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195B1 -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195B1
KR101941195B1 KR1020180033074A KR20180033074A KR101941195B1 KR 101941195 B1 KR101941195 B1 KR 101941195B1 KR 1020180033074 A KR1020180033074 A KR 1020180033074A KR 20180033074 A KR20180033074 A KR 20180033074A KR 101941195 B1 KR101941195 B1 KR 10194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ock
knitting
knitted
bod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문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Priority to KR102018003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발가락 삽입부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과 같이 발목 및 발부분으로 된 원통형 양말몸체를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양말몸체의 일자형 끝단으로부터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를 제직하고, 이어, 약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2몸체연장부의 제직 및 장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3몸체연장부와 검지발가락부 및 엄지발가락부를 순차적으로 제직 형성함에 따라,
발가락 양말을 편직함에 있어 각각의 발가락 부분을 인체의 발가락 간 골 부분의 위치 차에 따라 양말몸체를 연장 편직하면서 각기 개별적으로 발가락 부분을 구분 편직하므로, 실제 착용자의 발 및 발가락 골 부분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곡선 형태로 만들어져 양말의 착용감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기존의 양말 편직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편직 순서 혹은 위치만을 프로그램을 통해 가변 적용하여 생산하므로 기존의 생산성 및 품질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여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toe socks}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발가락 삽입부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발가락 양말을 편직하되, 양말의 발가락 부분을 편직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과 같이 양말 몸통부로부터 각기 길이가 다른 발가락부를 순차 편직하는 것이 아니라 양말 몸통부로부터 새끼발가락 부분에서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순차 편직 형성하여 상기 발가락의 골 부분이 인체의 발가락 부분과 같이 단차를 갖고 곡선형으로 편직될 수 있도록 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말은 발의 보호 및 보온을 목적으로 착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양말은 무지 형태의 편평조직으로만 편직되었으나, 단조로운 형상의 예전 양말과는 달리 요즈음 소비자들은 기능이 다양하면서 외관의 디자인이 우수한 양말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양말의 기능은 점차 다양화되고 있으며 그에 맞추어 발을 더욱 완벽하게 보호하고 보온효과도 높이기 위하여 양말의 내면 전체적으로 또는 발바닥이나 발뒤꿈치 등에 부분적으로 파일조직(pile stitch)으로 편성하여 양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파일조직에 의한 양말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29484호와 같이 파일직 양말의 제조하기 위한 편직기의 싱커는 최상부에 일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제 1핑거; 상기 제 1핑거와의 사이에 양말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판사(span 絲)와 같은 제 2실이 걸리게 되는 원호 형상의 스판사 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핑거보다 전방을 향해 0.2mm 내지 0.4mm 정도 더 길게 연장되며, 그의 끝단이 상방향으로 5°내지 15°정도 굴곡 형성되는 제 2핑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2핑거의 아래로는 면사(綿絲)과 같은 제 3실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파일직 양말 편직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06028호와 같이 일반 양말의 발등과 바닥 편성 시 반은 파일직으로 또한 반은 평직으로 절반씩 선택하여 편성할 때 작동캠을 사용하여 파일직 및 평직을 한층 더 고속으로 편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일반 양말의 생산량을 크게 증대시키는 동시에 편성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 문양 편성용 싱커커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20927호와 같이 싱커 중앙캠과 다수의 싱커 가이드캠을 연설하여 싱커커버의 기저부 내주연에 설치한 싱커커버 내부링; 다수 개의 싱커 가이드캠을 연설하여 상기 싱커커버의 기저부에 싱커커버 내부링과 함께 2중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한 싱커커버 외부링; 상기 싱커커버 내부링을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상기 싱커커버 기저부에 고정하는 내부링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싱커 중앙캠이 엑츄에이터와 협동하여 양말의 외면 또는 내면에 파일문양을 편성할 수 있도록 형성한 아웃파일 및 일반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를 제공하여, 하나의 양말편직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한 조작으로 아웃파일문양과 일반파일문양을 다양하게 편성하면서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편직할 수 있게 한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특히, 상기의 편직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발가락 양말의 경우 원통형의 양말 몸체 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발가락을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원통형의 양말몸체(100)를 제직한 상태에서 상기 양말몸체(100)의 끝단으로부터 엄지발가락 부분(101)과 검지발가락 부분(102) 및 장지발가락 부분(103)과 약지발가락 부분(104) 및 새끼발가락 부분(105)을 순차적으로 제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발가락 부분은 인체의 발가락 길이 차이에 따라 각기 길이의 차등이 갖도록 편직되는 것으로, 엄지발가락 부분이 가장 크고 두꺼운 반면 새끼발가락 부분은 가장 짧은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발가락 양말의 경우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실제 사람의 발 구조와 발가락 양말의 구조가 서로 일치하지 못하면서 양말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정확한 착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발가락 부분 일부가 빠지거나 충분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착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기존의 발가락 양말 제조과정은 전기한 바와 같이 원통형 양말몸체의 제직 끝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발가락 부분을 편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결국 각각의 발가락 부분 사이 사이에 형성된 골 부분은 양말몸체의 끝단과 같이 일자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반면, 인체의 발 및 발가락은 발가락 사이 사이의 골 부분이 일자 형태가 아닌 서로 다른 위치의 골 부분이 연속된 곡선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자 형태로 된 발가락 골 부분을 갖고 있는 발가락 양말을 착용하는 경우, 도 2의 도시와 같이 약지발가락 부분이나 새끼발가락 부분에서는 착용자의 발가락 부분과 양말의 발가락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못하여 약지 혹은 새끼발가락 부분은 양말에 일부만 삽입되거나 아예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발가락 양말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경우 착용자의 발가락에 충분히 삽입되지 못한 양말의 발가락 부분이 계속 보행중에 밟히거나 구겨져 이물감 혹은 그로 인한 통증을 느끼게 하는 등 착용감 저하로 인한 불쾌감 및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29484 (2001.04.2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06028 (2008.02.1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20927 (2009.10.01.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기존과 같이 발목 및 발부분으로 된 원통형 양말몸체를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양말몸체의 일자형 끝단으로부터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를 제직하고, 이어, 약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2몸체연장부의 제직 및 장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3몸체연장부와 검지발가락부 및 엄지발가락부를 순차적으로 제직 형성함에 따라,
새끼발가락부와 약지발가락 골 부분 간의 단차 및 약지발가락부와 장지발가락 골 부분 간의 단차 및 장지발가락부와 검지발가락 골 부분 간의 단차를 갖는 곡선형의 발가락부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목 및 발부분을 갖는 원통형의 양말몸체를 편직하는 몸체 제직공정과; 상기 양말몸체의 발부분 끝단으로부터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를 연이어 편직하는 새끼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새끼발가락의 골 부분과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간 단차 폭을 갖도록 약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2몸체연장부를 제1몸체연장부로부터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약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과 장지발가락의 골 부분간 단차 폭을 갖도록 장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3몸체연장부를 제2몸체연장부로부터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장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상기 제3몸체연장부로부터 검지발가락부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검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상기 제3몸체연장부로부터 엄지발가락부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엄지발가락부 제직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가락 양말을 편직함에 있어 각각의 발가락 부분을 인체의 발가락 간 골 부분의 위치 차에 따라 양말몸체를 연장 편직하면서 각기 개별적으로 발가락 부분을 구분 편직하므로, 실제 착용자의 발 및 발가락 골 부분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곡선 형태로 만들어져 양말의 착용감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기존의 양말 편직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편직 순서 혹은 위치만을 프로그램을 통해 가변 적용하여 생산하므로 기존의 생산성 및 품질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여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을 생산하는 편직 과정도
도 2는 종래의 발가락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양말의 편직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발가락 양말의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양말의 편직 과정도
도 6은 도 5에 따라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연장부 상세도
도 7은 도 5에 따라 약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연장부 상세도
도 8은 도 5에 따라 장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연장부 상세도
도 9는 도 5에 따라 검지발가락부에 대한 편직 상세도
도 10은 도 5에 따라 엄지발가락부에 대한 편직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발가락 양말의 착용상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양말의 편직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발가락 양말의 전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양말의 편직 과정도이다.
먼저, 양말을 편직하기 위한 개략적인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양말은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와 같은 편직기계에 의해 편직 된다. 환편기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며 편직하는 기계로서, 니들(knitting needle)에 의해 뜨개질 루프(loop)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통 모양의 편직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의 환편기는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실린더 샤프트 외측에 원통형 니들 실린더가 설치되고 니들 실린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다수의 슬롯이 배열 형성되며 슬롯마다 니들이 상, 하로 승강하도록 삽입설치되며 각 니들과 니들 사이에 위치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을 하강시키는 싱커(sinker)가 니들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편기는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각 니들이 상, 하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싱커가 원사를 잡아주면서 편직이 이루어지고, 다수의 니들에 원사가 끼워진 채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갔다 다시 위로 올라옴과 동시에 각 싱커가 전, 후진함에 따라 루프를 연속으로 만들어 가면서 양말, 머플러, 덧버선, 토시 등과 같은 원통형 편직물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싱커는 싱커커버라 일컬어지는 개체로부터 안내되어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의 싱커커버에 장착된 싱커캠의 트랙 형상에 따라 상기 싱커의 전,후 이동 폭이 달라지면서 편평조직의 편직 혹은 파일조직의 편직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편직물을 형성하기 위한 겉실과 속실의 종류 및 편직 형태에 따라 편직물에 대한 신축성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양말 편직기의 편직 프로그램에 따라 원하는 길이와 크기 및 모양으로 된 양말몸체(10)를 양말의 발목 개구부로부터 원통형으로 순차적 편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양말몸체(10)의 끝단부로부터 새끼발가락 부분으로부터 엄지발가락 부분을 향해 순차적인 편직 과정을 거쳐 발가락 양말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은 양말몸체를 편직하는 몸체 제직공정과, 상기 양말몸체로부터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를 편직하는 새끼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제1몸체연장부로부터 제2몸체연장부 및 약지발가락부를 편직하는 약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제2몸체연장부로부터 장지발가락부를 포함한 제3몸체연장부를 편직하는 장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상기 제3몸체연장부로부터 검지발가락부 및 엄지발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직하는 제직공정을 수행하여 각각 발가락부의 골 부분이 일자 형태가 아닌 인체의 발 구조와 흡사한 곡선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양말몸체(10)를 편직하는 몸체 제직공정을 수행한 후, 도 6의 도시와 같이 양말몸체(10)의 선단으로부터 새끼발가락부(20)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21)를 연이어 편직하는 새끼발가락부 제직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제1몸체연장부(21)는 새끼발가락부(20)의 골 부분까지의 높이를 갖고 양말몸체(10)의 끝단으로부터 연이어 편직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도 7의 도시와 같이 약지발가락부 제직공정을 수행하되, 상기의 제직공정은 상기 제1몸체연장부(21)의 끝단으로부터 약지발가락부(30)를 포함한 제2몸체연장부(31)를 연이어 제직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연장부(31)의 제직 폭은 새끼발가락의 골 부분과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 간 단차 폭에 해당되도록 하여 상기 새끼발가락부(20)와 약지발가락부(30)의 골 부분은 상기 제2몸체연장부(31)의 폭에 상응하는 단차를 갖게 된다.
이어, 도 8의 도시와 같이 장지발가락부 제직공정을 수행하되, 상기의 제직공정은 상기 제2몸체연장부(31)의 끝단으로부터 장지발가락부(40)를 포함한 제3몸체연장부(41)를 연이어 제직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몸체연장부(41)의 제직 폭은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과 장지발가락의 골 부분 간 단차 폭에 해당되도록 하여 상기 약지발가락부(30)와 장지발가락부(40)의 골 부분은 상기 제3몸체연장부(41)의 폭에 상응하는 단차를 갖게 된다.
이어, 상기의 제3몸체연장부(41) 및 장지발가락부(40)에 대한 편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3몸체연장부(41)의 끝단으로부터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각기 검지발가락부(50)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검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엄지발가락부(60)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엄지발가락부 제직공정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각각의 발가락부가 일정의 단차로 인한 곡선 형태로 배치된 발가락 양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검지발가락부(50)와 엄지발가락부(60)는 동일의 골 부분을 공유하게 되므로 상호 간의 단차는 발생하지 않아 이들을 동시에 편직하여도 무방하고 각기 개별적으로 순차 편직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연장부 및 각각의 발가락부에 대한 순차적인 편직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도 11의 도시와 같은 착용 상태에서 인체의 발 및 발가락 구조와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하므로 각각의 발가락 및 골 부분이 정확하게 밀착 위치하여 착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발가락 양말 본래의 목적인 발가락 간 우수한 통기성의 확보는 물론 발가락 양말과 발가락이 서로 헛돌거나 벗겨져 이탈하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없는 것이고, 더욱 밀착감 있는 착용 상태로 인해 사용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양말몸체
20 : 새끼발가락부 21 : 제1몸체연장부
30 : 약지발가락부 31 : 제2몸체연장부
40 : 장지발가락부 41 : 제3몸체연장부
50 : 검지발가락부
60 : 엄지발가락부

Claims (2)

  1. 발목 및 발부분을 갖는 원통형의 양말몸체를 편직하는 몸체 제직공정 후 양말몸체의 발부분 끝단에 대하여 새끼발가락부로부터 엄지발가락부까지 단차를 갖고 순차적으로 제직되게 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에 대한 순차 제직공정은, 양말몸체의 발부분 끝단으로부터 새끼발가락부가 포함된 제1몸체연장부를 연이어 편직하는 새끼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새끼발가락의 골 부분과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간 단차 폭을 갖도록 약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2몸체연장부를 제1몸체연장부로부터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약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약지발가락의 골 부분과 장지발가락의 골 부분간 단차 폭을 갖도록 장지발가락부가 포함된 제3몸체연장부를 제2몸체연장부로부터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장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상기 제3몸체연장부로부터 검지발가락부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검지발가락부 제직공정과; 상기 제3몸체연장부로부터 엄지발가락부가 연이어 편직되게 하는 엄지발가락부 제직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80033074A 2018-03-22 2018-03-22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KR10194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74A KR101941195B1 (ko) 2018-03-22 2018-03-22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074A KR101941195B1 (ko) 2018-03-22 2018-03-22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195B1 true KR101941195B1 (ko) 2019-01-22

Family

ID=6528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074A KR101941195B1 (ko) 2018-03-22 2018-03-22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9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945A (ja) * 1995-12-28 1997-07-22 Nitto Globe Kk 筒状編み地の端部処理方法及び弾性糸による端部処理を施してなる筒状編み地
JPH11107142A (ja) * 1997-10-06 1999-04-20 Knit Globe Kk 靴下等の編成方法
KR200229484Y1 (ko) 2001-02-01 2001-07-19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JP2002061054A (ja) * 2000-08-11 2002-02-28 Knit Glove Kk 指付き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7002362A (ja) * 2005-06-24 2007-01-11 Tanaka Seni Kk 靴下の製造方法
KR100806028B1 (ko) 2007-02-26 2008-02-26 이만유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KR20080067618A (ko) * 2005-11-11 2008-07-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KR100920927B1 (ko) 2007-12-14 2009-10-12 강문환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
KR101117950B1 (ko) * 2011-03-11 2012-02-29 이원유 면 발가락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1357614B1 (ko) * 2012-02-29 2014-02-03 우병노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945A (ja) * 1995-12-28 1997-07-22 Nitto Globe Kk 筒状編み地の端部処理方法及び弾性糸による端部処理を施してなる筒状編み地
JPH11107142A (ja) * 1997-10-06 1999-04-20 Knit Globe Kk 靴下等の編成方法
JP2002061054A (ja) * 2000-08-11 2002-02-28 Knit Glove Kk 指付き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0229484Y1 (ko) 2001-02-01 2001-07-19 우병노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JP2007002362A (ja) * 2005-06-24 2007-01-11 Tanaka Seni Kk 靴下の製造方法
KR20080067618A (ko) * 2005-11-11 2008-07-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KR100806028B1 (ko) 2007-02-26 2008-02-26 이만유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KR100920927B1 (ko) 2007-12-14 2009-10-12 강문환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
KR101117950B1 (ko) * 2011-03-11 2012-02-29 이원유 면 발가락양말과 그의 제조방법
KR101357614B1 (ko) * 2012-02-29 2014-02-03 우병노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2853B1 (en) Tubular knitted fabric for clothing and legwear
US7562541B2 (en) Therapeutic stocking
US4422307A (en) Sock
US2009031403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ootlet
JP2013167036A (ja)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JP2018048427A (ja) 編地及び靴下
JP2010242262A (ja) 靴下
KR101357614B1 (ko)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JP5603387B2 (ja) 靴下
KR101941195B1 (ko) 착용감이 뛰어난 발가락 양말의 제조방법
US10982359B2 (en) Custom-fit so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171130B2 (ja) 靴下
RU2732437C2 (ru) Текстильный ортез с бортиком
JP6535552B2 (ja) 靴下の編成方法
JP5355989B2 (ja) 靴下
JP2007023409A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長繊維ストッキング類
JP3063340U (ja) 靴 下
JP6675883B2 (ja) 靴下および靴下の編成方法
CN217644627U (zh) 袜子
JP3056820U (ja) 新規な靴下類
JP3068097B1 (ja) 靴 下
KR101880512B1 (ko) 가변형 더블 싱커캠을 갖는 싱커커버에 의한 기능성 발가락 양말 제조방법
JP3220677U (ja) 靴下
KR102497771B1 (ko) 양말 제조방법 및 그 양말
CN108851366B (zh) 一种袜鞋面缝合口结构及缩短缝合口长度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