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43B1 -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743B1
KR100339743B1 KR1020000022053A KR20000022053A KR100339743B1 KR 100339743 B1 KR100339743 B1 KR 100339743B1 KR 1020000022053 A KR1020000022053 A KR 1020000022053A KR 20000022053 A KR20000022053 A KR 20000022053A KR 100339743 B1 KR100339743 B1 KR 10033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folding
steam
plat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842A (ko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김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규 filed Critical 김현규
Priority to KR102000002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7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가루와 각종 곡물 또는 각종 식품을 혼합 반죽하여 이를 증기 가열방식으로 익혀 각종 양념을 넣고 조리하는 과정에서도 밀가루에 혼합된 혼합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망체로 구성된 컨베이어의 직 하부측에 증기관을 배관하여 이 증기관으로 배출 분사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반죽을 익힘으로써, 후 처리 즉 각종 양념과 혼합 조리 후에도 밀가루 반죽에 혼합된 각종 혼합식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접 가열 방식으로 반죽을 익힌 상태에서 절단하여 면발을 제조하는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일상 생활에서 즐겨 먹는 음식물의 하나이다. 통상 밀가루를 주 성분으로 하는 국수는 반죽기 및 국수 제조 기계를 통해 면발을 뽑거나 혹은 수작업으로 면발을 뽑아 각종 양념을 넣어 조리한 다음 섭취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국수 제조 장치로는 성형 로울러 사이로 밀가루 반죽을 압입시켜 가늘고 긴 국수를 뽑는 것이 있으며, 원통체의 내부에 모터와 연계된 스크류축을 구비하고, 이 스크류축을 이용하여 원통 내부에 공급되는 밀가루 반죽을 이동시키며 스크류축 전방에 구비된 다공판에 의해 면이 일발되도록 하는 종류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국수 제조장치는 단순히 밀가루 반죽으로 부터 가는 면발을 형성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고, 가열되어 익혀진 상태의 국수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국수 제조장치로는 국수의 주 원료가 밀가루에 한정될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국수는 밀가루를 주 원료로 상기한 장치를 거쳐 면발로 뽑아져 각종 양념과 조리되는데, 반죽 과정에서 밀가루 이외에 다른 첨가물 예를 들어 쌀, 보리 혹은 각종 과실이 혼합되는 경우 끈기가 없어 건조 과정에서 끊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어 많은량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도 물과 혼합되면 밀가루 이외의 다른 첨가물은 분리되는 문제가 있어 첨가 식품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없고, 영양소 또한 파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밀가루와 각종 곡물 또는 각종 식품을 혼합 반죽하여 이를 증기 가열방식으로 익혀 각종 양념을 넣고 조리하는 과정에서도 밀가루에 혼합된 혼합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체로 구성된 컨베이어의 직 하부측에 증기관을 배관하여 이 증기관으로 배출 분사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반죽을 익힘으로써, 후처리 즉 각종 양념과 혼합 조리 후에도 밀가루 반죽에 혼합된 각종 혼합식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곡물 국수 및 밀가루와 각종 식품이 혼합된 국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국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 과실, 생약, 차잎을 즙 또는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밀가루와 반죽하는 반죽단계와, 상기 반죽을 판상으로 가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판상의 반죽 양측단을 접어 최소 3겹 이상으로 접는 접이 단계 및 접어진 반죽을 증기로 가열하여 익힌 다음 이를 절단하여 면발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반죽을 판상으로 가압하는 가압 로울러가 구비된 성형 수단과, 상기 가압 로울러를 통과한 판상의 반죽이 진입되는 베이스판의 전방측으로 경사면을 구비하여 반죽의 양측단이 접어지게 하는 접이수단과, 상기 반죽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형식의 망체를 구비하고, 상기망체의 하부에 보일러와 연계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관이 갖추어져 상기 반죽을 익히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에서 익혀진 반죽을 랙기어에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절단날로 절단하여 면발을 만드는 장치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반죽 절첩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증기 가열수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조장치 10 : 성형기
20 : 접이수단 22 : 경사면
30 : 가열수단 31 : 망체
33 : 증기관 34 : 분사 노즐
40 : 절단수단 41 : 절단날
42 : 랙 기어 43 : 피니언 기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반죽을 가압하여 판상으로 제조하는 성형수단(10)과, 상기 판상의 반죽을 최소 3겹 이상으로 접는 접이수단(20)과, 접어진 반죽을 증기로 가열하는 가열수단(30)과, 가열 후 반죽을 절단하는 절단수단(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밀가루와 각종 첨가 식품을 혼합 반죽하여 판상으로 가압 성형하고, 이를 증기 가열방식으로 익힌 상태에서 절단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으로, 밀가루와 반죽된 각종 첨가 식품이 밀가루와 완전히 융화되도록 하여 조리시에도 반죽에 혼합된 첨가식품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각종 국수 예를 들어 감자, 고구마, 각종 과일 및 각종 곡물이 혼합된 국수의 제조를 가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성형수단(10)은 반죽이 넣어지는 호퍼(11)와 가압 로울러(12)로 구성된 장치이나 이는 종래의 국수 제조기에 사용되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다만 반죽을 압입하여 판상으로 제조하는 성형 단계까지만을 채용하여 본 발명에 적용한다.
물론 상기 성형수단(10)은 제품 및 그 규격에 따라 별도로 제작될 수 있음은물론이다.
상기 절첩수단(20)은 도 2 와 같은 구조로 베이스판(21)과 이 베이스판(21)의 전방측 상면으로 돌출된 경사면(22)과, 상기 경사면(22)에 일체로 연장된 상판(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21)은 상기 성형수단(10)의 가압 로울러(12)와 연결되어 압입된 반죽이 진입되도록 하되, 그 대향측이 점차 좁아지는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양측 경사면(22)이 구비되어 가압 로울러(12)를 통과한 판상의 반죽 양측단부가 상기 경사면(22)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겹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상판(23)은 겹쳐지는 반죽의 양측단부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열 수단(30)은 컨베이어 형식으로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 로울러(31)를 구비하고, 이 로울러(31)에 망체(32)를 감아 회동시키며 상기 접이수단(20)에서 접어진 반죽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망체(32)의 하부측에는 증기관(33)이 배설된다.
여기서 상기 망체(32)는 스테인리스강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재질 즉 철재 혹은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증기관(33)은 보일러(미도시)와 연계되어 증기를 분사하며, 증기관(33)에는 상방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4)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30)의 로울러(31)는 모터(36)와 체인(37)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절단수단(40)은 가열 수단(30)을 통과한 반죽을 절단하는 것으로, 절단날(41)의 후방측은 랙 기어(42)에 고정되어 상기 랙기어(42)는 피니언 기어(43)와 맞물려 상,하 이동하며 반죽을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41)의 이동은 실린더와 같은 유압 방식에 의해서도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35는 증기관을 개폐시키는 중간 밸브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국수 제조 장치(1)는 반죽을 증기가 열하여 익힌 다음 절단하여 포장 시판하는 기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성형수단(10)에는 밀가루와 각종 식품이 혼합된 반죽이 투입되는데, 먼저 상기 반죽은 밀가루와 각종 첨가식품 예를 들어 감자, 고구마, 과실, 곡물 등을 혼합하여 반죽한다. 이때 상기 첨가 식품은 즙 또는 분말 형태로, 과실은 즙을 내어 혼합하고, 곡물은 분말 형태로 혼합되어 반죽한다.
성형 수단(10)에 투입된 반죽은 가압 로울러(12)에 눌려져 판상으로 성형되고, 판상의 반죽은 접이 수단(20)으로 이동한다. 접이 수단(20)으로 이동한 반죽은 그 양측단이 접이수단(20)의 경사면(2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자연스럽게 3겹으로 겹쳐지면서 가열 수단(30)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열 수단(30)을 통과하는 반죽은 망체(32)의 하부측에 위치한 증기관(33)에서 분사되는 증기에 의해 익혀지며, 이때 밀가루와 반죽된 각종 첨가식품이 밀가루에 완전히 용합되어 차후 물에 넣고 조리를 하여도 상호간에 분리될 염려가 없으며, 영양소가 파괴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가열수단(30)을 통과한 반죽은 가열 수단(30)의 후방측에 장착된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되어 포장과정을 거쳐 시판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이 첨가된 국수의 제조를 가능하는 장치로, 밀가루와, 분말 혹은 즙 형태의 각종 식품을 혼합하여 반죽하고, 이를 성형수단에 투입하여 판상의 반죽으로 제조한 다음 최소 3겹 이상으로 접어 증기를 익힌 상태에서 절단하는 것으로, 밀가루와 혼합 반죽된 첨가 식품의 분리 및 영양소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2)

  1. 곡물, 과실,생약, 차잎을 즙 또는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밀가루와 반죽하는 반죽단계와,
    상기 반죽을 판상으로 가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판상의 반죽 양측단을 접어 최소 3겹 이상으로 접는 접이 단계 및
    접어진 반죽을 증기로 가열하여 익힌 다음 이를 절단하여 면발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국수 제조 방법.
  2.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반죽을 판상으로 가압하는 가압 로울러가 구비된 성형 수단과,
    상기 가압 로울러를 통과한 판상의 반죽이 진입되는 베이스판의 전방측으로 경사면을 구비하여 반죽의 양측단이 접어지게 하는 접이수단과,
    상기 반죽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형식의 망체를 구비하고, 상기 망체의 하부에 보일러와 연계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증기관이 갖추어져 상기 반죽을 익히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에서 익혀진 반죽을 랙기어에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절단날로 절단하여 면발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국수 제조장치.
KR1020000022053A 2000-04-25 2000-04-25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033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053A KR100339743B1 (ko) 2000-04-25 2000-04-25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053A KR100339743B1 (ko) 2000-04-25 2000-04-25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842A KR20000053842A (ko) 2000-09-05
KR100339743B1 true KR100339743B1 (ko) 2002-06-05

Family

ID=1966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053A KR100339743B1 (ko) 2000-04-25 2000-04-25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7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301B1 (ko) * 2005-05-27 2006-10-02 정명준 냉면제조기용 면 절단 절곡장치
KR101679374B1 (ko) 2015-03-31 2016-11-24 박장순 가축사료 가공 및 공급시스템
KR20180067080A (ko) 2016-12-12 2018-06-20 이한우 찰진 면의 제조방법 및 그 면
KR101996190B1 (ko) * 2018-12-27 2019-07-03 김동용 전분을 이용한 열압착 용기면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60B1 (ko) * 2003-06-17 2011-03-04 김정배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0855363B1 (ko) * 2005-12-20 2008-09-04 윤양지 떡 보쌈 피 제조장치
KR101150015B1 (ko) * 2009-11-10 2012-05-31 이병철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가열장치
CN109247359B (zh) * 2018-10-31 2020-10-30 湖南省桃江世莲食品有限公司 一种面条成型设备的除杂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301B1 (ko) * 2005-05-27 2006-10-02 정명준 냉면제조기용 면 절단 절곡장치
KR101679374B1 (ko) 2015-03-31 2016-11-24 박장순 가축사료 가공 및 공급시스템
KR20180067080A (ko) 2016-12-12 2018-06-20 이한우 찰진 면의 제조방법 및 그 면
KR101996190B1 (ko) * 2018-12-27 2019-07-03 김동용 전분을 이용한 열압착 용기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842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383B1 (ko) 찹쌀분말을 이용한 유과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339743B1 (ko) 혼합 국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1298A (ko) 혼합국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와 혼합국수를 이용한국수스낵과자류의 제조방법
CN101073391B (zh) 挤压疏松食品的制备方法
KR19980019365A (ko) 양념을 가미한 종합영양분이 함유된 가래떡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 strip of rice Cake synthetic nutritive food and soned contain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as well as equipment)
CN213939497U (zh) 一种杂粮面条自动生产设备
KR101068006B1 (ko) 홍삼정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기
CN113519689A (zh) 一种植物蛋白素肉及去豆腥味即食素肉干的制备方法
CN102696719A (zh) 一种杂粮饼的生产方法
KR100512922B1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CN101263898A (zh) 一种营养保健艾叶饺子的制作方法
KR20040002830A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KR101092182B1 (ko)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KR20030040945A (ko) 감자로 만든 면류의 제조방법
KR102391227B1 (ko) 퓨전 순대
KR20060078559A (ko)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1341549B1 (ko) 소스를 함유한 떡 제조 장치
KR20060102668A (ko) 천공자 절편 및 절편의 제조방법
DE102005005155A1 (de) Hohlkörperförmige Speise mit Formschale
KR101803754B1 (ko) 바삭한 식감을 갖는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200386694Y1 (ko) 천공자 절편
KR101500810B1 (ko) 가래떡을 이용한 간식 제조방법
KR100901651B1 (ko) 누룽지 라면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608043U (zh) 一种地瓜叶干面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