 위치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구동 및 제어 수단은 볼 발사부를 횡방향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서 적어도 세 가지의 설정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 발사부는 구동 및 제어 수단에 의해 횡방향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서 적어도 세가지의 설정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실제 경쟁 플레이에 더욱 가까운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구동 및 제어 수단은 중앙 위치 상에 볼 발사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 발사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때조차 볼 발사부가 중앙 위치로 확실히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볼 발사부는 요동 기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종방향에서 직구인 것에 더하여, 탁구대의 양쪽 코너로 볼을 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서, 볼 호퍼(hopper)는 볼 발사부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볼 호퍼와 볼 발사부는 볼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플렉서블 관 (flexible tube)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 호퍼가 고정 유지되면서 볼 발사부만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서 이동 기구부의 구성을 단순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탁구 장치에서 탁구대의 한쪽 코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탁구장치에서 볼 발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탁구 장치에서 볼 발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볼발사부를 위한 이동 기구부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탁구 장치에서 볼 회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선 VII-VII에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선 VIII-VIII에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선 IX-IX에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볼 회수부의 볼 급상(scooping-up)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의 초기화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의 게임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5는 볼 회수부의 볼 급상 수단의 동작을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에서 볼 공급부의 볼 교반 수단의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에서 탁구대의 냉음극관(cold-cathode tube)의 점등(点燈)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8은 볼 발사부의 볼 발사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에서 볼 낙하 위치의 검출과 득점 처리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 챠트.
도 20은 게임 종료 처리를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에서 볼 득점 동작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1에 관련하여, 탁구장치는 탁구대(10), 플레이어의 코트를 향하여 볼을 발사하기 위한 볼 발사부(20), 플로어 등에 낙하된 볼을 회수하기 위한 볼 회수부 (30), 득점과 데모 화면(demonstration picture)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 연출 음악과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부(50), 탁구대(10)를 둘러싸기 위한 박스(60), 게임(연습) 모드 등의 여러 가지 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70; control box)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 도 12) 및 볼 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탁구대(10)의 양쪽 엔드 라인(end line)사이의 방향이 플레이어의 관점에서 종방향으로 지칭되는데 비해, 탁구대(10)의 양쪽 사이드 라인(side line) 사이의 방향은 횡방향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탁구 장치의 탁구대 (10)에 엔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실제로 제공할 필요는 없다.
탁구대(10)는 플레이어의 코트(12), 볼 발사부(20)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코트(14) 및, 코트들(12 및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펼쳐진 네트(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코트(14)는 프레임 구조체(141)와 이 프레임 구조체(141)의 상부를 덮기 위하여 예를 들어, 백색 반투명 수지(resin)으로 형성된 판체(14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구조체(141)는 측면 격벽(148 및 149) 및 세로 격벽(150)에 의해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즉, 프레임 구조체(141)는 코트(14)를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세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전방 영역(제 1 영역; 143), 중앙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형성한다. 중앙 영역은 측방향으로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우측 제 2 영역(144)와 좌측 제 3 영역(145)을 형성하며, 후방 영역은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우측 제 4 영역(146)과 좌측 제 5 영역(147)을 형성한다.
복수의 녹색 발광 냉음극관(181)은 제 2 영역(141)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청색 발광 냉음극관(182)은 제 3 영역(145)에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복수의 적색 발광 냉음극관(183)은 제 4 영역(146)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황색 발광 냉음극관(184)은 제 5 영역(147)에 배치되어 있다. 필라멘트를 통한 전류의 통과에 의해 점등된 칼라 전구를 냉음극관(181 내지 184)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음극관 및 전구는 램프로 통칭한다.
반투명 판체(142)는 각 냉음극관에서 발광한 각 색상광을 위한 면 광원 및 볼 낙하 충격에 의해 진동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으로 기능을 한다. 판체(142)는 영역들(143, 144, 145, 146 및 147)에 각각 상응하는 제 1 판(151), 제 2 판(152), 제 3 판(153), 제 4 판(154) 및 제 5 판(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5 판(151 내지 155)은 각각 코트(14)의 제 1 내지 제 5 영역(E1내지E5)을 형성한다. 판체(142)는 판(151 내지 155)의 경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측면 홈(groove; 156 및 157) 및 세로 방향 홈(158)이 있으며, 이에 비해 판(151 내지 155)은 면 광원으로서 사용하며, 이로서 전광식(illumination) 효과를 얻는다.
제 1 판(151)은 대각 위치 근방에서 그의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폰(190 및 191)을 구비하며, 제 2 판(152)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 그의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폰(192 및 193)을 가지며, 제 3 판(153)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폰(194 및 195)을 갖는다. 추가로, 제 4 판(154)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마이크로폰(196 및 197)을 가지며, 제 5 판(155)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폰(198 및 199)을 구비한다.
각 마이크로폰(190 내지 199)는 진동 센서로서 기능을 하며, 제 1 내지 제 5판(151 내지 155)상에 볼이 낙하되는 것을 검측한다. 예를 들어, 볼이 제 2 판(152)상에 낙하될 때, 진동은 낙하 지점에서 판(152)의 주변으로 감쇠되면서 방사상으로 전달되며, 이 진동은 마이크로폰(192 및 193)에 의해 감지된다. 이 진동이 또한 다른판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감지되지만, 볼이 낙하된 판은 감지 수준의 차이, 진동 전달 시간 지연 등으로부터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156 내지 158)이 판체(142)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진동은 홈에서 급격히 감쇠되며, 이로서 진동의 오검측을 방지한다. 각 마이크로폰(190 내지 199)에서 출력된 검측 신호는 제어부(30)에 입력되고 득점 처리 등에 사용된다.
홈(156 내지 158)는 볼의 낙하 위치를 검측하는데 필수적이지 않으며, 판체(142)가 개별적인 부재에 의해 형성된 판(151 내지 155)을 가질 수 있다. 판(151 내지 155)이 개별적인 부재들에 의해 형성될 때,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와 같은 부재가 각 인접 부재 사이에 형성된 갭(gap)에 제공될 수 있으며,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와 같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각 판의 경계 상에 배치될 수 있어 각 플레이트는 그 사이에 형성된 작은 갭을 갖는 부재 상에 제공된다. 추가로, 판체(142)와 마이크로폰(190 내지 199)는 플레이어로부터 되돌아온 볼의 낙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트(14)의 하나 또는 복수의 영역(E2내지 E5)을 발광되어 플레이어가 볼을 발광 영역으로 되받아 치도록 촉구하여, 발광 영역 상으로의 볼의 리턴(return)이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지될 때 발광하지 않는 영역으로 볼을 되받아 침으로써 얻어지는 득점보다 플레이어는 높은 득점을 얻을 수 있다. 볼을 발광 영역으로만 되받이 칠 때 플레이어에게 득점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된다.
볼 발사부(20)는 거의 그 전체가 케이싱(casing; 200)내에 수납되는 상태로 코트(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볼 발사부(20)는 그의 한쪽 종단에서 탁구 볼을 발사하기 위한 볼 발사 실린더(21), 볼 발사 실린더(21)에 볼을 공급하기 위한 볼 공급 실린더(22), 볼을 볼 공급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볼 공급부(23), 볼 공급 실린더(22)로부터 볼을 한 번에 한 개씩 분배하기 위한 볼 분배 수단(24), 볼 발사실린더(21)로 분배된 볼에 대한 발사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 urging force)을 부여하기 위한 부세력-부여 수단(25), 볼 발사 실린더(21)를 그의 축 주위로 회전시켜 볼의 발사 형태(이를테면 커브구, 직구 등)를 변화시키는 회전 수단(26), 탁구대(10)의 측 방향으로 볼 발사 실린더(21)를 회전시켜 볼의 발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요동(oscillating) 기구부(27) 및 볼의 각도를 상승 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각도 변경 수단(28)를 구비하고 있다.
볼 발사 실린더(21)는 횡장(oblong) 창부(201)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발사구 (211)와 약간 대각선적으로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부세력 부여 수단 (25)에 의해 부세된 볼을 발사구(211)로부터 코드(12)로 발사한다. 추가로, 이후 설명될 한 쌍의 롤러(roller; 251 및 252)가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는 컷아웃 (cutout; 212 및 213)이 볼 발사 실린더(21)의 중간 부분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 공급 실린더(22)는 케이싱(200) 내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부(221)와 수직부(222)로 구성된 L자 형상을 가지며, 수평부(221)는 볼 베어링(223)을 통해 볼 발사 실린더(21)의 후단 외주에 조립되어 있다. 이는 볼 발사 실린더(21)가 그 축 주위로 회전하게 한다. 추가로, 개구부(224)가 이후 설명될 볼 분배수단(24)의 판 캠(plate cam; 241)이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는 수직부(222)의 하단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볼 공급부(23)가 볼 발사부(20) 위에 배치되어 있고, 이 볼 발사부는 이후 설명될 이동 기구부(9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케이싱(200) 내의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볼 공급부(23)는 복수의 볼을 수납하기 위한 볼 호퍼 (hopper; 231)와, 호퍼(231)의 저부에 형성된 공급구(232)와 볼 공급 실린더(22)의 수직부에 연결된 플렉시블(flexible) 관(233)을 구비하고 있다. 호퍼(231)는 외부에 장착된 호퍼 내부 교반 모터(234) 및 예를 들어, 내부에 배치된 탄성을 가진 교반 바(235)로 구성된 볼 교반 수단(236)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 바(235)는 모터(234)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이로서 공급구(232)에서 볼(BL)의 혼잡(jam)이 방지된다.
볼 분배 수단(24)은 판 캠(241) 및 판 캠(24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판 캠 모터(242)로 구성되어 있다. 판 캠(241)은 볼 공급 실린더(22)의 후방 위치에서 판 캠 모터(242)의 수직 회전축(242a)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판 캠(241)은 소직경부(M)과 직경이 회전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캠 부(N)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직경부(M)은 볼 공급 실린더(22)로 진입되지 않도록하는 직경을 가지며, 소직경부 (M)에 인접한 캠 부(N)의 일 측은 소직경 크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측은 적어도 한 개의 탁구볼 크기의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판 캠(241)의 방향은 설명상의 이유로 도 3 및 4에 역으로 되어 있다.
판 캠 모터(242)는 수직부(222)의 저면에 고정된 모터 장착판(222b)에 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판 캠 모터(242)는 회전하여 도 4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판 캠(241)을 1 회전시키며, 이로서 수직부(222)의 하단으로 공급된 볼을 1회에 한 개씩 수평부(221)로 분배한다. 즉, 판 캠(241)의 소직경부(M)가 볼 공급 실린더(22)에 대향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회전하기 사작할 때, 수직부(222)의 하단으로 공급된 볼이 캠 부(N)에 접촉되고 수평부(221)로 분배된다.
직립 위치의 차폐판(241b)은 회전축(242a)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판 캠(241)상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로 구성된 판 캠 센서(243)가 판 캠(241) 위에 설치된 센서 장착판(222c)에 고정되어 있다. 판 캠 센서(243)에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41b)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차폐판(241b)이 판 캠 센서(243)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판 캠(241)의 초기 위치가 검측되게 하며, 그 결과 판 캠(241)의 회전수는 초기 위치가 검측될 때마다 카운트된다.
부세력 부여 수단(25)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롤러(251 및 252), 및 롤러(251 및 252)를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 모터((253 및 254; DC 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롤러(251 및 252)는 금속 부재(251a 및 252a)의 외주상에 고무 부재(251b 및 252b)를 배치함으로서 구성되고, 컷아웃(212 및 213)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다. 롤러 모터(253 및 254)는 모터 장착판(214 및 21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볼 발사 실린더(21)가 롤러 모터(253 및 254)와 함께 그의 축 주위를 회전할 때 롤러(251 및 252)는 양측으로부터 볼(BL)을 샌드위칭하는 화살표를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BL)에 발사 방향(전방 방향)으로 부세력을 부여한다. 롤러(251 및 252)는 그의 주위 속도에 따라 볼에 발사 속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주변 속도에 차이를 부여하기 때문에 볼 발사 실린더(21)로부터 발사된 볼에 스핀(spin)을 부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롤러(251)의 주변 속도가 롤러(252)의 주변 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될 때 볼에 톱 스핀(top spin; 드라이브)이 볼에 부가될 수 있다. 반대로, 롤러(252)의 주변 속도가 롤러(251)의 주변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될 때 백 스핀이 볼에 부가될 수 있다. 추가로, 롤러(251 및 252)의 주변 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회전력이 볼에 거의 부가되지 못하며, 소위 너클(knuckle) 볼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볼 발사 실린더(21)가 그 축 주위로 회전하고 롤러(251 및 252)가 경사진 상태에서 주변 속도의 차이가 롤러(251 및 252)에 부여된다면, 사이드 스핀이 가해진 볼을 얻을 수 있다.
회전 수단(26)은 볼 발사 실린더(21)의 후방단 외주에 부착된 종동 기어 (261; follower gear), 종동 기어(261)와 맞물린 구동 기어(262) 및 구동 기어 (26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발사 실린더 모터(263)를 포함한다. 모터(263)는 볼 공급 실린더(22)의 수평부(221)에 부착된 모터 설치판(221a)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63)는 정방향과 역방향 모두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 발사 실린더(21)는 그의 축 주위로 회전한다.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차폐판(262a)은 구동 기어(26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센서 장착판(221b)은 모터 장착판(221a)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회전 센서(264)는 센서 장착판(221b)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센서 (264)에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62a)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차폐판(262a)이 회전 센서(264)의 발광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그 축 주변에서 볼 발사 실린더(21)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롤러(251)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태는 볼 발사 실린더(21)의 초기 위치로 간주된다. 이 실시예에서, 볼 발사 실린더(21)는 45°범위 내에서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 모두로 회전한다.
요동 기구부(27)는 베이스(91; 도 5참조)에 고정된 실린더형 지주(strut; 271), 수평부(221)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고 볼 베어링(272)을 통해 지주(271)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273), 회전축(273)의 상부에 고정된 종동 기어(274), 종동 기어에 치합된 구동 기어(275) 및 이 구동 기어(275)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발사부 요동 모터(276)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276)는 볼 공급 실린더(22)의 수직부(222)에 부착된 모터 장착판(221c)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76)는 정방향 및 역방향 모두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 발사부(20)는 회전축(273) 주위로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볼 발사부(20)가 횡방향으로 위치할 때 직구가 발사될 수 있으며, 볼 발사부(20)가 경사 위치로 위치할 때 탁구대(10)의 양쪽 코너를 목표로 한 볼이 발사될 수 있다. 즉, 볼은 요동 기구부(27)에 의해 직선 방향에 더하여 교차(crosswise)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다.
한 종단이 상방으로 향해 있는 차폐판(273a)이 회전축(273)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 장착판(271a)은 지주(271)의 하단 전방 외주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회전 센서(277)는 센서 장착판(271a)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센서(277)에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73a)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273a)이 회전 센서(277)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회전축(273) 주위의 회전 방향으로 볼 발사부(20)의 초기 위치를 검측하게 한다. 탁구대(10)의 종방향에 따른직선 방향은 볼 발사부(20)의 초기 위치로서 간주된다.
센서 장착판(271b)은 지주(271)의 하단 후방 외주에 부착되어 있고,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요동 각도 센서(278)는 센서 장착판(271b)에 부착되어 있다. 요동 각도 센서(278)의 회전축체(277a)는 요동 기구부(27)의 회전축(273)에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 발사부(20)의 요동 각도는 회전축(273)의 회전량에 따라 센서(278)로부터 출력된 전압치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결과 볼 발사부(20)의 요동 각도는 그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각도 변경 수단(28)는 발사구(21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되게 부착된 가이드 판(281) 및 발사구(211)로부터 발사된 볼의 경로를 차단하는 방향(즉, 발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판(28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 판 모터(282)를 구비하고 있다. 볼 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로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판(281)의 베이스 양단이 발사구(211)의 인접 종단의 외주의 대향 위치에 축지(journaled)되어 있다. 즉, 한 베이스 종단이 돌기(211a)에 의해 축지되며, 다른 베이스 종단이 발사구(211)의 외주의 적당한 위치에 들어맞는 모터 장착판(211b)에 고정된 가이드판 모터(282)의 회전축(282a)에 의해 축지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볼 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에 초기 위치에 있을때, 가이드판 모터(282)가 일정량으로 회전하여 가이드판(281)을 회전시키고, 이로서 볼의 발사 방향이 상방 대각으로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즉, 볼의 발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발사구(211)에서 볼은 가이드판(281)에 접촉되어 상방으로 향하게 되며, 따라서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포물선 형태는 가이드판(281)의 회전량(상승 각도)과 볼 발사 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각도 제어판(283)은 볼 발사 실린더(21)의 축 방향에 따라 가이드판(281)의 대향측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빠른 볼의 발사 각도가 가이판 판(281)에 의해 크게 변경될 때, 볼은 각도 제어판(283)과 접촉되어 포물선의 형상이 제어될 수 있으며 볼이 코트(12)를 넘어가는 것을 어렵게 한다.
차폐판(281a)은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가이드판(281)의 베이스 종단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센서 장착판(211c)은 발사구(211) 근방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가이드판 센서(284)는 센서 장착판(211c)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판 센서(284)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81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281a)이 가이드판 센서(284)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가이드 판(281)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볼 발사 실린더(21)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은 가이드 판(281)의 초기 위치로 간주된다.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발사 각도 센서(285)는 센서 장착판(211c)에 부착되어 있고, 센서(285)의 회전축체(285a)가 돌기(211a)에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281)의 돌기(281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이드판(281)의 회전량은 센서(285)로부터 출력된 전압치에 의해 검출되어, 볼 발사 각도는 그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이제 이동 기구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부(90)는 베이스(91)의 저부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92a 및 92b), 케이싱(200; 도 1 참조)내에 고정된 탁구대(10)상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92a 및 92b)가 미끄러지는 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93), 가이드 레일 (93)의 좌측 및 우측 단부 양쪽 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pulley; 94a 및 94b), 풀리(94a 및 94b) 위에 걸쳐져 있고 가이드 부재(92a 및 92b)가 부착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95) 및 풀리(94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9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수단(96)은 발사부 이동 모터(96a; AC 서보(servo) 모터), 모터 (96a)의 회전축(96b)에 맞춰진 풀리(96c) 및 풀리(96c 및 94a)위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96d)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판(91a)은 하방으로 펼쳐지도록 베이스(91)의 후방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중앙 베이스 센서(97)는 가이드 레일(9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센서 장착판(93a)에 고정되어 있다. 중앙 베이스 센서(97)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93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91a)이 센서(97)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베이스(91)의 초기 위치, 즉 횡방향에서 볼 발사부(20)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탁구대(20)의 횡방향에서 중앙 위치는 볼 발사부(20)의 초기 위치로서 간주되며, 볼 발사부(20)의 횡방향 이동은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좌측 베이스 센서(98)와 우측 베이스 센서(99)는 센서 설치판(93b 및 93c)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좌측 베이스 센서(98)는 가이드 레일(93)의 중앙부 좌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우측 베이스 센서(99)는 가이드 레일(93)의 중앙부 우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플레이어의 시점에서). 좌측 및 우측 베이스 센서 (98 및 99) 각각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가 차폐판(91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91a)이 좌측 베이스 센서(98) 또는 우측 베이스 센서(99)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베이스(91)의 횡방향 이동 범위, 즉 볼 발사부(20)의 횡방향 이동 한계 위치를 검출되게 하여 볼 발사부(20)가 한계 위치를 넘지 않는다.
볼 회수부(30)는 플레이어가 치지 못하여, 플로어에 떨어진 볼, 탁구대(10)의 양쪽 사이드 에지(소위 사이드 라인의 측면)에서 플로어에 떨어진 볼 및 후방 에지(소위 엔드 라인의 측면)에서 떨어진 볼을 볼 발사부(20)로 회수하고, 플레이어의 발에 의해 찌그러지고 변형된 불량 볼을 불량 볼 회수 박스(334)로 선별한다. 볼 회수부(30)의 구조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과 관련하여, 볼 회수부(30)는 플로어 회수부(31), 탁구대(10)의 좌측 사이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좌측 회수부(32), 탁구대(10)의 엔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후방 회수부(33), 탁구대(10)의 우측 사이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우측 회수부(34), 케이싱(200)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방향 회수부(35), 케이싱(200)에서 종방향 회수부(35)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횡방향 회수부(36), 플로어 회수부 (31)에 의해 회수된 볼을 상승시키고 좌측 회수부(32)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급상 수단(37) 및 횡방향 회수부(36)로 이동된 볼을 상승시키고 호퍼(231)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급상 수단(38)을 구비하고있다.
플로어 회수부(31)는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플로어 회수부(31)는 플레이(play)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탁구대(10)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플로어부(311), 제 1 플로어부(311)의 탁구대(10)의 측면상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제 2 플로어부(312) 및 제 2 플로어부(312)의 중앙에 형성된 볼 집합부(31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플로어부(312)는 볼 집합부(313)의 각 측면상에 좌측 플로어부(312a)와 우측 플로어부(312b)로 분리되며, 양쪽 플로어부(312a 및 312b)는 볼 집합부(313)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볼 집합부 (313)는 코트(14)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은 제 1 플로어부(311) 위에 낙하되고, 제 1 및 제 2 플로어부(311 및 312)를 굴러서, 볼 집합부(313)에 회수된다. 추가로, 볼 집합부 (313)에 회수된 볼은 볼급상 수단(37)에 의해 이후 설명될 실린더 내에 상방으로 이동하며, 좌측 회수부(32)로 이동한다. 정상의 구형 볼에 더하여, 볼 집합부(313)로 구른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 볼은 볼급상 수단(37)에 의해 좌측 회수부(32)로 이동한다.
좌측 회수부(32)는 탁구대(10)보다 낮은 높이로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고 후방 회수부(33)로 하방 경사진 복수(도면에서 5개)의 레일(321) 및 후방 회수부(33)로 하방 경사진 레일(321)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 단면이 대략 C 형태인 수용판(32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21)은 볼 직경 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를 구를 수 있으며, 이에 비해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되어 선별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정상적인 볼은 인접 레일(321)에서 굴러 후방 회수부(33)로 이동하며, 플로어 회수부(31)에 의해 회수된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되어 수용판(322)에서 구르고(또는 구르지 않는 볼은 이어서 낙하된 볼에 의해 부딪히며), 다음에 설명될 수용판(332)으로 이동한다. 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321)과 수용판(322)은 그의 단부가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21)과 수용판(33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 회수부(33)는 탁구대(10)보다 낮은 높이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코트(14)의 우측으로 하방 경사진 복수(도면에서 5개)의 레일(331), 그 우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레일(331) 아래 배치되어 있는 수용판(332), 레일(331)의 우측 에지 아래 배치된 정상 볼 중계(relay) 박스(333) 및 수용판(332)의 우측 에지 아래 배치된 불량 볼 회수 박스(334)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321)과 유사하게, 레일(331)은 볼 직경 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 볼은 인접 레일(331) 사이에 구를 수 있으며, 이에 비해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3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32) 상으로 낙하되어 선별된다. 정상 볼 중계 박스(333)는 케이싱(200)으로 개방되어 있고, 케이싱(200)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함몰된 불량 볼이 플로어 회수부(31)에서 회수되었기 때문에, 그들 중 대부분은 좌측 회수부(32)의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된다. 그러나, 레일(321) 상의 볼이 전동 축(rolling axe)으로서 그의 동일 부분을 이용하여 레일(321) 상에서 구르기 때문에, 전동 축에 교차하는 볼의 부분이 함몰되어 있을 때,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은 불량 볼에 관해, 후방 회수부(33)가 좌측 회수부(32)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서 전동 축이 레일(321)에 직각으로 변경되며 함몰된 부분이 레일(321) 사이에 대향되어 불량 볼이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된다.
이것은 정상 볼을 레일(321 및 331)을 통하여 정상 볼 중계 박스(333)로 전달되게 하며, 함몰된 불량 볼을 레일(321 또는 331)에서 수용판(322 또는 332) 상으로 낙하되게 하여 불량 볼 회수 박스(334)로 전달되게 한다.
우측 회수부(34)는 탁구대(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후방 회수부(33)와 탁구대(10)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판(341)을 구비하고 있다. 판(341)의 후방 에지부는 정상 볼 중계 박스(333) 상에 돌출되어 있다.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정상 볼이 대개 우측 회수부(34)에 의해 회수될 수 있으므로, 볼은 판(341) 상에서 구르며 잠시 동안 정상 볼 중계박스(333)로 전달된다.
종방향 회수부(35)는 그 후방으로 하방 경사지게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도면에서, 4개)의 레일(351) 및 전방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레일(351) 아래 배치된 수용판(35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51)의 간격은 레일(321 및 331)의 간격과 유사하게 설정되어 있다. 정상 볼은 레일(351) 상에서 후방으로 구르며, 반면에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5)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52) 상으로 낙하된다.
수용판(352)의 전단부는 불량 볼 회수 박스(334) 위에 위치한다. 거의 모든함몰된 불량볼이 플로어 회수부(31)에 의해 회수되므로, 이들은 후방 회수부(33)를 통과할 때 불량볼 회수 박스(334)에 회수된다. 그러나, 레일(331)상에 불량볼의 함몰부 방향의 영향 때문에 후방 회수부(33)의 인접한 레일(33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은 볼은 함몰부의 방향 변경에 의해 인접한 레일(35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될 것이다.
이것은 정상 볼을 인접한 레일(351) 상에 구르게 하고 횡방향 회수부(36)로 이동되게 하며, 함몰된 볼을 인접한 레일(35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시키고 불량 볼 회수 박스(334)에 회수되게 한다. 볼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레일(351)과 수용판(352)은 그 단부가 횡방향 회수부(36)의 레일(361)과 수용판 (36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방향 회수부(36)는 그 좌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도면에서 4개)의 레일(361) 및 그의 우측으로 하방 경사지게 레일(361) 아래 에 배치된 수용판(36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61)의 간격은 레일(351)의 간격과 유사하게 설정되며, 정상 볼은 레일(361) 상에 좌측으로 구르는 반면에 함몰된 불량볼은 인접한 레일(36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62) 상으로 낙하된다. 이것은 볼이 우측 회수부(34)에서 회수되어 종방향 회수부(35)와 횡방향 회수부(36)로 유도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된다. 우측 회수부(34)로부터 회수된 볼이 좌측 회수부(32)와 후방 회수부(33)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우측 회수부(34)로부터의 불량 볼이 종방향 회수부(35)와 횡방향 회수부(36) 내에서 선별된다.
레일(321, 331, 351 및 361)은 볼 선별부로 구성되며, 수용판(322, 332, 352및 362)은 변형 볼 운반부로 구성한다. 이에 더하여, 레일(321과 351)은 제 1 볼 선별부로 구성하며, 레일(331 및 361)은 제 2 볼 선별부로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관련하여, 볼급상 수단(37)은 기판(371)상에 고정되고 볼집합부(313)의 후방 에지에 연속 설치된 평판형의 제 1 가이드판(372), 제 1 가이드판(372)에 연속 설치된 만곡형의 제 2 가이드 판(373), 제 2 가이드 판(373)의 후방 에지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 연결 실린더(375)에 의해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상부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 제 1 가이드판(372)의 후방단에서 볼 혼잡을 방지하기 위한 볼교반 수단(377), 및 제 2 가이드판(373)에 공급된 볼을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378)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이드 판(372)은 제 2 가이드 판(373)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축(377e) 아래의 볼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후 설명될 축(377e)에 대향 위치에 형성된 횡장형 컷아웃(372a; cutout)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가이드판(372)은 그의 후단 양쪽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372c 및 372b)가 있어 볼을 한 번에 한 개씩 통과시키기 위한 좁은 볼 출구(372b)를 형성한다.
제 2 가이드 판(372)은 제 1 가이드 판(372)에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로 구른 볼을 유도한다. 스폰지와 같은 큐션 부재(373a)는 점착 등에 의해 제 2 가이드판(373)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볼교반 수단(377)은 그 양쪽 측면에 배치된 베이링(377a 및 37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플렉서블 교반 로드(377c 및 377d)가 대략 한 개 볼간격으로 역위상 위치로 교대로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377e) 및 이 샤프트(377e)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377f)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수단(377f)은 샤프트(377e)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기어(377g), 이후 기술할 샤프트(378c)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기어(378e) 및 기어(377g 및 378e) 위에 걸쳐진 체인(377h)으로 구성되며, 이후 기술할 교반/공급 모터(379)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샤프트(377e)는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며, 제 1 가이드 판(372)의 출구(372b) 근처에 모인 복수의 볼들은 출구 (372b) 근처의 볼 혼잡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교반 로드(377c 및 377d)에 의해 교반한다.
공급 수단(378)은 그 양쪽 측면에 배치된 베어링(378a 및 37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2 가이드판(373) 위에 그리고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전방(도 11에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378c),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대향 위치에 설치된 공급 롤러(378d) 및 샤프트(378c)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교반/공급 모터(379)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379)는 모터 설치판(379a)에 고정되어 있다. 공급 롤러(378d)는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롤러(378d)와 제 2 가이드 판(373)의 만곡면에 결합된 큐션 부재(373a) 사이의 거리가 볼 직경 보다 약간 짧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샤프트(378c)가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롤러(378d)를 회전시킬 때, 볼이 공급 롤러(378d)와 쿠션 부재(373a)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에 공급된다. 종방향이송 실린더(374)에 공급된 볼이 이어서 공급된 볼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지고,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에 전달된다.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에 전달된 볼은 좌측 회수부(32)로 이송된다.
센서 설치판(370a)은 모터 설치판(379a)에 부착되어 있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진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제 1 모터 회전 센서(370)가 센서 설치판 (370a)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379)의 회전축(379b)에 맞춰진 차폐판(379c)은 센서 (370)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하며, 이로서 모터(379)의 회전수가 카운트된다.
볼급상 수단(38)은 볼급상 수단(37)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될 것이다.
표시부(40)는 케이싱(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7-세그먼트(segment) 표시기로 구성된 점수 표시부(41) 및 도트-매트릭스 표시기로 구성된 화상 표시부 (42)를 구비하고 있다. 점수 표시부(41)는 설정된 수의 볼에 대한 잔류 볼 수를 표시하며, 볼을 볼 발사부(20)로부터 코트(14)로 되받아 침으로써 플레이어가 얻은 점수가 추가될 때마다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42)는 플레이를 시작하기 전 데모 화면, 플레이 중인 연출 화면, 플레이 종료시의 데모 화면, 하이 스코어(highscore) 등을 표시한다.
음성부(50)는 증폭기,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데모 화면의 표시 중에 그리고 플레이 중에 연출 음악과 효과음, 볼이 볼 발사부(20)로부터 발사될 때마다 볼발사음 및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코트(14)에 낙하될 때 효과음을 출력한다.
박스(6)는 네트 등으로 구성되며, 볼 발사부(20)에서 발사된 볼과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멀리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어를 위한 도어(61)가 박스(6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박스(70)는 탁구대(10)의 코트(12)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박스(60)의 내부와 외부에 가로 질러 위치한다. 박스(60) 내부에, 플레이 시작 전에 소정의 동전을 투입하는 동전 투입구(CE), 시작 버튼(SW1), 서로 다른 정도의 난이도가 있는 게임 모드(연습) 세 가지 형태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게임 모드 선택 버튼(SS;초급 코스 버튼(SS1), 중급 코스 버튼(SS2) 및 상급 코스 버튼 (SS3)) 및 두 명의 플레이어에 의해 게임할 수 있도록 한 코치 모드 선택 버튼(CS)이 설치되어 있다.
박스(60) 외부에, 시작 버튼(SW2) 및 볼 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코트(12)내의 볼의 낙하 영역(낙하 위치)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영역 선택 버튼(PS)이 설치되어 있다. 영역 선택 버튼(PS)은 코트(12)를 종방향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횡방향으로 분리된 총 6개 영역 중 한가지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튼(PS)은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6개 버튼(PS1, PS2, PS3, PS4, PS5및 PS6)으로 구성된다. 버튼 한 개를 누를 때, 예를 들어 볼 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스핀-적용 볼이 선택 영역 상에 낙하된다.
상기 구성에서, 플레이어가 단독으로 게임할 때, 동전을 동전 투입구(CE)에투입하고, 일정 게임 모드를 게임 모드 선택 버튼(SS)에 의해 선택한 다음, 시작 버튼(SW1)을 누름으로서, 게임이 시작된다. 플레이어가 코치를 모방하여 경쟁자와 게임할 때, 동전을 동전 투입구(CE)에 투입하고, 코치 모드 선택 버튼을 누른 다음, 시작 버튼(SW2)을 박스(60) 외부에서 대기하는 경쟁자가 누름으로서 게임이 시작된다. 볼 발사부(20)로부터 볼이 발사되기 전에, 경쟁자는 일정 버튼을 눌러 플레이어의 숙련도에 따라 볼의 낙하 영역을 적절히 선택한 다음, 플레이를 진행시킨다. 코치 모드 선택 버튼(CS)을 누른 때조차, 영역 선택 버튼(PS)을 누르지 않는다면 예비 설정 조건 하에서 볼이 발사된다.
볼 발사 형태 선택 버튼, 볼 속도 선택 버튼, 볼 발사 위치 선택 버튼, 볼 발사 각도 선택 버튼, 볼 발사 방향 선택 버튼 등이 설치될 수 있어 코치 모드를 선택할 때 이들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볼 발사 형태, 속도, 발사 위치 등이 볼을 발사할 때마다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12에 관련하여, 제어부(80)는 일정 연산과 제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CPU, 일정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82) 및 데이터를 임시 저정하기 위한 RAM(83)으로 구성된다. 탁구 장치의 전체 동작은 상기 설정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된다.
CPU(81)는 다음의 기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초급, 중급 및 상급 코스의 세가지 게임 모드 중에서 선택된 게임 모드 중 한가지에 따라 게임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게임 설정 수단(811), 점등 명령에 따라 냉음극관(181 내지 184)을 선택적으로 점등하기 위한 냉음극관 점등 수단(812), 볼이 코트(14)상에 낙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 1 판별 수단(813), 볼이 냉음극관 점등 영역 상에 낙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 2 판별 수단(814), 점멸 명령에 따라 냉음극관을 선택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냉음극관 점멸수단(815), 제 1 및 제 2 판별 수단 (813 및 814)의 판별 결과에 따라 현 득점 이전에 바로 얻어지는 득점에 현 득점을 가산하기 위한 득점 가산 수단(816), 득점이 가산될 때 점수 표시부(41)를 점멸하기 위한 점수 표시부 점멸 수단(817), 설정 명령에 따라 볼 발사부(20)로부터 볼 발사 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볼형태 설정 수단(818), 볼 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볼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속도 설정 수단(819), 볼 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발사 위치 설정 수단(820), 볼 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발사 각도 설정 수단(821), 볼 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발사 방향 설정 수단(822), 코치 모드를 선택할 때 영역 선택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낙하 영역으로 볼이 발사되도록 볼의 발사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발사 조건 설정 수단(823) 및 코트(14) 상에 바운드된 볼의 제 2 낙하에 대해 득점 가산을 금지하기 위한 바운드 볼 가산 금지 수단(824).
이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탁구 장치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각 부재의 초기화 동작을 도 13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를 켤 때, 베이스 판은 CPU 등과 같은 부재가 정상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검사하며(단계 S1), 그후 부재들을 초기화한다(단계 S3).그후, 볼 발사부 이동 모터(296a)를 회전 구동하여 볼 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단계 S5),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볼 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예(Yes)"이면, 모터(296a)의 회전은 정지된다. "아니오(no)"이면, 볼 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1). 단계 S11에서 "예"이면, 볼 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고(단계 S13), 그후, 과정을 단계 S7로 복귀한다. 단계 S13에서 "아니오"면, 볼 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중앙으로 이동하는지를 판정하고, 과정을 단계 S7로 복귀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그후, 횡방향에서 볼 발사부(20)의 요동 각도를 설정하고(단계 S15) 볼 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요동 각도와 요동 센서(277)에 대해 비정상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고(단계 S17), 단계 S17에서 "예"일 때 발사구(211)의 발사 각도를 설정한다(단계 S19). 그후, 발사구(211)의 가이드 판(281)을 설정된 발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고, 가이드 판 센서(283)와 발사 각도 센서 (285)에 대해 비정상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단계 S21에서 "예"이면, 점수 표시부(41), 화상 표시부(42) 및 전광 램프(도시되지 않음) 등을 초기화하고 이어서 냉음극관(181 내지 184)을 초기화한다(단계 S25). 단계 S17과 단계 S21에서 "아니오"이면, 에러(error) 처리(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42)상에 비정상 부분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27 및 단계 S29).
이제 도 14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참고하여 게임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은 부재들의 초기화 동작에서 비정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1). "예"이면, 플레이를 시작하기 전에 데모 화면을 화상 표시부(42)상에 표시한다(단계 S33). 그후, 동전 투입구(CE)에 동전이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5). "예"이면, 게임 변수(남아 있는 볼 수, 발사 각도, 등)를 초기화 한다(단계 S37).
그후, 초급, 중급 및 상급 코스 중에서 일정 게임 코스가 선택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9). "예"이면, 게임 코스에 따른 게임 내용을 설정한다(단계 S41). 단계 S31에서 "아니오"이면, 에러 처리(화상 표시부(42)상에 비정상 부분의 표시와 같음)를 수행하여(단계 S43) 게임이 시작될 수 없게 한다. 추가로, 단계 S39에서 "아니오"이면, 게임 코스가 선택될 때까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게임 내용이 단계 S41에서 설정될 때, 볼 회수부(30)의 볼급상 수단(37 및 38)을 동작시키고(단계 S45), 볼 공급부(23)의 볼 교반 수단(236)을 동작시키고(단계 S47), 냉음극관(181 내지 184)의 일정 발광색 냉음극관을 볼 발사 전에 즉시 점등한다(단계 S49). 그후, 볼 발사부(20)로부터 코트(12)로 볼을 발사하고(단계 S51),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를 검출하여 득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3). 그후, 판 캠 센서(243)의 카운트 값에 의해 볼 발사부(20)로부터 규정된 수의 볼이 발사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5). "예"이면, 과정을 단계 S45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제 도 14에 도시한 단계 S45, S47, S49, S51, S53 및 S57에서 동작을 도 15 내지 20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이 순서로 설명한다. 이들 동작은 일정 사이클, 예를 들어, 1/60 초로 반복하여 수행되지만, 도 15 내지 20의 플로우 챠트는설명 상의 이유로 이들 동작에 집중한다.
볼 급상 수단(37과 38)의 동작이 도 15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우선 설명될 것이다. 볼 급상 수단(37)의 동작이 볼 급상 수단(38)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볼급상 수단(3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우선, 교반/공급 모터(379)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고(단계 S71), 모터가 1회 회전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3). "예"이면, 회전수를 계산하고(단계 S75), 회전 타이머를 계속하여 계산한다(단계 S77).
그후,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9). "예"이면, 모터(379)의 회전수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1). 단계 S81에서 "예"이면, 에러 카운트를 클리어(clear)한다(단계 S83). 즉, 볼 교반부(377)의 근처에서 볼 혼잡이 발생되지 않고 모터(379)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 단계 S71 내지 S83의 동작을 게임 진행 중에 반복하여 수행한다. 단계 S73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7로 진행한다. 단계 S7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3으로 복귀하고,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될 때가지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단계 S81에서 "아니오"이면, 즉, 볼 교반부(377)의 근처에서 볼 혼잡이 발생되고 모터(379)가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않을 때, 모터(379)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시키고(단계 S85),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업(count-up) 한다(단계 S87).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9). "예"이면,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단계S91). 즉,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볼 교반부(377)의 근처에 발생된 볼 혼잡을 제거한다. 단계 S8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87로 복귀하며,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될 때까지 판정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단계 S91에서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정지 타이머는 클리어 (clear)되며, 반면에 회전 타이머는 카운트-업된다(단계 S93). 연속적으로,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95). "예"이면, 모터(379)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하고(단계 S97),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99).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1). "예"이면, 에러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103). 단계 S101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99로 진행되고,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될 때까지 판정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연속하여, 에러 카운트가 규정 수(예를 들어, 3)에 도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5).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1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볼 혼잡을 제거할 때, 단계 S71 내지 단계 S83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규정 회수(예를 들어, 3회)에 대해 단계 S85 내지 S103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볼 혼잡이 제거되지 않을 때, 단계 S105에서 판정은 "예"이며 에러 처리(예를 들어, 화상 표시부(42)상에 볼 혼합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107). 이 경우에,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 볼 발사부(20)로부터 볼이 발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볼이 발사되지 않을 때 게임의 진행이 종료된다.
도 4의 단계 47에 도시한 볼 공급부(23)의 볼 교반 수단(236)의 동작을 도16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호퍼 내 교반 모터(234)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단계 S121). 그후, 회전 타이머를 카운트 업하고(단계 S123), 그후,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25). "예"이면, 모터(234)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하고(단계 S127),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129).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31). "예"이면, 과정을 단계 S121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동작시킨다. 단계 S125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은 단계 S123으로 복귀하여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까지 판정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추가로, 단계 S131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129로 복귀하여 카운트가 규정 수에 도달될 때까지 판정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4에 도시한 단계 S49에서 냉음극관(181 내지 184)의 점등 동작을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게임 코스, 득점 및 남아 있는 볼 수에 따라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41). 즉, 낮은 난이도의 게임 코스(예를 들어, 초급 코스와 중급 코스)를 선택할 때, 코트(14)의 복수 영역(E2내지 E5)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쉽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고난이도의 게임 코스(예를 들어, 상급 코스)를 선택할 때, 코트(14)의 영역(E2내지 E5) 한 곳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어렵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저난이도의 게임 코스가선택된 때조차, 득점이 일정 치를 초과하거나 남아 있는 볼 수가 일정치 이하로 감소될 때, 코트(14)의 영역(E2내지 E5) 중 한 곳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어렵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그후, 볼 발사부(20)로부터 볼 발사 전에, 난이도가 낮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43). "예"이면, 좌측(또는 우측)의 두 개의 영역(E3 및 E5;또는 E2 및 E4)의 냉음극관(182 및 184; 또는 181 및 183)을 동시에 점등한다. "아니오"(즉, 난이도가 높을 때)이면, E2내지 E5의 네 개 영역 중 한 곳에 냉음극관(181, 182, 183 또는 184)을 점등한다(단계 147).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1에서 볼 발사부(20)의 볼 발사 동작을 도 18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규정된 수의 볼의 발사가 완료됐는지 않은지를 판정한다(단계 S161). "예"이면, 게임의 난이도(이는 선택된 게임 코스, 현재 득점 및 남아 있는 볼의 현재수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형태와 속도를 결정한다(단계 S163). 즉, 난이도가 높을 때, 볼 발사 형태, 스핀 적용 방식 등을 자주 변경시키고, 발사 속도를 증가시킨다. 난이도가 낮을 때, 볼 발사 형태, 스핀 적용 방식 등을 그렇게 자주 바꾸지 않고, 발사 속도를 감소시킨다. 단계 S161에서 "아니오"이면, 동작을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3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위치를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5). 즉, 게임의 난이도가 높을 때, 코트(14)에서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에 따라 볼 발사부(20)를 코트(14)의 후방 단부상에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볼이 코트(14)의 우측 두 번째 영역(E2) 또는 네 번째 영역(E4)상에 낙하될 때, 한 쌍의 마이크로폰(192 및 193 또는 196 및 197)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의해 두 번째 영역(E2) 또는 네 번째 영역(E4)상에 볼의 낙하가 판정되고, 볼 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우측 반부상에 중앙 위치 또는 우측 단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추가로, 볼이 코트(14)의 좌측 세 번째 영역(E3) 또는 다섯 번째 영역(E5)상에 낙하될 때, 세 번째 영역(E3) 또는 다섯 번째 영역(E5)상에 볼의 낙하를 한 쌍의 마이크로폰(194 및 195 또는 198 및 199)으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의해 판정하고, 볼 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좌측 반부상에서 중앙 위치 또는 좌측 단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볼 발사부(20)의 이동은 발사부 이동 모터(96a)에 공급된 펄스 수에 의해 제어된다.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볼 발사부(20)는 플레이어가 코트(14)상에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에 관계없이 탁구대(10)의 중앙 위치, 좌측 단부 위치 또는 우측 단부 위치에 고정된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각도를 게임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7). 즉, 게임 난이도가 높을 때, 발사 각도를 자주 바꾸거나,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 발사 비율을 감소시키고, 낮은 볼 발사 비율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발사 각도를 자주 바꾸지 않거나,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볼 발사 비율을 증가시키고, 낮은 볼 발사 비율을 감소시킨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방향(직선 방향 또는 크로스 방향)을 게임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9). 즉, 게임 난이도가 높을 때, 발사 방향을 자주 바꾸고, 반면에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발사 방향을 그렇게 자주 바꾸지 않는다.
그후, 부세력-부여 수단(25)의 롤러 모터(253 및 254)의 회전수를 PWM 제어(펄스폭 변조 제어)에 의해 신속히 변경하고, 회전 수단(26)의 발사 실린더 회전 모터(263)를 일정 펄스수의 공급 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이로서 볼 발사부(20)를 정방향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며, 볼 발사 형태와 볼 속도를 단계 S163에서 결정된 형태와 속도로 설정된다(단계 S171). 추가로, 발사부 이동 모터 (96a)를 일정수의 펄스의 공급 전압에 의해 구동시키고, 이로서 볼 발사부(20)는 일정한 좌측 또는 우측 위치로 이동되고, 볼 발사 위치는 단계S163에서 결정된 위치로 설정된다(단계 S173). 단계 S163 및 S171에서 볼 발사 형태는 부세력-부여 수단(25) 및 회전 수단(26)에 의해 볼 상에 스핀 적용 방식에 의해 변경되는 형태를 뜻한다. 그러나, 부세력-부여 수단(25)에 의해 변경된 볼 속도 및 각도 변경 수단 (28)에 의해 생성된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은 볼 발사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센서(285)로부터 출력된 전압치가 일정 치에 도달될 때까지 가이드판 모터(282)를 구동하고, 이로서 가이드 판(281)은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볼 발사 각도를 단계 S167에서 결정된 각도로 설정된다(단계 S175). 또한, 요동 각도 센서(278)로부터 출력된 전압치가 일정 치에 도달될 때까지 발사부 요동 모터(276)를 구동하고, 이로서 볼 발사부(2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고, 볼발사 방향은 단계 S169에서 결정된 방향으로 설정된다(단계 S177).
컨트롤 박스(70)의 코치 모드 선택 스위치(CS)를 켤 때, 단계 S163 내지 S169의 동작은 컨트롤 박스(70)에 설치된 영역 선택 스위치(PS1내지 PS6) 중 어느 하나를 킴으로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추가로, 코치 모드 선택 스위치 (CS)가 켜질지라도 영역 선택 스위치를 켜지 않을 때 프로그램된 조건 하에 볼을 발사한다.
그후, 볼 발사 타이밍(예를 들어, 2초당 1회 발사)이 도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79). "예"이면, 판 캠 모터(242)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판캠(241)이 회전한다. 단계 S179에서 "아니오"이면, 발사 타이밍이 도래할 때까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후, 판 캠(241)이 1회 회전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83). "예"이면, 발사음(예를 들어, 볼을 라켓으로 칠 때 발생된 효과음)을 생성한다(단계 S185). 그후, 판 캠 모터(242)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이에 따라 판 캠(241)의 회전이 정지된다(단계 S187). 단계 S183에서 "아니오"이면, 판 캠(241)이 회전하기 시작한 이래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89). "예"이면, 에러 처리(예를 들어, 볼 혼잡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191). 단계 S18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은 단계 S183으로 복귀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된다.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3에서 볼 낙하 위치의 검출, 및 득점 처리를 도 19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볼이 볼 발사부(20)로부터 발사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1). "예"이면, 마이크로폰(190 내지 199)로부터 출력된 최종 검출 신호가 클리어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3). "예"이면,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코트(14)상에 낙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5). 단계 S223에서 "아니오"이면, 상기 검출 신호가 클리어할 때까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며, 판정 중에 마이크로폰 (190 내지 199)으로부터 다음 신호가 출력될 때조차, 그 신호를 무시한다.
즉, 단계 S221에서 "예"일 때, 플래그(flag)를 세우고, 플래그를 세우는 동안, 볼이 코트(14)에 낙하되는 때에만 출력되는 마이크로폰(190 내지 199)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한편, 검출 신호를 일단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을 때, 상기 플래그를 내리며, 볼이 바운딩에 의해 코트(14) 상에 다시 낙하되고 검출 신호가 출력될 때조차, 신호를 무시하고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그러나, 미리 발사된 볼을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되받아 쳐서 다음 볼의 발사 직전에 코트(14)상에 낙하되고, 바운드되어 다음 볼의 발사 직후 코트(14) 상에 낙하될 때, 득점이 미리 발사된 볼의 바운드에 의해 이중으로 가산되며, 다음 볼에 의해 득점이 가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첫 번째 바운드에 의해 출력된 검출 신호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0.5초)동안 대기되고, 대기 시간 중에 다음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때조차, 신호를 무시하고, 이로서 득점이 이중으로 가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볼 ⓛ을볼 발사부(20)로부터 시간 t1에 발사하고 플래그(F)를 세우며, 두 번째 볼 ②을 시간 t2, 예를 들어 2초 후에 발사하고 플래그(F)를 세운다. 이 경우에, 코트(14) 상에 되돌아 온 첫 번째 볼 ⓛ이 두 번째 볼 ②의 발사 직전에 코트(14)상에 바운드될 때조차, 플래그(F)를 첫 번째 바운드 시간 t1a에 내려서, 후속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지 않는다.
그러나,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이 볼 ②의 발사 직전에 시간 t1b에서 코트(14) 상에 바운드되고 볼 ②의 발사 직후 시간 t1c에서 다시 바운드되면, 플래그(F)를 바운드 직전에 시간 t1b에 볼 ⓛ의 발사에 의해 세우고, 플래그(F)를 두 번째 바운드 직전에 시간 t1c에 볼 ②의 발사에 의해 세운다. 따라서, 양쪽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이 경우에,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바운드 시간 t1b후 예를들어 0.5초 동안 검출 신호를 대기하고 게이트(gate)를 설치하여 이 시간 중에 새로운 검출 신호를 받지 않도록 하면, 볼 ⓛ의 첫 번째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되나, 두 번째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는 검출 신호의 대기 상태가 첫 번째 볼 ⓛ의 두 번째 바운드 시간 t1c후에 클리어될 때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되지 않는다.
볼 ②는 통상적으로 볼 ⓛ의 검출 신호가 클리어 한 후 시간 t2a에서 바운드되며, 이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된다. 상기 0.5초는 검출 신호를 대기하기 위한 시간의 일예이다. 시간은 바운드 시간의 최대치에 상응하는 시간 또는 약간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9로 돌아가서, 단계 S225에서 "아니오"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7). "예"이면, 과정은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5로 진행시킨다. "아니오"이면, 과정은 단계 S225로 복귀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판정은 반복하여 수행된다. 단계 S225에서 "예"이면,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냉음극관(181 내지 184)이 점등되는 영역(E2내지 E5)상에 낙하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9). "예"이면, 고득점(예를 들어, 2점)을 이전 득점에 가산하고, 득점을 표창하기 위한 음악과 같은 효과음을 일정 시간 출력한다(단계 S231). 이 실시예에서, 냉음극관의 점등 영역과 점등하지 않는 영역 사이의 경계에 볼이 낙하하는 것은 점등 영역 상의 낙하로 간주된다.
그후, 전광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볼이 낙하된 영역에서 냉음극관을 일정 시간 점멸하고, 반면에 다른 영역에서 모든 냉음극관을 일정 시간만 점등한다(단계 S223). 연속적으로, 점수 표시부(41)에 가산 점수를 표시하고 표시부(41)를 일정 시간 점멸하며, 이로서 점수 득점을 어필(appeal)한다(단계 S235).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7에서 게임 종료 처리를 도 20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볼 발사부(20)에서 모터, 즉 호퍼 내부 교반 모터(234), 롤러 모터(253 및 254), 발사 실린더 회전 모터(263), 발사 실린더 요동 모터(273), 가이드판 모터(282) 및 발사부 이동 모터(96a)의 회전을 정지시키고(단계 S261), 게임 종료에 관한 데모 화면을 화상 표시부(42)에 표시한다(단계 S263). 데모 화면은 고득점 갱신, 최종 득점 표시 등을 포함한다.
그후, 모터(96a)를 회전 구동시키고 볼 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중앙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단계 S265), 모터(282)를 회전 구동시키고 가이드 판 (281)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단계 S267), 추가로, 모터(276)을 회전 구동시키고 볼 발사부(20)를 요동 방향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단계 S269).
그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71). "예"이면, 교반/공급 모터(379 및 389)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S27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탁구 장치에 따라, 볼 발사부(20)에서 발사된 볼을 횡방향에서 어느 측으로 되받아 치는 지를 검출하고, 볼 발사부(20)가 볼을 되받아 치는 방향에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다음 볼을 볼을 되받아 치는 방향으로 플레이어 측의 코트 근처 위치에 발사하고, 실제 경쟁 플레이에 가까운 모드를 실현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경쟁자와 랠리를 실제 계속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탁구 장치를 탁구 연습용을 사용할 때 연습 결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임의 우수성을 증가시키며 장치를 탁구 게임에 사용할 때 매우 흥미롭게 한다.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일 예로 생각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일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 여러 가지 변형과 대등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네트(16) 근처의 영역을 좌측 및 우측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탁구대(10)의 코트(14)를 총 6개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배치로서, 네트(16) 근처의 영역으로 볼을 칠 때 조차, 다음 볼이 볼을 치는 영역에 따라 발사될 수 있다. 추가로, 코트(14)를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횡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코트(14) 상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크로폰이 각 영역에 설치된다면, 볼 발사부(20)가 볼 복귀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서, 실연 플레이에 가까운 경쟁 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냉음극관이 모든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일 색상의 냉음극관이 이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볼 발사부(20)는 코트(14)를 설치하지 않고 플레이어측 코트(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볼 발사부(20)의 후방에 코트와 되받아 친 볼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를 배치할 수 있고, 볼 발사부(20)의 인접 측면에 여러 개의 광센서를 횡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에 의해 리턴된 볼이 어떤 광센서를 통과하는지에 따라 볼 리턴 방향을 검지하고 이로서 검지 결과에 따라 볼 발사부(2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코트(14) 대신 매트릭스 형태로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hole)을 가진 보드(board)를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볼 리턴 방향을 얻도록 광센서 또는 기계식 스위치에 의해 리턴된 볼이 어떤 관통 홀을 통과하는지를 검지하여 리턴 방향에 따라 볼 발사부(2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냉음극관과 같은 램프를 제 1 영역(E1)에 배치할 수 있다. 추가로, 동일한 발광색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영역에서 발광색의 변화는 백색 발광 램프와 착색 판체(142)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판체(142) 등에 매트릭스의 형태로 묻어서 면광원을 구성할 수 있다. 면광원은 코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식별 수단은 상기에서 코트(14)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 선별부는 좌측 회수부(32)의 레일(321)과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31)만을 구비할 수 있거나, 종방향 회수부(35)의 레일(351)과 횡방향 회수부 (36)의 레일(361)만을 구비할 수 있다.
볼 선별부가 레일(321) 및 레일(331)만을 구비할 때, 레일(331)의 하류로 구른 볼은 볼 상승 수단(38)에 의해 볼 발사부(20)로 반환될 수 있다. 볼 선별부가 레일(351) 및 레일(361)만을 구비할 때, 탁구대(10) 주위로 낙하된 볼이, 예를 들어 탁구대(10) 아래 플로어 상에서 탁구대(10)의 후방으로 회수될 수 있으며, 회수된 볼은 레일(351)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볼 선별부는 레일(321) 또는 레일(331) 중 하나, 또는 레일(351) 또는 레일(361) 중의 하나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탁구대(10) 주위로 낙하된 볼이 적합한 수단에 의해 회수될 수 있으며, 볼 선별부의 레일 상으로 이동될수 있다. 추가로, 볼이 풍압에 의해 구르도록 레일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좌측 회수부(32)와 유사하게 우측 회수부(3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회수부(32)가 우측 회수부(34)의 판과 동일한 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판의 하류로 구른 볼은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3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회수부(31)는 탁구대(10)의 후방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플로어 회수부(31)에 회수된 볼은 신장된 부분으로부터 볼 선별부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로, 플로어 회수부(31)는 볼이 풍압 등에 의해 구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실시예에서, 볼이 바운드되어 다시 코트(14)에 낙하될 때 바운드 볼 가산 금지 수단(824)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 (816)에 통합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나, 볼의 제 1 낙하로부터 초래한 가산을 실행할 때,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검출 수단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검출 동작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산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플레이어의 측의 코트를 향하여 볼을 발사하기 위하여 탁구대의 후방에 배치된 볼 발사부;
    횡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를 포함하되, 베이스 상에는 볼 발사부가 장착되며, 상기 볼 발사부를 탁구 장치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부;
    횡방향으로 볼이 넘어오는 측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및
    검출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볼이 넘어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부를 구동시키고 볼이 넘어오는 측으로 볼 발사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탁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탁구대가 기계 측의 코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볼 발사부는 기계 측 코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탁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및 제어 수단이 횡방향의 중앙, 좌측, 및 우측에서 적어도 세가지 일정 위치의 방향으로 볼 발사부를 이동시키는 탁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 및 제어 수단이 그 중앙 위치 상에 볼 발사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한 탁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볼 발사부는 요동 기구부를 구비한 탁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볼 호퍼는 볼 발사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이 볼 호퍼와 볼 발사부는 볼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플렉서블 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탁구 장치.
KR1019980037545A 1997-09-17 1998-09-11 탁구장치 KR100344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149/1997 1997-09-17
JP9272149A JP3015848B2 (ja) 1997-09-17 1997-09-17 卓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34A KR19990029734A (ko) 1999-04-26
KR100344117B1 true KR100344117B1 (ko) 2002-11-02

Family

ID=1750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45A KR100344117B1 (ko) 1997-09-17 1998-09-11 탁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200236B1 (ko)
JP (1) JP3015848B2 (ko)
KR (1) KR100344117B1 (ko)
CN (1) CN1150955C (ko)
AU (1) AU728044B2 (ko)
TW (1) TW4404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95B1 (ko)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KR101921640B1 (ko) * 2017-07-10 2018-11-26 한국기계연구원 타구판별이 가능한 탁구로봇 및 이를 이용한 탁구공 슈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848B2 (ja) * 1997-09-17 2000-03-06 コナミ株式会社 卓球装置
KR20020088990A (ko) * 2001-05-22 2002-11-29 서승표 탁구연습장치
US20050159251A1 (en) * 2004-01-15 2005-07-21 Houston David J. Ball Return Device
CN100488588C (zh) * 2006-10-24 2009-05-20 于万利 多机头乒乓球发球机
US7520827B1 (en) 2008-06-04 2009-04-21 Charles Michael Esposito Electronic table tennis
US8342925B2 (en) * 2008-11-05 2013-01-01 Arachnid, Inc. Simulated game apparatus of a virtual shuffleboard with detection system for a real puck
AU2009322317B2 (en) * 2008-12-03 2013-08-01 Throwmo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able game
US20100231375A1 (en) * 2009-03-11 2010-09-16 Virtue Paintball Llc Information display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paintball
US8162783B2 (en) * 2009-10-19 2012-04-24 Martin Steven D Table tennis game with automated serving and scorekeeping
US8960176B2 (en) * 2010-11-03 2015-02-24 Ball Buddie Llc Metered ball delivery
US9022016B1 (en) 2012-01-20 2015-05-05 Omnitech Automation, Inc. Football throwing machine
CN103537088B (zh) * 2012-07-08 2019-06-18 刘殿富 发球机、人用乒乓球拍、发球机及机器人用球拍
CN102921159B (zh) * 2012-11-15 2015-12-09 陈永宏 智能网球训练系统
RU2688730C2 (ru) * 2015-07-14 2019-05-22 Глеб Степанович Бакшаев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робот для настольного тенниса
RU174653U1 (ru) * 2016-09-22 2017-10-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ыб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виацио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А. Соловьева" Тренажёр для настольного тенниса
CN108079529A (zh) * 2017-12-18 2018-05-29 广州巨有智能科技有限公司 乒乓球训练系统和装置
CN107982893B (zh) * 2018-01-23 2023-07-14 阜阳师范学院 一种具有乒乓球收集及集球盘防堵功能的发球机
CN109481927A (zh) * 2019-01-15 2019-03-19 桂林航天工业学院 具有侧旋功能的网球发球装置及发球方法
KR101992961B1 (ko) *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WO2020197117A1 (ko) * 2019-03-27 2020-10-01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11273351B2 (en) * 2019-05-07 2022-03-15 Thomas Stringham Interactive electronic table tennis game
CN110090411B (zh) * 2019-06-04 2023-12-29 辽宁科技大学 用于兵兵球场地的扣球小车
RU195569U1 (ru) * 2019-12-17 2020-01-31 Леонид Евгеньевич Селявко Круглая фишка для групповых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й памя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CN112107843B (zh) * 2020-09-23 2022-02-11 阿坝师范学院 一种具有发球功能的乒乓球桌
CN113018814A (zh) * 2021-03-11 2021-06-25 郭婷婷 乒乓球发球机
CN113398547B (zh) * 2021-07-12 2023-04-07 黄淮学院 一种乒乓球运动用捡球装置
CN114832341A (zh) * 2022-04-23 2022-08-02 九江学院 一种乒乓球智能训练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6774A (ja) * 1982-05-12 1983-12-02 フエベレ・アントラプリ−ズ 投球装置
US5383658A (en) * 1992-10-09 1995-01-24 Newgarden, Jr.; Joseph E. Robot table tennis net and server assembly
JP3017687U (ja) * 1994-12-20 1995-10-31 有限会社メディアックス 卓球練習装置
KR950010324Y1 (ko) * 1993-04-21 1995-12-08 양철모 탁구 연습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859A (en) * 1974-11-29 1976-12-07 Adolph E. Goldfarb Competitive board game and mechanical energy-storing catch-and-propel mechanism usable therewith
US3999754A (en) * 1975-02-21 1976-12-28 Krzysztofiak Richard A Table tennis trainer
US4002336A (en) 1975-05-12 1977-01-11 Dennis Beaver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US4442823A (en) * 1982-03-08 1984-04-17 Johnnie E. Floyd Ball throwing machine and system having three individually controllable wheel speeds and angles
JPH0317687A (ja) 1989-06-15 1991-01-25 Pioneer Electron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TW214006B (en) * 1992-07-06 1993-10-01 E Newgarden Joseph An electronic table tennis game
JP3015848B2 (ja) * 1997-09-17 2000-03-06 コナミ株式会社 卓球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6774A (ja) * 1982-05-12 1983-12-02 フエベレ・アントラプリ−ズ 投球装置
US5383658A (en) * 1992-10-09 1995-01-24 Newgarden, Jr.; Joseph E. Robot table tennis net and server assembly
KR950010324Y1 (ko) * 1993-04-21 1995-12-08 양철모 탁구 연습기
JP3017687U (ja) * 1994-12-20 1995-10-31 有限会社メディアックス 卓球練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95B1 (ko)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탁구 게임 로봇
KR101921640B1 (ko) * 2017-07-10 2018-11-26 한국기계연구원 타구판별이 가능한 탁구로봇 및 이를 이용한 탁구공 슈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0236B1 (en) 2001-03-13
US20010006915A1 (en) 2001-07-05
AU8519498A (en) 1999-04-01
CN1218705A (zh) 1999-06-09
AU728044B2 (en) 2001-01-04
CN1150955C (zh) 2004-05-26
JP3015848B2 (ja) 2000-03-06
US6383097B2 (en) 2002-05-07
TW440454B (en) 2001-06-16
KR19990029734A (ko) 1999-04-26
JPH1189985A (ja)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117B1 (ko) 탁구장치
KR100383246B1 (ko)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US5658211A (en) Interactive ball throwing game
JP2003169919A (ja) 遊技機
JP3545918B2 (ja) 卓球装置
JP3015849B2 (ja) 卓球装置
JP2001037936A (ja) 卓球遊戯装置
JP3041260B2 (ja) 卓球装置
JP3629758B2 (ja) ボールゲーム装置
US5257780A (en) Football game apparatus
EP0903166A2 (en)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WO2004045731A2 (en) Interactive laser amusement systems
JP2001037937A (ja) 卓球遊戯装置
JPH05154236A (ja) 弾球遊技機
JPH0871208A (ja) ボールゲーム機
JP2003093630A (ja) 遊技機
JP2686048B2 (ja) ホッケーゲーム機
JPH08215374A (ja) ボールゲーム機
JP2001046727A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2639626B2 (ja) パチンコ機
JP2003102956A (ja) 遊技機
JPH08322994A (ja) 弾球遊技機の表示制御装置
JPH01317466A (ja) 弾球遊技機
JP2002085806A (ja) ゲーム装置
JPH11333094A (ja) 弾球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