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34B1 -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34B1
KR100338234B1 KR1019990037695A KR19990037695A KR100338234B1 KR 100338234 B1 KR100338234 B1 KR 100338234B1 KR 1019990037695 A KR1019990037695 A KR 1019990037695A KR 19990037695 A KR19990037695 A KR 19990037695A KR 100338234 B1 KR100338234 B1 KR 100338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ver
steering
panel
peripheral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398A (ko
Inventor
마쓰다다쿠야
도시쿠니노부유키
요시오카히데타카
후지와라다이치
마루미야노리유키
야마우에야스노부
가와구치마모루
이시다미키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0007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부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패널 커버와 계기반을, 조립시의 완성 정밀도가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지지 강도로 장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운전부의 스티어링(steering) 주변 부분을 덮는 패널 커버(panel cover)가 설치되며, 상기 패널 커버 영역에 계기반(計器盤)이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배치된 프레임에 상기 계기반을 고정하고 또한 이 계기반의 표시면을 보기 위한 개구를 상기 패널 커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표시면이 보이도록 상기 패널 커버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장비(裝備)되는 장착 상태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으로부터 상기 패널 커버가 제거된 분리 상태가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 커버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Structure of the Driving Section of a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페달 선회 지지부나 조작 레버 및 그 와이어류와 같은 잡다한 부품류가 복잡하게 집약되는 부분인 스티어링(steering) 주변 부분을 덮으며 또한 상부에 계기반(計器盤)을 구비한 상태에서 핸들 포스트(handle post) 부근에 배치되는 패널 커버 및 그 장착 구조 등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로, 종래에는 일본국 실공평(實公平) 5-47698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조종 핸들의 앞쪽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패널 커버를 장비하고 이 패널 커버의 뒤를 향한 개구 부분에 계기반이 부착되어 있는 트랙터가 알려져 있다.
계기반에는 엔진 회전계나 속도계, 유온계(油溫計), 각종 파일럿 램프 등의 전장(電裝) 기기가 집약 배치되어 있어 예상외로 무거운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패널 커버에 계기반을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패널 이면에 보강 금속 부재를 부착하거나 수지의 두께를 통상 이상으로 두껍게 하고 또한 보강 리브를 형성하는 식으로 패널 커버를 강도 부재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기체(機體)로의 장착 구조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받기 쉬운 동시에, 강도가 우수한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면 성형성이 떨어져 완성 치수가 규정대로 나오기 어렵고, 또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면 강도가 떨어져 계기반의 지지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워 어느 경우에나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운전부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패널 커버와 계기반을, 조립시의 완성 정밀도가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지지 강도로 장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트랙터의 측면도.
도 2는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도시한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
도 4는 계기반 단품(單品)의 평면도.
도 5는 패널 커버 단품의 평면도.
도 6은 패널 커버와 스티어링 주변 부분의 부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티어링 주변의 각종 조작 기기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캐빈 사양의 패널 커버 상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캐빈 사양의 패널 커버 상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운전부, 9:패널 커버, 9a:개구, 9r:리브, 9T:세로면, 9J:상면, 9L:좌측면, 9R:우측면, 10:계기반, 10a:표시면, 11:운전 좌석, 17:프레임, 31:핸들 포스트, 33:결합 부재, 34:피결합 부재, b:스티어링 주변 부분, c:결합부
〔구성〕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 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다.
〔작용〕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계기반을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배치된 프레임에 고정하고 이 고정된 계기반과 패널 커버의 개구를 위치 맞춤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기반 지지 기능이 패널 커버에는 불필요하게 되어 종래와 같은 비교적 높은 강도를 패널 커버가 갖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패널 커버는 계기반을 기체 측에 남기고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 커버의 착탈 시에 배선 등의 기체 측과의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아 그 착탈 조작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분리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주변 부분이 크게 노출되어 메인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계기반과 패널 커버가 프레임만을 통하여 상대 고정되게 되어 부재 수가 적어도 된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패널 커버의 장착 상태에서는 패널 커버와 그 바로 옆에 배치되는 핸들 포스트가 배치되어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하나로 연속된 일체의 외견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계기반, 패널 커버, 핸들 포스트의 3자가 프레임에 대하여 부착되므로, 이들 3자를 필요 최소의 수의 부재로 상대 고정할 수 있고 상대 위치 정밀도를 매우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결합 부재와 피결합 부재에 의한 복수의 결합부에 의하여 패널 커버와 프레임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볼트나 스크류로 상대 고정하는 수단에 비하여 상대 위치 정밀도가 개선되는 동시에 볼트나 스크류용 구멍의 치수 정밀도를 엄격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금형 형성 코스트나 구멍 가공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패널 커버의 개방부는 운전 좌석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는 동시에 그 개방된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 선단에 결합 부재 또는 피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브에 의하여 패널 커버의 보강 기능과 결합부 형성 기능의 두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 리브는 패널 커버에 일체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결합부 또는 피결합부를 설치함에 따른 코스트 업이 거의 없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운전 좌석 상부로부터의 시점에서 패널 커버의 상면, 세로면, 또는 좌우 측면이 보이게 되고, 조작 페달이나 와이어류, 또는 하네스(harness)나 커넥터 등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구성하는 번잡한 부분을 숨길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운전 좌석 상부로부터의 시점에 더하여, 작업기의 옆쪽으로부터의 시점에서도 패널 커버의 상면, 세로면, 또는 좌우 측면이 보이게 되고, 조작 페달이나 와이어류, 또는 하네스나 커넥터 등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구성하는 번잡한 부분을 숨길 수 있게 된다.
〔효과〕
청구항 1 내지 8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1) 계기반이 고정 배치된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패널 커버로 덮음으로써, 패널 커버의 개구로부터 계기반을 양호하게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패널 커버 단체(單體)로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패널 커버가 비교적 경량이어도 되며 또한 스티어링 주변 부분의 메인티넌스도 간단·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2) 계기반과 패널 커버를 동일한 부재(프레임)에 지지시킴으로써, 계기반과 패널 커버의 상대 위치를 매우 양호하게 합치시킬 수 있고 이들 양자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어 눈으로 보았을 때의 외관이나 완성 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하면서 상기 (1)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핸들 포스트와 패널 커버가 일체로 결합한 연속성이 있는 양호한 외관을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1) 또는 (2)의 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3) 계기반, 패널 커버, 핸들 포스트를 전부 프레임에 부착함으로써, 이들 3자의 위치 맞춤 정밀도가 양호하게 되어 패널 커버와 핸들 포스트의 간극 치수가 균형을 잃거나 계기반과 핸들 포스트가 원하는 자세로부터 경사지거나 하지 않으며, 완성 정밀도가 양호하고, 외관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상기 (2)의 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4) 상기 (2) 또는 (3)의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패널 커버와 프레임을 결합시켜 위치 결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코스트 다운을 가능하게 하면서 부착 정밀도 향상에 의한 외관 마무리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먼저 코스트 업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강 리브로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겸용 구성과, 운전석으로부터 커버 개구가 보이지 않는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4)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작업기의 운전 상태에서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으로는 패널 커버가 보이는 상태가 되어 운전 시의 계기반 주위의 외관을 깨끗하게 양호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서는, 작업기의 운전 상태에 더하여, 기체 승강 시나 전시품의 견학 등과 같은 옆쪽에서 본 상태에서도 스티어링 주변 부분으로는 패널 커버가 보이는 상태가 되어 운전 시 및 횡측면에서 본 계기반 주위의 외관을 깨끗하게 양호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작업기의 일 예인 트랙터가 도시되며, 1은 조향(操向) 전륜, 2는 구동 후륜, 3은 엔진, 4는 운전부, 5는 리프트 암, 6은 조종 핸들, 7은 본네트, 8은 연료 탱크, 9는 패널 커버, 10은 계기반, 11은 운전 좌석, 12는 플로어 스텝, 13은 후륜 펜더(fender), 14는 전도(轉倒) 시의 탑승자 보호용 가드 부재(로프스), 35는 주행용 GST 장비의 미션 케이스이다.
엔진(3)이나 연료 탱크(8)가 탑재된 원동부(原動部)(a)와, 운전부(4)에 면한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隔璧)(15)에 의하여 전후로 나뉘어져 있다. 대략 하향으로 개방된 U자형의 프레임 본체(16)가 기체 프레임(F)으로부터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6)의 내측에 상기 격벽(15)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6)와 상기 격벽(15)이 프레임(17)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트랙터는 가드 부재(로프스)(14)가 장비된 로프스 사양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의 상부에 계기반(10)을 고정 배치하고 또한 이 계기반(10)의 표시면(10a)을 보기 위한 개구부(9a)가 패널 커버(9)에 형성되어 있다. 패널 커버(9)를 개구부(9a)에 표시면(10a)을 위치시키고 패널 커버(9)가 스티어링 주변 부분(b)에 장비되는 장착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티어링 주변 부분(b)으로부터 패널 커버(9)가 제거된 분리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패널 커버(9)가 스티어링 주변 부분(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패널 커버(9)의 앞쪽의 에지(edge)는 U자형의 프레임 본체(16)의 외주를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계기반(10)은 프레임(17)의 상부 후면측에 좌우의 스테이(stay)(18, 18)를 통하여 볼트 고정된 루프형의 계기반 프레임(1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스테이(18, 18)는 프레임(17)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레임(17)은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을 형성하는 각 조작 기기를 지지하는 동시에 패널 커버(9)도 착탈 가능하게 부착 지지시켜져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반(10)은 중앙의 회전계(타코미터(tachometer))(44), 그 위의 액정 표시부(10b), 회전계(44) 좌우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램프(45)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각 조작 기기로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브레이크 페달(20L, 20R), 틸트 록 및 해제 페달(21), 주 클러치 페달(22), 브레이크 록 레버(50), 전후진 전환 레버(23), 핸드 엑셀 레버(24), 메인 스위치(25), 라이트 스위치(26), 윙커 스위치, 승강 링크 기구(리프트 암) 승강용 펌퍼 레버(28), 계기반(10)의 액정 표시부(10b)의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29), 주행 모드 전환 스위치(30) 등이 있다. 또, 패널 커버(9) 아래에, PTO 변속 레버(49)가 뒤를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부(10b)에서는 아우어 미터(hour meter) 모드와 스플리트(split) 모드(아우어 미터의 트립(trip))와 차속(車速) 모드가 표시 가능하며,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29)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들 3가지의 표시 모드가 순차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 모드 전환 스위치(30)는 2WD, 4WD, 배속(倍速)(선회에 따른 전륜 증속), AD(선회 내측 후륜을 제동한 전륜 증속 선회)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프레임(17)에 지지되는 핸들 포스트(31)가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핸들 포스트(31)에 결합되는 절취부(32)가 패널 커버(9)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커버(9)의 절취부(32)를 형성하는 영역은 상기 개구부(9a)의 영역보다 아래에서 후측에 있으며 상기 핸들 포스트의 전면(前面)과 양측 측면에 맞닿고 있다.
패널 커버(9)의 장착 상태에서는 핸들 포스트(31)와 패널 커버(9)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연속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 축(6a)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38)가 그 하부에 고착한 두 갈래 형상의 부착편(38a)을 이용하여 격벽(15) 후면에 용착된 좌우의 종판(縱板) 스테이(36, 37)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 지지 부재(38)에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핸들 포스트(31)가 장비되어 있다.
또, 핸들 축(6a)의 하단부는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41, 41)와 중계축(42)을 통하여, 격벽(15)의 우측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아래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축(4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패널 커버(9)는 운전 좌석(11)에 대향한 세로면(후면)(9T)과, 상면(9J)과, 좌우의 측면(9L, 9R)을 구비한다. 패널 커버(9)는 운전 좌석(11)과 반대 방향, 즉 앞쪽의 격벽(15)을 향하여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면(9T)은 개구부(9a)가 형성된 앞쪽이 기운 경사면 부분(9ta)과, 라이트 스위치(26)나 표시 모드 전환 스위치(29) 등의 배치공(46, 47)이 형성된 상향면(9tb)과, 메인 스위치(25)의 배치공(48)이 형성된 세로 벽면(9tc)을 구비하고 있다. 절취부(32)는 상향면(9tb)과 세로 벽면(9tc)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부재(33)와 이에 결합되는 피결합 부재(34)를 패널 커버(9)와 프레임(17)으로 배분하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결합부(c)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결합부(c)의 결합에 의하여 장착 상태에서의 패널 커버(9)와 프레임(17)의 상대 위치 결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패널 커버(9) 내면에, 장착 상태에서 패널 커버 개방 방향(앞쪽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상하로 편평한 리브(9r)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9r)의 선단 부분의 중앙부에 요부(33a)를 형성하여 결합 부재(33)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7)의 전면에는 결합 부재(33)의 요부(33a)에 삽입되는 요부(34a)가 후단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판 스테이를 고착하여 피결합 부재(34)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 요부(33a, 34a)끼리가 결합됨으로써 패널 커버(9)와 프레임(17)의 전후좌우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c)는 패널 커버(9)의 상부 및 상하 중간부 각각의 좌우와, 상단부에서 좌우 중앙의 합계 5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결합부(c)와, 좌우의 측면(9L, 9R) 각각의 하단부와, 세로면(9T)에서의 핸들 포스트(31) 하단부의 좌우측 겨드랑이 부분의 합계 4개소의 볼트(39) 고정에 의하여 패널 커버(9)가 프레임(17)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볼트(39)의 조작에 의하여 패널 커버(9)를 프레임(1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좌우의 측면(9L, 9R)은 어느 정도 아래쪽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측면에서 보아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이 숨겨지거나 또는 대략 숨겨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트랙터를 옆에서 보았을 때, 중계축이나 로드 등의 조작 부재, 스프링이나 스위치, 리드선 등의 작은 부품이 다수 배치되어 번잡한 부분인 스티어링 주변 부분(b)이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도 8 및 도 9에 캐빈 사양인 경우의 패널 커버(9)가 도시되어 있다. 이 캐빈 사양에서는, 전술한 로프스 사양에 비하여, 프레임(17)의 형상이 약간 상이한 것과, 상면(9J)의 전단부(前端部)에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9Ja)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와이퍼 모터(43)가 배치되며, 그 구동축(43a)이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에 관한 상이점 이외는 대략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부의 스티어링 주변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패널 커버와 계기반을, 조립시의 완성 정밀도가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지지 강도로 장비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운전부의 스티어링(steering) 주변 부분을 덮는 패널 커버(panel cover)가 설치되며, 상기 패널 커버 영역에 계기반(計器盤)이 배치되어 있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배치된 프레임에 상기 계기반을 고정하고 또한 이 계기반의 표시면을 보기 위한 개구를 상기 패널 커버에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표시면이 보이도록 상기 패널 커버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장비(裝備)되는 장착 상태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으로부터 상기 패널 커버가 제거된 분리 상태가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 커버가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패널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핸들 포스트가 배치되며, 상기 핸들 포스트에 결합되는 절취부가 상기 패널 커버에 형성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에 핸들 포스트가 배치되며, 상기핸들 포스트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결합 부재와 이에 결합되는 피결합 부재가 상기 패널 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배분하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결합부를 복수 설치하고, 이들 결합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착 상태에서의 상기 패널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상대 위치 결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커버를 운전 좌석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패널 커버의 내면에 상기 장착 상태에서 패널 커버 개방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rib)를 일체 형성하며, 상기 리브의 선단 부분이 상기 결합 부재 또는 피결합 부재에 형성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커버는 운전 좌석에 대향한 세로면과, 상면과, 좌우 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스티어링 주변 부분이 대략 숨겨지도록 상기 좌우 측면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KR1019990037695A 1999-05-26 1999-09-06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KR100338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684999A JP3573656B2 (ja) 1999-05-26 1999-05-26 作業機の運転部構造
JP99-146849 1999-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398A KR20000075398A (ko) 2000-12-15
KR100338234B1 true KR100338234B1 (ko) 2002-05-27

Family

ID=1541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695A KR100338234B1 (ko) 1999-05-26 1999-09-06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99550B2 (ko)
JP (1) JP3573656B2 (ko)
KR (1) KR100338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3883B2 (ja) * 2001-06-20 2010-07-14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機
US20040090343A1 (en) * 2002-07-11 2004-05-13 Bombardier Motor Corporation Of America Interchangeable frame for a display cluster
JP4506286B2 (ja) * 2003-08-19 2010-07-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US7108531B2 (en) * 2004-07-27 2006-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allic face plate for automotive instrument cluster
US20060037794A1 (en) * 2004-08-20 2006-02-23 Riha Keith A Instrument panel cover
US20070289802A1 (en) * 2006-06-19 2007-12-20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Recessed control panel
KR101388358B1 (ko) * 2009-12-22 2014-04-2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US8474562B2 (en) * 2011-09-08 2013-07-02 Deere & Company Tractor center control console
JP5776540B2 (ja) * 2011-12-27 2015-09-09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2013252073A (ja) * 2012-06-05 2013-12-19 Kubota Corp 対地作業ユニットを装備した作業車
JP5986903B2 (ja) * 2012-11-20 2016-09-06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JP5336648B1 (ja) * 2012-12-20 2013-1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ータグレーダ
JP2015024696A (ja) * 2013-07-24 2015-02-0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109022B2 (ja) * 2013-09-13 2017-04-0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467272B2 (ja) * 2014-10-15 2019-02-0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MY191435A (en) * 2015-07-23 2022-06-27 Honda Motor Co Ltd Instrument panel structure
USD822071S1 (en) * 2016-10-19 2018-07-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Equipment console
USD816728S1 (en) * 2017-05-24 2018-05-01 Deere & Company Operator station steering column
USD819706S1 (en) * 2017-05-24 2018-06-05 Deere & Company Operator station ventilation pod
USD846368S1 (en) * 2018-02-16 2019-04-23 Cnh Industrial America Llc Agricultural machine front console
USD860267S1 (en) * 2018-06-07 2019-09-17 Cnh Industrial America Llc Agriculture machine front console
USD1016861S1 (en) * 2019-04-05 2024-03-05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sole for a work vehicle
JP7183943B2 (ja) * 2019-05-09 2022-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USD981454S1 (en) * 2021-07-16 2023-03-21 The Raymond Corporation Control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109Y2 (ko) * 1977-08-05 1981-03-19
US4447860A (en) * 1978-03-13 1984-05-08 Massey-Ferguson Inc. Backlighted instrument console for a tractor
GB2054476B (en) * 1979-07-27 1983-04-20 Deere & Co Tractor
JPS60213578A (ja) * 1984-04-06 1985-10-25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ハンドルポスト取付装置
DE3611486C2 (de) * 1986-04-05 1994-04-21 Audi Ag Armaturenbrett für Kraftfahrzeuge
US4993279A (en) * 1989-07-27 1991-02-19 J. I. Case Company Tilt steering column latch release
JPH0547698A (ja) 1991-08-15 1993-02-26 Nippon Steel Corp 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183287A (ja) * 1992-12-21 1994-07-0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おける装置取付け構造
US5755460A (en) * 1996-10-22 1998-05-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strument panel seamless air bag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398A (ko) 2000-12-15
US6499550B2 (en) 2002-12-31
JP3573656B2 (ja) 2004-10-06
JP2000335452A (ja) 2000-12-05
US20020043414A1 (en)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34B1 (ko) 작업기의 운전부 구조
JP200632739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部構造
EP3766767B1 (en) Work vehicle
JP3685738B2 (ja)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EP3289851B1 (en) Work vehicle
JP3987315B2 (ja) 走行車両の操縦装置
JP3375026B2 (ja) 作業車両のステップ構造
JP3803888B2 (ja)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H11310159A (ja) 作業車の後部フェンダ支持構造
JP3329022B2 (ja) トラクタのレバー取付構造
US11192484B2 (en) Work vehicle
JPH04317875A (ja) トラクタ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
JPS6036523Y2 (ja) 自動車の運転室補強構造
JPH09195315A (ja) 建設機械のフロアプレート構造
JP4263345B2 (ja) 産業車両用パネルボードの取付構造
JPH0858605A (ja) 作業車
JP3995517B2 (ja) クローラ走行車両
JP2567394Y2 (ja) 小型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S6321498Y2 (ko)
JP2004155224A (ja)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H086588Y2 (ja) 車両のチェンジ装置
WO2019176550A1 (ja) 作業車両
JPH0236740Y2 (ko)
JP3841504B2 (ja) キャビン前置型農耕用車輌
JPS61341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