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99B1 -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99B1
KR100762199B1 KR1020070005151A KR20070005151A KR100762199B1 KR 100762199 B1 KR100762199 B1 KR 100762199B1 KR 1020070005151 A KR1020070005151 A KR 1020070005151A KR 20070005151 A KR20070005151 A KR 20070005151A KR 100762199 B1 KR100762199 B1 KR 10076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toe
knitted
needles
to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근
Original Assignee
조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187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6219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정근 filed Critical 조정근
Priority to KR102007000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도록 발바닥부 및 발등부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로 구성되어 환편기로 편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는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되도록 새끼발가락부, 약지발가락부, 장지발가락부, 검지발가락부 및 엄지발가락부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편성하되, 상기 각 발가락부를 편성하기 위해 일정한 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각 발가락부는, 각 편성각의 편성작동에 의해 발등부의 끝부분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도록 제1발가락부를 각각 편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발가락부 끝부분에 연이어지면서 대칭되도록 제2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에 다양한 패턴의 연출과 함께 착용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환편기, 발가락양말, 발목부, 뒤꿈치부, 몸통부, 발가락부.

Description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TOE-SOCK AND KNITTING METHOD THEREOF}
도 1a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쌍의 발가락양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가락양말의 착용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편성된 발가락양말 중 어느 하나의 발가락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나타낸 사진.
도 3a 내지 도 3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른발 발가락부의 작동편침 작동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른발의 새끼발가락부부터 엄지발가락부까지의 편성공정을 도식화한 도식도.
도 4a 내지 도 5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왼발 발가락부의 작동편침 작동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T : 엄지발가락부 FT : 약지발가락부
LT : 새끼발가락부 ST : 검지발가락부
TT : 장지발가락부
본 발명은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편기로 발가락양말을 편성하여 다양한 패턴의 연출과 함께 발가락부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부에 통기공를 형성하여어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양말은 맨발에 신도록 실이나 섬유로 짠 것으로, 이러한 양말은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와, 발뒤꿈치를 감싸는 발뒤꿈치부와,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는 발바닥부 및 발등부로 이루어지는 몸통부와,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를 포함하여 편직기로 편직된다.
상술한 양말편직기는 환편기(丸編機, Circular Knitting)로 구현되며, 이러한 환편기는 편침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양말을 편직함으로써, 발목부부터 몸통부 사이까지 다양한 패턴의 편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발가락부가 엄지발가락부터 새끼발가락까지 각각 끼워지도록 형성된 이른바 발가락양말이 있는데, 이러한 발가락양말은 장갑편직기로 제조됨에 따라 발목부부터 몸통부 사이에 다양한 패턴의 연출이 불가능하여 양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장갑편직기에서 편직된 몸통부의 끝단부에서 연결되는 각 발가 락부의 시작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각 발가락부의 지름이 일정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새끼발가락의 경우 발톱이 있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작아지는데, 장갑편직기로 편직된 새끼발가락부의 지름과 끝나는 부분의 지름이 동일하여 새끼발가락의 끝부분이 남아 헐렁거리게 되므로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편성된 후, 착용된 발가락부의 사이에는 땀이 많이 배어서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장갑편직기로 편직된 양말의 발목부에는 밴드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없어서, 편직이 끝난 후 밴드부를 접고 재봉으로 마무리해야하는 등의 작업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환편기로 발가락양말을 편성하여 다양한 패턴의 연출과 함께 발가락부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작업공정의 단축에 따라 생산성 향상과 함께 인건비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 발뒤 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도록 발바닥부 및 발등부로 이루어지는 몸통부,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로 구성되어 환편기로 편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는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되도록 새끼발가락부, 약지발가락부, 장지발가락부, 검지발가락부 및 엄지발가락부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편성하되, 상기 각 발가락부를 편성하기 위해 일정한 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각 발가락부는, 상기 각 편성각 내 편침의 편성작동에 의해 발등부의 끝부분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도록 제1발가락부를 각각 편성하고, 상기 각 제1발가락부 끝부분에 연이어지면서 대칭되도록 제2발가락부를 각각 편성하며, 상기 각 제2발가락부는 제1발가락부 각각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면서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코를 걸면서 이루어지는 편성작동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정한 제1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새끼발가락부는, 상기 제1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제1새끼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상기 제1새끼발가락부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제2새끼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정한 제2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약지발가 락부는, 상기 제2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약지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상기 제1약지발가락부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약지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일정한 제3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장지발가락부는, 상기 제3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장지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상기 제1장지발가락부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하는 제2·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장지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일정한 제4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검지발가락부는, 상기 제4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제2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 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하는 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검지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상기 제1검지발가락부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하는 제2·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검지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일정한 제5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엄지발가락부는, 상기 제5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엄지발가락부를 편성하고, 상기 제1엄지발가락부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 및 이 제2편성작동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하는 제2·제3편성작동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엄지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쌍의 발가락양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가락양말의 착용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편성된 발가락양말 중 어느 하나 의 발가락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나타낸 사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른발 발가락부의 작동편침 작동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오른발의 새끼발가락부부터 엄지발가락부까지의 편성공정을 도식화한 도식도이다.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가락양말은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AP)와,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HP)와,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도록 발바닥부(SP) 및 발등부(IP)로 이루어지는 몸통부(BP)와,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TP)를 포함하여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각 부는 통상의 환편기에 의해 연이어지도록 편성된다.
여기서, 오른발에 착용되는 발가락부(TPR)는 엄지발가락·검지발가락·장지발가락·약지발가락·새끼발가락이 각각 착용되도록 엄지발가락부(BT), 검지발가락부(ST), 장지발가락부(TT), 약지발가락부(FT), 새끼발가락부(LT)로 편성되며, 왼발에 착용되는 발가락부(TPL)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른발의 발가락부(TPR)와 대칭되게 편성된다.
먼저, 도 3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환편기로 편성되는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편성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환편기에 원형으로 배열되는 편침은 2.5°의 사이각으로 이루어진 144침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편침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편침은 왼방향회전과 오른방향회전을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정의하며,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왕복작동되는 것을 편침의 편성작동으로 정의한다.
상기 오른발 발가락부(TPR)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도록 새끼발가 락부(LT)부터 시작되어 약지발가락부(FT), 장지발가락부(TT), 검지발가락부(ST), 엄지발가락부(BT) 순으로 편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편성되는 새끼발가락부(LT)는 편성작동의 기준각(C1)을 115°로 설정하면서 90~140°의 제1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여기서 0°는 발바닥부의 중심이 향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각도 내에서 편성되는 새끼발가락부(LT)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제1새끼발가락부(LT1)와 이 제1새끼발가락부(LT1)에서 이어져 발바닥부(SP)에 이어지는 제2새끼발가락부(LT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새끼발가락부(LT1)의 편성작동을 살펴보면, 도 4a의 화살표방향에서 시작되는 제1편성각 내의 편침을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편성각의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1편성작동(LT1-1)하고, 이 제1편성작동(LT1-1)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LT1-2)하며, 이 제2편성작동(L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LT1-3)한다. 이어서, 제3편성작동(LT1-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LT1-4)하고, 이 제4편성작동(LT1-4)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LT1-5)하며, 이 제5편성작동(LT1-5)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LT1-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LT1-1)부터 제18편성작동(LT1-18)까지 하여 제1새끼발가락부(LT1)를 편성한다.
여기서, 도 4a에 실선으로 해칭된 제1편성작동(LT1-1), 제2편성작동(LT1-2), 제4편성작동(LT1-4), 제5편성작동(LT1-5) 따위는 너비가 좁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1새끼발가락부(LT1)는 발등부(LT1)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된 제1새끼발가락부(LT1)에 이어서 제2새끼발가락부(LT2)가 편성되는데, 제1새끼발가락부(LT1)의 제18편성작동(LT1-18)에서 사용된 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으로 하여 제2새끼발가락(LT2)의 제1편성작동(LT2-1)하고, 이 제1편성작동(LT2-1)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LT2-2)하며, 이 제2편성작동(LT2-2)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LT2-3)한다. 이어서, 상기 제3편성작동(LT2-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LT2-4)하고, 이 제4편성작동(LT2-4)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LT2-5)하며, 이 제5편성작동(LT2-5)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LT2-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LT2-1)부터 제17편성작동(LT2-17)까지 하여 제2새끼발가락부(LT2)를 편성한다.
이때, 상기 제2새끼발가락부(LT2)의 제1편성작동(LT2-1)부터 제17편성작동(LT2-17)이 이루어질 때, 제1새끼발가락부(LT1) 각 편성작동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도록 코를 걸면서 편성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편성각 외의 모든 편침은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정방향으로 두 번의 편성작동을 하여 발가락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약지발가락부(FT)의 시작부분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a에 일점쇄선으로 해칭된 제2편성작동(LT2-2), 제3편성작동(LT2-3), 제5편성작동(LT2-5), 제6편성작동(LT2-6) 따위는 너비가 넓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2새끼발가락부(LT2)는 제1새끼발가락부(LT1)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즉, 제2새끼발가락부(LT2)와 제1새끼발가락부(LT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첩라인(BL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부(LT)에 이어서 편성되는 약지발가락부(FT)는 편성작동의 기준각(C2)을 142°로 설정하면서 112°~172°의 제2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된다.
이러한 각도 내에서 편성되는 약지발가락부(FT)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제1약지발가락부(FT1)와 이 제1약지발가락부(FT1)에서 이어져 발바닥부(SP)에 이어지는 제2약지발가락부(FT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약지발가락부(FT1)의 편성작동을 살펴보면, 도 4b의 화살표방향에서 시작되는 제2편성각 내의 편침을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편성각의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1편성작동(FT1-1)하고, 이 제1편성작동(FT1-1)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FT1-2)하며, 이 제2편성작동(F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FT1-3)한다. 이어서, 제3편성작동(FT1-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FT1-4)하고, 이 제4편성작동(FT1-4)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FT1-5)하며, 이 제5편성작동(FT1-5)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FT1-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FT1-1)부터 제20편성작동(FT1-20)까지 하여 제1약지발가락부(FT1)를 편성한다.
여기서, 도 4b에 실선으로 해칭된 제1편성작동(FT1-1), 제2편성작동(FT1-2), 제4편성작동(FT1-4), 제5편성작동(FT1-5) 따위는 너비가 좁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1약지발가락부(FT1)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된 제1약지발가락부(FT1)에 이어서 제2약지발가락부(FT2)가 편성되는데, 제1약지발가락부(FT1)의 제20편성작동(FT1-20)에서 사용된 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으로 하여 제2약지발가락(FT2)의 제1편성작동(FT2-1)하고, 이 제1편성작동(FT2-1)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FT2-2)하며, 이 제2편성작동(FT2-2)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FT2-3)한다. 이어서, 상기 제3편성작동(FT2-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FT2-4)하고, 이 제4편성작동(FT2-4)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FT2-5)하며, 이 제5편성작동(FT2-5)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FT2-6)하는데, 이와 같 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FT2-1)부터 제21편성작동(LT2-21)까지 하여 제2약지발가락부(FT2)를 편성한다.
이때, 상기 제2약지발가락부(FT2)의 제1편성작동(FT2-1)부터 제21편성작동(FT2-21)이 이루어질 때, 제1약지발가락부(FT1) 각 편성작동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도록 코를 걸면서 편성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편성각 외의 모든 편침은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정방향으로 한 번의 편성작동을 하여 발가락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다음으로 편성하는 장지발가락부(TT)의 시작부분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b에 일점쇄선으로 해칭된 제2편성작동(FT2-2), 제3편성작동(FT2-3), 제5편성작동(FT2-5), 제6편성작동(FT2-6) 따위는 너비가 넓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2약지발가락부(FT2)는 제1약지발가락부(FT1)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즉, 제2약지발가락부(FT2)와 제1약지발가락부(FT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첩라인(BL2)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지발가락부(FT)에 이어서 편성되는 장지발가락부(TT)는 편성작동의 기준각(C3)을 170°로 설정하면서 140°~200°의 제3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된다.
이러한 각도 내에서 편성되는 장지발가락부(TT)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제1장지발가락부(TT1)와 이 제1장지발가락 부(TT1)에서 이어져 발바닥부(SP)에 이어지는 제2장지발가락부(TT2)로 이루어진다.
이같이 이루어진 장지발가락부(TT)는 상술한 약지발가락부(FT)의 편성작동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락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지발가락부(TT)에 이어서 편성되는 검지발가락부(ST)는 편성작동의 기준각(C4)을 200°로 설정하면서 170°~230°의 제4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된다.
이러한 각도 내에서 편성되는 검지발가락부(ST)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제1검지발가락부(ST1)와 이 제1검지발가락부(ST1)에서 이어져 발바닥부(SP)에 이어지는 제2검지발가락부(ST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검지발가락부(ST1)의 편성작동을 살펴보면, 도 4d의 화살표방향에서 시작되는 제4편성각 내의 편침을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4편성각의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1편성작동(ST1-1)하고, 이 제1편성작동(ST1-1)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ST1-2)하며, 이 제2편성작동(S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ST1-3)한다. 이어서, 제3편성작동(ST1-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ST1-4)하고, 이 제4편성작동(ST1-4)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ST1-5)하며, 이 제5편성작동(ST1-5)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ST1-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ST1-1)부터 제22편성작동(ST1-22)까지 하여 제1검지발가락부(ST1)를 편성한다.
여기서, 도 4d에 실선으로 해칭된 제1편성작동(ST1-1), 제2편성작동(ST1-2), 제4편성작동(FT1-4), 제5편성작동(FT1-5) 따위는 너비가 좁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1검지발가락부(ST1)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된 제1검지발가락부(ST1)에 이어서 제2검지발가락부(ST2)가 편성되는데, 제1검지발가락부(ST1)의 제22편성작동(ST1-22)에서 사용된 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으로 하여 제2검지발가락(ST2)의 제1편성작동(ST2-1)하고, 이 제1편성작동(ST2-1)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ST2-2)하며, 이 제2편성작동(ST2-2)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ST2-3)한다. 이어서, 상기 제3편성작동(ST2-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ST2-4)하고, 이 제4편성작동(ST2-4)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ST2-5)하며, 이 제5편성작동(ST2-5)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ST2-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ST2-1)부터 제21편성작동(ST2-21)까지 하여 제2검지발가락부(ST2)를 편성한다.
이때, 상기 제2검지발가락부(ST2)의 제1편성작동(ST2-1)부터 제21편성작동(ST2-21)이 이루어질 때, 제1검지발가락부(ST1) 각 편성작동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도록 코를 걸면서 편성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편성각 외의 모든 편침은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정방향으로 한 번의 편성작동을 하여 발가락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다음으로 편성하는 엄지발가락부(BT)의 시작부분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d에 일점쇄선으로 해칭된 제2편성작동(ST2-2), 제3편성작동(ST2-3), 제5편성작동(ST2-5), 제6편성작동(ST2-6) 따위는 너비가 넓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2검지발가락부(ST2)는 제1검지발가락부(ST1)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즉, 제2검지발가락부(ST2)와 제1검지발가락부(ST1)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절첩라인(BL4)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발가락부(ST)에 이어서 편성되는 엄지발가락부(BT)는 편성작동의 기준각(C5)을 235°로 설정하면서 200°~270°의 제5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된다.
이러한 각도 내에서 편성되는 엄지발가락부(BT)를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제1엄지발가락부(BT1)와 이 제1엄지발가락부(BT1)에서 이어져 발바닥부(SP)에 이어지는 제2엄지발가락부(BT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엄지발가락부(BT1)의 편성작동을 살펴보면, 도 4e의 화살표방향에서 시작되는 제5편성각 내의 편침을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5편성각의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1편성작동(BT1-1)하고, 이 제1편성작동(BT1-1)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BT1-2)하며, 이 제2편성작동(B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BT1-3)한다. 이어서, 제3편성작동(BT1-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BT1-4)하고, 이 제4편성작동(BT1-4)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BT1-5)하며, 이 제5편성작동(BT1-5)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BT1-6)하는데, 이와 같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BT1-1)부터 제26편성작동(BT1-26)까지 하여 제1엄지발가락부(BT1)를 편성한다.
여기서, 도 4e에 실선으로 해칭된 제1편성작동(BT1-1), 제2편성작동(BT1-2), 제4편성작동(BT1-4), 제5편성작동(BT1-5) 따위는 너비가 좁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1엄지발가락부(BT1)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된 제1엄지발가락부(BT1)에 이어서 제2엄지발가락부(BT2)가 편성되는데, 제1엄지발가락부(BT1)의 제26편성작동(ST1-26)에서 사용된 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으로 하여 제2엄지발가락(BT2)의 제1편성작동(BT2-1)하고, 이 제1편성작동(BT2-1)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2편성작동(BT2-2)하며, 이 제2편성작동(BT2-2)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3편성작동(BT2-3)한다. 이어서, 상기 제3편성작동(BT2-3)에서 사용된 작동편침 중 양측 외곽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제4편성작동(BT2-4)하고, 이 제4편성작동(BT2-4)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5편성작동(BT2-5)하며, 이 제5편성작동(BT2-5)의 작동편침 양측에 인접한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제6편성작동(BT2-6)하는데, 이와 같 은 패턴의 편성작동을 제1편성작동(ST2-1)부터 제27편성작동(ST2-27)까지 하여 제2엄지발가락부(BT2)를 편성한다.
이때, 상기 제2엄지발가락부(BT2)의 제1편성작동(BT2-1)부터 제27편성작동(BT2-27)이 이루어질 때, 제1엄지발가락부(BT1) 각 편성작동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도록 코를 걸면서 편성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5편성각 외의 모든 편침은 편침실린더와 캠에 의해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정방향으로 편성작동을 하여 발가락부(TP)와 발바닥부(SP)가 연결되도록 시접부를 편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4e에 일점쇄선으로 해칭된 제2편성작동(BT2-2), 제3편성작동(BT2-3), 제5편성작동(BT2-5), 제6편성작동(BT2-6) 따위는 너비가 넓게 편성작동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따라, 제2엄지발가락부(BT2)는 제1엄지발가락부(BT1)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일정한 패턴으로 편성된다. 즉, 제2엄지발가락부(BT2)와 제1엄지발가락부(BT1)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절첩라인(BL5)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편성되는 오른발 발가락부(TPR)는 엄지발가락부(BT)의 마지막으로 편성된 시접부가 발바닥부(SP)의 끝부분이 재봉되면서 본 발명의 발가락양말이 완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환편기로 편성되는 왼발 발가락부(TPL)의 편성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편침의 개수와 방향 및 편성작동의 정의 등은 상술한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편성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기 왼발 발가락부(TPL)는 오른발 발가락부(TPR)와 대칭되는 구조로 편성된다.
상기 왼발 발가락부(TPL)의 새끼발가락부(LT)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각도의 기준각(C6)을 245°로 설정하면서 220°~270°의 제6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이러한 새끼발가락부(LT)의 편성과정은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새끼발가락(LT)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새끼발가락(LT)은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어서 편성되는 약지발가락부(FT)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각도의 기준각(C7)을 217°로 설정하면서 187°~247°의 제7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이러한 약지발가락부(FT)의 편성과정은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약지발가락부(FT)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약지발가락부(FT)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패턴으로 편성된다.
그 다음으로 편성되는 장지발가락부(TT)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각도의 기준각(C8)을 190°로 설정하면서 160°~220°의 제8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이러한 장지발가락부(TT)의 편성과정은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장지발가락부(TT)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약지발가락부(TT)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패턴으로 편성된다.
계속해서 편성되는 검지발가락부(ST)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각도의 기준각(C9)을 160°로 설정하면서 130°~190°의 제9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이러한 검지발가락부(ST)의 편성과정은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검지발가락부(ST)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검지발가락부(ST)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패턴으로 편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편성되는 엄지발가락부(ST)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성각도의 기준각(C10)을 125°로 설정하면서 90°~160°의 제10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에 의해 편성되는데, 이러한 엄지발가락부(ST)의 편성과정은 상술한 오른발 발가락부(TPR)의 엄지발가락부(BT)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엄지발가락부(BT)는 발등부(IP)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패턴으로 편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되는 왼발 발가락부(TPL)는 엄지발가락부(BT)의 마지막으로 편성된 시접부가 발바닥부(SP)의 끝부분이 재봉되면서 본 발명의 발가락양말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다양한 패턴 연출과 함께 발가락부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작업공정의 단축을 유도하여 생산성 향상에 따른 인건비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편기로 편성되는 과정에서 발가락부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AP),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HP),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도록 발바닥부(SP) 및 발등부(IP)로 이루어지는 몸통부(BP),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TP)로 구성되어 환편기로 편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TP)는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되도록 새끼발가락부(LT), 약지발가락부(FT), 장지발가락부(TT), 검지발가락부(ST) 및 엄지발가락부(BT)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편성하되,
    상기 각 발가락부(LT)(FT)(TT)(ST)(BT)를 편성하기 위해 일정한 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각 발가락부(LT)(FT)(TT)(ST)(BT)는, 각 편성각 내 편침의 편성작동에 의해 발등부(IP)의 끝부분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도록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를 각각 편성하고, 상기 각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 끝부분에 연이어지면서 대칭되도록 제2발가락부(LT2)(FT2)(TT2)(ST2)(BT2)를 각각 편성하며, 상기 각 제2발가락부(LT2)(FT2)(TT2)(ST2)(BT2)는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 각각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면서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코를 걸면서 이루어지는 편성작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편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한 제1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새끼발가락(LT) 은, 상기 제1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LT1-1)(LT1-2) 및 이 제2편성작동(L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LT1-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는 제1새끼발가락부(LT1)를 편성하고, 상기 제1새끼발가락부(LT1)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LT2-1) 및 이 제1편성작동(LT2-1)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하는 제2·제3편성작동(LT2-2)(LT2-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는 제2새끼발가락부(LT2)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편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일정한 제2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약지발가락부(FT)는, 상기 제2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도록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FT1-1)(FT1-2) 및 이 제2편성작동(F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FT1-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약지발가락부(FT1)를 편성하고, 상기 제1약지발가락부(FT1)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FT2-1) 및 이 제1편성작동(FT2-1)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FT2-2)(FT2-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 게 제2약지발가락부(FT2)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편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일정한 제3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장지발가락부(TT)는, 상기 제3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도록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TT1-1)(TT1-2) 및 이 제2편성작동(T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TT1-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장지발가락부(TT1)를 편성하고, 상기 제1장지발가락부(TT1)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TT2-1) 및 이 제1편성작동(TT2-1)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TT2-2)(TT2-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장지발가락부(TT2)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편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정한 제4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검지발가락부(ST)는, 상기 제4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도록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ST1-1)(ST1-2) 및 이 제2편성작동(ST1-2)의 양측 비작 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ST1-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검지발가락부(ST1)를 편성하고, 상기 제1검지발가락부(ST1)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ST2-1) 및 이 제1편성작동(ST2-1)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ST2-2)(ST2-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검지발가락부(ST2)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의 편성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일정한 제5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엄지발가락부(BT)는, 상기 제5편성각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도록 편성되는 제1·제2편성작동(BT1-1)(BT1-2) 및 이 제2편성작동(BT1-2)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3편성작동(BT1-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게 제1엄지발가락부(BT1)를 편성하고, 상기 제1엄지발가락부(BT1)를 편성한 마지막 작동편침의 양측 편침을 비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좁아지게 편성하는 제1편성작동(BT2-1) 및 이 제1편성작동(BT2-1)의 양측 비작동편침을 작동편침으로 하여 너비가 넓어지게 편성되는 제2·제3편성작동(BT2-2)(BT2-3)의 패턴을 반복하여 전체적으로 너비가 완만히 넓어지게 제2엄지발가락부(BT2)를 편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의 편성방법.
  7. 발목이 착용되는 발목부(AP), 발뒤꿈치를 감싸는 뒤꿈치부(HP),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도록 발바닥부(SP) 및 발등부(IP)로 이루어지는 몸통부(BP), 발가락이 착용되는 발가락부(TP)로 구성되어 환편기로 편성되는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TP)는 각각의 발가락이 착용되도록 새끼발가락부(LT), 약지발가락부(FT), 장지발가락부(TT), 검지발가락부(ST) 및 엄지발가락부(BT)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편성하되,
    상기 각 발가락부(LT)(FT)(TT)(ST)(BT)를 편성하기 위해 일정한 편성각 사이에 배열된 편침의 작동으로 편성되는 각 발가락부(LT)(FT)(TT)(ST)(BT)는, 각 편성각 내 편침의 편성작동에 의해 발등부(IP)의 끝부분에 이어지면서 너비가 완만히 좁아지도록 편성되는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와, 상기 각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 끝부분에 연이어지면서 대칭되도록 편성되는 제2발가락부(LT2)(FT2)(TT2)(ST2)(BT2)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제2발가락부(LT2)(FT2)(TT2)(ST2)(BT2)는 제1발가락부(LT1)(FT1)(TT1)(ST1)(BT1) 각각의 양측단부에 연이어지도록 코를 걸면서 편성작동되어 그 사이에 통기공(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KR1020070005151A 2007-01-17 2007-01-17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KR10076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51A KR100762199B1 (ko) 2007-01-17 2007-01-17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51A KR100762199B1 (ko) 2007-01-17 2007-01-17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199B1 true KR100762199B1 (ko) 2007-10-04

Family

ID=3941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51A KR100762199B1 (ko) 2007-01-17 2007-01-17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1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13B1 (ko) * 2008-12-16 2009-10-27 주식회사 동성정밀 환편기에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KR101324866B1 (ko) 2011-08-13 2013-11-01 주식회사 동성정밀 양말 편성용 환편기
KR101372008B1 (ko) 2012-07-09 2014-03-26 주식회사 동성정밀 파일이 형성된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KR101690919B1 (ko) 2015-10-12 2016-12-30 주식회사 동성정밀 발가락 양말
KR20220003743A (ko) 2020-07-02 2022-01-11 양호영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576A (ko) * 2000-05-13 2002-01-15 김순정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KR200315916Y1 (ko) 2003-02-22 2003-06-12 이정남 발가락 양말
JP2006348428A (ja) 2005-06-16 2006-12-28 Yoshitani Kutsushita Kk 靴下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576A (ko) * 2000-05-13 2002-01-15 김순정 봉제선 없는 양말의 제조방법
KR200315916Y1 (ko) 2003-02-22 2003-06-12 이정남 발가락 양말
JP2006348428A (ja) 2005-06-16 2006-12-28 Yoshitani Kutsushita Kk 靴下の編成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13B1 (ko) * 2008-12-16 2009-10-27 주식회사 동성정밀 환편기에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KR101324866B1 (ko) 2011-08-13 2013-11-01 주식회사 동성정밀 양말 편성용 환편기
KR101372008B1 (ko) 2012-07-09 2014-03-26 주식회사 동성정밀 파일이 형성된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KR101690919B1 (ko) 2015-10-12 2016-12-30 주식회사 동성정밀 발가락 양말
KR20220003743A (ko) 2020-07-02 2022-01-11 양호영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6865B2 (ja)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KR100762199B1 (ko) 환편기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 및 그 편성방법
JP6596011B2 (ja) 足被覆衣類、そのような足被覆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ニットウエアまたは靴下類のための環状機械
JP6401558B2 (ja) フットカバー
JP2016220713A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EP155494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cks
KR101357614B1 (ko)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KR101299590B1 (ko) 좌우 구분이 가능한 양말
JP2018119246A (ja) フットカバー
JP4182025B2 (ja) 靴下
JP2007039815A (ja) 靴下の編成方法及びそれにより編成された靴下
KR101149673B1 (ko) 토시 편직방법
JP4025889B2 (ja) 靴下とその製造方法
CN108433233A (zh) 一种单层型袜鞋及该袜鞋的生产方法
KR101211917B1 (ko) 덧버선 편직방법
JP4147013B2 (ja)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JP2006348428A (ja) 靴下の編成方法
JP6545044B2 (ja) 五本指付き靴下および五本指付き靴下の製造方法
JP2004060081A (ja) フットカバーとその製造方法
KR100297403B1 (ko) 등산용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KR100923413B1 (ko) 환편기에서 편성되는 발가락양말과 그의 편성방법
KR101941195B1 (ko)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JP3185287U (ja) 靴下
JP3219592U (ja) 靴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22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721

Effective date: 2022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