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의 모심기장치는 청구항 1 기재와 같이, 격납시에 상기 분리모얹음대와 걸어맞춤하여 회전운동하고, 상기 분리모얹음대를 상기 격납부에 안내하는 보조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분리모얹음대를, 연결수단의 연결해제에 의하여 주모얹음대로부터 분리하여 격납부에 세트하는 경우에는, 보조아암이, 분리모얹음대와 모심기장치의 프레임에 걸쳐서 연계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보조아암의 보조작용으로, 분리모얹음대를 격납부까지 안내하는것이 가능하게된다. 이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분리한 분리모얹음대를 들어올리는 조작을 작업자가 행할 필요가 없을 뿐아니라, 보조아암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분리모얹음대를 이동하는 것만으로, 분리모얹음대를 격납부의 적정한 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모얹음대를 분할하여 보조아암을 통하여 분리모얹음대를 안내한다라는 편안한 조작으로 횡폭방향의 치수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는 이앙기의 모심기장치가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또, 분리에 관한 구조가 단순하게 된 몫만큼 장치전체로서 경량 동시에 염가의 것으로 되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보조아암을 상기 분리모얹음대와 평행한 자세로 유지하기위한 자세유지기구가 구비되고, 이 자세유지기구가, 상기 분리모얹음대를 상기 격납부에 격납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해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다음점에서 유리하다.
주모얹음대와 분리모얹음대가 연결되어 있는 통상 작업시에는, 보조아암이자세유지기구에 의하여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고, 분리모얹음대와의 평행관계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시, 횡이송기구에 의한 모얹음대의 왕복이동의 방해는 되지 않는다. 한편 모얹음대의 횡방향의 치수를 축소할 때에는 모얹음대 전체를 횡이송기구에서의 이동단에 옆에 가까이 붙이어 댄 다음, 분리모얹음대를 주모얹음대로부터 연결해제하여 주모얹음대로부터 꺼내고 로작단에 이동하는 것 만으로, 자세유지기구가 해제된다.
따라서, 분리모얹음대의 격납부로의 이동을 인위적인 로크해제조작을 한다라는 수고를 끼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청구항 3기재와 같이, 상기 분리모얹음대의 폭이 2조로 설정되고, 상기 격납부에 있어서, 상기 주모얹음대와의 중복량이 거의 1조로 설정되어 있으면, 분리모얹음대를 격납부에 세트한 경우에는, 주모얹음대의 단부로부터 분리모얹음대의 일부가 외방으로 내뻗는 형태로 된다. 이 때문에 이 내뻗는 부분에 대하여 보조아암의 단부를 용이하게 연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되므로, 예를들면 보조모얹음대의 단부와 주모얹음대의 단부를 일치시키는 형태로 격납위치에 세트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계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모얹음대와 보조아암과의 연계를 간소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것으로 된다.
또, 청구항 4 기재와 같이, 격납시에 상기 분리모얹음대를 상기 주모얹음대에 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림 작동하는 끌어올림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다음점에서 유리하다.
모얹음대를 횡이송기구로 분리모얹음대측의 이동단에 설정한 상태에서 주모얹음대로부터 분리모얹음대를 연결해제하고, 이 분리모얹음대를 수동레일을 따라 분리하는 측으로 끌기 조작하는 것으로, 끌어올림기구가 분리모얹음대를 미끄럼운동 레일로 부터 떠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미끄럼 운동 레일과의 접촉을 회피한 상태에서, 분리모얹음대의 격납위치로의 이동을 보다 가벼운 조작력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주모얹음대로부터 분리모얹음대를 분리하는 방향으로의 조작과 연동하여 분리모얹음대를 미끄럼운동 레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으로써, 미끄럼 운동 레일과의 간섭이나, 접촉저항 등이 없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분할모얹음대를 원활하게 격납부에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되었다.
더욱더, 보조아암의 일단에 모심기장치의 프레임에 연계하도록 구성하면, 예를들면 보조아암의 일단을 주모얹음대에 연계하는 것과 비교하여, 공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되고, 분리모얹음대를 안정하여 높은 정밀도로 안내할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발명의 알맞는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명료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논작업기로서의 이앙기는, 스티어링 조작되는 구동형의 전차륜(1), 및 구동형의 후차륜(2)을 구비한 주행기체의 앞부에 엔진(3)을 탑재한다. 주행기체의 앞부에는 또한, 엔진(3)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정유압식의 무단변속장치(H), 이 무단변속장치(H)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앞부위치의 변속기케이스(4), 및 이 변속기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후부위치의 후차축 케이스(5) 각각을 배치하고 있다. 주행기체의 중앙부에는, 스티어링핸들(6)과 운전좌석(7)을 배치하고, 주행기체의 후단부에는, 리프트 실린더(8)로 구동승강 조작되는 평행 4연형의 링크기구(L)를 통하여 8조식용의 모심기장치(A)를 연결하고 있다. 주행기체의 후부에는, 또한 시비 장치(B)를 구비한다.
상기 변속기케이스(4)에는 좌우의 전차륜(1,1)에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기구(도시하지않음)와, 단위 주행거리에 대한 모심기장치(A)의 모심기작동회수를 설정하는 포기와 포기 사이 변속기구(도시하지않음)를 내장함과 동시에, 이 변속기케이스(4)로부터 모심기장치(A)에 대한 동력의 전동과 차단을 행하는 심기클러치(C)를 내장하고 있다. 또, 상기 후차축 케이스(5)에는 좌우의 후차륜(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구(도시하지않음, 차동기구는 구비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다.
운전좌석(7)의 바로앞의 미터패널부(도시하지않음)의 좌측부에는, 상기 무단변속장치(H)를 변속 조작하는 주변속 레버(9)를 배치하고, 운전좌석(7)의 좌측부에는, 상기 변속기케이스(4)내의 기어식의 부변속장치(도시하지않음)을 변속 조작하는 부변속 레버(10)를 배치하고, 운전좌석(8)의 우측부에는, 모심기장치(A)의 승강제어와 심기클러치(C)의 제어를 행하는 승강레버(11)를 배치하고, 스티어링핸들(7)의 근방위치에는 강제승강레버(12)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승강레버(11)는, 모심기장치(A)의 승강제어와 심기클러치(C)의 넣기 끊기의 제어를 행하고, 또, 강제승강레버(12)는 접지상태에 있는 모심기장치(A)를 상한까지 강제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와, 이 강제상승과 연동하여 심기클러치(C)를 끊는 제어와, 이 강제상승제어로 상승상태에 있는 모심기장치(A)를 접지레벨까지 강제적으로 하강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심기 클러치(C)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동모터(CM)의 구동력으로 넣기 끊기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링크기구(L)는 좌우 한쌍의 상부링크(15)와 좌우 한쌍의 하부링크(16)와 후단의 종링크(1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링크(17)의 하단부에 대하여 모심기장치(A)의 전동케이스(18)가 전후향 자세의 롤링축심(X) 둘레로 롤링 자유롭게 연결되어있다. 전동케이스(18)에는 주행기체(3)로부터의 동력이, 전동축(19)을 통하여 전달된다. 모심기장치(A)는 이 전동케이스(18)와, 전동케이스(18)에 연결하는 횡으로 긴 자세의 각 파이프형상의 툴프레임(20)과, 이 툴프레임(20)에 전단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전동케이스(18)로부터의 동력이 분기하여 전달되는 4개의 체인케이스(21)와, 각각의 체인케이스(21)의 후부의 좌우위치에 배치된 8조분의 심기기구(D)와, 매트형상 모(W)을 얹어놓는 8개의 모얹음면(22B)을 갖는 경사자세의 모얹음대(22)와, 5개의 정지 플로트(23)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이 5개의 정지플로트(23)중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의 것은 논면(S)에 추정하여 모심기장치(A)의 승강제어를 행하는 경우, 센서 플로트(23C)로서 사용된다.
상기 시비장치(B)는, 입자상이나 분말상의 비료를 저장하는 호퍼(26)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호퍼(26)로부터의 비료를 계속 내보내는 8조분의 계속내보냄기구(27)와, 계속 내보냄기구(27)로부터 계속 내보낸 비료를 풍압으로 이송하도록 블로어 모터(28M)로 구동되는 송풍블로어(28)와 이 송풍블로어(28)로부터의 송풍작용에 의하여 비료가 이송되는 8개의 시비호스(29)와, 이들의 시비 호스(29)로부터의 비료를 논면(S)아래로 송출하도록 상기 5개의 정지플로트(23)에 지지된 8개의 작구기(作溝器)(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있다.
도 7, 도 8,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심기기구(D)는 상기 체인케이스(21)로 부터의 동력으로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로 회전하는 로터리 케이스(33)와, 이 로터리 케이스(33)에 한쌍씩 장치된 심기 아암(34)과, 각각의 심기아암(34)에 구비한 심기클릭(35)을 갖는다. 심기작업시에는, 심기클릭(35)이, 모얹음대(22)에 놓인 매트형상 모(W)(도 1)의 하단으로부터, 모을 잘라내어 논면(S)에 심는 작동을 행한다. 또,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각의 체인케이스(21)의 후단부에는, 논두렁용 클러치(E)가 내장되고, 이 논두렁용 클러치(E)의 끊기조작에 의하여 좌우 한쌍의 로터리 케이스(33)로의 전동을 차단하여, 대응하는 2조의 심기를 정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상기 전동케이스(18)의 좌측면에는, 나선홈(37S)이 형성된 나사축(37)이,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로 회전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이 나사축(37)의 나선홈(37S)에, 이송암나사부재(38)가 걸려넣어져 있다. 이 이송암나사부재(38)를, 홀더(39)를 통하여 모얹음대(22)의 반모얹음면측에 고정설치함으로써, 모얹음대(22)를 횡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횡이송기구(F)가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37)의 외주면상 동시에 이송암나사부재(38)의 좌우부분은, 한쌍의 고무제의 뱀복부모양부(蛇腹)(도시하지않음)로 덮여져있고, 이송암나사부재(38)가 나사축(37)상을 이동할때에 뱀복부모양부가 신축함으로써, 나선홈(37S)에 진흙 등이 막히는 사태가 예방되고 있다. 또, 상기 전동케이스(18)의 우측면에는, 후술하는 종이송기구(G)의 구동을 위하여 횡방향자세의 축심둘레로 회전자유로이 구동축(4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축(41)은, 상기 나사축(37)에 의한 모얹음대(22)의 왕복이동 스트로크와 같은 간격을 두고, 한쌍의 구동아암(42,42)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체인케이스(21)의 상면에는, 횡으로 긴 자세의 미끄럼은 동 레일(43)이 구비되어 있다. 모얹음대(22)의 반모얹음면측에는, 상하방향의 중앙위치에 횡으로 긴 자세의 가이드레일(4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툴프레임(20)의 양단부에는 좌우의 지지주(45,45)가 세워져 설치되고, 이들 지지주(45,45) 끼리에 걸쳐서 횡으로 긴 자세의 파이프 프레임(46)이 구비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운동 레일(43)에는, 모얹음대 하면에 설치된 안내슈우(47)가 놓여져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파이프프레임(46)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48)를 가이드레일(44)에 걸어넣은 것으로, 미끄럼 운동 레일(43)과 가이드레일(44)에 의하여 모얹음대(2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툴프레임(20)의 양단위치에는, 미끄럼 운동 레일(43)의 좌우 외단에 내뻗는 형상의 둥근 파이프제의 보호프레임(49)이 구비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링크(17)의 상단위치와 모얹음대(22)와의 사이에는 밸런스 스프링(51)이 개장됨과 동시에, 이 종링크(17)의 상단에 구비한 롤링모터(52)의 구동력으로 나사식으로 횡방향으로 작동하는 로드(53)의 양단과, 상기 파이프 프레임(46)과의 사이에는, 롤링스프링(54)이 개장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롤링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하여 모심기장치(A)를 롤링작동시키는 롤링작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모얹음대(A)가 좌우로 슬라이드 작동하여 좌우의 중량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에도, 밸런스 스프링(51)의 가압력 때문에, 모심기장치(A)의 자세가 크게 무너뜨리는 일이 없다. 또, 주행 기체가 좌우 방향으로 경사한 경우에는, 롤링모터(52)의 구동력에 의하여 로드(53)가 작동하고, 롤링스프링(54)을 통하여 모심기장치(A)의 롤링자세를 수정하기 때문에, 모심기장치(A)를 논면(S)에 추종하는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모얹음대(22)에는 종벽(22A)을 경계로 하여 8개의 모얹음면(22B)이 구비된다. 각각의 모얹음면(22B)에는 매트형상 모(W)의 떠오름을 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모스테이(58)와, 매트조 모(W)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종이송기구(G)와, 종벽(22A)에 내장된 모 잔량 센서(T)를 구비하고 있다. 모스테이(58)는 그 상부위치의 지주체(59)와, 하부위치의 지지플레이트(60)와의 사이에 걸쳐서 지지되어 있다.
도 16, 도 21,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얹음대(22)의 하부에는,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에서 회전운동자유롭게, 단면형상 6각의 종이송축(61)이 뻗어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이송기구(G)는, 이 종이송축(61)에 외접하는 하부롤러(62)와, 이 상방에 배치된 상부롤러(63)와, 이들에 두루감는 종이송벨트(64)로 구성되어 있다(도 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1조의 모얹음면(22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의 종이송벨트(6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종이송축(61)에는, 상기 좌우 한쌍의 구동아암(42,42)에 맞닿음하는 피조작아암(65)과, 이 피조작아암(65)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종이송축(61)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66)가 구비되어 있다. 인접하는 하부롤러(62) 사이에는, 레버(67)를 통하여 조작가능한 종이송클러치(J)가 구비되고, 종이송축(61)으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인접하는 2조의 종이송기구(G,G)에 전달한다. 또, 모 잔량센서(T)는 모얹음대(22)에 놓여진 매트형상 모(W)에 맞닿음하도록 돌출가압된 맞닿음편(68)과, 이 맞닿음편(68)의 자세로 부터 모(W)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리미트스위치(69)로 구성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정지플로트(23)는, 후부위치의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에서의 요동에 의하여, 그 전단부가 상하로 변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정지플로트(23)중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에 있는 센서플로트(23C)의 요동자세로 부터 퍼텐쇼미터 등의 검출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모심기장치(A)와 논면(S)과의 사이의 상하방향에서의 상대거리가 계측된다. 그리고, 후술의 제어수단(130)이, 이 검출계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목표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실린더(8)의 신축작동을 제어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심기장치(A)의 전면측에는, 레버가이드(71)에 걸어맞춤 지지되는 상태에서, 모 취하는 양 조절레버(72)와 심기깊이 조절레버(73)가 구비되어 있다. 모 취하는 양 조절레버(72)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미끄럼운동 레일(43)이 상하방향으로 변위하고, 심기클릭(35)의 작동궤적과 미끄럼운동 레일(43)의 상대위치가 변화함으로써, 모의 취하는 양을 조절할 수 가 있다. 심기깊이레버(73)를 상하로 조절하면 정지플로트(23)의 후단위치가 상하로 변위하고, 심기클릭(35)의 작동궤적과 논면(S)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심기클릭(35)이 논면(S)에 대하여 모을 삽입 할 때의 깊이를 조절할 수 가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모의 이식을 행하는 경우에는, 모 취하는 양과 심기 깊이를 필요한 값으로 설정하고, 논면(S)에 추종하여 모 심기장치(A)의 승강을 행하는 제어상태로 상기 심기 클러치(C)를 넣기 조작함으로써, 횡이송기구(F)로부터의 구동력으로 모얹음대(22)를 미끄럼 운동 레일(43)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모얹음대(22)에 놓은 매트형상 모(W)의 하단의 모을 심기클릭(35)이 횡방향으로 순차 빼내어져 논면(S)에 심기한다. 모얹음대(22)가 횡이동방향의 단부에 도달하면, 구동아암(42)과 피조작아암(65)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종이송축(61)이 설정량만큼 회전하고, 각각의 종이송기구(G)를 작동시켜 매트형상 모(W)을 하방으로 이송한다. 더욱이 모의 심기조수를 감소시키고져 하는 경우에는, 상기 논두렁용 클러치(E)와 종이송클러치(J)에 연계하는 4개의 논두렁용 클러치 레버(74)(도 1)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끊기 조작하는 것으로 심기조의 2조 단위의 심기를 정지할 수 가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실시예의 모심기장치(A)에서는, 모얹음대(22)중 6조분이 주모얹음대(22M)에 설정됨과 동시에, 잔여의 2조분이, 주모얹음대(22M)로부터 분리가능한 분리모얹음대(22S)에 설정되어 있다. 이 분리모얹음대(22S)는, 모심기장치(A)의 좌우중심(전동케이스 18의 위치)을 끼고, 상기 구동아암(42)과 반대의 단부로 부터 2조분이 할당된다. 도 7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분리모얹음대(22S)는 주모얹음대(22M)에 대하여, 연결수단(K)을 통하여 연결 및 분리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주모얹음대(22M)의 분리모얹음대(22S) 근처의 단부위치에는, 모얹음면(22B)측에, 분리모얹음대(22S)를 지지하는 격납부(P)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수단(K)의 연결해제에 의하여 분리된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부(P)까지 안내하는 보조아암(77)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레일(44)은, 주모얹음대(22M)와 분리모얹음대(22S)에 대응한 치수로 미리 분할되어 있다.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종이송축(61)도, 주모얹음대(22M)와 분리모얹음대(22S)에 대응한 치수로 미리 분할되어 있다. 주모얹음대(22M)와 분리모얹음대(22S)와의 분할면의 위치에 있어서는, 부시(78)가 분리모얹음대(22S)측의 종이송축(61)의 단부에 외접되고 종이송축(6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부시(78)는, 주모얹음대(22M)측의 종이송축(6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로이 외접되고, 동시에, 스프링(79)에 의하여 돌출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로써 조인트로서 구성된다. 모스테이(58)는 주모얹음대(22M)의 6조분의 것과 분리모얹음대(22S)의 2조분의 것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잔량센서(T)중 분할면에 위치하는 것은 도 16,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모얹음대(22M)측에 장치한 지지플레이트(80)를 통하여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K)은, 도 11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모얹음대(22M)의 단부에 고정설치된 너트(81)와, 분리모얹음대(22S)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노브(손잡이)(82N)가 달린 나사축(82)으로 구성된 상하 한쌍의 로크나사, 및 상,중,하 3개의 로크레버(83)로 구성되어 있다. 각 로크레버(83)는 선단부를 손으로 잡고, 요동조작함으로써, 기단부의 끼워누름부재(83A)가 인접하여 만나는 분리모얹음대(22S)측의 종벽(22A)과 주모얹음대(22M)측의 종벽(22A)을 끼우고 연결하는 끼워누름상태와, 이 끼워누름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이 자유로운 끼워누름부(83A)를 구비한다. 또 하방의 노보(82A)를 상기 미끄럼 운동 레일(43)의 상면 근방위치로 위치시킨 것으로 인하여, 모얹음대(22)가 분리모얹음대(22S)측의 스트로크 엔드에 도달하였을때(도 16의 상태)에, 미끄럼 운동 레일(43)에 방해되는 일없이 회전운동 조작을 하기 쉽도록 구성되어있다.
더욱더 주모얹음대(22M)와 분리모얹음대(22S)와의 분할면의 하부위치에는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모얹음대(22M)측에 축(85)둘레로 요동시킴으로써, 분리모얹음대(22S)의 피걸어맞춤부(86)에 걸어맞춤하는 요동편(8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요동편(87)은 스프링(88)에 의하여 피걸어맞춤부(86)와의 걸어맞춤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요동편(87)은, 모얹음대(22) 전체가 분리모얹음대(22S)측의 단부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미끄럼 운동 레일(43)에 구비한 맞닿음편(89)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스프링(88)의 가압력에 맞서서 걸어맞춤해제방향으로 요동작동한다. 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주모얹음대(22M)에는, 상방의 로크나사를 구성하는 너트(81)의 근방위치에, 주모얹음대(22M)와 분리모얹음대(22S)가 분리한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형의 분리센서(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센서(90)는, 주모얹음대(22M)의 구성부재에 센서본체가 지지되고, 이 센서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접촉편이 분리모얹음대(22S)의 구성부재에 접촉하는 것으로 접촉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모얹음대(22M)의 분할면의 상부위치에는, 관통구멍(91)이 뚫어설치되고, 이 관통구멍(91)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핀(92)이, 분할모얹음대(22S)측에 구비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 도 20,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격납부(P)는, 주모얹음대(22M)의 모얹음면(22B)측의 상부위치에, 아치상의 로드(95)를 구비하고, 로드(95)의 외단측에 고무제의 지지부재(96)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단측에 걸어맞춤용의 스프링판재(97)를 구비한다. 이 스프링판재(97)에는, 걸어맞춤구멍부(97A)와 가이드면(97B)이 형성되어 있다(도 30을 참조). 격납부(P)는, 다시, 주모얹음대(22M)의 모얹음면(22B)의 측의 하부위치에, 아치상의 로드(98)와, 이 로드(98)의 양단위치에 구비한 고무제의 지지부재(96)와 분리모얹음대(22S)의 하부를 상방으로부터 눌러넣기때문에,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스프링(99)으로 압압방향으로 가압된 가압로드(1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분리모얹음대(22S)의 모얹음면측의 하부위치에는, 손잡이(101)(도 12, 도 19를 참조)가 뻗어설치되어 있다.
도 15, 도 17,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수단(K)에 연결해제에 의하여 분리된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부(P)까지 안내하는 상기 보조아암(77)은, 금속판을 상하방향으로 폭이 넓은 채널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보조아암(77)은 분리모얹음대(22S)의 상하방향의 중간위치에 연결고정된 지지부재(103)에 대하여, 종방향 자세의 지지축(104) 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보조아암(97)의, 지지부재(103)와 반대측의 단부의 하면에는, 수평자세의 맞닿음면(77S)이 형성되고, 맞닿음면(22S)을, 지지부재(103)로부터 먼측일수록 저레벨로 되는 경사면을 갖는다(도 26, 도 27을 참조). 또, 경사면의 근방위치에는, 횡방향 자세의 축심둘레로 구름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롤러(105)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더, 보조아암(77)의 이 단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종방향 자세의 축체(106)가 돌출설치되고, 이 축체(106)의 하단에는 맞닿음아암(107)이 구비되어 있다. 또 지지축(104)의 근방위치에는, 피걸어맞춤부재(108)가 지지부재(103)에 고정 설치된다. 더욱더, 이 피걸어맞춤부재(108)의 걸어맞춤구멍(108A)에 걸거나 벗김하는 로크편(109)이 보조아암(77)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작동이 자유로운 로드(110)의 한쪽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로크편(109)은, 스프링(111)에 의하여 걸어맞춤구멍(108A)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구멍(108A)에 대한 로크편(109)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보조아암(77)을 분리모얹음대(22S)와 평행한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유지기구를 구성할수가 있다. 이 로드(110)의 로크편(109)과 반대측의 단부는 절곡 피조작부(110A)로서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파이프프레임(46)의 분리모얹음대(22S)측의 단부에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 상벽과 하벽을 일체형성한 브래킷(113)이 구비된다. 이 브래킷(113)의 상벽과 하벽과의 사이에는, 상기 축체(106)를 감싸는 원호상의 맞닿음부재(114)를 구비한다. 브래킷(113)의 상벽과 하벽에는 이 맞닿음부재(114)에 대하여 축체(106)를 안내하는 가이드 오목부(113A,1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맞닿음부재(114)에 맞닿음한 축체(106)에 걸어맞춤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로크아암(117)이 구비되어 있다. 로크아암(117)은 스프링(115)으로 가압되고, 축(116)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다. 더욱더, 브래킷(113)의 상벽에는, 이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분리모얹음대(22S)의 외단측일수록 높은 레벨로 되는 경사면으로 되는 안내면(113S)이 형성되어 있다.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보호프레임(49)은, 상기 툴 프레임(2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출퇴자유로이 지지됨과 동시에, 기단측과 선단측에 로크구멍(49A, 49A)를 뚫어설치하고 있다. 툴프레임(20)에 고정설치한 지지부재(118)에 대하여 각각의 로크구멍(49A,49A)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로크핀(119)이, 걸어맞춤방향으로 스프링(120)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 도 31a, 3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미끄럼 운동 레일(43)은, 주미끄럼 운동 레일(43M)과, 이 미끄럼 운동 레일본체(43M)의 양단 위치의 분리미끄럼 운동 레일(43S, 43S)로부터 분리 및 연결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미끄럼 운동 레일(43M)의 양단의 하면측에 이 주미끄럼 운동 레일(43M)의 하면에 구비한 볼트(122)의 나사맞춤하는 나비너트(123)을 구비하고, 분리 미끄럼 운동 레일(43S)의 분할단의 하면측에는, 볼트(122)에 외접한 컬러(124)로 체결되도록 노치부가 형성된 플레이트(12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미끄럼 운동 레일(43)을 분할하는 경우에는 나비너트(123)를 느슨하게 하여 분리 미끄럼 운동 레일(43S)을 외방으로 끌기조작하는 것으로, 주미끄럼 운동 레일(43M)로부터 분리 미끄럼 운동 레일(43S)를 떼낼수가 있다. 더욱이, 이와같이 떼어낸 분리미끄럼 운동 레일(43S, 43S)은, 그 개구부에, 좌우의 지지주(45) 각각에 설치한 걸림편(126)(도 8)을 삽통하여 걸림함으로써 모심기장치(A)에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4 참조).
이 모내기로서는, 모심기장치(A)의 가로폭이 2.7미터 정도의 치수로 되어 있고, 이 치수를 축소하는 것으로 4톤 트럭의 하대의 횡폭 방향의 치수 2.4미터 이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치수의 축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수순으로 조작을 행한다.
우선 승강레버(11)의 조작에 의하여 심기클러치(C)를 넣기 제어하여, 모얹음대를, 분리모얹음대(22S)측의 단부(예를들면 도 2에 있어서 좌측의 이동단)까지 이동시켜, 이 단부에 도달한 타이밍으로 심기클러치(C)를 끊고 이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로크나사의 노브(82N)의 이완조작과 로크레버(83)의 끼워누름해제조작에 의하여, 주모얹음대(22M)로 부터 분리모얹음대(22S)를 분리한다. 이와같이 모얹음대(22)를 단부위치에 세트한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요동편(87)이 맞닿음편(89)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걸어맞춤 해제자세에 도달하여 있고, 분리모얹음대(22S)를 미끄럼 운동 레일(43)을 따라 외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분리모얹음대(22S)를 외방으로 끌기조작함으로써, 분리모얹음대(22S)와 보조아암(77)이 일체적으로 외방으로 이동한다. 이 끌기조작은, 예를들면, 분리모얹음대(22S)의 모얹음면측의 하부위치에 뻗어 설치된 손잡이(101)(도12, 도19)를 잡으므로써 가벼운 조작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외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도 26,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조아암(77)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05)가 브래킷(113)의 안내면(113S)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더욱더 이동조작하면, 브래킷(113)의 상면에,보조아암(77)의 맞닿음면(77S)이 올라 앉는다. 이것과 동시에,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조아암(77)의 축체(106)가 브래킷(113)의 맞닿음부재(114)에 맞닿음하는 위치까지 이송되고, 로크아암(117)이 맞닿음부재(114)에 맞닿음한 축체(106)를 껴안아 로크상태에 도달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같이, 보조아암(77)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05)와 브래킷(113)의 안내면(113S)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주모얹음대(22M)에 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기구를 끌어올림 기구라 칭한다.
이 로크상태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로드(110)의 단부의 피조작부(110A)가 맞닿음부재(114)에 맞닿음하고 로크편(109)을 피걸어맞춤부재(108)의 걸어맞춤구멍(108A)으로부터 걸어맞춤해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보조아암(77)이, 지지축(104) 둘레에서 요동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분리모얹음대(22S)가 들어올려지는 것으로, 분리모얹음대(22S)의 하면에 설치된 안내슈(47)가 미끄럼운동 레일(43)로부터 떠오르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분리모얹음대(22S)의 가이드레일(44)에 형성된 노치부(47A)가 가이드롤러(48)의 위치에 도달한다. 그결과, 이들에게 방해되는 일 없이, 분리모얹음대(22S)를 기체 후방에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손잡이(101)를 작업자가 잡는 등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후방으로 끌어냄으로써,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조아암(77)이 축체(106)의 축심둘레에서 요동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주모얹음대(22M) 측으로 안내한다. 이때에는, 분리모얹음대(22S)가 지지축(104) 주위에서 요동하기때문에분리모얹음대(22S)의 모얹음면(22B)의 자세를, 주모얹음대(22M)의 모얹음면(22B)과 평행으로되는 자세로 유지할 수 가 있다. 이 자세대로 분리모얹음대(22S)를 이송함으로써,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위치에 세트할 수 가 있다.
이 격납시에는, 걸어맞춤핀(92)에 스프링판재(97)의 걸어맞춤구멍(97A)에 대하여 걸어맞춤한다(도 30을 참조). 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상태에서 가압로드(100)에 의하여 분리모얹음대(22S)의 하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부(P)에 유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리모얹음대(22S)가 격납부(P)에 세트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그 분리모얹음대(22S)의 내측의 1조만이 주모얹음대(22M)에 중복하고, 이 중복량, 즉 1조분의 치수(약 30센티미터)만, 모얹음대(22)의 횡폭이 축소 가능하다.
보조아암(77)이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부(P)로 안내할때에는 요동조작의 초기에 있어서는, 상기 축체(106)의 하단에 형성한 맞닿음 아암(107)이 브래킷(113)의 하벽의 하면에 맞닿음하기 때문에, 보조아암(77)의 경사가 억제된다(도 17를 참조), 또,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보조아암(77)이 주모얹음대(22M)의 모얹음면(22B)과 직교하는 자세인 데드포인트(DP)를 넘는 후는, 격납부(P)에 세트된 분리모얹음대(22S)는, 자중에 의하여 주모얹음대(22M)에 지지되어 위치가 안정한다.
그후, 나비볼트(123)를 느슨하게하여 양단의 분리 미끄럼 운동 레일(43S,43S)를 떼내고 그 개구부를 좌우의 지지주(45)에 설치한 걸림편(126)(도 8)에 끼워통하기하여 걸림한다(도 4를 참조). 다음에,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양단의 보호프레임(49)의 로크핀(119)을 빼내어, 보호프레임(49)을 내방으로 밀어넣은후, 외단측의 로크구멍(49A)를 선택하여 로크핀(119)을 끼워통하기한다. 이로써, 모심기장치(A) 전체의 횡폭이 축소된다. 더욱이, 보조모얹음대(22S)를 주모얹음대(22M)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역의 조작을 행하면 좋다.
실시예의 이앙기에서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심기장치 승강제어용, 및 심기클러치(C) 제어용의 제어계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제어장치(1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제어장치(130)에 대하여, 상기 승강레버(11)의 조작위치를 계측하는 퍼텐쇼미터형의 레버센서(11S), 상기 강제승강레버(12)의 조작을 검출하는 강제승강스위치(12S), 상기 센서 플로트(23C)의 자세를 계측하는 플로트센서(23S), 감도설정다이얼(131)로 조작되는 감도 설정기(131S), 링크기구(L)의 자세로부터 모심기장치(A)가 상한에 도달한 것을 판별하는 상한센서(132), 상기 분리센서(90) 각각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하는 계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리프트실린더(8)에 대한 작동유의 제어를 행하는 전자밸브(8V), 상기 심기클러치(C)를 제어하는 전동모터(CM) 각각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계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장치(130)에서는 모심기장치(A)의 정지플로트(23)를 논면(S)에 접지시켜서 논면(S)에 추종하는 승강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감도설정기(131S)로 설정되는 감도치에 대응한 목표자세에 센서플로트(23C)의 자세를 유지하는 자동제어를 행한다. 이 자동제어시에, 강제 승강 레버(12)가 상승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강제승강센서(12S)로부터의 신호로 검출한 경우에는, 자동제어에 우선하여 전자밸브(8V)를 제어하여 모심기장치(A)의 상승을 개시함과 동시에, 전동모터(CM)를 제어하여 심기클러치(C)의 끊기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상한 센서(132)에 의하여 모심기장치(A)가 상한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하면 모심기장치(A)의 상승조작을 정지한다. 이 상한상태에 있어서, 강제 승강레버(12)가 하강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강제승강센서(12S)로부터의 신호로 검출한 경우에는, 정지플로트(23)가 접지하기까지 모심기장치(A)를 하강시킨다. 정지플로트(23)가 접지하면, 모심기장치(A)를 자동제어로 복귀시킨다. 특히, 이 제어장치(130)에서는, 주모얹음대(22M)로부터 분리모얹음대(22S)를 분리한 상태에 있는 것을 분리센서(90)로부터의 신호로 검출한 경우에는, 승강레버(11)의 조작시에도 심기클러치(C)의 넣기 제어를 행할수 없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조아암(77)의 한쪽의 단부가 분리모얹음대(22S)측에 지지 되어 있으므로, 양단을 연계하는 것과 비교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하여야할 연계부분을 단일로 할수가 있고, 구조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 본발명에서는 모심기장치(A)의 횡폭 방향의 치수를 축소하는 경우에는, 모얹음대(22)를 분리모얹음대(22S)측의 단부까지 이동시킨 후, 연결수단(K)의 연결을 해제하여 인위조작으로 분리모얹음대(22S)를 주모얹음대(22M)로 부터 분리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보조아암(77)이, 모심기장치(A)의 측의 파이프프레임(46)측에 자동적으로 연계한다. 이 연계상태에서, 분리모얹음대(22S)를 모얹음면 측에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보조아암(77)의 요동에 의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원호상의 궤적에 따라서 분리모얹음대(22S)를 격납부(P)에 안내하고, 적절한 위치에 세트할수 있다. 특히, 모얹음대(22)를 분리모얹음대(22S) 측의 단부에 이동시켰을때에 분리모얹음대(22S)의 분리를 허락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모얹음대(22)를 잘못된 위치에 세트하여 조작을 개시하는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모얹음대(22)를 적정한 위치에 세트하여 분리모얹음대(22S)를 분리하여 외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보조아암(77)의 연계가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작업자의 조작의 수고를 생략할 수 가 있다. 더욱더, 보조아암(77)의 요동에 의한 원활한 작동으로, 분리모얹음대(22)를 격납부(P)에 세트하여 모얹음대(22)의 횡방향에서의 치수의 축소를 편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다른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보조아암(77)의 한쪽의 단부를 모심기장치(A)의 파이프프레임(46)등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비연계시에는 보조아암(77)의 요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모얹음대(22)를 이동단부에 접근시킨 후, 분리모얹음대(22S)를 분리하여, 이간조작한 경우에는,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규제된 요동을 허락함과 동시에, 보조아암(77)의 타방의 단부가 분리 모얹음대(22S)측에 자동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