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39B1 -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739B1
KR100339739B1 KR1019980030404A KR19980030404A KR100339739B1 KR 100339739 B1 KR100339739 B1 KR 100339739B1 KR 1019980030404 A KR1019980030404 A KR 1019980030404A KR 19980030404 A KR19980030404 A KR 19980030404A KR 100339739 B1 KR100339739 B1 KR 10033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bill
path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771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7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 지급기의 사용 도중(지폐의 방출 도중)에 지폐가 모두 방출된 상태에서 통신 장애등의 지폐 방출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지폐 인도부(또는 이송로)에 잔류된 지폐를 자동적으로 회수하여 다음의 거래가 원활하게 할수 있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류 지폐 회수 장치는 상부 이송 벨트, 및 상부 이송 벨트와 협응하여 지폐 이송로를 형성하는 하부 이송 벨트와, 이송로상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송로상에 투입되는 지폐를 완충하여 스토핑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와, 지폐 이송 수단의 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회수되는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과, 회수함으로 지폐가 회수될 때, 지폐가 회수되도록 회수 경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지폐 방출부 하부에 제공되는 게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이송 벨트와 하부 이송 벨트는 다수의 지폐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정, 역방향으로 구동되며, 제 3 풀리는 인도될 지폐가 이송로 상에 모두 투입되었을 때 제 2 풀리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하부 이송 벨트를 향하여 이동된다.

Description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본 발명은 현금 자동 지급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장애로 인하여 지폐 인도부(또는 지폐 이송로)에 잔류하는 지폐를 자동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금고형 현금 자동 지급기(이하, 현금 지급기라 한다)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ATM이라고 칭하는 현금 자동 지급 장치가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ATM(Automated Tellers Machine)은 은행의 기계화 코너에 설치되며, 카드 또는 통장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현금(지폐)을 인출(출금)하고, 또는 예입(입금) 등을 고객 자신의 조작으로 행하는 기계로서, 은행 창구의 영업 종료 후에도, 시간을 연장하여 가동될 수 있으며, 또한 백화점, 지하철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무인 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설치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지폐의 지불이 가능한 종래의 현금 자동 지급 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01은 장치의 케이스이며, 102는 케이스(101)의 정면에 설치된 현금 출구, 103은 케이스(101)의 후방 도어이며, 104는 케이스(101) 내에 설치된 현금 지급 기구이다.
이 외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케이스(101)의 정면에는 고객에게 비밀 번호나 지급 요구 금액 등의 입력 조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으로 이루어진 입력 조작부, 고객의 입력 조작의 유도 표시나 정보 표시등을 행하는 표시부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01)는 표시부의 표시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발생기, 카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레시트 인자기, 전원 기구, 및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현금 지급 기구(104)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즉, 셔터(105)는 현금 출구(102)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셔터(105)에 인접하여 지폐 인도부(106)가 배치된다. 지폐 인도부(106)는 통상 수평의 상태로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후단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지폐 방출 롤러(107)가 지폐 인도부(106)의 한 쪽 상측부에 설치된다.
출금용 지폐는 수납함(108)에 수납되어 있으며, 후방 도어(103) 측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도어(103)를 개방한 후 현금 지급 기구(104)의 후방으로 인출하여 밖으로 꺼내도록 되어 있다. 수납함(108)에 수납된 지폐는 지폐 방출 모듈일 때 인출 수단(110)에 의하여 인출된다.
인출 수단(110)은 수납함(108)으로부터 지폐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스풀 롤러(111), 픽업 스풀 롤러(111)에 의하여 픽업된 지폐를 이송 경로에 송출하기 위한 피드 롤러(112) 및 지폐가 2매 이상 픽업된 경우에 두 번째 지폐를 되돌리기 위한 리버스 롤러(113)등으로 구성된다. 인출 수단(110)에 의하여 수납함(108)으로부터 픽업된 지폐는 벨트(110a,110b)를 따라서 지폐 인도부(106)로 이송된다.
도 2a 내지 도 2d에는 벨트(110a,110b)를 따라서 이송된 지폐 인도부(106)의 한 쪽 상측부에 설치된 지폐 방출 롤러(107)를 통하여 지폐 인도부(106)로 방출되어, 지폐가 고객에게 인도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폐 인도부(106)에 지폐가 적층되지 않은 도 2d의 초기 상태에서, 지폐 방출 모듈에 따라서, 수납함(108)로부터 벨트(110a,110b)를 따라서 이송된 지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방출 롤러(107)를 통하여 지폐 인도부(106)로 방출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인도부(106)에 적층된다. 지폐 인도부(106)에 적층된 지폐는 셔터(105)의 개방에 의하여 고객에 인도되어, 도 2d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현금 자동 지급기는 사용 도중(지폐의 방출 도중)에 지폐가 모두 방출된 상태에서 현금 자동 지급기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고객이 지폐를 수취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지폐 인도부에 지폐가 잔류하게 됨에 따라서, 다음의 거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편, 현금 자동 지급기의 시스템이 다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다운을 복구하기 위하여, 전문가가 지폐 인도부에 잔류된 지폐를 제거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금 지급기의 사용 도중(지폐의 방출 도중)에 또는 지폐가 모두 방출된 상태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지폐 인도부(또는 이송로)에 잔류된 지폐를 자동적으로 회수하여 다음의 거래가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금 자동 지급기의 현금 지급 기구로부터 지폐 인도부로 지폐의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지폐가 고객에게 인도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지폐가 정상적으로 방출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지폐가 정상적으로 방출된 후에 고객에게 지폐를 인도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지폐가 고객에게 인도되지 않거나 현금 지급기에 잔류되었을 때, 미인도된 지폐 또는 잔류 지폐를 회수하기 위하여 작동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게이트 부재가 지폐 방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하향 돌출턱에 의하여 선회 운동이 한정되는 것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이송 벨트 2 : 하부 이송 벨트
3 : 스토퍼 부재 4 : 지폐 투입 감지 센서
5 : 지폐 방출부 6 : 게이트 부재
7 : 지폐 회수함 8 : 하향 돌출턱
10 : 지폐 인도부 11 : 제 1 풀리
12 : 제 2 풀리 13 : 제 3 풀리
14 : 제 4 풀리 15 : 제 5 풀리
16 : 제 6 풀리 17 : 텐션 조절 부재
18 : 지폐 감지 센서 19 : 제 6 풀리 축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지폐 인도부 측의 제 1 풀리, 지폐 방출부 측의 제 3 풀리 및 제 1 및 제 3 풀리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풀리에 권취되며, 상기 제 2 풀리 상부에 제공되는 텐션 조절 부재에 의하여 인장력이 조절되는 상부 이송 벨트, 및 상기 상부 이송 벨트와 협응하여 지폐 이송로를 형성하는 하부 이송 벨트와; 상기 이송로상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송로 상에 투입되는 지폐를 완충하여 스토핑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지폐 이송 수단의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회수되는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과; 상기 회수함으로 지폐가 회수될 때, 지폐가 회수되도록회수 경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지폐 방출부 하부에 제공되는 게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벨트는 다수의 지폐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정, 역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 3 풀리는 인도될 지폐가 상기 이송로 상에 모두 투입되었을 때 상기 제 2 풀리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상기 하부 이송 벨트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 1 풀리는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이송 벨트의 지폐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풀리를 중심으로 하부 이송 벨트를 향하여 선회되도록 스프링력이 작용된다.
상기에서, 상기 게이트 부재는 상기 지폐 방출부 측의 제 3 풀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부 이송 벨트 구동용 풀리의 축 중간부에 설치되며, 마찰재가 표면에 제공된다.
상기에서, 상기 게이트 부재의 선회 운동을 한정하기 위한 하향 돌출턱이 상기 지폐 방출부의 이송로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부재는 폐쇄될 때 상기 돌출턱에 상단이 걸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지폐가 정상적으로 방출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는 타이밍 벨트로 형성되는 상부 이송 벨트(1)가 지폐 인도부(10) 측의 제 1 풀리(11), 지폐 방출부(5) 측의 제 3 풀리(13) 및 제 1 및 제 3 풀리 사이(11,13)에 제공되는 제 2 풀리(12)에 권취된다. 상부 이송 벨트(1)는 제 2 풀리(12)의 상부에 제공되는 텐션 조절 부재(17)에 의하여 인장력이 조절된다.
상부 이송 벨트(1)와 함께 지폐의 이송로를 형성하는 하부 이송 벨트(2) 또한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며, 하부 이송 벨트(2)는 상부 이송 벨트(1)를 구동하기위한 제 1 내지 제 3 풀리(11,1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3개의 풀리, 즉 제 4, 제 5 및 제 6 풀리(14,15,16)에 권취된다.
상부 이송 벨트(1)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풀리(11,12,13)은 모두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또한 하부 이송 벨트(2)를 구동하기 위한 제 4 내지 제 6 풀리(14,15,16) 또한 서로 동일한 지름을 가진다. 또한, 중앙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풀리(12)와 제 5 풀리(15)는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부 이송 벨트(1)와 하부 이송 벨트(2)는 동일한 속도로 이송될 수 있다.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형성된 이송로 상으로의 고객에게 인도될 지폐의 방출은 제 3 풀리(1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송 벨트(1)와 하부 이송 벨트(2)가 서로 분리되도록 제 2 풀리(12)를 중심점으로 상방으로 선회된 상태에서 투입되므로, 지폐 방출부(5)로부터 방출되는 지폐는 이송로 상에 용이하게 투입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가 지폐 방출부(15)로부터 상부 이송 벨트(1)와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폐 이송로에 각각 방출될 때, 각각의 지폐는 이송로상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된 스토퍼 부재(3)에 의하여 정위치에 위치된다. 즉, 스토퍼 부재(3)는 지폐 방출부(5)로부터 방출되는 지폐의 방출력에 의하여 지폐 인도부(10) 측으로 약간 밀려지고 지점(9)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그러므로, 지폐는 이송로 상에 투입되는 방출력이 스토퍼 부재(3)에 의하여 완충되고,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 3 풀리(13)가 제 2 풀리(1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된 상태에서, 이송로에 고객에게 인도될 지폐의 투입이 완료되었을 때, 지폐 방출부(5) 측의 이송로에 설치된 지폐 투입 감지 센서(4)가 지폐를 감지하고, 제 6 풀리(16)가 설치되는 축(도시되지 않음)을 선회시키기 위한 모터에 신호를 송신하고, 모터는 지폐 투입 감지 센서(4)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제 3 풀리(1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풀리(12)를 중심으로 제 6 풀리(16)를 향하여 선회되고, 제 3 풀리(13)의 선회에 따라서, 상부 이송 벨트(1)는 하부 이송 벨트(2)와 밀착된다. 그런 다음, 풀리(11 내지 16)들은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를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송로 상에 위치된 지폐는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지폐 인도부(10)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 때, 상부 이송 벨트(1)의 인장력은 제 2 풀리(12)의 상부에 제공되는 텐션 조절 부재(17)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조절되어, 지폐를 이송하기 적합한 인장력으로 유지된다.
또한, 지폐 인도부(10)측에 배치되는 제 1 풀리(11)는 제 2 풀리(12)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풀리(11)에 대응하는 제 4 풀리(14)는 고정된다. 그러나, 제 1 풀리(11)는 상기된 바와 같이 제 2 풀리(12)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제 4 풀리(14)를 향하여 선회되도록 스프링력(스프링은 도시되지 않음)이 작용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이송 벨트(1,2)에 의하여 형성된 이송로를 따라서 지폐가 이송될 때, 상부 및 하부 이송 벨트(1,2)의 지폐에 대한 밀착력(이송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지폐가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지폐 인도부(10)로 인도되면, 사용자는 지폐 인도부(10)로부터 지폐를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지폐가 정상적으로 지폐 인도부(10)까지 인도된 후에, 현금 자동 지급기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지폐를 지폐 인도부(10)로부터 꺼내지 못하였을 때, 즉, 지폐 인도부(10)에 예를 들어 대략 20초 정도 동안 지폐가 대기하는 경우에, 지폐 인도부(10)에 설치된 지폐 감지 센서(18)에 의하여 지폐가 감지된다.
지폐 감지 센서(18)는 지폐 인도부(10)에 지폐가 일정시간 대기하는 경우에, 풀리(11 내지 16)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인가하여, 풀리(11 내지 16)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기능하며, 따라서, 지폐 감지 센서(18)는 지폐 인도부(10)에 지폐가 일정시간 대기할 때,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는 풀리(11 내지 16)들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서 지폐 방출부(15)를 향하도록 구동된다.
지폐 회수함(7)으로 지폐가 회수(C에서 D방향으로 )될 때, 회수되는 지폐는 이송로 상에 설치된 스토퍼 부재(3)를 통과하게 되고, 지폐 방출부(5)로부터 방출되는 투입 위치로 복귀된다. 지폐가 스토퍼 부재(3)를 통과할 때, 스토퍼 부재(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에 의하여 지폐 방출부(5)로 선회된다. 지폐가 초기 위치, 방출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지폐 투입 감지 센서(4)에 의하여 다시 감지되며, 지폐 투입 감지 센서(4)에 의한 지폐의 감지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6 풀리(16)가 설치되는 축(19)에 설치된 게이트 부재(6)가 개방된다.
게이트 부재(6)는 지폐가 지폐 회수함(7)으로 회수되도록 회수 경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지폐 방출부(5) 하부에 제공되며, 축(19)의 회전에 따라서 회수 경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부(6a)가 형성되며, 지폐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도록 마찰재가표면에 도포된다.
게이트 부재(6)는 고객에게 지폐를 정상적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회수 경로를 폐쇄할 때, 지폐 방출부(5)의 이송로측 단부에 형성된 하향 돌출턱(5a)에 상단이 걸리게 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돌출턱(5a)에 의하여 선회 운동이 한정된다.
또한,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에 의하여 형성된 이송로를 따라서 지폐가 이송되는 동안, 지폐가 이송로상에 잔류하였을 때, 이송로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가 이송로 상에 있는 지폐를 감지하여, 상기된 바와 같이 상부 이송 벨트(1) 및 하부 이송 벨트(2)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지폐를 지폐 회수함(7)으로 회수하며, 이에 대한 기술은 미인도 지폐의 회수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에 의하면, 현금 지급기의 사용도중(지폐의 방출 도중)에 지폐가 모두 방출된 상태에서, 현금 자동 지급기의 통신 장애의 발생으로 인하여, 지폐가 지폐 인도부 또는 이송로에 잔류되었을 때, 지폐를 자동적으로 회수하여 다음의 거래가원활하게 할수 있다.

Claims (4)

  1. 다수개의 밸트와 폴리로 이루어져서 지폐를 정/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지폐 이송수단과;
    상기 지폐 이송수단 일측에 회전 기능하여 투입된 지폐를 일정 매수 투입 동작이 완료될 때 까지 각 지폐를 이송을 정지시켜 일시 보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지폐 이송수단의 역 방향 작동에 의하여 역 이송되어 회수되는 지폐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과;
    상기 회수함으로 지폐가 회수될 때 선택적으로 회송경로를 개방토록 상기 지폐이송수단과 회수함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이송수단은 지폐 이송로 상에 위치한 지폐가 벨트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경로 중앙에 놓인 폴리를 중심으로 하부 이송 벨트를 향하여 선회되도록 스프링 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부재는 상기 지폐 방출부 측의 풀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하부 이송 벨트 구동용 풀리의 축 중간부에 설치되며, 마찰재가 표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부재의 선회 운동을 한정하기 위한 하향 돌출턱이 상기 지폐 방출부의 이송로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부재는 폐쇄될 때 상기 돌출턱에 상단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자동 지급기의 미인도 또는 잔류 지폐 회수 장치.
KR1019980030404A 1998-07-28 1998-07-28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10033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04A KR100339739B1 (ko) 1998-07-28 1998-07-28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404A KR100339739B1 (ko) 1998-07-28 1998-07-28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71A KR20000009771A (ko) 2000-02-15
KR100339739B1 true KR100339739B1 (ko) 2002-09-26

Family

ID=1954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404A KR100339739B1 (ko) 1998-07-28 1998-07-28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64B1 (ko) * 2001-12-27 2004-04-01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잔류지폐 회수장치
KR100535155B1 (ko) * 2004-04-07 2005-12-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97B1 (ko) * 2001-12-17 2004-07-30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KR101246977B1 (ko) * 2011-08-18 2013-03-2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 금융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645A (ko) * 1983-01-18 1984-12-08 오가다 마지하루 지폐의 수입제어 방법
KR850002526A (ko) * 1983-09-14 1985-05-13 정재은 지폐 감별기
KR850003018A (ko) * 1983-10-03 1985-05-28 오가다 마지하루 지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645A (ko) * 1983-01-18 1984-12-08 오가다 마지하루 지폐의 수입제어 방법
KR850002526A (ko) * 1983-09-14 1985-05-13 정재은 지폐 감별기
KR850003018A (ko) * 1983-10-03 1985-05-28 오가다 마지하루 지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64B1 (ko) * 2001-12-27 2004-04-01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잔류지폐 회수장치
KR100535155B1 (ko) * 2004-04-07 2005-12-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71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US4549661A (en) Bank note processing device
JP4132303B2 (ja) 書類移送ルート指定装置
KR100235851B1 (ko) 지폐처리기
CN101925933A (zh)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325886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0331214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09009605A (ja) 紙幣入出金機
KR100339739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101155230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와 집적공간 조절가이드의 구동장치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KR100227403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집적기구
JP2890932B2 (ja) 紙葉類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紙葉類取扱装置
KR1006035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장치
JP291446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758663B2 (ja) 紙葉類払出し機
JP3687673B2 (ja) 紙葉類払出し機
EP0517404A2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19990002910A (ko) 지폐 자동 지급기의 지폐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JPH0778280A (ja) 紙幣の搬送、収納装置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JP2763192B2 (ja) 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集積方法
JPH0672590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