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807B1 -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807B1
KR100336807B1 KR1019990049379A KR19990049379A KR100336807B1 KR 100336807 B1 KR100336807 B1 KR 100336807B1 KR 1019990049379 A KR1019990049379 A KR 1019990049379A KR 19990049379 A KR19990049379 A KR 19990049379A KR 100336807 B1 KR100336807 B1 KR 1003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piston
brake system
lock brake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322A (ko
Inventor
박경일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9004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8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25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 B60T15/028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5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pressure is reapplied to or released from the brake
    • B60T8/5018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 B60T8/5025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마그네틱 코어에 오일의 유로와 2중의 오리피스를 형성시켜서 슬립제동시 오일의 유량을 가변시키며,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시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130), 플런저(140), 피스톤(200A)를 구비한다. 마그네틱 코어(130)의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플런저 홀(131)과, 그 하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입구유로(300)와, 상기 플런저 홀(131)의 하단부에 형성된 출구유로(310)와,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를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320)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200A)은 입구유로(300)에 설치되며 그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편심홀(202)이 형성되어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와 함께 가변 오리피스(340)를 형성한다. 피스톤(200A)의 상단에는 편심홀(202)과 고정 오리피스(320)를 연통시키기 위한 그루브(203)가 형성되어 있다. 마그네틱 코어(130)의 측면에는 입구유로(300)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관통홀(3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130)의 외주연과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사이에는 출구방향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저지하는 립실(40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본 발명은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립제어시 오일의 공급량을 가변하여 더욱 효율적인 제동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휠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휠실린더와,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휠실린더로 전달하는 배력장치 및 마스터실린더와, 제동유압을 제어하는 모듈레이터 및 ECU로 구성되어 제동력을 제어한다.
모듈레이터에는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노말 클로즈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다.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사용된 종래의 일반적인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반제동시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어서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감압없이 각 휠실린더로 전달하게 되며, 제동시 차량의 바퀴에서 슬립이 발생할 경우에는 밸브의 개폐가 단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오일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단순하게 플런저의개폐동작에 의해 오일의 흐름을 제한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슬립제어시에 이 밸브를 통과하는 오일의 양이 일반제동시의 오일의 통과유량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택하게 되면, 유압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정확한 슬립제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며, 밸브의 플런저의 개폐동작에 따른 오일의 맥동에 의해 워터 햄머링(water hammering)현상이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품들의 내구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슬립제어시에는 일반제동시와는 달리 휠실린더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슬립율에 맞추어 적절하게 줄이는 한편, 오일의 맥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특허번호 5,647,644호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는 모듈레이터 블록(10)에 설치된 밸브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시트(23), 마그네틱 코어(21), 플런저(22), 그리고 피스톤(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밸브시트(23)는 그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밸브하우징(20)의 하부에 압입되며, 마그네틱 코어(21)는 밸브하우징(20)의 상부에 설치된다. 플런저(22)는 마그네틱 코어(2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밸브시트(23)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피스톤(24)은 스프링(25)에 의해 하향으로 밀쳐진 상태로 밸브시트(23)의 외주연에 배치된다. 이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2개의 오리피스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그 하나는 중공으로 형성된 밸브시트(23)의 상단부에 마련된 고정 오리피스(30)이며, 다른 하나는 슬립제어시피스톤(24)이 마그네틱 코어(21)에 접촉할 때 피스톤(24)의 상단부에 형성된 슬롯(26)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오리피스(40)이다.
한편, 밸브시트(23)의 하단부 일측면에는 밸브시트(23)와 밸브하우징(20)의 사이로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보조유로(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슬립제어시 입구부(27)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상기 보조유로(31)를 통해 유동하여 피스톤(24)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밸브시트(23)의 하단부 타측면에는 밸브시트(23)를 밸브하우징(20)내에 압입성형시켜 고정하도록 단차부(23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일반제동시에는 플런저(22)는 상향으로 유지되고 피스톤(24)은 하향으로 유지되어서, 오일은 밸브의 입구부(27)로 유입되고 개방된 고정 오리피스(30)를 통하여 밸브의 출구부(28)로 토출된다.
한편, 슬립제어시에는 플런저(22)가 하향이동하여 고정 오리피스(30)를 폐쇄하게 되고, 입구부(27)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보조유로(31)를 통해 유동하여 피스톤(24)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마그네틱 코어(21)와 접촉하도록 한다. 이후, 플런저(22)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은 마그네틱 코어(21)에 접촉된 피스톤(24)의 슬롯(26)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오리피스(40)를 통과하여 휠실린더로 전달된다.
제동력이 해제되면 휠실린더의 오일은 먼저 오일의 입구부(27)와 출구부(28)를 연결하도록 밸브하우징(20)에 형성된 복귀유로(29)를 통하여 마스터실린더로 복귀하게 되고, 이후 플런저(22)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는 오픈상태로 복원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밸브시트의 외측면에는 슬립제어시 밸브시트와 밸브하우징의 사이로 오일을 유동시켜 피스톤을 상향이동시키도록 하는 보조유로와, 밸브시트가 밸브하우징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더욱이 보조유로측 밸브시트의 외측면과 밸브하우징과의 이격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조되어야 하므로, 밸브시트의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 밸브시트, 피스톤, 오일유로를 수용하기 위한 밸브하우징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밸브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립제동시 오일의 유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그네틱 코어에 오일의 유로들과 2중의 오리피스를 형성시킴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2는 정상제동을 위해 개방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3은 슬립제어를 위해 폐쇄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4는 슬립제어를 위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피스톤이 마그네틱 코어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이 마그네틱 코어에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 마그네틱 코어 140 : 플런저 200A,B : 피스톤
300 : 입구유로 310 : 출구유로 320: 고정 오리피스
340: 가변 오리피스 400: 립실(lip seal)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와 플런저와 피스톤을 구비하여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설치된다.
마그네틱 코어는 모듈레이터에 형성된 보어(bore)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플런저 홀과, 그 하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입구유로와, 상기 플런저 홀의 하단부에 형성된 출구유로와, 입구유로와 출구유로를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은 입구유로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편심 홀이 형성되어 고정 오리피스의 하단부와 함께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한다.
입구유로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작은 직경의 소경부와 이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로 이루어지며, 피스톤은 상기 소경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대경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피스톤의 상단에는 편심홀과 고정 오리피스를 연통시키기 위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이 그루브의 기능을 대신하여 고정 오리피스의 하단에 편심홀과 고정 오리피스를 연통시키기 위한 돌출턱을 형성시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그루브의 기능을 대신하여 고정 오리피스의 하단에 편심홀과 고정 오리피스를 연통시키기 위한 리세스를 형성시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마그네틱 코어의 측면에는 상기 입구유로의 대경부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의 외주연과 모듈레이터의 보어 사이에는 출구방향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저지하는 립실(lip seal)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2는 정상제동시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것이고,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을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130), 플런저(140), 피스톤(200A)을 구비하여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의 하부가 모듈레이터(100)에 형성된 보어(101, bore)에 고정됨으로써 모듈레이터(100)의 몸체에 설치된다. 마그네틱 코어(130) 위에는 그 내부에 전기자(112)를 내장한 슬리브(110)가 부착되며, 외부로 돌출된 마그네틱 코어(130)의 상부의 외주연에는 코일(115)을 내장한 요크(120)가 부착된다. 플런저(140)는 전기자(112)의 하단에 부착되며, 플런저(14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밸브의 노말 오픈 상태에서 전기자(112)는 마그네틱 코어(13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배치된다.
마그네틱 코어(130)의 내부의 상부측에는 플런저(140)를 내장시키기 위한 플런저 홀(13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측에는 마스터 실린더(미도시)로부터 압유를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유로(30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 홀(131)의 하단에는 휠 실린더(미도시)로 압유를 토출시키기 위한 출구유로(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구유로(310)와 입구유로(30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고정 오리피스(3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로들이 마그네틱 코어(130)에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와 같은 밸브 몸체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밸브의 노말 오픈 상태에서 플런저(140)의 상단은 전기자(11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그 하단은 고정 오리피스(320)의 상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플런저(140)의 하단에는 슬립제어시 고정 오리피스(320)의 상단부를 막아서 밸브를 폐쇄하는 볼(141)이 장착되어 있으며, 플런저(140)의 하단의 외주연에는 플런저(140)를 상방으로 밀치도록 배치된 스프링(142)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00A)은 입구유로(30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입구유로(300)의 상부는 직경이 작은 소경부(301)를 형성하며, 그 하부는 소경부(301)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302)를 형성한다. 피스톤(200A)의 직경은 소경부(301)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대경부(30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진 지지턱(201)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00A)의 내부에는 피스톤(200A)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중심에서 약간 벗어나서 형성된 편심홀(202)이 마련되어 있다. 대경부(302)의 선단과 지지턱(201) 사이에는 피스톤(200A)을 하방으로 밀치도록 배치된 스프링(220)이 설치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A)의 상단에는 편심홀(202)과 연결되는 그루브(203)가 가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턱(201)의 하단에는 이 지지턱(20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측면에 복수의 슬롯(205)이 형성된 연장부(204)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오리피스(320)는 하부의 단면적이 작고 상부는 크게 되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슬립제어시 피스톤(200A)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에 접촉할 때 유로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이 때 편심홀(202)을 통과한 오일이 그루브(203)를 통하여 고정 오리피스(320)로 유입되므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203)의 폭(W1)은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유로(300)의 하단에는 링형상의 스톱퍼(230)가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00A)의 하향이동을 제한하게 된다(도2).
마그네틱 코어(130)의 측면에는 상기 입구유로(300)의 대경부(302)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관통홀(3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홀(330)은 슬립제어시 플런저(140)가 고정 오리피스(320)를 폐쇄하면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차를 피스톤(200A)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200A)을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코어(130)와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틈을 통하여 오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130)의 외주연과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 사이에는 출구방향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저지하는 립실(400, lip seal)이 설치된다. 상기 립실(400)에 의해서 마그네틱 코어(130)와 보어(101) 사이의 틈을 통한 출구방향에서 입구방향으로의 유동은 가능한 반면에, 그 반대방향으로의 유동은 제한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2는 정상제동시 노말 오픈 상태로 유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140)와 전기자(112)는 슬리브(110)의 내측 상단에 놓여져서 플런저(140)의 하단에 부착된 볼(141)은 고정 오리피스(3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피스톤(200A)은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입구유로(300)의 하측에 놓여져서 고정 오리피스(320)와 피스톤(200A)에 의해 형성되는 가변 오리피스(340)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어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압유는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를 거쳐서 휠 실린더로 전달되어 정상적으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상제동 모드에서 바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 제동력을 노면의 마찰력에 따라 감압시키는 슬립제어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40)가 하강하여 볼(141)이 고정 오리피스(320)의 상단부를 막게 되고, 이와 함께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200A)이 스프링(22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입구유로(300)의 대경부(302)에 있는 오일은 관통홀(330), 그리고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와 마그네틱 코어(130)와의 틈을 통하여 출구유로(310)로 보내지게 된다. 이 때, 립실(400)은 입구유로(300)에 있는 압유가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와 마그네틱 코어(130)와의 틈을 통하여 출구유로(310)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의 압유가 휠 실린더로 전달되지 않아서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슬립제어 상태에서 일시적인 노면의 마찰력의 상승에 따라 제동력의 증가가 요구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A)은 고정된 상태에서 플런저(140)가 상승하여 고정 오리피스(320)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입구유로(300)로 유입된 압유는 가변 오리피스(340)를 통과하면서 감압되고, 고정 오리피스(320)와 출구유로(310)를 거쳐서 휠 실린더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 가변 오리피스(340)의 감압작용과 플런저(140)의 개폐동작에 의해 슬립제어시 휠 실린더에서 요구하는 제동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마스터 실린더의 제동압이 해제되면 휠실린더의 오일은 출구유로(310), 그리고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와 마그네틱 코어(130) 사이의 틈과 립실(400)을 거쳐서 입구유로(300)로 보내져서 신속하게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후 플런저(140)가 상승하고 피스톤(200A)이 하강함으로써 도2와 같이, 밸브는 정상제동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사용되는 피스톤과 고정 오리피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200B)은 도5에 도시된 피스톤(200A)의 상단부에 형성된 그루브(203)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피스톤(200A)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그루브(203)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서 제2 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한 돌출턱(3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200B)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에 접촉할 때 이 돌출턱(321)에 의해 원활한 오일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턱(321)의 높이(W2)는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사용되는 피스톤과 고정 오리피스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은 제2 실시예에서의 피스톤(200B)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예가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 실시예에서의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턱(321)의 역할을 하는 작은 리세스(322)가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의 가변 오리피스의 작용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리세스(322)의 깊이(W3)는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는 고정 오리피스와 함께 오일의 압력을 감압시켜서 공급할 수 있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비하므로 제동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정확한 슬립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2중의 오리피스 구조에 의해 오일 유로상에서 급격한 압력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서 워터 햄머링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충격에 의한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의 내부에 오일의 유로들과 오리피스들을 형성시키고 피스톤을 내장시킴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12)

  1. 모듈레이터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마그네틱 코어(130)와 플런저(140)와 피스톤(200A)을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는 상기 모듈레이터(100)에 형성된 보어(101)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는 상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플런저 홀(131)과, 그 하단으로부터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된 입구유로(300)와, 상기 플런저 홀(131)의 하단부에 형성된 출구유로(310)와, 상기 입구유로(300)와 출구유로(310)를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3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플런저(140)는 상기 플런저 홀(13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의 상단을 개폐하는 볼(141)이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200A)은 상기 입구유로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편심홀(20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부와 함께 가변 오리피스(3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유로(3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작은 직경의 소경부(301)와 이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302)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200A)은 상기 소경부(301)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대경부(30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지지턱(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부(302)의 선단과 상기 지지턱(201)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200A)을 하방으로 밀치도록 배치된 스프링(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0A)의 상단에는 상기 편심홀(202)과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를 연통시키기 위한 그루브(2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폭(W1)은 상기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에는 상기 편심홀(202)과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를 연통시키기 위한 돌출턱(3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321)의 높이(W2)는 상기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의 하단에는 상기 편심홀(202)과 상기 고정 오리피스(320)를 연통시키기 위한 리세스(3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22)의 폭(W3)은 상기 편심홀(202)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0A)의 지지턱(201)의 하단에는 이 지지턱(20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측면에 복수의 슬롯(205)이 형성된 연장부(204)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의 입구유로(300)의 하단에는 링형상의 스톱퍼(230)가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200A)의 하향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의 측면에는 상기 입구유로(300)의 대경부(302)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관통홀(33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코어(130)의 외주연과 상기 모듈레이터(100)의 보어(101) 사이에는 출구방향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저지하는 립실(4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990049379A 1998-11-13 1999-11-09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3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379A KR100336807B1 (ko) 1998-11-13 1999-11-09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800 1998-11-13
KR19980048800 1998-11-13
KR19980022398 1998-11-17
KR2019980022398 1998-11-17
KR1019990049379A KR100336807B1 (ko) 1998-11-13 1999-11-09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322A KR20000035322A (ko) 2000-06-26
KR100336807B1 true KR100336807B1 (ko) 2002-05-13

Family

ID=6591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379A KR100336807B1 (ko) 1998-11-13 1999-11-09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31029B1 (ko)
JP (1) JP3588572B2 (ko)
KR (1) KR100336807B1 (ko)
DE (1) DE1995461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029B1 (en) * 1998-11-13 2001-05-15 Mando Machinery Corporation 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KR100423646B1 (ko) * 2000-07-18 2004-03-22 주식회사 만도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
DE10040763A1 (de) * 2000-08-19 2002-02-28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ätigtes Ventil, 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Bremsanlagen in Kraftfahrzeugen
US6634722B1 (en) * 2001-07-31 2003-10-21 Kelsey-Hayes Company Vehicle braking system with proportional poppet valve pressure control strategy
KR20030025485A (ko) * 2001-09-21 2003-03-2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EP1321663A3 (de) * 2001-12-19 2003-07-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29789A1 (de) * 2002-02-02 2003-08-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DE102005014101A1 (de) 2004-06-08 2005-12-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 ansteuerbares Ventil
JP6534803B2 (ja) * 2014-10-17 2019-06-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流体制御弁
CN107148527B (zh) * 2014-11-25 2019-03-19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DE102017222638A1 (de) * 2017-12-13 2019-06-13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gnetventi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170A (ko) * 1996-09-10 1998-07-06 모찌즈키 아키히로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제어 밸브 장치
KR19980024171A (ko) * 1996-09-10 1998-07-06 모찌즈키 아키히로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제어 밸브 장치
KR1999002050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차용 에이.비이.에스 유압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JP2000190833A (ja) * 1998-11-13 2000-07-11 Mando Mach Co Ltd アンチロックブレ―キシステム用ソレノイド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6378A (en) * 1958-02-27 1961-10-31 Dole Valve Co Resilient plural orifice flow control
US2984261A (en) * 1958-04-16 1961-05-16 W A Kates Company Fluid flow regulator
US2992808A (en) * 1958-10-06 1961-07-18 Oscar C Rixson Co Metering valve
US3332436A (en) * 1965-04-05 1967-07-25 Vendo Co Temperature and pressure compensated liquid flow control
US3645494A (en) * 1969-08-19 1972-02-29 Kelsey Hayes Co Valve for fluid-actuated brake system
US4024889A (en) * 1974-05-14 1977-05-24 Smith Paul D Dynamic control valve for modifying fluid flow
US4384592A (en) * 1980-11-28 1983-05-24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Low-noise valve trim
US4383552A (en) * 1981-10-16 1983-05-17 Multi-Products Company Adjustable choke
FR2528935B1 (fr) * 1982-06-18 1985-08-09 Alsthom Atlantique Dispositif de dosage et de repartition d'un gaz sous pression entre n sorties
US4887637A (en) * 1983-08-22 1989-12-19 Ketner Eugene N Pressure compensating flow control device
JP2781212B2 (ja) * 1989-07-10 1998-07-3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電磁バルブ装置
US5154394A (en) * 1991-06-17 1992-10-13 Emerson Electric Co. Solenoid operated valve with improved flow control means
US5163474A (en) * 1991-11-15 1992-11-17 Allied-Signal Inc. Combination solenoid valve and integral shuttle valve
JPH0637039U (ja) * 1992-10-23 1994-05-17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装置用電磁弁
JPH0663461U (ja) * 1993-02-18 1994-09-0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用液圧制御装置
DE4312414B4 (de) * 1993-04-16 2004-04-15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für eine Bremsblockierschutz-Einrichtung
DE4319227A1 (de) * 1993-06-09 1994-12-15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 Bremsanlage mit Schlupfregelung
DE59408551D1 (de) 1993-11-18 1999-09-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bremsanlagen mit schlupfregelung
JPH1071940A (ja) * 1996-08-30 1998-03-17 Toyota Motor Corp 制動液圧制御装置
JPH10103557A (ja) * 1996-09-25 1998-04-21 Unisia Jecs Corp 電磁弁の取付け構造
JPH10119747A (ja) * 1996-10-18 1998-05-12 Unisia Jecs Corp 電磁弁の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170A (ko) * 1996-09-10 1998-07-06 모찌즈키 아키히로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제어 밸브 장치
KR19980024171A (ko) * 1996-09-10 1998-07-06 모찌즈키 아키히로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유압 제어 밸브 장치
KR1999002050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자동차용 에이.비이.에스 유압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JP2000190833A (ja) * 1998-11-13 2000-07-11 Mando Mach Co Ltd アンチロックブレ―キシステム用ソレノイド弁
US6231029B1 (en) * 1998-11-13 2001-05-15 Mando Machinery Corporation 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8572B2 (ja) 2004-11-10
DE19954616A1 (de) 2000-05-25
KR20000035322A (ko) 2000-06-26
DE19954616C2 (de) 2002-07-18
JP2000190833A (ja) 2000-07-11
US6231029B1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5961B1 (ko) 전자밸브
KR100336807B1 (ko)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JP3452853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用ソレノイド弁
KR101988511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6276764B1 (en) 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JP3773146B2 (ja) 液圧制御弁装置
KR100344472B1 (ko)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JP2783909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100341792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40227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0981108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92247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328224B1 (ko) 유압제동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KR102443205B1 (ko)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02277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0808001B1 (ko) 안티록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30017296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118044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413321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30037419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611337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429036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40084138A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30015406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90080432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