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79B1 -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 - Google Patents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79B1
KR100338679B1 KR1019997009081A KR19997009081A KR100338679B1 KR 100338679 B1 KR100338679 B1 KR 100338679B1 KR 1019997009081 A KR1019997009081 A KR 1019997009081A KR 19997009081 A KR19997009081 A KR 19997009081A KR 100338679 B1 KR100338679 B1 KR 10033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ll
shock absorbing
annular inse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003A (ko
Inventor
켈름행크
쿠하르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반즈 그룹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반즈 그룹 인크.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0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2Die-cush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8Details for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oil being fed or carried along by another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 배향 및 도립 배향으로 작동 가능한 프레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동 윤활 실린더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조립체는 가압된 작업 유체와 윤활유를 포함한다. 벽 조립체 벽은 삽입재(36)와 관련된 실린더 라이너(20)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실린더 라이너(20)에는 왕복 운동을 하도록 장착된 피스톤(16)이 있다. 다양한 용적의 벽 조립체 공간은 피스톤(16), 벽 조립체 벽(20) 및 하우징 단부벽(50) 사이의 공간으로 한정된다. 팽창 저장조(38)는 실린더 본체(12)의 측벽, 벽 조립체의 벽(20) 및 실린더 본체의 단부벽(50) 사이의 공간으로 한정된다. 윤활유 재순환은 작업 사이클의 팽창 행정 동안에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성 작업 유체의 조절된 압력차를 수단으로 실린더벽으로 분무되는 압축성 작업 유체와 윤활유의 제트 혼합물에 의해 실현된다.

Description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SELF-LUBRICATING FLUID CYLINDER}
질소 다이 실린더의 작동 수명 및 신뢰성은 누설을 최소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적(動的) 고압 밀봉 성능과 직접 관련된다. 실린더의 적절한 작용 및 작동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동적 고압 밀봉 성능은 밀봉재가 이동하는 곳에 분포된 윤활유막의 양과 온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적절한 윤활유막이 결여되어 있는 실린더벽에 대해 밀봉재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면접촉 마모 및 이에 따른 밀봉의 누설이 급속하게 발생된다.
대부분의 질소 다이 실린더에는 조립 중에 윤활유막이 실린더벽에 공급된다. 비(非)자동 윤활식 실린더에서는 밀봉재에 인접한 홈에 윤활유가 침지된 발포 와이퍼를 설치함으로써 이런 윤활유막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막은 중력에 의해 실린더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쉽다. 밀봉재 자체는 매 왕복 행정마다 실린더벽으로부터 과다한 윤활유를 밀어내어, 각 왕복 행정이 종료될 때마다 유막이 점점 얇아진다. 윤활유가 침지된 유막 와이퍼는 제한된 기간 동안에만 유막을 유지시킬 뿐이며, 윤활유는 중력 및 밀봉재의 제거 작용에 의해 질소 다이 실린더가 있는 영역으로 배제되는데, 거기서는 윤활유가 소용 없다.
이런 이유로, 자동 윤활이 이루어지는 유체 실린더가 바람직하다. 칸디스 명의의 미국 특허 제4,691,902호 및 칸디스 명의의 미국 특허 제4,815,718호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자동 윤활이 이루어지는 다이 실린더가 개시되어 있다.
칸디스 명의의 상기 특허 제4,691,902호 및 제4,815,718호에서는, 피스톤과 실린더벽에 의해 작업 영역이 형성되며, 작업 영역의 아래쪽에는 저장조가 배치된다. 팽창 저장조는 작업 영역과 저장조의 바깥쪽 주변에 설치된다. 실린더 본체의 하부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단부캡이 사용되는데, 단부캡은 나사 체결 등에 의해 실린더 본체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단부캡에는 제1 경로가 기계 가공되고, 이 제1 경로에는 저장조를 향해 개방된 유입구가 있다. 제1 경로의 유입구 반대쪽에 있는 단부에는 스탠드파이프(standpipe)가 연결되고, 이 스탠드파이프는 이어서 외부로 연장되어 팽창 저장조의 상단부로 들어간다. 이런 구성을 사용하여, 제1 경로의 유입구 및 스탠드파이프의 유출구는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의 윤활유용 연결 통로가 된다. 다이 실린더가 직립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윤활유는 저장조의 바닥 및 제1 경로를 따라 수집된다. 직립 배향에서, 제1 경로의 유입구는 저장조의 윤활유 유면 및 스탠드파이프의 유출구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윤활유용 연결 통로가 제공된다.
상기 특허 제4,691,902호 및 제4,815,718호에서 개시된 다이 실린더가 도립(倒立) 배향되는 경우에는, 윤활유는 팽창 저장조의 반대쪽 단부 및 작업 영역의 저장조 반대쪽 단부를 따라 수집된다. 이런 도립 배향에서, 스탠드파이프의 유출구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따라서 유입되는 윤활유를 위한 유입구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제1 경로는 다이 실린더의 배향과 무관하게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의 윤활유용 연결 통로가 된다.
또한, 칸디스 명의의 상기 특허 제4,691,902호 및 제4,815,718호에는 작업실과 팽창 저장조 사이에 제2 경로가 있다. 다이 실린더의 직립 배향 및 도립 배향의 두 경우 모두에서, 제2 경로는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2 경로는 다이 실린더의 배향과 무관하게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의 작업 유체용 연결 통로가 된다.
모든 제조 물품에 있어서, 다이 실린더의 설계를 단순하게 하는 것, 즉 다이 실린더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관련된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단부캡을 별도로 제작하여 실린더 본체에 부착시키고 이 단부캡을 관통하는 통로를 기계 가공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칸디스 명의의 상기 특허 제4,691,902호 및 제4,815,718호에 개시된 다이 실린더의 기능상의 이점은 유지하는 실린더를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실린더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스탬핑 프레스의 다이 부재 사이에 사용되는 자동 윤활식 유체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윤활식 질소 다이 실린더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부분 절단된 정면도.
도 2는 다이가 개방 또는 팽창 배치되고 직립 배향되어 있는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실린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다이가 폐쇄 또는 압축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다이 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4는 피스톤이 다시 당겨져서 다이가 개방 또는 팽창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다이 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5는 다이가 개방 또는 팽창 배치되고 도립 배향되어 있는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실린더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다이가 폐쇄 또는 압축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다이 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
도 7은 피스톤이 다시 당겨져서 다이가 개방 또는 팽창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다이 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형성된 환형 삽입재를 도시하는, 다이 실린더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의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윤활식 질소 다이 실린더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부분 절단된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선 X-X를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직립 배향 및 도립 배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프레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동 윤활 유체 실린더 또는 완충 조립체로서, 효과적으로 실린더를 자동 윤활하고, 그러면서도 선행 기술에서 개시된 다이 실린더와 관련된 여러 구성 요소들을 필요 없게 하는 완충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완충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질소인 가압된 작업 유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질소는 기체 실린더 분야에서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충전 튜브 및 스탠드파이프 등을 통하여 실린더 조립체에 유입될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는 윤활유를 더 포함하며, 이 윤활유의 유면은 직립 배향의 경우 완충 조립체의 제1 단부에 형성되고 도립 배향의 경우 제1 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완충 조립체의 제2 단부에 형성된다.
실린더 조립체는 중공식 외측 하우징 또는 실린더 본체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는 실린더 본체의 제1 단부의 단부벽에서 종료되고 완충 조립체의 제2 단부의 개구에서 종료되는 측벽을 구비한다.실린더 조립체는 내측 벽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내측 벽 조립체의 일부는 실린더 본체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본체 개구부에서 연결된다. 내측 벽 조립체에는 실린더 본체 내의 벽 조립체 연결부로부터 하우징의 단부벽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벽이 있다. 벽 조립체의 벽은 삽입재와 연결된 실린더 라이너(liner)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실린더 라이너에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피스톤이 있다. 삽입재는 실린더 본체 단부벽과 실린더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삽입재는 환형인 것이 좋지만, 실린더 라이너와 한쪽 단부에서 정합하면 임의의 형상이 되어도 좋다. 환형 삽입재는 단일의 일체형 부재일 수도 있고, 다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변 체적의 벽 조립체 공간은 피스톤, 벽 조립체의 벽 및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루어진다. 벽 조립체 공간은 작업실과 저장조를 합하여 이루어진다. 작업실은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있는 실린더 라이너 벽 사이의 원통형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저장조는 작업실 아래쪽, 실린더 본체 단부벽의 위쪽 그리고 벽 조립체의 벽 내에 배치된다.
완충 조립체 내부에는 팽창 저장조가 제공된다. 팽창 저장조는 실린더 본체의 측벽, 벽 조립체의 벽 및 실린더 본체 단부벽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본체 측벽의 표면과 벽 조립체의 벽의 형상은 원통형인 것이 좋으며, 팽창 저장조의 형상은 환형인 것이 좋다.
완충 조립체에는 벽 조립체 공간 및 팽창 저장조를 향해 개방된 제1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적어도 제1 경로의 팽창 저장조측 개구(바람직하게는 2개의 개구 모두)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 제1 경로의 2개의 개구는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하우징 단부벽의 위쪽에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홈이 제공되고, 벽 조립체의 벽은 이 홈에 교차하며, 이로써 제1 경로가 형성된다. 이 홈은 하우징 단부벽을 관통하는 원통형 구멍과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구멍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되는 탈착 가능한 플러그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른 대안으로, 제1 경로는 벽 조립체 벽, 바람직하게는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개구 또는 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완충 조립체에는 벽 조립체 공간 및 팽창 저장조를 향해 개방된 제2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경로의 2개의 개구는 모두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팽창 저장조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제2 경로의 개구는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 경로는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스탠드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스탠드파이프의 한쪽 단부는 팽창 저장조의 상단부를 향해 개방되고, 반대쪽 단부는 환형 삽입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윤활유의 재순환을 제공하고, 피스톤의 각 사이클이 종결될 때마다 실린더벽에 윤활유 도포막을 분무한다. 윤활유 재순환은 압축성 작업 유체와 실린더벽에 분무되는 윤활유의 제트 혼합물에 의해 실현되고, 제트 혼합은 작업 사이클의 팽창 행정에서 피스톤이 이동하는 동안 압축성 작업 유체의 제어된 압력차에 의해 실현된다.
윤활유의 일부는 피스톤의 매 행정마다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에서 이송된다.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의 윤활유의 연통은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홈인 제1 경로를 통하여 실현된다. 제2 경로는 유체 유동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의 윤활유의 연통은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 제2 경로를 통하여 실현된다. 제2 경로는 유체 유동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피스톤이 작동되는 동안 작업실과 팽창 저장조 사이에는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 압력차에 의해 실린더벽을 윤활하기 위한 압축성 작업 유체와 윤활유의 제트 혼합 스프레이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과 이점은 도면에 도시된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기재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자체 수납(self-contained) 윤활식 질소 다이 실린더(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작업 유체는 "질소"라고 기재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지만, 그밖의 작업 유체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질소 다이 실린더(10)는 본체(12)와 여기에 수용되어 있는 피스톤/실린더 유닛(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것과 같은 피스톤/실린더 유닛(14)은 종래에 질소 다이 실린더에 적용되어 왔던 것과 같은 적절한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이 바람직한 구성에서, 피스톤/실린더 유닛(14)은 실린더 라이너(20)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장착된 피스톤(16)과 피스톤 로드(1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컵과 같은 동적 고압 밀봉재(22)가 피스톤(16)과 실린더벽(20) 사이를 밀봉하도록 제공된다. 동적 고압 밀봉재(22)는 워셔(42)와 파지 링(44)에 의해 피스톤(16)의 원주부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피스톤 로드(18)의 바깥면은 로드 베어링(28) 및 환형 스크레이핑 밀봉재(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활주한다. 로드 베어링(28) 및 환형 스크레이핑 밀봉재(30)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실린더 조립체(20)에 고정된다. 환형 스크레이핑 밀봉재(30)에는 피스톤(16)을 향해 경사진 내면이 있는 것이 좋다. 이런 방식으로, 스크레이핑 밀봉재(30)는 피스톤(16)의 매 행정마다 피스톤 로드(18)의 외면을 긁거나 문지른다.
피스톤/실린더 유닛(14)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나사선(34)과 밀봉재(35)를 사용하여 실린더 라이너(20)를 실린더 본체(12)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실린더 본체(12)에 고정된다.
실린더벽(20)은 환형 삽입재(36)의 위에 배치되고 그 환형 삽입재에 대해 밀봉을 이룬다. 다음으로, 환형 삽입재(36)는 실린더 본체 하부(13)의 내면 위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 대해 밀봉을 이룬다. 실린더 본체 하부(13)에는 환형 삽입재(36)를 수용하도록 환형 홈이 제공되는 것이 좋다.
환형 삽입재(36)는, 윤활유가 존재하고 온도가 250℉까지 올라가는 실린더 본체 환경에 대해 내구성이 있고 그런 환경에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재료라면 어떤 재료로 제조되어도 좋다. 적절한 재료로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및 아세탈과 같은 몰딩 가능한 플라스틱 등이 있다. 상기 삽입재(36)는 환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삽입재(36)는 단일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삽입재(36)는 다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20)가 환형 삽입재(36)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팽창 저장조(38)가 실린더벽(20) 및 환형 삽입재(36)의 외면과 실린더 본체(1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재(36)와 실린더벽(20)의 외면은 원통형인 것이 좋고 실린더 본체(12)의 내면도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므로, 팽창 저장조(38)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환형이다. 그러나, 이들 표면 및 팽창 저장조(38)는 그밖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조립체(10)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하단부(26)가 되는, 실린더 조립체(10) 및 팽창 저장조(38)의 단부는 실린더 조립체의 배향과 무관하게 바닥부, 하단부 또는 제1 단부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조립체(10)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상단부(24)가 되는, 실린더 조립체(10) 및 팽창 저장조(38)의 단부는 실린더 조립체의 배향과 무관하게 상단부 또는 제2 단부라고 기재하도록 한다.
실린더 조립체(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배향되고 윤활유에 유압차가 전혀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윤활유는 일반적으로 팽창 저장조(38)의 제1 단부(26), 저장조(50)의 바닥부를 따라서 그리고 홈(56)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수집된다.
작업실(40)은 피스톤(16) 행정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 있는 실린더 라이너(20)의 벽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본체(12)에는 하부(13)가 있다. 실린더 조립체(10)의 제2 단부에는 저장조(50)가 있고, 이 저장조는 작업실(40)의 아래쪽, 실린더 본체 하부(13)의 위쪽 그리고 환형 삽입재(36)의 내부에 배치된다.
실린더 본체 하부(13)를 통하여, 다이 실린더 조립체(10)를 질소와 같은 압축성 작업 유체로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 튜브(46)가 배치된다. 충전 튜브(46)에는 스탠드파이프(48)가 있으며, 이는 실린더 본체 하부(12)로부터 실린더 조립체(10)의 바닥부에 있는 저장조(50) 내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된다. 충전 튜브(46)의 스탠드파이프(48)는 저장조(50) 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부는 저장조(50) 내의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 피스톤(16)의 하사점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실린더 본체 하부(13)는 작업실(40)과 팽창 저장조(38) 사이에 유체 연통이 허용되도록 홈(56)을 더 포함한다. 홈(56)은 실린더 본체 하부(13)를 완전히 관통하는 구멍(60)에 의해 형성되고 이 구멍(60)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삽입되는 밀봉 플러그(58)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밀봉 플러그(58)가 연장되어 들어가지 않은 구멍(60)의 부분은 홈(56)을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홈(56)의 한쪽 단부는 저장조(50)를 향해 개방되고 홈(56)의 다른쪽 단부는 실린더 조립체(10)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플러그(58)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플러그(58)는 실린더 본체 하부(13)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좋고, 실린더 조립체(10)에 윤활유를 공급하거나 윤활유를 제거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환형 삽입재(36) 및 홈(56)은, 삽입재(36)가 실린더 본체 하부(13)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환형 삽입재(36)의 하부가 홈(56)에 교차하도록 크기, 형태 및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홈(56)의 일부(53)는 환형 삽입재(36) 내의 저장조(50)를 향해 개방되고, 홈(56)의 다른 일부(54)는 팽창 저장조(38)를 향해 개방되는데, 이는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삽입재(36)가 홈(56)을 양분하도록, 다시 말해서 홈(56)의 일부(52) 및 나머지 일부(54)가 거의 동일한 면적이 되도록, 삽입재(36)와 홈(56)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런 방식으로, 팽창 저장조(38)와 저장조(50)(따라서 작업실(40)) 사이에 홈(56)에 의해 통로 또는 경로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저장조(50)에 존재하는 윤활유는 모두 홈(56)을 통해 팽창 저장조(38)와 연통될 수 있다.
팽창 저장조(38)와 작업실(40) 사이에 유체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통로(64)가 제공된다. 통로(64)에는 작업실(40)의 하부에서 저장조(50)와 연결된 유입구(66)와 팽창 저장조(38)와 연결된 유출구(68)가 있다. 통로(64)의 유입구(66)는 환형 삽입재(36)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통로 유입구(66)가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배치되도록, 통로의 유입구(66)의 크기와 위치가 정해지고 다이 실린더 조립체에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정해진다.
통로(64)는 위쪽으로 돌출된 스탠드파이프(70)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 스탠드파이프는 연장되어 팽창 저장조(38)의 제1 단부에서 유출구(68)를 제공한다. 이 스탠드파이프(70)의 목적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직립 배향 상태에서의 다이 실린더 조립체의 작동에 대해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다이 개방 위치 또는 팽창 위치에서의 다이 실린더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팽창 위치에서, 피스톤(16)은 그 상사점에 도달하여 실린더 라이너(20)를 따라 하향으로 내려가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윤활유(90)는 실린더 라이너(20)의 벽 상의 유막으로서, 그리고 저장조(50), 팽창 저장조(38) 및 홈(56) 내에 고여있는 것(pool)으로 도시되어 있다.
작업실(40) 및 팽창 저장조(38)는 질소와 같은 압축성 작업 유체로 충전되어 있다. 질소는 고압 상태, 예를 들어 약 200 psi 내지 약 2000 psi의 압력하에 있다. 팽창 저장조(38)와 작업실(40) 내의 기체 압력은 거의 동일하고, 이에 따라 홈(56)과 통로(64)를 통해서 유동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도 3에는 피스톤(16)이 하강 행정의 종료 지점, 즉 다이가 폐쇄 또는 압축된 위치에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16)은 작업실(40) 내의 작업 유체를 가압하며, 작업 유체는 모든 경로를 통해 팽창 저장조(38)로 이동함으로써 작업실과 팽창 저장조 사이의 압력을 동일하게 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작업 유체(38)의 대부분은 통로(64)를 통하여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통로(64)는 유체 유동에 대해 저항을 약간 발생시키도록 특별히 크기 및 형태가 정해져 있다. 이런 저항 특성 때문에, 작업 유체의 일부는 팽창 저장조(38) 속으로 홈(56)을 통하여 이동한다. 피스톤(16)이 실린더 벽(20)을 따라 이동할 때, 고압 U컵 밀봉재(22)는 윤활유(90) 유막의 일부를 실린더 벽(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를 실린더 용기(12)의 하부를 향해 저장조(50)와 홈(56) 내로 강제 이송한다. 기체 압력은 윤활유(90)의 일부를 팽창 저장조(38) 내로 강제 이송한다. 피스톤(16)이 행정의 한계점에 도달하면, 작업실(40) 내의 작업 유체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으며, 다시 작업실(40)과 팽창 저장조(38) 사이의 기체 압력이 동일해지도록 만든다. 실린더벽(20)으로부터 제거된 과다 윤활유(90)는 모두 저장조(50)의 하부, 홈(56) 및 팽창 저장조(38)의 하부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압축 행정이 끝난 후에 피스톤(16)은 높은 내부 작업 유체 압력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피스톤(16)이 다이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함에 따라, 작업실(40) 내의 기체 압력은 낮아지기 시작한다. 고압 상태에 있는 팽창 저장조(38) 내의 작업 유체 압력은, 작업 유체의 유동을 작업실(40)로 되돌림으로써 균형을 이루려 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작업 유체는 팽창 저장조(38)로부터 통로(64)를 통해 작업실(40)로 유동할 것이다. 이 경우에도, 통로(64)는 유체 유동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작업 유체의 일부는 팽창 저장조(38)로부터 홈(56)을 통하여 작업실(40)로 이동한다. 그러나, 작업 유체가 홈(56)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그 경로에 있는 윤활유(90)를 홈(56)으로 모두 밀어내고 다음으로 홈(56)에 있는 윤활유를 모두 밀어내야 한다. 만약 홈(56)의 크기가 적절하다면, 윤활유(90)는 작업 유체 압력에 의해 고속으로 홈(56)을 통과할 것이다. 일단, 윤활유(90)가 홈(56)으로부터 고속으로 배제되면, 윤활유(90)는 지속적으로 저장조(50)와 작업실(40)을 통하여 이동하며, 실린더 라이너(20)의 벽에 분무된다. 따라서, 압축성 작업 유체와 윤활유(90)의 제트 혼합물은 실린더 라이너(20)의 내부 벽으로 분무된다. 윤활유(90)는 그 대부분이 홈(56)으로부터 배제될 때 또는 작업실(40)과 팽창 저장조(38)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실린더 벽(20)에 분무된다. 이런 방식으로, 윤활유(90)는 피스톤의 매 행정 사이클마다 실린더 벽(20)으로 이송된다.
도 1의 다이 실린더 조립체가 도립 배향일 때의 작동에 관해 이하에서 도 5 및 도 7을 참조로 기재한다.
도 5에는 다이 개방 위치 또는 팽창 위치의 다이 실린더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팽창 위치에서, 피스톤(16)은 하사점에 도달하였고 실린더 라이너(20)를 통해 하향 이동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직립 또는 비(非)도립 배향의 경우를 참조하면, 홈(56) 및 통로(64)의 작용은 서로 바뀌어 있다. 윤활유(90)는 실린더 라이너(20)의 벽와 용기(12)의 제2 단부(24)의 풀(pool) 및 피스톤(16)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작업실(40) 및 팽창실(38)은 예를 들어 200 psi 내지 약 2000 psi의 고압 상태인 질소와 같은 압축성 작업 유체로 충전되어 있다. 홈(56) 및 통로(64)를 통과하는 유동이 없기 때문에 팽창 저장조(38) 및 작업실(40) 내의 압력은 동일하다.
도 6에는 다이 폐쇄 위치 또는 압축 위치인 다이 실린더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16)이 작업실 내의 기체를 압축함에 따라, 기체는 팽창 저장조(38)에 이르는 모든 경로를 통하여 이동하여 이들 사이의 압력을 같게 한다. 대부분의 작업 유체는 홈(56)을 통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홈(56)은 특히 유체 유동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체 유동 저항 때문에, 작업 유체의 일부가 통로(64)를 통해 이동한다. 피스톤(16)이 실린더 벽(20) 상을 이동함에 따라, 동적 고압 밀봉재는 실린더벽으로부터 유막을 일부 제거하고 이를 용기(12)의 상부 및 통로(64) 근처로 강제 이송한다. 만약 유면이 통로까지 도달한다면, 기체 압력에 의해 윤활유의 일부가 팽창 저장조(38) 속으로 밀려 들어간다. 피스톤(16)이 그 행정의 한계점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업실 내의 작업 유체에 대한 피스톤의 가압 작용은 정지되고 작업실(40)과 팽창 저장조(38) 사이에 기체 압력이 다시 동일해지도록 한다. 실린더벽(20)으로부터 제거된 과다 윤활유(90)는 모두 용기(12)의 상단부, 윤활유 경로(64), 또는 팽창 저장조(38) 내에 유지된다.
도 7에는 다이 개방 위치 또는 팽창 위치인 다이 실린더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고압인 내부 작업 유체 압력은 피스톤을 밀어내어 가압 운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피스톤(16)이 다이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함에 따라, 작업실(40) 내의 기체 압력은 하강하기 시작한다. 팽창 저장조(38) 내의 작업 유체 압력은 고압 상태이고, 작업 유체의 유동이 작업실(40)로 회귀되도록 함으로써 같아지려고 한다. 작업 유체는 팽창 저장조(38)로부터 홈(56)을 통하여 작업실(40) 내로 유동한다. 홈(56)은 기체 유동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일부 작업 유체는 통로(64)와 스탠드파이프(70)를 통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작업 유체가 통로(64)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그 경로 상의 윤활유(90)를 통로(64) 내로 밀어넣고 다음에 통로로부터 밀어내야 한다. 통로(64)와 홈(56)의 크기가 적절하다면, 작업 유체 압력은 통로(64)를 통해서 윤활유(90)를 고속으로 밀어낸다. 일단 윤활유(90)가 고속으로 통로(64)로부터 이탈하면, 윤활유(90)는 작업실(40)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라이너(20)의 벽에 분무된다. 압축성 작업 유체와 윤활유의 제트 혼합물은 라이너(20)의 벽에 분무된다. 윤활유(90)는 라이너 벽(20)에 지속적으로 분무되고, 대부분의 윤활유(90)가 통로(64)로부터 배제되거나 작업실(40)과 팽창 저장조(38) 사이의 압력이 동일해진다.
그러면, 홈(56)은,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직립 배치인 경우에 작업실/저장조와 팽창 저장조 사이에서 윤활유의 연통 경로로 작용하지만,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도립 배치인 경우에는 작업 유체의 연통 경로로 작용한다. 또한, 통로(64)는,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직립 배치인 경우에 작업실/저장조 사이에서 작업 유체의 연통 경로로 작용하지만,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도립 배치인 경우에는 윤활유의 연통 경로로 작용한다. 따라서, 홈(56) 및 통로(64)의 작용은 실린더의 배향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작동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장치의 많은 설계 치수와 특성, 그리고 특히 통로(64) 및 홈(56)/삽입재(36)의 조합을 실험에 의해 개발하였다. 작동 모델은 대략 19.7 세제곱 인치인 (윤활유(90)가 그 내부에 공급된 상태 하에서의) 다이 실린더(10) 내부의 총 기체 부피를 포함한다. 질소가 약 2000 psi인 압력 하에서의 작업 유체로서 사용되었다. 부피가 대략 2 온스인 윤활유(90)가 사용되었고, 이는 약 3.6 세제곱 인치에 해당한다. 사용된 윤활유(90)의 점성의 범위는 100℉인 작동 온도에서의 155 SUS(또는 30 센티스트록)으로부터 212℉인 작동 온도에서의 43 SUS(또는 5 센티스트록)까지이다. 피스톤(16)의 직경은 약 1.5 인치이며 행정은 약 4 인치이고, 결과적으로 피스톤 유효 행정 또는 "배기량"은 약 7.1 세제곱 인치가 된다. 팽창 저장조(38)의 부피는 (윤활유(90)의 유면이 저장조(50)와 팽창 저장조(38)에서 거의 같은 상태에서) 약 11.6 세제곱 인치이다. 통로(64)의 직경[스탠드파이프(70)의 내부 직경 포함]이 약 0.22 인치인 경우에 충분한 유동 저항이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홈(56)의 직경이 약 0.375 인치이고 깊이가 약 4 인치인 경우, 그리고 삽입재의 벽 두께가 0.06 인치이고 직경이 약 1.4 인치이며, 본질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6)을 양분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충분한 유동 저항이 실현된다.
도 8은 다이 실린더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의 단면 정면도이다.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환형 삽입재(36)는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삽입재(36)는 부분편(80)과 결합된 환형 좌부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좌부(78)는 실린더 본체(1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홈(56)을 양분한다. 다음에, 부분편(80)은 환형 좌부(78)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벽(20)은 부분편(80) 위에 설치된다.
통로(64)는 부분편(8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린더 본체와 피스톤/실린더 유닛(14)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통로(64)가 환형 좌부(78)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록 환형 삽입재(36)가 도 8에서 2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다이 실린더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팽창 저장조와 저장조(50)(그리고 작업 영역) 사이의 경로로서 홈(56)을 사용하는 대신에, 개구 또는 도관(94)이 환형 삽입재(36)를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홈(56)과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도관(9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직립 배치인 경우에 윤활유(90) 유면의 아래쪽에 제공되도록 배치되고, 다이 실린더의 배향이 도립 배치인 경우에 윤활유(90) 유면의 위쪽에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도관(94)은 홈(56)이 수행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런 이유로, 도관(94)은 특히 유체 유동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된다. 또한, 홈(56)이 이 실시예에서 더이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58)는 구멍(60) 내로 완전히 연장되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지고, 따라서 본체 하부(13)에 홈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구멍(60)은 실린더 본체(12) 상에서 어느 지점에나 설치될 수 있으며, 전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록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의 바람직한 소정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6)

  1. 직립 배향 및 도립 배향으로 작동 가능한 프레스에 사용되기 위한 완충 조립체로서, 윤활유의 유면이 직립 배향의 경우에 상기 완충 조립체의 제1 단부에 있고 도립 배향의 경우에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상기 완충 조립체의 제2 단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압된 작업 유체와 윤활유를 포함하는 완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1 단부에 있는 단부벽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에 있는 개구에서 종료되는 측벽이 있는 중공식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외측 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외측 하우징 내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단부벽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내부 벽 조립체로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일부에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변 체적을 갖는 벽 조립체 공간이 상기 피스톤,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팽창 저장조가 상기 하우징 측벽,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내부 벽 조립체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는 적어도 팽창 저장조측 개구가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있고,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는 2개의 개구가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있는 제1 경로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는 2개의 개구가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있고,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는 팽창 저장조측 개구가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있는 제2 경로
    를 포함하는 것인 완충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실린더 라이너를 형성하는데,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있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이고, 상기 환형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 단부벽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것인 완충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스탠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한쪽 단부는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된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의 지점에서 개방되며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된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의 지점에서 개방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단부벽에 홈이 제공되며,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상기 홈을 양분하고,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에 의한 상기 홈의 양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 단부벽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멍 및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구멍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되는 플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실린더 라이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있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이고, 상기 환형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 단부벽에 있는 상기 홈을 양분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구멍인 것인 완충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실린더 라이너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있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이며, 상기 환형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 단부벽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1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개구는 상기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구멍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는 유체 유동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유체 유동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완충 조립체.
  18. 프레스에 사용되기 위한 완충 조립체로서, 직립 배향의 경우에 윤활유의 유면이 상기 완충 조립체의 제1 단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압된 작업 유체와 윤활유를 포함하는 완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1 단부에 있는 단부벽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에 있는 개구에서 종료되는 측벽이 있는 중공식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외측 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외측 하우징 내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단부벽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내부 벽 조립체로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에는 그 사이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변 체적을 갖는 벽 조립체 공간이 상기 피스톤,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팽창 저장조가 상기 하우징 측벽,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내부 벽 조립체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팽창 저장조측 개구가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있는 제1 경로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2개의 개구가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있는 제2 경로
    를 포함하는 완충 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 제1 경로의 2개의 개구가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실린더 라이너를 형성하는데,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있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이고, 상기 환형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 단부벽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것인 완충 조립체.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것인 완충 조립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스탠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한쪽 단부는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의 지점에서 개방되며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의 지점에서 개방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것인 완충 조립체.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단부벽에 홈이 제공되며,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이 홈을 양분하고,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에 의한 상기 홈의 양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 단부벽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멍 및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구멍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되는 플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28. 도립 배향 상태로 작동 가능한 프레스에 사용되기 위한 완충 조립체로서, 윤활유의 유면이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상기 완충 조립체의 제2 단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가압된 작업 유체와 윤활유를 포함하는 완충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1 단부에 있는 단부벽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에 있는 개구에서 종료되는 측벽이 있는 중공식 외측 하우징과;
    상기 완충 조립체의 상기 외측 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외측 하우징 내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단부벽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는 내부 벽 조립체로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일부에는 그 사이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변 체적을 갖는 벽 조립체 공간이 상기 피스톤,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팽창 저장조가 상기 하우징 측벽, 상기 벽 조립체의 벽 및 상기 하우징 단부벽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인 내부 벽 조립체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 2개의 개구가 모두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있는 것인 제1 경로와;
    상기 벽 조립체 공간을 향한 개구와 상기 팽창 저장조를 향한 개구를 포함하며,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 팽창 저장조측 개구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에 있고 벽 조립체측 개구는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에 있는 것인 제2 경로
    를 포함하는 완충 조립체.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실린더 라이너를 형성하는데,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그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있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의 상기 일부이고, 상기 환형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 단부벽과 접촉하고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것인 완충 조립체.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환형 삽입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완충 조립체의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스탠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한쪽 단부는 완충 조립체가 직립 배향인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위쪽의 지점에서 개방되며 완충 조립체가 도립 배향인 경우에는 윤활유 유면보다 아래쪽의 지점에서 개방되고, 상기 스탠드파이프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환형 삽입재와 연결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환형 삽입재는 복수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것인 완충 조립체.
  34.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단부벽에 홈이 제공되며, 상기 벽 조립체의 벽은 상기 홈을 양분하고,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벽 조립체의 벽에 의한 상기 홈의 양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하우징 단부벽을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멍 및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구멍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되는 플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완충 조립체.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인 완충 조립체.
KR1019997009081A 1998-02-04 1999-02-03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 KR100338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18,753 1998-02-04
US09/018,753 1998-02-04
US09/018,753 US6022004A (en) 1998-02-04 1998-02-04 Self-lubricating fluid c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003A KR20010006003A (ko) 2001-01-15
KR100338679B1 true KR100338679B1 (ko) 2002-05-30

Family

ID=2178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081A KR100338679B1 (ko) 1998-02-04 1999-02-03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22004A (ko)
EP (1) EP1038141B1 (ko)
JP (1) JP3501229B2 (ko)
KR (1) KR100338679B1 (ko)
AT (1) ATE273480T1 (ko)
AU (1) AU2656699A (ko)
CA (1) CA2285328C (ko)
DE (1) DE69919319T2 (ko)
ES (1) ES2226343T3 (ko)
HK (1) HK1033971A1 (ko)
WO (1) WO1999040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4854B1 (fr) * 2002-09-19 2006-04-28 Orflam Ind Ressort a gaz depourvu de chambre de lubrification ou comportant une chambre de lubrification de volume reduit
US6749185B1 (en) * 2003-04-17 2004-06-15 Barnes Group Inc. Cushion assembly and method
MXPA06000666A (es) * 2003-07-18 2006-03-30 Barnes Group Inc Amortiguador y cilindro de amortiguador para un piston o plano de apoyo de una prensa.
WO2007070476A2 (en) * 2005-12-13 2007-06-21 Barnes Group Inc. Die separator cylinder
JP4890334B2 (ja) * 2007-04-12 2012-03-0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FR2947876B1 (fr) * 2009-07-10 2015-04-10 Usines Quiri Et Cie Soc D Dispositif de ressort a gaz avec systeme de lubrification dynamique
CN103016934B (zh) * 2012-12-04 2015-06-10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压力缓冲器的风电润滑系统
CN104088950B (zh) * 2014-06-25 2016-02-24 彭友莲 一种汽车减震器
CN111504045A (zh) * 2020-04-28 2020-08-07 姜勇军 一种快速清洗气缸利于高温烘干快速润滑的装置
WO2022198059A1 (en) * 2021-03-19 2022-09-22 Barnes Group Inc. Lubrication atomization for a gas cylinder arrangement
JP2024516511A (ja) * 2021-03-25 2024-04-16 バーンズ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ガスシリンダーの管内潤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718A (en) * 1985-04-15 1989-03-28 Teledyne Industries, Inc. Self-lubricating die cylind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5763A (en) * 1975-03-19 1977-02-01 Wallis Bernard J Lubricating means for gas-operated cylinders
US4044859A (en) * 1976-09-13 1977-08-30 Wallis Bernard J Lubricating means for gas-operated cylinders
US4342448A (en) * 1980-04-04 1982-08-03 Wallis Bernard J Gas-operated cylinder
US4691902A (en) * 1985-04-15 1987-09-08 Teledyne Industries, Inc. Self-lubricating die cylinder
US5088698A (en) * 1989-11-08 1992-02-18 Wallis Bernard J Sealing construction for a gas spring
US5172892A (en) * 1991-10-28 1992-12-22 Wallis Bernard J Self contained gas spring
US5339932A (en) * 1993-08-02 1994-08-23 Teledyne Hyson Apparatus and method to cushion movement of a member
DE19603270C1 (de) * 1996-01-30 1997-07-10 Daimler Benz Ag Hydraulische Servolenkung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718A (en) * 1985-04-15 1989-03-28 Teledyne Industries, Inc. Self-lubricating die c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2004A (en) 2000-02-08
ES2226343T3 (es) 2005-03-16
EP1038141A1 (en) 2000-09-27
CA2285328A1 (en) 1999-08-12
DE69919319T2 (de) 2005-09-01
DE69919319D1 (de) 2004-09-16
AU2656699A (en) 1999-08-23
CA2285328C (en) 2003-04-01
HK1033971A1 (en) 2001-10-05
KR20010006003A (ko) 2001-01-15
JP2000514167A (ja) 2000-10-24
WO1999040359A1 (en) 1999-08-12
EP1038141B1 (en) 2004-08-11
JP3501229B2 (ja) 2004-03-02
ATE273480T1 (de) 200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679B1 (ko) 자동 윤활식 유체 실린더
US4750409A (en) Apparatus for compressing a gas
JPH0320101A (ja) 特に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用の圧力媒体蓄圧器
GB2169054A (en) Pneumatic spring counterbalance having improved damping structure
US5314172A (en) High pressure die cylinder and manifold system
US5339932A (en) Apparatus and method to cushion movement of a member
US5743168A (en) Device for lubricating an assembly between two mechanical components which can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especially a connecting rod/piston articulation
CN213377554U (zh) 汽车减震器油封自动抹油装置
US5183016A (en) Hydraulic valve clearance compensator
US5452883A (en) Gas spring
WO1996028659A1 (en) Piston pump
JP2000145860A (ja) ガススプリング
JPH11325149A (ja) ショックアブソ―バ
JP3630657B2 (ja) クラッチ用スレーブシリンダ
US1939943A (en) Lubricating apparatus
JP2009103267A (ja) 空圧緩衝器
MXPA99009057A (en) Self-lubricating fluid cylinder
CN220101889U (zh) 一种低温升型氮气弹簧
SU1631209A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а рессора
SU1058681A1 (ru) Направл юща пара штампа дл холодной штамповки
JP2024516511A (ja) ガスシリンダーの管内潤滑
JPH086775B2 (ja) 緩衝器の潤滑油供給構造
SU1216476A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а рессора
JPH0348449Y2 (ko)
SU1146497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