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358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358B1
KR101388358B1 KR1020117003683A KR20117003683A KR101388358B1 KR 101388358 B1 KR101388358 B1 KR 101388358B1 KR 1020117003683 A KR1020117003683 A KR 1020117003683A KR 20117003683 A KR20117003683 A KR 20117003683A KR 101388358 B1 KR101388358 B1 KR 10138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witching lever
backward switching
swing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400A (ko
Inventor
다이스께 고바야시
다쯔유끼 가시모또
마꼬또 사에구사
미끼오 이시다
아쯔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1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138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91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832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08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46Control lever on steering column

Abstract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회전 축심(X2)의 차체의 외측의 위치를 요동 중심(Z)으로 하여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16)와,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단부(28)가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티어링 휠(14)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21)을 구비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로부터의 요동 단부(28)의 돌출량이,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요동 단부(28)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요동 중심(Z)을 회전 축심(X2)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하였다.

Description

작업차 {WORK VEHICLE}
본 발명은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는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구비하고 있어,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고 있는 운전자가, 자세를 바꾸지 않고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하기 쉽다.
전후진 전환 레버는 스티어링 휠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후진 전환 레버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스티어링 휠의 차체 외측의 위치의 요동 중심의 주위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고, 스티어링 휠의 하측에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단부측이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를 파지하기 쉬운 동시에, 전진 위치가, 후진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의 조작 감각이 실제의 주행 감각에 익숙해지기 쉬워, 전후진 전환 레버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쉽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8-6902호공보[도16(정면도),도17,도19(측면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축심과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서로 평행하고, 또한 차체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여,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중심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의 차체 폭 방향의 바로 옆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몸이 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예상치 않게 접촉할 우려가 낮아지도록,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중심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과 함께 운전 좌석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전방측에 배치하면, 스티어링 휠의 조작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전후진 전환 레버의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의 돌출량을, 전후진 전환 레버를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도,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도, 동일한 돌출량으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운전 좌석으로부터 먼 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가 파지하기 쉬워지도록, 전후진 전환 레버를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상기 돌출량이 커지도록 설정하면,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운전 좌석으로부터 가까운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상기 돌출량도 커지므로, 운전자의 몸이 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접촉할 우려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티어링 휠의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운전자의 몸이 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접촉할 우려가 낮고, 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도 파지하기 쉬운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제1 특징 구성은,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상기 전진 위치보다도 차체 후방측이며 상기 주행 방향을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의 외측의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와,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휠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이,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요동 중심을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중심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의 외측이고, 또한 차체 전방측에 배치하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전후진 전환 레버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요동 단부의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의 돌출량을,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돌출량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에 가까운 후진 위치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해도, 운전자의 몸이 전후진 전환 레버에 접촉할 우려가 적다. 또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는, 요동 단부의 돌출량이 커지므로, 스티어링 휠이 방해가 되지 않아, 운전 좌석으로부터 먼 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를 파지하기 쉽다.
따라서, 본 구성이면, 스티어링 휠의 조작성을 손상시킬 우려도, 운전자의 몸이 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접촉할 우려도 낮고, 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도 파지하기 쉽다. 특히, 운전자가 타고 내릴 때에도, 운전자의 몸이 후진 위치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접촉할 우려가 낮으므로, 운전자가 타고 내리기 쉽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축의 요동 축심이 상기 회전 축심에 대해 차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요동 지지축을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요동 지지축의 요동 축심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에 대해, 상방측일수록 당해 회전 축심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전후진 전환 레버와 스티어링 휠의 간격은, 전후진 전환 레버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보다도 작아진다. 즉, 요동 지지축의 요동 축심을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전후진 전환 레버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전후진 전환 레버의 높이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전후진 전환 레버의 파지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전후진 전환 레버가 운전자의 몸 중 다리부 등에 접촉할 우려를 한층 낮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길이 방향 중간 개소를, 요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전후진 전환 레버의 길이 방향 중간 개소에 있어서의 굴곡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전후진 전환 레버로 전환되는 전환부와의 연계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단부측, 즉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요동 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되도록 설정하기 쉽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후진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전진 위치의 측을 향해 굴곡시키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후진 위치의 측으로부터 전진 위치의 측의 방향, 즉 운전자의 몸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전후진 레버가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전후진 전환 레버를 조작하기 쉽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요동 지지축의 삽입 관통에 의해 상기 요동 지지축과 결합하는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요동 지지축에 직교하는 판면과, 상기 판면에 형성되어, 당해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전진 위치와 상기 후진 위치와 상기 중립 위치로 택일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전진 위치와 상기 후진 위치와 상기 중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가 결합 가능한 안내부를 갖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에, 상기 요동 지지축에 대해 대략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부에 결합하는 결합 축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가이드판의 고정부를, 종래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 요동 지지축의 지지 부재에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판을 전후진 전환 레버에 대해 조립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의 전후진 전환 레버에 대한 조립 부착 정밀도는 가이드판의 지지 부재에 대한 조립 부착 정밀도에 좌우되고, 가이드판의 별도의 부재에 대한 조립 부착 정밀도나 별도의 부재의 지지 부재에 대한 조립 부착 정밀도에는 좌우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판은 전후진 전환 레버를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을 삽입 관통시켜 당해 요동 지지축과 가이드판을 결합시키는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요동 지지축을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가이드판에 결합시킴으로써, 요동 지지축과 가이드판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요동 지지축에 지지되는 전후진 전환 레버에 대한 가이드판의 조립 부착 정밀도를 높이기 쉽다.
또한, 전후진 전환 레버가, 안내부에 결합하는 결합 축부를 구비하고, 그 결합 축부를 요동 지지축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결합 축부를 요동 지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여 설치하여 안내부에 결합시키고 있는 경우에 비해, 가이드판을 요동 지지축에 근접시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가, 요동 지지축에 직교하는 판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요동 지지축에 조립 부착하는 데 있어서,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요동 지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당해 요동 지지축에 조립 부착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결합 축부도 안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부착 작업을 번잡화하지 않고, 가이드판을 전후진 전환 레버에 대해 고정밀도로 조립 부착하기 쉽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및 상기 결합 축부를, 상기 요동 지지축보다도 상기 회전 지지축의 측에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결합 축부와, 이 결합 축부가 결합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판을, 요동 지지축보다도 회전 지지축의 측에 근접시켜, 스티어링 휠의 하측에 수납하기 좋게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일체 형성된 베어링판부에, 상기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과 협동하여 상기 요동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요동 지지축을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베어링판부에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요동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가이드판과 요동 지지축의 상대 위치를, 가이드판과 베어링의 상대 위치로 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요동 지지축에 지지되는 전후진 전환 레버에 대한 가이드판의 조립 부착 정밀도를 한층 높이기 쉽다.
도 1은 작업차(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스티어링 조작부와 전후진 전환 조작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스티어링 휠과 전후진 전환 레버를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평면도.
도 5는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지지축 및 결합 축부와 가이드판의 안내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6은 스티어링 조작부와 전후진 전환 조작부를 도시하는 차체 전방 향향에서 볼 때의 측면도.
도 7은 전후진 전환 조작부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고, 도 2는 트랙터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트랙터는, 엔진(1)의 후방부에, 주클러치(2)를 내장하는 클러치 하우징(2a)과, 주변속 기구(3a)와 전후진 전환 기구(3b)와 부변속 기구(3c) 및 PTO 변속 기구(3d)를 내장하는 미션 케이스(3)와,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4a)를 포함하는 후방부 미션 케이스 부분(4)을, 하우징 프레임(5)을 통해 연결하여 기체 보디(6)가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3)의 후단부에 직결된 디퍼렌셜 기어 케이스(4a)에 좌우의 후륜(7)이 축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PTO축(8)이 후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좌우의 전륜(9)을 조향 가능하게 구비한 전방 차축 케이스(10)가, 엔진(1)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11)에 롤링 가능하게 장착 지지되어 있다.
기체 보디(6)의 상부에 장비하고 있는 운전부(12)에는 운전 좌석(13)의 전방측에, 좌우의 전륜(9)에 연계된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14)을 구비한 스티어링 조작부(15)와, 주행 방향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구비한 전후진 전환 조작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조작부(15)는,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을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축(18)과, 회전 지지축(18)에 직결되어 있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19)을 갖는다. 회전 지지축(18) 및 파워 스티어링 유닛(19)은 기체 보디(6)의 측에 고정된 지지 박스(20)에 방진 고무(41)를 통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전후진 전환 조작부(17)는, 도 3,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21)과, 요동 지지축(21)을 빠짐 방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22(20, 26)]와, 전후진 전환 레버(16)에 결합하여 그 요동 이동을 안내 가능한 안내부(23)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판(24)을 갖고, 전진 위치는 후진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가이드판(24)은 요동 지지축(21)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게 하여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안내부(23)는 요동 지지축(21)에 직교하는 판면에 형성되어 있다.
요동 지지축(21)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하지 않고,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는 당해 요동 지지축(21)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전환 기구(3b)를 전환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부(21a)를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전후진 전환 기구(3b)의 전환 조작용 링크 부재(25)에 연계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후진 전환 레버(16)와 전후진 전환 기구(3b)의 연계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전후진 전환 기구(3b)의 조작 감각이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해지기 쉽다.
요동 지지축(21)의 지지 부재(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지지축(21)이 빠짐 방지 상태에서 삽입 관통되는 지지통(26)과, 이 지지통(26)을 용접 등으로 내측에 일체로 고정하고 있는 지지 박스(20)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지지축(21)은 방진 지지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지지축(18)의 측에 지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방진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22(20, 26)]에 지지하고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조작감이 손상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회전 지지축(18)이나 파워 스티어링 유닛(19)으로부터의 진동이 전후진 전환 레버(16)로 전해지기 어렵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는, 도 3,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27)와, 레버 본체(27)의 요동 단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운전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8)(본 발명에 관한 「요동 단부」)와, 요동 지지축(21)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 또한 요동 축심(X1)[요동 지지축(21)의 축심]에 직교하는 횡축심(Y)의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는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인 요동 지지부(29)와, 가이드판(24)의 안내부(23)에 결합하는 결합 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요동 지지부(29)는 전후진 전환 레버(16)와 함께 요동 지지축(21)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당해 요동 지지축(21)에 조립 부착되어 있고, 요동 지지부(29)에 형성한 관통 구멍(29a)과, 요동 지지축(21)의 선단부에 형성한 관통 구멍(21a)에 걸쳐서 볼트(40a)를 삽입 관통하여, 너트(40b)로 볼트(40a)의 축심(Y)의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볼트 고정하고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는, 도 3에 도시하는 측면에서 볼 때 「く」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볼 때[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의 방향에서 볼 때], 레버 본체(27)의 파지부(28)의 측이 차체 전방측을 향해 굴곡하도록, 레버 본체(27)의 굴곡부(27a)를 파지부(28)와 요동 축심(X1)을 연결하는 선분보다도 차체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레버 본체(27)의 길이 방향 중간 개소[굴곡부(27a)]가 요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진 전환 레버(16)는 레버 본체(27)의 파지부(28)의 측이 차체 후방측을 향해 굴곡하도록, 레버 본체(27)의 굴곡부(27a)를 파지부(28)와 요동 축심(X1)을 연결하는 선분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시켜,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레버 본체(27)는 요동 지지부(29)의 일단부측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결합 축부(30)는 요동 지지부(29)의 타단부측에 요동 축심(X1), 즉 요동 지지축(21)의 축심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요동 지지축(21)보다도 회전 지지축(18)의 측에 있어서 안내부(23)에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파지부(28)의 측이 요동 지지축(21)에 대해 하향으로 요동하고, 또한 결합 축부(30)가 요동 축심(X1)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요동하도록 압박하는 압박 스프링(31)이, 전후진 전환 레버(16)와 요동 지지축(21)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판(24)은 1매의 띠 형상 평판을 굴곡시켜 형성하고 있고,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지지축(21)의 지지 부재(22)인 지지 박스(20)에 볼트 고정되는 고정판부(32)와, 요동 지지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3)이 볼트 고정되는 베어링판부(34)와, 요동 지지축(21)을 삽입 관통시켜 당해 요동 지지축(21)과 가이드판(24)을 결합시키는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35) 및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결합 축부(30)가 결합하는 안내부(23)를 형성하고 있는 결합판부(36)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23)는 전후진 전환 레버(16)가 전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결합 축부(30)가 접촉하는 전진측 구멍 단부(37)와, 전후진 전환 레버(16)가 후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결합 축부(30)가 접촉하는 후진측 구멍 단부(38)에 걸쳐서 원호 형상으로 긴 구멍으로 구성하고,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전진 위치와 후진 위치 및 전진 위치와 후진 위치의 중간의 중립 위치로 택일적으로 안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요동 지지축(21)에 조립 부착하는 데 있어서, 결합 축부(30)를 안내부(23)인 긴 구멍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조립 부착 작업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가 중립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결합 축부(30)가 압박 스프링(31)의 압박력에 의해 들어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39)를 원호 형상의 긴 구멍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형성하여, 중립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전후진 전환 레버(16)가 전진 위치 또는 후진 위치로 불규칙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립 위치로 이동하고 있고 결합 축부(30)가 결합 오목부(39)에 결합하고 있는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전진 위치 또는 후진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파지부(28)의 측을 압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결합 축부(30)와 결합 오목부(39)의 결합을 해제하여, 전진 위치 또는 후진 위치로 요동 이동시킬 수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파지부(28)가,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요동 중심(Z)의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중심(Z)은, 구체적으로는 요동 지지부(29)를 요동 지지축(21)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볼트(40a)의 축심인 횡축심(Y)과, 요동 지지축(21)의 축심(X1)의 교점이다.
회전 축심(X2)을 따라서 요동 중심(Z)을 스티어링 휠(14)의 회전면 상에 투영했을 때, 요동 중심(Z)은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회전 축심(X2)보다도 차체의 외측의 위치에 있다. 즉, 요동 중심(Z)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이며, 또한 회전 축심(X2)보다도 차체의 외측의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중심(Z)은, 도 4에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보다도 차체의 외측이고, 또한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하고 있다.
요동 중심(Z)을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스티어링 휠(14)의 외주로부터의 스티어링 휠 직경 방향으로의 돌출량(d)을,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돌출량(d2)이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돌출량(d1)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중립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돌출량(d)은 돌출량(d1, d2)의 중간의 값으로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축심(X1)[요동 지지축(21)의 축심]을,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에 대해, 상방측일수록 당해 회전 축심(X2)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다.
요동 축심(X1)을 이와 같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전후진 전환 레버(16)와 스티어링 휠(14)의 간격(c)을,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간격(c2)이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간격(c1)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중립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간격(c)은 간격(c1, c2)의 중간의 값으로 된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경사진 전후진 전환 레버(16)를 갖고 있고, 전진으로 전환했을 때에는, 스티어링 휠(14)과 전후진 전환 레버(16) 사이에 상하의 충분한 스페이스가 생긴다. 그로 인해, 주먹을 넣기 쉬워진다. 후진으로 전환했을 때에는, 파지부(레버 그립)(28)의 위치가 그다지 내려가지 않아, 운전자의 무릎이나 넓적다리에 접촉하기 어려우므로, 승하차가 쉽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전후진 전환 레버(16)의 요동 중심(Z)이,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보다도 좌측의 차체 외측이고, 또한 차체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스티어링 휠(14)의 회전 축심(X2)보다도 우측의 차체 외측이고, 또한 차체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2)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저부를 구비한 홈 형상의 안내부(23)를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판(24)을 갖는 작업차라도 좋다.
본 발명은 트랙터 이외의 작업차, 예를 들어 콤바인 등의 농작업차나 백호 등의 건설 작업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13 : 운전 좌석
14 : 스티어링 휠
16 : 전후진 전환 레버
21 : 요동 지지축
22 : 지지 부재
23 : 안내부
24 : 가이드판
28 : 파지부(요동 단부)
30 : 결합 축부
32 : 고정부
33 : 베어링
34 : 베어링판부
35 :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
d : 돌출량
X1 : 요동 축심
X2 : 회전 축심
Z : 요동 중심

Claims (8)

  1.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상기 전진 위치보다도 차체 후방측이며 상기 주행 방향을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의 외측의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와,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휠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이,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요동 중심을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의 외측인 동시에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하고 있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중심의 주위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중립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 전환 레버에 있어서의 요동 단부측의 파지부의 전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축의 요동 축심이 상기 회전 축심에 대해 차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요동 지지축을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길이 방향 중간 개소를 요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있는,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후진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전진 위치의 측을 향해 굴곡시키고 있는, 작업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축심을,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에 대하여, 차체 전방측으로 위치시키고 있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에, 측면에서 볼 때 차체 후방측으로 굴곡진 제1 굴곡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굴곡부보다도 상기 파지부 근처의 개소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의 외측으로 굴곡진 제2 굴곡부를 형성한, 작업차.
  6.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회전 조작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주행 방향을 전진으로 전환 가능한 전진 위치와 상기 전진 위치보다도 차체 후방측이며 상기 주행 방향을 후진으로 전환 가능한 후진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내측의 위치 또한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의 외측의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조작 가능한 전후진 전환 레버와,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의 요동 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티어링 휠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에,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외주로부터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이,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전진 위치로 요동 조작했을 때의 상기 요동 단부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상기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기 요동 중심을 상기 회전 축심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설정하고 있고,
    상기 요동 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요동 지지축의 삽입 관통에 의해 상기 요동 지지축과 결합하는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요동 지지축에 직교하는 판면과, 상기 판면에 형성되어, 당해 전후진 전환 레버를 상기 전진 위치와 상기 후진 위치와 상기 중립 위치로 택일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전진 위치와 상기 후진 위치와 상기 중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가 결합 가능한 안내부를 갖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 전환 레버에, 상기 요동 지지축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부에 결합하는 결합 축부를 구비한, 작업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및 상기 결합 축부를, 상기 요동 지지축보다도 상기 회전 지지축의 측에 구비한, 작업차.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일체 형성된 베어링판부에, 상기 지지축 삽입 관통 구멍과 협동하여 상기 요동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한, 작업차.
KR1020117003683A 2009-12-22 2010-03-03 작업차 KR101388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1222 2009-12-22
JP2009291223A JP5313861B2 (ja) 2009-12-22 2009-12-22 作業車
JP2009291222A JP5308324B2 (ja) 2009-12-22 2009-12-22 作業車
JPJP-P-2009-291223 2009-12-22
PCT/JP2010/053456 WO2011077758A1 (ja) 2009-12-22 2010-03-03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400A KR20110089400A (ko) 2011-08-08
KR101388358B1 true KR101388358B1 (ko) 2014-04-22

Family

ID=4419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683A KR101388358B1 (ko) 2009-12-22 2010-03-03 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33503B2 (ko)
KR (1) KR101388358B1 (ko)
CN (1) CN102216105B (ko)
WO (1) WO2011077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3180B2 (ja) * 2013-08-08 2018-02-21 株式会社ニューフレアテクノロジー 荷電粒子ビーム描画装置及び荷電粒子ビーム描画方法
CN106015546B (zh) * 2016-07-19 2019-05-21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限位式换挡机构及其变速器
US11014447B2 (en) * 2016-10-28 2021-05-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Low cost stamped shift assembly and steering column
CN110023130B (zh) * 2016-11-28 2022-03-04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变速杆用安装托架和变速杆装置
JP6704884B2 (ja) * 2017-09-27 2020-06-03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
JP6975094B2 (ja) * 2018-04-18 2021-12-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109606104A (zh) * 2018-12-24 2019-04-12 重庆欧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手动换挡杆
US10969003B2 (en) * 2019-03-12 2021-04-06 Kubota Corporation Operation device and work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22U (ja) * 1992-10-16 1994-05-10 住友エール株式会社 産業車両における切替制御装置
JPH08332869A (ja) * 1995-06-09 1996-12-17 Kubota Corp 車両用前後進切換装置の制御装置
US20050139034A1 (en) 2003-12-26 2005-06-30 Kubota Corporation Control panel unit having control lever for utility vehicle
JP2007263259A (ja) * 2006-03-29 2007-10-11 Kubota Corp 作業車の連係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5269A (en) * 1939-08-24 1940-03-26 Gen Motors Corp Change speed transmission
US2531582A (en) * 1948-12-10 1950-11-28 Joseph M Myers Gear shifter control
JPS6035022U (ja) 1983-08-19 1985-03-11 小島 静子 ツマミのついた防水紙パツク
JPH051005A (ja) * 1991-06-25 1993-01-08 Daicel Chem Ind Ltd アミノ酸誘導体又はその塩、およびグルタミン酸レセプター遮断剤
JPH0510442A (ja) 1991-07-03 1993-01-19 Honda Motor Co Ltd 無段変速機付耕耘機
JPH0828670A (ja) 1994-07-21 1996-02-02 Kubota Corp 車輌における操作レバーの位置検出装置
JPH09301005A (ja) * 1996-05-08 1997-11-25 Iseki & Co Ltd 農作業機
JP2000225867A (ja) * 1999-02-02 2000-08-15 Toyota Motor Corp コラム式シフト装置
JP3573656B2 (ja) * 1999-05-26 2004-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運転部構造
JP4373820B2 (ja) * 2004-03-11 2009-11-2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前後進操作装置
US7648001B2 (en) * 2005-09-13 2010-01-19 Kubota Corporation Speed shift arrangement for work vehicle
JP4537918B2 (ja) * 2005-09-13 2010-09-08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2008006902A (ja) 2006-06-28 2008-01-17 Yanmar Co Ltd 操作リンク構造
ATE524341T1 (de) * 2007-03-05 2011-09-15 Kubota Kk Übertrag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22U (ja) * 1992-10-16 1994-05-10 住友エール株式会社 産業車両における切替制御装置
JPH08332869A (ja) * 1995-06-09 1996-12-17 Kubota Corp 車両用前後進切換装置の制御装置
US20050139034A1 (en) 2003-12-26 2005-06-30 Kubota Corporation Control panel unit having control lever for utility vehicle
JP2007263259A (ja) * 2006-03-29 2007-10-11 Kubota Corp 作業車の連係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2911A1 (en) 2011-10-20
KR20110089400A (ko) 2011-08-08
US8833503B2 (en) 2014-09-16
WO2011077758A1 (ja) 2011-06-30
CN102216105B (zh) 2014-05-14
CN102216105A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358B1 (ko) 작업차
JP4866307B2 (ja) 作業車
KR950003841B1 (ko) 무단변속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의 변속조작시스템
JP5313861B2 (ja) 作業車
JPH0454362Y2 (ko)
CN112618184B (zh) 转向机构以及轮椅
JP2008006902A (ja) 操作リンク構造
JP3987315B2 (ja) 走行車両の操縦装置
JP5308324B2 (ja) 作業車
JP2002257229A (ja) 変速レバーの揺動アシスト機構
JP4996405B2 (ja) 作業車両
JP6775448B2 (ja) 作業車
JP2002036900A (ja) 作業車
JP2004090885A (ja) 前後進切換レバーの切換機構
JPH0714118Y2 (ja) アーティキュレイト車輌の操向装置
JP2545983Y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コントロール機構
JP3635259B2 (ja) 作業車
JPS6346307Y2 (ko)
JPH05118412A (ja) 変速操作構造
JP2024063566A (ja) 作業車
JP3542109B2 (ja) 作業車の操作構造
JP2004082895A (ja) 作業車両における変速レバーの取付構造
CN113048232A (zh) 一种汽车软轴操纵系统用双扭簧手排变速操纵器
JP2012194689A (ja) 作業車のレバー操作装置
JPH069860Y2 (ja) 歯車式変速機の変速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