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252B1 -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252B1
KR100342252B1 KR1020000025685A KR20000025685A KR100342252B1 KR 100342252 B1 KR100342252 B1 KR 100342252B1 KR 1020000025685 A KR1020000025685 A KR 1020000025685A KR 20000025685 A KR20000025685 A KR 20000025685A KR 100342252 B1 KR100342252 B1 KR 10034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ocks
knitting
sock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576A (ko
Inventor
김순정
Original Assignee
김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정 filed Critical 김순정
Priority to KR102000002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2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장갑기계에서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과; 상기 편직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들에 삽입 및 상기 편직물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과; 상기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된 니들삽입침들과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을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을 제거시키면서 상기 편직물이 상기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에 삽입되는 제 3 단계 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 공지된 양말 바닥부분 편직과정,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과정, 양말 목부분 편직과정, 양말 목 탄성밴드 봉제고정과정을 거치는 양말 역순편직공정에 의해 봉제선 없는 양말이 제작되므로서, 이에 따른 양말의 발가락부에 위치하는 봉제선이 없어 구두 및 등산화와 같은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어도 봉제선에 의해 발가락부가 눌리지 않아 발가락부에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환편식에 의해서 생성되는 양말의 무늬, 파일 및 하프쿠션(발바닥 파일)등이 생성되므로서, 양말의 외관상에 보기 좋으면서도, 상기 양말바닥의 파일(하프쿠션)에 의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un sewingline socks}
본 발명은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장갑기계에서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과; 상기 편직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들에 삽입 및 상기 편직물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과; 상기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된 니들삽입침들과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을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을 제거시키면서 상기 편직물이 상기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에 삽입되는 제 3 단계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 공지된 양말 바닥부분 편직과정,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과정, 양말의 목부분 편직과정, 양말 목 탄성밴드 봉제고정과정을 거치는 양말 역순 편직공정에 의해 봉제선 없는 양말이 제작되므로서, 이에 따른 양말의 발가락부에 위치하는 봉제선이 없어 구두 및 등산화와 같은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어도 봉제선에 의해 발가락부가 눌리지 않아 발가락부에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환편식에 의해서 생성되는 양말의 무늬, 파일 및 하프쿠션등이 생성되므로서, 양말의 외관상에 보기 좋으면서도, 상기 양말바닥의 파일 즉 하프쿠션에 의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한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니들실린더형 양말편직기 즉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의 개구된 목부분 편직과정, 양말의 뒤꿈치부분 편직과정, 양말의 바닥부분 편직과정에 의한 순서로 양말이 편직되게 되며, 이러한 양말편직을 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양말편기의 족지부 편성장치(실용공고번호 76-10)를 살펴보면, 벨트차(B)가 회전할 때 이 연동축단의 베벨기어(4)가 회전하여 편침원통(1)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벨트차(B)의 4회전시마다 1핏치씩 연동하는 체인기어(9)의 회전에 의해 체인벨트(10)도 연동하며, 이때 베벨기어(4)의 연동축을 단속하는 클러치(7)의 하단돌부(7')는 림(8)의 앞뒤꿈치 형성용 홈(8')(8''')과 목다리 형성용 홈(8'') 및 앞뒤꿈치 사이의 몸통형성용 요홈(8'''')가운데 일측홈에 접촉하여 안도되면서 일방 회전용 기어(5) 또는 좌우 반복 회전용 기어(6)를 연동시켜 캠드럼(16)을 동작케 하고, 일방 회전용 기어(5) 연동시에는 편침 원통(1)이 한 방향으로만 계속해서 회전하여 목다리부분과 몸통부분을 편성하고, 좌우 반복 회전용 기어(6) 연동시는 좌우의 반복만을 되풀이하면서 앞뒤꿈치를 편성하게 되는데, 좌우반복 회전용 기어(6)가 작동될 때는 벨트차(B)가 4회전할 때 1 핏치씩 연동하는 체인기어(9)에 의해 체인벨트(10)가 연동하는 도중에 이 상면에 돌설한 앞 또는 뒤꿈치 형성용의 돌조 2개중 하나가 조절봉(12)의 끝단돌기(12')에 접촉되어 돌기는 상승하게 되고 이와 일체로된 조절봉(12)은 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렛대 작용으로 반대로 아래로 내려가 받치고 있던 캠로드(14)를 내려주면 로드 선단은 라쳇트 기어(11)의 잇발에 접촉되면서 크랭크기어(20)의 회전에 의하여 이를 1핏치 밀게 되고, 동시에 이 축 끝단에 축삽된 기어(13)의 회전력은 피니언(17)을 거쳐 캠드럼(16)에 전달되고 캠의 회동에 따라 작동간(18)의 구동으로 승강로드(15)를 상하로 움직이면 이 승강로드는 캠(3)의 니들 승강안내판(3')(3'')을 전후진시켜 앞뒤꿈치를 편성하기 위한 소요수의 니들을 제외한 나머지 니들을 상승조작시켜 편사를 탈리하고, 상승하지 않은 니들만이 편사를 괘사하면서 양말이 편직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양말제조공정을 거쳐서 편직된 양말은 발가락부가 개봉된 상태로 양말의 편직이 완료되고, 이를 봉제기계에서 따로 개봉부위를 봉제시키므로 인해 상기 발가락부에 접촉되는 봉제선이 생성되면서 양말의 모든 제조공정이 종료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을 제조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항상 양말목부분부터 편직하여 양말바닥부를 편직하는 순서를 가지며, 상기 양말편직기에서는 필연적으로 양말의 앞부분과 발등부분이 개봉된 상태에서 편직이 종료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양말의 개봉부를 별도의 봉제기계에서 봉제처리과정까지 연장되어 완성된 양말이 제조되므로 인해, 양말의 발가락부에는 봉제처리한 봉제선이 항상 생성되게 되고, 상기 봉제선이 형성된 양말을 신은 다음 구두 및 등산화와 같은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을 경우 상기 양말에 형성된 봉제선이 발가락부를 누르게 되어 도보 및 달릴 때 발가락에 통증이 발생되면서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말에 봉제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린킹라인(봉제선이라 함)이 없는 횡편양말류 및 그 제조방법(특허공고번호 83-1449)에 의하여 상기 린킹라인이 없는 양말이 제조되는데 이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환편식 양말 제조기의 장점인 양말의 뒤꿈치부분이 융출될 수 있도록 한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바늘올림구와 바늘내림구의 구성요소를 니트등 수평으로 짜는 횡편기에 결합 구성시킴으로 인해 상기 횡편기에서 편직한 양말엔 린킹라인이 발생되지 않지만, 이는 오직 양말의 린킹라인이 없게 직조된 양말의 뒤꿈치부분에 해당하는 뒤꿈치부분을 생성시키게 하는데 구성의 주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기 환편식 양말편직기에서 생성시킬 수 있는 양말의 여러 가지 무늬의 혼합 및 양말의 파일등은 상기 횡편기에서는 생성되지 못하고, 단색의 양말만이 편직되어 미관상 보기 안좋은 단점과 함께, 신발을 오래 착용하므로서 발생되는 발의 땀에 의해 매끄러운 신발바닥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양말 바닥부의 파일 또한 생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횡편기에서 편직한 양말을 신은 다음 구두등 신발을 신고 장시간 도보 및 달릴 경우 신발바닥에서 땀에 의해 미끄러져 상기 장시간 도보 및 달릴 때 불편함을 느끼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양말의 발가락부에 위치하는 봉제선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구두 및 등산화와 같은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고 장시간 도보 및 등산, 달릴 때에도 상기 양말에 봉제선이 없어 발가락부가 봉제선에 눌리지 않아 발에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편직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혼합 및 양말바닥의 파일 등을 생성시키므로서,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혼합에 따른 외관상 보기 좋으면서도, 상기 양말바닥의 파일 즉 하프쿠션에 의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한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갑기계에서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과; 상기 편직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들에 삽입 및 상기 편직물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과; 상기 니들침통 원주면에 고정된 니들삽입침들과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을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을 제거시키면서 상기 편직물이 상기 니들실린더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들에 삽입되는 제 3 단계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상기 니들실린더 장단니들에 결합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에 실을 연결하여 급사시키면서 양말을 편직하는 공지의 양말편직방법에 의해 양말 바닥부분 편직과정인 제 4단계 과정;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과정인 제 5 단계 과정; 양말 목부분 편직과정인제 6 단계 과정; 상기 제 6 단계 과정을 제작된 상기 봉제선이 없는 양말 목 끝단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를 봉제고정시키는 제 7 단계 과정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제선 없는 양말을 제조하기위한 양말편직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다리꼴 니들침통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작은드럼 및 승강로드에 의한 도크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양말 목 및 양말 바닥 편직에 따른 장단니들 이동경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에 따른 단니들 이동경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에 따른 장니들 이동경로도.
도 6은 종래의 양말편직에 사용된 양말편직기의 정면도.
도 7은 양말편직기의 작은드럼의 캠과 승강로드의 작용상태도.
도 8은 양말편직기의 라쳇트기어를 구동시키는 구성도.
도 9는 또 다른 종래의 양말제조에 사용된 횡편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니들침통 101. 니들삽입침 102. 니들삽입침홈 103. 숫나사부
104. 외륜 104a. 내륜 105.암나사부 106. 편직물 107. 니들실린더
108a. 장니들 108b. 단니들 109. 벨트차 110. 구동베벨기어
111. 숫클러치부 112. 진행로울러 113. 앞큰드럼 113a. 큰드럼 캠
114. 앞작은드럼 114a. 작은드럼캠 115. 일방향 암클러치
115a. 좌우반복 암클러치 116. 니들진행캠 117. 중앙진행캠
118. 우측진행캠 119. 좌측진행캠 120. 우측캠 니들진행로
121. 좌측캠 니들진행로 122. 중앙캠 니들진행로 123. 일방향 클러치기어
123a. 좌우반복 클러치기어 124. 부채꼴기어 125. 도크 126. 인식대
127. 승하로드
도 1은 본 발명의 봉제선 없는 양말을 제조하기위한 양말편직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봉제선이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은, 공지의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을 편직하는 공지의 양말편직방법에 있어서, 장갑기계(도시하지 않음)에서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과; 상기 편직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100)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101)들에 삽입 및 상기 편직물(106)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과; 상기 니들침통(100) 원주면에 고정된 니들삽입침(101)들과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을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100)을 제거시키면서 상기 편직물(106)이 상기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에 삽입되는 제 3 단계 과정과; 상기 제 3 단계 과정을 통해 상기 니들실린더(107) 장단니들(108a)(108b)에 결합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에 실을 연결하여 급사시키면서 양말을 편직하는 공지의 양말편직방법에 의해 양말 바닥부분 편직과정인 제 4 단계 과정;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과정인 제 5 단계 과정; 양말 목부분 편직과정인 제 6 단계 과정; 상기 제 6 단계 과정을 거쳐 편직된 상기 봉제선이 없는 양말 목 끝단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를봉제고정시키는 제 7 단계 과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지의 환편식 양말편직기에서 양말 편직순서과정과는 다르게 앞꿈치부터 양말 바닥부분, 양말 뒤꿈치부분, 양말 목부분의 순인 역순으로 편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단계 과정인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의 끝단이 삽입된 니들침통(100)의 니들삽입침(101)들과, 상기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이 상호 삽입결합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100)을 제거한 후 양말편직기의 양말제조방법에 의해 봉제선이 없는 양말이 편직 완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니들침통(100)은 사다리꼴 형태이면서 상기 사다리꼴 원주외면에 다수개의 니들삽입침(101)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홈(102)들 및 외륜(104)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꼴 원주외면에 숫나사부(103)가 형성된 니들침통내륜(104a)과; 상기 니들삽입침홈(102)에 삽입되는 니들삽입침(101)들과; 상기 니들침통내륜(104a)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태의 내부에 암나사부(105)가 형성된 니들침통외륜(10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제선이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짧은 양말 뿐 만 아니라 긴양말등 모든 양말류등을 편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봉제선이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다리꼴 니들침통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작은드럼 및 승강로드에 의한 도크의 작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 과정중 양말 목 및 양말 바닥 편직에 따른 장단니들 이동경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에 따른 단니들 이동경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양말편직과정중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에 따른 장니들 이동경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봉제선이 없는 양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장갑짜는 기계에서 발가락부를 덮는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을 거치고, 상기 제 1 단계 과정을 거쳐 편직형성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100)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101)들에 한올 한올 끼워 삽입시킨 다음 상기 편직물(106)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기 제 2 단계 과정을 거쳐 제 3 단계 과정인 상기 편직물(106)의 끝단이 한올씩만 삽입되어진 니들침통(100)을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에 삽입시키는데, 이 때 상기 니들침통(100)을 제거시키므로 인해 자연히 상기 니들침통(100)에 삽입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이 상기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에 삽입되게 되고, 이후 상기 공지의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구동시키게 되면 벨트차(109)의 회전에 의한 구동샤프트 및 상기 구동샤프트의 종단에 형성되어진 구동베벨기어(11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상기 구동베벨기어(110)와 맞물린 피동베벨기어(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동베벨기어의 상부에 위치결합된 니들실린더(107) 역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니들실린더(107)의 원주면에는 장니들(108a)들과 단니들(108b)들로 반씩 나뉘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니들실린더(107)에 결합되어 있는 장단니들(108a)(108b)들이 사도를 통해 전달된 실을 물고 회전하면서 양말을 편직하게 된다.
이후, 양말바닥을 짜는 제 4 단계 과정과, 양말 뒤꿈치부분을 짜는 제 5 단계 과정과, 상기 양말 목부분을 짜는 제 6 단계 과정과, 상기 제 6 단계 과정을 통해 편직된 상기 봉제선이 없는 양말 목부분 끝단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를 봉제고정시키는 제 7 단계 과정을 거쳐 모든 편직과정이 완료되며, 상기의 제 4 단계 과정서부터 제 7 단계 과정의 양말편직과정은 종래의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양말편직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양말을 편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음의 제 3 단계 과정인 제 1단계 과정서부터 제 3 단계 과정까지의 편직과정과, 제 4 단계 과정서부터 제 7 단계 과정까지의 편직과정인 종래의 양말편직과정을 거쳐 봉제선이 없는 양말을 편직하게 되는데, 이러한 양말편직과정중 종래의 양말편직과정인 제 4 단계 과정부터 제 7 단계 과정까지의 편직과정에 따른 상기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자세한 구동상태는 전술한 종래 기술중 양말편기의 족지부 편성장치에서의 편직구동상태와 동일하다는 것을 밝혀두며(도 6, 7, 8 참조), 상기 종래의 양말편직과정인 제 4 단계 과정부터 제 7 단계 과정까지의 편직과정을 설명하면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3 단계 과정을 통해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이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장단니들(108a)(108b)들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이 상하왕복운동을 통해 사도를 거쳐 급사된 실을 물고 회전하면서 양말의 앞부분에 이은 양말의 바닥부분을 편직하게 되는데, 이 때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는 숫클러치부(111)의 하단에 위치한 진행로울러(112)가 앞큰드럼(113) 원주면의 일정길이 및 일정높이로 형성된 캠(113a)의 측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캠(113a)의 일정길이가 끝나면 다음 캠(113a)의 측면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숫클러치(111)가 양말의 목과 바닥을 짜도록 하는 일방향회전 암클러치(115)로 이동결합되므로서, 상기 니들실린더(107)가 일방향으로 계속회전하게 되고, 상기 니들실린더(107)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 역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한 급사된 실을 물고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경로는, 상기 니들실린더(107) 후방 가운데에 일정길이의 부채꼴 형태로 결합된 3개의 니들진행캠(116)들을 거쳐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각각의 장단니들(108a)(108b)들은 먼저 상기 니들진행캠(116)중 우측진행캠(118)의 상부 니들진행로(120)를 거쳐 진행하다가 중앙진행캠(117) 측면에 각각의 니들(108a)(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측면을 따라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좌측진행캠(119)에 상기 니들(108a)(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좌측진행캠(119)의 측면을 따라 상기 좌측진행캠(119)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니들경로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니들실린더(107)의 계속적인 일방향 회전 즉 좌에서 우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의 회전과 함께, 상기 니들경로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서 양말의 바닥부분을 편직하게 되는데(도 4 참조), 이는 상기 앞큰드럼(113)의 일정 캠(113a)길이만큼 상기 숫클러치(111)의 하단에 위치한 진행로울러(112)가 진행하면서 상기 양말의 바닥부분이 편직되게 되고, 상기 앞큰드럼(113)의 다음 일정길이 캠(113a)으로 진행로울러(112)가 진행하게 되면서, 상기 양말 바닥부분의 편직과정인 제 4 단계 과정은 종료되고, 이후 양말의 뒤꿈치부분을 편직하는 과정으로 자동으로 변하게 되며, 이 때 구동샤프트에 결합되어 있는 숫클러치(111)가 양말의 뒤꿈치부분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반복회전 암클러치(115a)로 이동결합되면서 봉제선이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중 제 5 단계 과정이 시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숫클러치(111)가 양말의 뒤꿈치부분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반복회전 암클러치(115a)로 이동결합되면, 상기 암클러치(115a)와 단형태로 일체형인 클러치기어(123a)와 맞물려 연동되는 부채꼴형태기어(124)가 상하반복운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니들실린더(107)가 좌우 반복적으로 반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앞큰드럼 진행로울러(112)의 회전진행에 따라 상기 앞큰드럼(113)의 일정 캠(113a)길이만큼 작은드럼(114) 역시 회전 진행하게 되고, 상기 작은드럼(114)에 형성된 일정길이 높이의 캠(114a)부위를 도크(125)와 링크로 연결된 인식대(126)가 회전진행하면서 상기 캠(114a)부위 높이의 고저 인식과 더불어 승하로드(127)의 승하강 작용에 의해 상기 인식대(126) 및 승하로드(127)와 연결된 도크(125)가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데(도 3 참조), 상기 양말의 뒤꿈치부분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도크(125)가 니들실린더(107)에 결합되어 있는 니들(108a)(108b)들의 단부아래로 하강하여야 되며, 장니들(108a)들과 단니들(108b)들로 반씩나뉘어져 결합된 니들실린더(107)의 회전에 따라 상기와 같이 하강된 도크(125)에 의해장니들(108a)과 단니들(108b)이 상하로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 분리되는 과정중 상기 장니들(108a)의 경우는 하강된 도크(125)면을 타고 상기 장니들(108a)의 단부가 상기 니들실린더(107)의 일정높이까지 상승되게 되고, 단니들(108b)은 처음 고정된 상태 그대로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이 서로 상하로 분리되게 되며, 상기처럼 분리된 장단니들(108a)(108b)은 상기 니들실린더(107) 후방 가운데에 일정길이의 부채꼴 형태로 결합된 3개의 니들진행캠(116)들을 거쳐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좌우반복회전 암클러치(115a)와 단형태로 일체형인 클러치기어(123a)와 맞물려 연동되는 부채꼴형태기어(124)가 상하 1/4의 상하반복운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니들실린더(107)의 좌우 반 회전 반복운동과 동시에 상기 상호 분리된 장단니들(108a)(108b) 역시 반회전을 반복적으로 운동하게 되어 양말의 뒤꿈치부분이 편직되게 되는데, 이러한 양말 뒤꿈치부분의 편직에 따른 장단니들(108a)(108b)들의 이동경로를 보면, 상기 니들실린더(107)의 일정높이까지 상승된 장니들(108a)들은 상기 부채꼴형태기어(124)가 반복적으로 하강 및 상승의 운동을 하더라도 좌측진행캠(119)에서부터 우측진행캠(118) 또는 우측진행캠(118)에서부터 좌측진행캠(119)의 니들경로를 거치지 않고, 항상 중앙진행캠(117)의 상부 니들진행로(122)를 계속해서 좌우로 반회전하기 때문에 편직에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며(도 5b 참조), 이와 반대로 상기 단니들(108b)들의 니들경로를 보면, 상기 부채꼴형태기어(124)가 하강할 경우, 상기 니들진행캠(116)중 우측진행캠(118)의 상부 니들진행로(120)를 거쳐 진행하다가 중앙진행캠(117) 측면에 각각의니들(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측면을 따라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좌측진행캠(119)에 상기 니들(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좌측진행캠(119)의 측면을 따라 상기 좌측진행캠(119)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니들경로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단니들(108b)들이 상하운동을 통해 급사된 실을 물고 양말 뒤꿈치부분의 일부를 편직하게 되고, 또한 상기 부채꼴형태기어(124)가 상승하게 되면 이번에는 반대로, 니들진행캠(116)중 좌측진행캠(119)의 상부 니들진행로(121)를 거쳐 진행하다가 중앙진행캠(117) 측면에 각각의 니들(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측면을 따라 상기 중앙진행캠(117)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우측진행캠(118)에 상기 니들(108b)들의 단부가 걸리게 되면 상기 우측진행캠(118)의 측면을 따라 상기 우측진행캠(118)의 하단으로 이어지는 니들경로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단니들(108b)들이 상하운동을 통해 급사된 실을 물고 양말 뒤꿈치부분의 또 다른 일부가 편직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단니들(108b)들의 좌우 반회전 반복운동등에 의한 편직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게되고(도 5a참조), 아울러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에 해당하는 앞큰드럼(113)의 일정 캠(113a)길이만큼 진행로울러(112)가 진행하므로 인해 양말의 뒤꿈치부분이 편직되게 되고, 상기 다음 일정길이의 캠(113a)으로 진행로울러(112)가 진행하게 되면서, 상기 양말 뒤꿈치부분의 편직과정인 제 5 단계 과정이 종료되고, 이후 양말의 목부분을 편직하는 제 6 단계 과정으로 자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그리고, 양말편직의 제 6 단계 과정인 양말목편직은, 상기 앞큰드럼(113)의다른 일정길이 캠(113a) 즉 양말목을 편직하도록 한 해당 캠(113a)으로 진행로울러(112)가 진행하면서 양말목의 편직이 시작되는데, 이 때는 숫클러치(111)가 다시 양말의 바닥 및 목을 짜는데 사용되는 일방향회전 암클러치(115)로 이동결합되고, 이에 상기 앞큰드럼 진행로울러(112)의 회전진행에 따라 상기 앞큰드럼(113)의 일정캠(113a)길이만큼 작은드럼(114) 역시 회전 진행하게 되면서 상기 작은드럼(114)에 형성된 일정길이 높이의 캠(114a)부위를 도크(125)와 링크로 연결된 인식대(126)가 회전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작은드럼(114)의 저하된 캠(114a)을 상기 인식대(126)가 인식을 하게 되면, 상기 인식대(126) 및 승하로드(127)와 링크로 연결된 도크(125)가 위로 상승하므로서 상기 니들실린더(107)의 일정높이까지 상승된 장니들(108a)들이 단니들(108b)들의 위치까지 하강되게 되고, 이로써 장단니들(108a)(108b)들이 같은 위치로 배치된 니들실린더(107)가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니들실린더(107)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한 급사된 실을 물고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양말의 뒤꿈치부분 편직에 이은 양말의 목부분을 편직하게 된다.
이 때의 상기 장단니들(108a)(108b)들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한 급사된 실을 물고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경로는 양말바닥을 편직하는 과정인 제 4 단계 과정과 같다.
이상과 같이 양말의 바닥부, 뒤꿈치부, 목부의 편직과정인 제 4, 5, 6 단계과정을 거친 양말의 목 끝단부분에 형성된 탄성밴드를 봉제고정시키는 제 7 단계과정을 거치므로서, 봉제선이 없는 양말의 편직이 완료되게 되며, 상기의 양말편직과정의 모든 과정을 반복하므로서 상기 본 발명인 봉제선이 없는 양말을 대량으로 생산되게 된다.
양말의 발가락부에 위치하는 봉제선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구두 및 등산화와 같은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신고 장시간 도보 및 등산, 달릴 때에도 상기 양말에 봉제선이 없어 발가락부가 봉제선에 눌리지 않아 발에 통증을 느끼지 않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편직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혼합 및 양말바닥의 파일 등을 생성시키므로서,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혼합에 따른 외관상 보기 좋은 효과와 함께, 상기 양말바닥의 파일에 의해 땀에 의한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지의 환편식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을 편직하는 공지의 양말편직방법에 있어서,
    장갑기계(도시하지 않음)에서 양말 앞부분을 편직하는 제 1 단계 과정과;
    상기 편직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을 사다리꼴 형태의 니들침통(100) 원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101)들에 삽입 및 상기 편직물(106)의 끝단을 풀어 한올씩만 남게 하는 제 2 단계 과정과;
    상기 니들침통(100) 원주면에 고정된 니들삽입침(101)들과 환편식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을 각각 삽입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100)을 제거시키면서 상기 편직물(106)이 상기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에 삽입되는 제 3 단계 과정과;
    상기 제 3 단계 과정을 통해 상기 니들실린더(107) 장단니들(108a)(108b)에 결합된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에 실을 연결하여 급사시키면서 양말을 편직하는 공지의 양말편직방법에 의해 양말 바닥부분 편직과정인 제 4 단계 과정; 양말 뒤꿈치부분 편직과정인 제 5 단계 과정; 양말 목부분 편직과정인 제 6 단계 과정; 상기 제 6 단계 과정을 거쳐 편직된 상기 봉제선이 없는 양말 목 끝단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를 봉제고정시키는 제 7 단계 과정에 의해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공지의 환편식 양말편직기에서 양말 편직순서 과정과는 다르게 앞꿈치부터 양말 바닥부분, 양말 뒤꿈치부분, 양말 목부분의 순인 역순으로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과정인 양말 앞부분 편직물(106)의 끝단이 삽입된 니들침통(100)의 니들삽입침(101)들과, 상기 양말편직기의 니들실린더(107) 원주면에 결합된 장단니들(108a)(108b)들이 상호 삽입결합시킨 다음 상기 니들침통(100)을 제거한 후 양말편직기의 양말제조방법에 의해 봉제선이 없는 양말이 편직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니들침통(100)은 사다리꼴 형태이면서 상기 사다리꼴 원주외면에 다수개의 니들삽입침(101)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니들삽입침홈(102)들 및 외륜(104)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꼴 원주외면에 숫나사부(103)가 형성된 니들침통내륜(104a)과; 상기 니들삽입침홈(102)에 삽입되는 니들삽입침(101)들과; 상기 니들침통내륜(104a)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형태의 내부에 암나사부(105)가 형성된 니들침통외륜(10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봉제선 없는 양말의 역순 제조방법에 의해 짧은 양말 뿐 만 아니라 긴 양말등 모든 양말류등을 편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KR1020000025685A 2000-05-13 2000-05-13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KR10034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85A KR100342252B1 (ko) 2000-05-13 2000-05-13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85A KR100342252B1 (ko) 2000-05-13 2000-05-13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576A KR20020003576A (ko) 2002-01-15
KR100342252B1 true KR100342252B1 (ko) 2002-07-02

Family

ID=1966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85A KR100342252B1 (ko) 2000-05-13 2000-05-13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4B1 (ko) 2006-02-28 2007-02-22 김수명 양말 목부분의 편직방법
KR101270873B1 (ko)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20220003743A (ko) 2020-07-02 2022-01-11 양호영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686B1 (ko) * 2001-07-19 2003-05-22 김봉락 덧버선 및 그의 편성방법
KR100762199B1 (ko) * 2007-01-17 2007-10-04 조정근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KR101066633B1 (ko) * 2009-12-01 2011-09-21 용원주 실린더형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8910A (en) * 1967-10-27 1977-06-14 The Bentley Engineering Company, Ltd. Tubular knitted fabric
KR830001449A (ko) * 1979-07-13 1983-04-30 요시다 다다오 위사장력장치
KR830002085A (ko) * 1980-01-23 1983-05-21 룻셀 파머 그렌 복수 니들 실린더형 양말편직기
JPH09250002A (ja) * 1996-03-14 1997-09-22 Tomoe Seni Kk 二重編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8910A (en) * 1967-10-27 1977-06-14 The Bentley Engineering Company, Ltd. Tubular knitted fabric
KR830001449A (ko) * 1979-07-13 1983-04-30 요시다 다다오 위사장력장치
KR830002085A (ko) * 1980-01-23 1983-05-21 룻셀 파머 그렌 복수 니들 실린더형 양말편직기
JPH09250002A (ja) * 1996-03-14 1997-09-22 Tomoe Seni Kk 二重編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4B1 (ko) 2006-02-28 2007-02-22 김수명 양말 목부분의 편직방법
KR101270873B1 (ko)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20220003743A (ko) 2020-07-02 2022-01-11 양호영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576A (ko) 200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524B2 (ja) 改善されたフートウェアガーメント、製造法及び編機
JP6106865B2 (ja)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EP2102398B1 (en) Method for making an ankle sock and ankle sock obtained thereby
EP2628832B1 (en) Stitch-size controlled knit product
JP2895473B2 (ja) くつ下の製造方法
JP2002526665A5 (ko)
CN101322584A (zh) 袜子及其制造方法
KR100342252B1 (ko)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CN1834323A (zh) 立体针织物的编织方法以及针织制品
CN108588998A (zh) 一种编织形成耳片结构的织物及其编织方法
JP4182025B2 (ja) 靴下
US3015942A (en) figure
JP4025889B2 (ja) 靴下とその製造方法
KR20220027717A (ko) 쿠션부가 있는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
JPH09250002A (ja) 二重編靴下及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
JP2006348428A (ja) 靴下の編成方法
JP3805729B2 (ja) フットカバーの製造方法
JPH11217703A (ja)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1595B1 (ko) 실린더형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방법
JP7426523B1 (ja) 靴下
CN1740419A (zh) 有袜跟及袜趾的提花袜及其编织方法
JP3037207U (ja) パイル編靴下
JP6692326B2 (ja) 指袋付き靴下
KR200210543Y1 (ko) 편물기의 스타킹 뒷굽 편조용 선택레버 구조
KR20110129021A (ko) 봉제선 없는 양말 및 이것에 대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