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242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242B1
KR100342242B1 KR1020000031942A KR20000031942A KR100342242B1 KR 100342242 B1 KR100342242 B1 KR 100342242B1 KR 1020000031942 A KR1020000031942 A KR 1020000031942A KR 20000031942 A KR20000031942 A KR 20000031942A KR 100342242 B1 KR100342242 B1 KR 10034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ayer
colored
color
layer segments
color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338A (ko
Inventor
다끼이겐지
야마다다까하루
마쯔오까고지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00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fixel) 전극과,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복수의 신호선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bending)되고,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의 일부가 상기 제2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COLOR FILTER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텔레비젼 세트, 개인용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사무 자동화 장치 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컬러 필터 기판과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로 일컬음) 장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광학적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컬러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 장치의 구조로서는 액정층 사이에 삽입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중의 하나로서 컬러 필터(이하 "CF"로 일컬음) 기판이 채택되는 구조가 공지되었다. 이 CF 기판은 투명한 지지부상에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투명한 지지부상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디스플레이 픽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스트라이프, 또는 도트(dot) 패턴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가 R, G, B 세그먼트들의 상기 패턴들 위에 추가로 도포되어 코팅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향상된 콘트라스트(contrast) 및/또는 화질을 제공하기 위해, 블랙 마스크(black mask)(종종 "블랙 매트릭스"로 일컬어짐)가 CF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를 한정하는 프레임 영역(주변 영역) 및/또는 픽셀들 사이의 갭(gap)들에 배치된다. 블랙 페이스트(paste)층이나 블랙 금속층을 패터닝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블랙 마스크는 블랙 디스플레이 상태와 등가인 블랙 상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CF 기판에 대하여, 전체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 블랙 마스크에 요구되는 제조 단계들을 제거하기를 원해 왔다. 예를 들어, 이것을 달성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R과 B (또는 R, G, 및 B) 컬러층 세그먼트들을 서로 번갈아서 중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들 컬러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용되는 컬러층 세그먼트들(R, G, 및 B) 각각의 컬러들에 대응하도록 선택되어 함께 블랙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R, G, 및 B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2차원 구성을 채택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선정된 비율들로 제공되어 집합적으로 블랙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나중의 방법은 주변 영역에 무아레 프린지(moire fringes)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CF 기판이 액티브 매트릭스(이하, "AM"으로 일컬어짐) 기판에 부착되는 경우, CF 필터 기판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복수개의 리드 와이어(lead wire)들로 형성된 AM 기판의 일부분을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전형적으로 주위의 유리 기판 등의 반사도와 상이한 반사도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블랙 마스크" 영역내의 컬러층 세그먼트의 컬러들이 약 100㎛ 이상의 사이클(cycle)로 변화하는 경우 무아레 프린지들이 관찰될 수 있다. 이것은 LCD장치의 화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0-62768은 AM 기판상의 두개 이상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두개 이상의 소스 라인위에 연장하는 부분을 커버하는 제2 광차폐부(light shielding)를 포함한 LCD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리드 와이어 패턴들이 가시적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보장하여, 화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 광차폐부는 게이트 및 소스 라인의 재료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제2 광차폐부가 게이트 및 소스 라인들과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어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CF 기판에 있어서는 AM 기판상의 게이트/소스 라인의 배열과 CF 기판상의 컬러층 세그먼트의 컬러 사이에 선정된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프레임 영역의 리드 와이어들의 연장부 (즉,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에 연장되는 부분)에서 무아레 프린지들이 발생될 수 있어서, 컬러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열화시키게 된다.
상기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0-62768에 개시된 기술은 제2 광차폐부를 형성하는 추가적인 단계들을 필요로하여, 제조 공정 동안 수행되는 단계들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제2 차폐부가 게이트 및 소스 라인들의 재료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고, 제조 공정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제2 광차폐부가 게이트 및 소스 라인들과 동시에 패터닝되는 경우, 신호 라인들에서 지연(delay)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딜레이는 어떤 특정 응용에서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포함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의 일부가 상기 제2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3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3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3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4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의 일부가 상기 제3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5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5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6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6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7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7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8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8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의 일부가 상기 제2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4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3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3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3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4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램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된다.
이제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층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주변 영역에 제공되는데,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컬러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컬러들을 갖는다.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과 같은 선정된 구성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이 구성의 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선정된 영역 비율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비율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영역 비율과는 무관하게 선택된다. 이것은 블랙 마스크를 채택하지 않고도 주변 영역에 실질적으로 블랙 디스플레이 상태와 유사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컬러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은 각 리드 와이어들의 적어도 일부(즉, 리드 와이어의 연장 부분이나 또는 그 일부)를 중첩하도록 배열되는데, 이 컬러층 세그먼트(segment)의 피치(pitch)는 주변 영역의 리드 와이어들의 피치와 매칭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하기에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아레 프린지들이 거의 시인되지 않도록 방지된다. 또한, 복수개의 컬러들 가운데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예를 들어 R, G, B 중 B)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리드 와이어을 중첩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 무아레 프린지들은 더욱 가시성이 낮아지게 된다.
비록 최대 인지 가능한 해상도(resolution)는 각 관측자에 따라 변화하더라도, 배선 길이 방향(즉, 리드 와이어들의 세로 방향)을 따라 주변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피치가 약 150㎛ 이하인 경우, 무아레 프린지들은 최소로 시인(visible)된다. 특히, 하기의 예들과 연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아레 프린지들은 배선 길이 방향을 따라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피치가 약 100㎛ 이하인 경우에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들의 피치가 약 1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로 정해지는 상술한 배열은 동일 컬러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각 리드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들을 중첩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상술한 배열과 결합하여 채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기의 예 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선 길이 방향을 따라약 1㎜ 이하의 폭을 갖는 부분에 최소의 휘도 성분을 갖는 컬러나, 또는 주변 영역의 가장 큰 부분(영역 비율에 있어서)을 차지하는 컬러가 제공되는 경우, 무아레 프린지들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기술된 발명은 CF 기판의 주변 영역에 블랙 마스크가 필요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주변 영역에 무아레 프린지가 없는 고 품질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이점 및 다른 이점들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하면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LCD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LCD 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관련 기술의 LCD 장치에서의 CF 기판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관련 기술의 LCD 장치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LCD 장치의 주사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 또는 제3 예에 따른 LCD 장치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 또는 제3 예에 따른 LCD 장치에서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LCD 장치의 주사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관련 기술의 LCD 장치에서의 주변 영역에서 인식되는 무아레프린지(moire fringe)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LCD 장치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LCD 장치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LCD 장치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델타 구성으로 배치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모자이크 구성으로 배치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랜덤 구성(random arrangement)으로 배치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층
2 : AM 기판
3 : CF 기판
4 : 액정 배향막
9 : 유리 기판
7 : 편광판
8 : 스위칭 소자
10 : 투명 픽셀 전극
15a : 컬러층 세그먼트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투과형(transmission type) 컬러 디스플레이 AM LCD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LCD는 AM 기판(2)과 CF 기판(3)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1)(두께: 약 3 ㎛ 내지 10 ㎛)을 포함한다. AM 기판(2)은 투명 픽셀 전극(10)에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 기판(9)으로 형성된다. CF 기판(3)은 투명 공통 전극(13; 대향(counter) 전극)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 기판(14)으로 형성된다. 액정 배향막(alignment film)(4)은 액정층(1)에 면하는 AM 기판(2) 및 CF 기판(3) 각각에 설치된다.
액정층(1)의 주변은 밀봉재(5)로 용접 밀봉되어 셀 구조를 형성한다. 액정층(1)의 두께에 대응하는 셀 구조내의 갭은, 액정층(1)내에 부가된 스페이서(spacer)(6)의 직경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편광판(polarizing plate)(7)은 AM 기판(2)과 CF 기판(3)의 외부면상에 각각 배치되어, 액정층(1)을 통해 편광된 광을 투과시키거나 차폐한다. 반사형 LCD의 경우에, 편광판(7)중 하나는 광 반사막을 일체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고 픽셀 전극(10)이 반사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AM 기판(2)은 유리 기판(9)상에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치된 스위칭 소자(8)를 갖는다. 스위칭 소자(8)는 투명 픽셀 전극(10)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8) 및 투명 픽셀 전극(10)은 유리 기판(9)과 액정 배향막(4) 사이에 삽입된다. 스위칭 소자(8)는 a-Si(비정질 실리콘)형 TFT(박막 트랜지스터), p-Si(폴리실리콘)형 TFT, MIM(금속-절연층-금속)형 TFD(박막 다이오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충분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AM 기판(2)의 배면에 인접하여 백라이트(11)가 설치되며, 스위칭 소자(8)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2)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 설치된다.
CF 기판(3)상에는 액정 배향막(4)과 유리 기판(14) 사이에 투명 공통 전극(13)이 삽입된다. 투명 공통 전극(13)은 하나의 통합된 전극으로서 기능하며, AM 기판(2)상의 모든 투명 픽셀 전극(10)과 대향되며 함께 작용한다.
CF 기판(3)은 또한 투명 공통 전극과 유리 기판(14) 사이에 배치된 사각형을 갖는 CF(15)를 포함한다. CF(15)는 각각의 투명 픽셀 전극(10)에 대응하는 픽셀를 형성하는 3원색 R, G, 및 B의 컬러층 세그먼트(15a)를 포함한다(도 6 참조). 컬러층 세그먼트(15a)의 패턴간의 갭을 통해 투과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해, 각 픽셀(또는 각 컬러층 세그먼트)은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상술된 CF(15) 및 액정층(1)은 투명 픽셀 전극(10)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큰 디스플레이 표면 영역(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에서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에서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보다 어두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품질의 열화를 피할 수 있게 된다. CF(1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CF(115), CF(215), CF(315), 또는 CF(415)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술된 LCD의 평면도이다.
이 LCD는 픽셀 전극(10)을 갖는 AM 기판(2), 대향 전극(13)을 갖는 CF 기판(3) 및 기판(2와 3)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1)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대향 전극(13)에 의해 픽셀 전극(10)이 대향되어 있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의 주변은 "주변 (프레임) 영역"을 형성한다. AM 기판(2)은 주사선으로서 게이트 신호선(16)과 신호선으로서의 소스 신호선(17)을 포함하며, 이들 신호선은 각 픽셀 전극의 주변에 배치되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양 신호선(16 및 17)은 주변 영역까지 연장되어 주변 영역 외부에 배치된 단자 영역에 설치된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주사 전압은 게이트 신호선(16)에 입력되지만, 신호 전압은 입력 단자를 통해 소스 신호선(17)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소스 신호선(17) 및 게이트 신호선(16)은 CF의 주변 영역과 그 이상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몇몇 소스 신호선(17) 및 게이트 신호선(16)은 각 입력 단자에 접속되도록 주변 영역에서 벤딩되어 있다.
비교를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관련 기술의 CF 기판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CF(15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각형의 컬러층 세그먼트(150a)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에지(edge)에서 외부쪽으로 연장되는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0b)를 포함하며, 컬러층 세그먼트(150a)의 표면과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0b)는 서로 동일 평면에 있다. CF(150)의 가장자리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는 도 3에서, 컬러층 세그먼트(150a)는 스트라이프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된 관련 기술의 CF 기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영역(하나의 컬러의 픽셀에 대해)내의 컬러층 세그먼트(150a)의 피치가 약 100㎛로 설정되고,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0b)의 폭이 33.3㎛로 설정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컬러에 대해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0b)의 피치가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단일 픽셀의 폭과 같게 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연장되는 각각의 소스 신호선(170)의 일부는 주변 영역 내의 2 포인트(point)에서 벤딩될 수도 있으므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0b)의 피치와 평행한 방향으로 2개의 상이한 피치가 존재하게 된다. 즉, 소스 신호선(170)은 2개의 벤딩부 다음의 부분보다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더 큰 피치를 갖는다. 그 결과, 스트라이프형 무아레 프린지는 컬러층 세그먼트(150b)의 피치가 소스 신호선(170)과 일치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을수도 있다(중첩된 컬러층 세그먼트의 컬러가 리드 와이어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신호선(16)의 연장부에서는 리드 와이어와 중첩되는 컬러(16b')(즉, 이 경우엔 R, G, B)의 피치가 약 100㎛ 이하이므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없으므로, 이들 컬러는 서로 혼합(blend)된 것으로 인식된다.
컬러가 서로 혼합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통상의 사람, 즉 일본 시력 측정 척도에 따라 시력(혹은 교정 시력)이 1.0인 사람의 최대 인식가능한 해상도가 약 100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된 피치가 약 150㎛ 이상일 때, 상이한 컬러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상술된 피치가 약 100㎛ 내지 150㎛이면, 각각의 관찰자(viewer)의 최대 인식가능한 해상도에 따라 각 색상이 구별되어 인식될 수도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된 피치가 통상의 최대 인식가능한 해상도에 훨씬 못미치는 약 100㎛ 이하일 때, 컬러는 서로 혼합된 것으로 인식되어 단일 컬러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CF 기판은 동일한 컬러의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각각의 리드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도록 컬러층 세그먼트를 갖는다. 또 다른 방법으로, CF 기판은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들이 와이어의 세로 방향으로 약 150㎛ 이하, 양호하게는 약 100㎛ 이하의 피치를 갖도록 컬러층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2가지 구성은 또한,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LCD의 평면도로서, CF(15)의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게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b)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컬러층 세그먼트(15a)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또한, 연장부의 소스 신호선(17)의 피치 및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b)의 피치는 같게 되어, 도 4의 구성에서 무아레 프린지가 관측되었던 영역내에서 소정의 소스 신호선(17)과 중첩되는 컬러층 세그먼트(15b)는 항상 동일한 컬러(즉, B)가 된다. 따라서, 리드 와이어의 평행한 부분과 중첩하는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b)가 항상 B였므로, 무아레 프린지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향상된 디스플레이 품질을 갖는 LCD에서 이와 같은 것이 결과된다.
게이트 신호선의 연장부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무아레 프린지도 전혀 인식되지 않아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제2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CF(115)의 소스 신호선의 연장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CF(115)의 게이트 신호선의 연장부에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15b)는 디스플레이 영역내의 컬러층 세그먼트(115a)의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스 신호선(17)의 연장부에서, 리드 와이어와 중첩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15b)의 피치는 약 100㎛ 이하이며,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15b)의 컬러들은 서로 혼합된 것으로 인식되어서, 중첩하는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았던 소정 부분에서의 컬러와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15b)의 컬러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게이트 신호선(16)의 연장부에서, 리드 와이어의 수평부와 중첩하는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6b)는 통상 B이므로, 도 4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무아레 프린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된다.
모든 스트라이프가 제1 예 및 제2 예에 따른 스트라이프 구성의 전체 주변 영역상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의 스트라이프는 주변 영역의 다른 부분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3 예)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LCD의 CF에, 도 5 및 7에 도시된 구성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주변 컬러층 컬러층 세그먼트의 세로 방향이 리드 와이어의 방향과 직교하도록 소스 신호선(17)의 연장부 및 게이트 신호선(17)의 연장부에서 세그먼트의 스트라이프 방향이 상이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6 및 도 8의 구성은 컬러층 세그먼트의 세로 방향이 리드 와이어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무아레 프린지가 보이지 않으므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제1 예 및 제2 예에서,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b 및 16b)가 90°와 180°가 아닌 각도로 신호선(16 및 17)의 연장부와 중첩한 영역이 존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무아레 프린지는 리드 와이어의 길이, 주변 영역내의 리드 와이어와 컬러층 세그먼트(15b 또는 16b)간의 교차 각도,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15b 또는 16b)의 피치, 또는 다른 조건들에 따라 리드 와이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측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들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R, G, 및 B의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는 약 50㎛의 스트라이프 폭을 갖는 스트라이프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AM 기판상의 리드 와이어 방향과 CF 기판 상의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의 세로 방향 사이의 각도 θ는 약 45°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의 세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측된 무아레 프린지의 피치가 약 150㎛ 이하가 되므로, 무아레 프린지가 인식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4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LCD의 CF(215)를 도시한다. 도 10의 구성에서,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215b)가 소스 신호선(17)의 연장부와 90°와 180°가 아닌 각도로 중첩하는 영역(215b')이 존재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215b') 내의 각각의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215b)의 세로 방향은 리드 와이어와 각각 평행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서, 무아레 프린지가 보이지 않으므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제5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LCD내의 CF(315)를 도시한다. 도 11의 구성에서,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315b)가 소스 신호선(17)의 연장부와 90°와 180°가 아닌 각도로 중첩하는 영역(315b')이 존재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315b')내의 각각의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315b)의 세로 방향은 리드 와이어와 각각 직교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서, 무아레 프린지가 보이지 않으므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제6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LCD내의 CF(415)를 도시한다. 도 12의 구성에서는, 스트라이프형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415b)가 소스 신호선(17)의 연장부와 90°와 180°가 아닌 각도로 중첩되는 영역(415b')이 존재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길이의 방향에 따른 영역(415b')의 폭은 약 1㎜ 이하이다. 영역(415b')은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가진 컬러(예를 들어, R, G, 및 B 중에서 B), 또는 주변 영역 중에서 가장 큰 부분(면적비면에서)을 점유하는 컬러로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B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영역(415b')을 채우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서, 무아레 프린지가 보이지 않으므로 LCD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각의 컬러층 세그먼트 구성은 소스 신호선(17)에 대응하는 컬러층 세그먼트뿐만 아니라, 게이트 신호선(16)에 대응하는 컬러층 세그먼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컬러로 R, G, 및 B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원색, 예를 들어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옐로우 또는 3가지 이상으로 구성된 다원색 컬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의 경우,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컬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는 소정의 면적비를 갖고, 스트라이프 구성 이외에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 구성의 결합 등의 소정의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CF는 건식 필름 적층 방식(DFL 방법), 착색 방식, 염료 분산 방식, 프린팅 방식, 전착 방식, 잉크-젯 방식 등의 각종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TFT 컬러 LCD 장치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EL(전자 발광)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STN(수퍼 트위스티드 네마틱; Super Twisted Nematic)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CRT 등의 CF를 이용하는 임의 형태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F 기판은 주변(프레임) 영역에 블랙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정 중의 공정 수를 감축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CF 기판은 동일 컬러의 컬러층 세그먼트가 각 리드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어지는 컬러층 세그먼트 구성을 갖는다. 또는, 본 발명의 CF 기판은 주변 컬러층 세그먼트가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피치, 바람직하게는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피치를 갖는 컬러층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두 구성의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주변 영역 내에서 AM 기판상의 리드 와이어의 구성 또는 피치와 CF 기판상의 컬러층 세그먼트의 구성 또는 피치 사이에 정해진 관계가 없을 경우에 통상적으로 발생되는 무아레 프린지를 방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변형 및 수정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24)

  1.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선의 일부가 상기 제2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하나의 신호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3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3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3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4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의 일부가 상기 제3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5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5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6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6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7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7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8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8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8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1.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의 일부가 상기 제2 착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 이외의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와 중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사선 일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3 컬러층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적은 광도 계수를 갖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3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컬러들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점유하는 컬러로 착색되고, 상기 제4 컬러층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6.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3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3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3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3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4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4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및 제4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랜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2.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선과 복수의 주사선들이 그들의 교차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나도록 제공되어진 제1 기판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교차점 중 대응하는 교차점에 인접하여 제공되어진 복수의 픽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픽셀 전극에 대응하며 복수의 컬러를 구비한 제1 착색 영역을 갖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삽입된 액정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색 영역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컬러를 구비하는 제2 착색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착색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 내에서 벤딩되고,
    상기 제2 착색 영역은 적어도 제1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1 컬러층 세그먼트와, 제2 컬러로 착색되어진 복수의 제2 컬러층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5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컬러층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주사선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약 100㎛ 또는 그 이하의 폭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색 영역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컬러층 세그먼트는 스트라이프, 델타, 모자이크 또는 램덤 구성이나, 이들의 결합으로 배열되는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031942A 1999-06-10 2000-06-10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 KR100342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64499 1999-06-10
JP16449999A JP3625396B2 (ja) 1999-06-10 1999-06-10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38A KR20010007338A (ko) 2001-01-26
KR100342242B1 true KR100342242B1 (ko) 2002-07-02

Family

ID=1579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942A KR100342242B1 (ko) 1999-06-10 2000-06-10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07606B1 (ko)
JP (1) JP3625396B2 (ko)
KR (1) KR100342242B1 (ko)
TW (1) TW487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5396B2 (ja) * 1999-06-10 2005-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20159008A1 (en) * 2000-03-10 2002-10-31 Takeru Yoshino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JP3972354B2 (ja) 2000-10-17 2007-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859525B2 (ja) * 2002-02-28 2006-1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
CA2492800C (en) * 2002-07-15 2011-04-26 Gareth Paul Bell Improved multilayer video screen
JP4490708B2 (ja) 2003-09-18 2010-06-30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08010332A1 (fr) * 2006-07-20 2008-0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4974152B2 (ja) * 2007-02-28 2012-07-11 京セラ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6310734B2 (ja) * 2014-03-12 2018-04-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99883B1 (ko) * 2016-11-15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1657A (ko) * 2016-12-2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KR102612998B1 (ko) * 2016-12-30 2023-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KR102582059B1 (ko) 2016-12-30 2023-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US10877342B2 (en) * 2017-03-30 2020-12-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08279524B (zh) * 2018-03-28 2021-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和掩模
TWI685695B (zh) * 2018-09-20 2020-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818A (ja) * 1982-10-01 1984-04-09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S63186216A (ja) * 1987-01-28 1988-08-01 Nec Corp アクテイブマトリツクス液晶表示器
JPS6455582A (en) * 1987-08-06 1989-03-02 Ibm Color display device
US5822026A (en) * 1994-02-17 1998-10-13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3591676B2 (ja) 1996-08-19 2004-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032197B1 (ja) 1999-02-26 2000-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フィルタおよび光学的表示装置
JP3625396B2 (ja) * 1999-06-10 2005-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7894B (en) 2002-05-21
KR20010007338A (ko) 2001-01-26
JP3625396B2 (ja) 2005-03-02
US6307606B1 (en) 2001-10-23
JP2000352939A (ja)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3498B2 (ja) 表示装置
KR1003422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 필터
US76564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oviding light to liquid crystal panel
US7688408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601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3738549B2 (ja) 液晶表示素子
US83688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periodically changed permutations of at least two types of electrode-pattern pairs
JP5379124B2 (ja) 液晶表示装置
US7522252B2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5261237B2 (ja) 液晶表示パネル
US201203273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40080778A (ko) 4색 구동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에 사용하는 표시판
JP2007264231A (ja) Ffsモードの液晶表示パネル
JPH11133887A (ja) カラー表示装置
KR20000057974A (ko) 컬러 필터 및 광학적 표시 장치
KR20040061672A (ko) 컬러 필터 기판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TWI658454B (zh) 液晶顯示裝置
KR10041766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및 이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
JP2806741B2 (ja) 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
JP2010204536A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548475B2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5128424A (ja) 表示装置
JPH1184365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434594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3212946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