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820B1 -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5820B1 KR100335820B1 KR1019970058635A KR19970058635A KR100335820B1 KR 100335820 B1 KR100335820 B1 KR 100335820B1 KR 1019970058635 A KR1019970058635 A KR 1019970058635A KR 19970058635 A KR19970058635 A KR 19970058635A KR 100335820 B1 KR100335820 B1 KR 100335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safety device
- track
- guide rail
- slo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8—Brakes acting on a linearly moving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07—Auxiliary mechanisms for non-linear ope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8—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 F16D2127/10—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having wed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안전장치(1)는, 안전장치가 제동작용을 할 때, 안내레일의 제1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제동표면을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안전장치내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이다. 트랙은 적어도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경사부는 제2경사부보다 더 큰 피치각도를 가지고 있다. 롤러는 안전장치가 제동작용을 할 때 안내레일의 제2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된다. 롤러(3)는 제2경사부상의 트랙에서 보다 제1경사부상의 트랙에서 더 강한 파지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한정된 안전장치에 관한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그 속도가 크게 증가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안전장치로서 작용하는 자동제동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종래, 사용된 제동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하는 그립퍼 타입의 브레이크이다. 통상, 안전장치는 하향운동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파지브레이크는 다른 이유 예컨대 작동에러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도어구역을 출발하는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안내레일을 파지하는 종래의 브레이크 즉 안전장치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안전장치프레임은 중공부내에 위치된 안내레일을 향한 제동표면을 구비한 중공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공부내에 위치된 것은 중공부내의 트랙상에 장착되고 안전장치가 작동될때 엘리베이터 안내레일에 대하여 구동되는 웨지 또는 롤러이다. 엘리베이터 안내레일은 제동표면과 웨지 또는 롤러사이에 위치된다. 트랙은 웨지 또는 롤러가 트랙상에서 안내레일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안내레일이 웨지 또는 롤러에 의해서 제동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카를 정지시키는 제동작용을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전장치는 평형추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가해진 압력은 스프링에 의해서 설정된다. 제동표면과 안내레일 사이의 마찰을 통하여 가압력의 크기는 엘리베이터의 감속을 결정한다. 스프링 가압의 사용은 감속시 발생하는 가압력의 변화를 보정한다. 계속하여,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대한 다양하고 상이한 해결점은 개발되어왔다. 통상 사용되는 안전장치는 스프링강으로 제조된 U형상 스프링이며 그 웨지는 안전장치가 작동될때 스프링의 끝 사이에서 구동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안전장치는 안내레일로 부터 더 쉽게 맞물림해제를 하기 위한 해제 웨지를 통상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U형상의 안전장치는 파지작용시 개방되며 이것은 제동표면이 단지 안내레일과 부분적인 접촉을 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타입의 안전장치의 결점은 사이즈가 크며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안전장치는 안전장치의 프레임이 비교적 단단하고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가해진 가압의 탄성은 별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으로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안전장치는 다수의 분리된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상 더 복잡하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이전의 안전장치 타입보다 가벼우나 고가이다. 안전장치의 길이가 안전장치의 크기, 작동, 가격 및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안전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경사부변화를 가진 롤러트랙이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롤러를 채용한 다수의 안전장치에 사용되어왔다.
변화하는 기울기를 가진 트랙의 시작부분에서 가파른 경사부를 이용하는 목적은 안전장치의 작동의 초기단계에서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사이의 간극을 신속하게 제거하는데 있다. 트랙의 제1부분의 경사부는, 가파른 트랙이 실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랙의 부분에 대한 롤러상승을 위태롭게 하기 때문에 또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랙의 부분에 대한 롤러의 상승을 보장하기 위하여 과속거버너로부터의 더 큰 힘을 사용하는 롤러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크게 증가될 수 없다. 하지만, 과속거버너로부터 얻어진 힘은 엘리베이터 구조 및 안전에 대한 규제조차도 안전장치의 트리거링을 위하여 과속거버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힘의 상한 및 하한을 부과하기 때문에 크게 증가될 수 없다.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전의 타입보다 더 좋은 안전장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신규의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안전장치는 비교적 경량이고 작동이 확실하다. 또한 본발명의 안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레이아웃에 있어서도 배치가 용이하다. 특히, 안전장치의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그 롤러는 제동이 시작되는 위치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이동된다.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사이의 간극이 안전장치작동의 초기단계에서 가능한한 신속하게 제거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속도는 제동이 시작되기전 자유낙하동안에 크게 증가될 수 없다. 제동이 때를 마춰 시작될 수 있으므로, 고평균 제동력은 설계된 안전장치의 강도특성을 기초로하여 최대 파지력에 관련하여 성취된다. 평균제동력 또는 감속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안전장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안전장치의 설계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즉 크기 및 무게는 충분히 작게될 수 있다. 게다가, 낮은 최대힘은 낮은 해제력이 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안전장치가 작용후 엘리베이터 작동을 더 쉽게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상이한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간략한 구성 및 간단한 구조이며 소수의 별개의 부품을 수용하여 제조비가 저렴하다. 안전장치의 구조가 안내레일과 제동표면 사이의 불일치를 방지함에 따라, 안내레일은 마모가 적게 되고 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낮은 최대힘은 안내레일의 마모가 더 적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전장치는 구조가 컴팩트하고 기능이 소수의 부품으로 통합되기 때문에 대단히 견고하다.
안전장치에 있어서 롤러트랙은 경사부가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레벨을 포함하고 있다. 2 레벨의 롤러트랙은 안전장치가 더 작은 외부크기로 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첫번째, 가파른 경사부는 마찰표면과 안내레일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 단계에서 안전장치에 제공된 힘은 작으며 아직 실제 제동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가파른 경사부 때문에 롤러와 롤러트랙사이의 큰 마찰이 필요하다. 이것은 예컨대 스캘럽가공된 것보다 더 매끄러운 롤러트랙과 만나는 스캘럽가공표면을 구비한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두번째, 더 완만한 경사부에 있어서 안전장치는 안정되게 증가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며 이것은 롤러가 트랙의 끝에 있는 스토퍼에 도달하면 일정한 힘으로 된다. 롤러가 스토퍼와 만나면, 그 구름운동은 회전운동으로 변경된다. 안내레일을 여러번 파지한 후에도 안전장치가 동일한 제동력을 발생시켜야만 하므로, 제2 경사부의 구역에서 롤러와 롤러트랙 사이의 접촉면은 제동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구변형 또는 마모가 되지 않도록 예컨대 경화된 강으로 단단하고 매끄럽게 가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경우에 안전장치가 별개의 롤러안내부를 절대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롤러와 롤러트랙사이의 큰 접촉면적을 가지는 것은 더 유리하다. 제2 경사부의 구역에서의 접촉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마찰계수는 제1경사부와 비교하여 더 낮으며, 이것은 제2경사부가 더 완만한 피치각도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그 실시예의 다수의 실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되며, 그 자체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적용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프레임의 상세도,
도 3은 안전장치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파지작동시의 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전장치의 작동에 대한 상세도.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전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안전장치(1)의 주요부분은, 프레임(2), 가압요소(3) 및 가압요소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안내부(4)이다. 프레임(2)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은 도 2이다. 도 3은 안전장치(1)의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안내레일(5)은 안전장치의 갭(6)내에 위치되어 있다. 프레임(2)은 스프링강 또는 담금질되어 드로잉가공된 강으로 제조되고 대체로 문자 C와 유사한 형상을 한 가요성 몸체이다. C 형상 프레임의 제1조(7)(jaw)는 제동표면(7a)을 구비하는 반면에 제2조는 가압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조(7,8)중의 적어도 하나는 C 형상 프레임의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조를 C형상 내측으로 구부리는것은 C형상 개구부 밖에서 발생하는 제동표면이 선회하는 경향을 보상하여 안내레일을 하나의 에지에서만 만나도록 한다. 제1조상의 제동표면(7a)은 프레임의 일체적 부분으로서 기여하거나 제1조에 부착된 브레이크패드의 일부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동표면이 프레임(2)의 일체적 부분이다. 가압요소(3)는 제2조(8)상의 트랙(9)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이다. 제위치에 장착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안내레일은 제동표면(7a)과 롤러사이에 끼워져 있다. 롤러(3)는 안내부(4)에 의해서 제2조(8)내의 트랙(9)상에서 유지된다. 트랙(9)은 바람직하게는 롤러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곡선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할때까지 슬로핑트랙(9)을 따라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된다. 트랙(9)이 프레임에 부착된 별개의 부분으로 되더라도, 트랙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과 일체로 되고, 더욱 바람직한 경우는 프레임(2)의 제2조(8)에 직접 기계가공되는 것이다.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끝은 노치(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노치에 의해서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카 또는 카프레임내의 장착구조부에 체결된다.
도 4, 5 및 6은 C 형상 프레임의 조(7,8)사이의 갭의 방향에서 본 안전장치(1)를 도시하고 있고 파지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축에 고정된 안내레일(5)은 갭내에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가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주행하면, 안전장치와 안내레일사이에서는 접촉하지 않는다. 과속상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예컨대 안전장치 테스트에 있어서 아래로 이동(아래방향은 화살표 10으로 표시하였음)하면,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한다. 트랙(9)은 도2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는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과속거버너에 연결된 전달요소가 롤러(3)를 상향(위쪽방향은 화살표 11로 표시하였음)으로 당겨서 롤러가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하는 트랙경사부의 제1부분(9a)은 안내레일의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25˚이다. 약 20˚의 각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더빠른 안전장치 작용과 확실한 작동이 실제적인 필요성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달성된다. 제1 경사부가 15˚ 이하, 예컨대 10˚이면, 안전장치 작용은 간극제거를 하기 위한 별개의 경사부가 사용되지 않을 때보다 더 빠르지만 속도이점은 더욱 비례하여 작아진다. 재료 및 표면품질에 대한 적당한 선택을 통하여, 제1경사부의 피치 각도는 약 30˚로 또한 약 45˚까지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대단히 큰 피치각도는 안내레일과 트랙 모두에서 동시에 충분한 파지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롤러와 제동표면 사이의 안내레일을 가압하는 트랙의 중간부분(9b)은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를 가지고 있다. 피치각도가 대단히 크면, 이것은 제2경사부와 이것과 접촉하게되는 롤러의 이들 부분에서 피치각도가 더 작을때 필요로 하는 표면의 내마모성보다 더 작은 내마모성을 가진 표면을 사용하는 것으로 쉽게 유도되게 한다. 한편, 더 큰 각도는 최대파지력이 더 빠르게 도달되도록 한다.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적용된 최종압축력은 중간부분(9b)의 끝에 도달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압축력은 통상 최대이다. 중간부분(9b) 뒤에는 트랙이 대략 안내레일에 평행한 짧은 편평한 부분(9c)이다. 트랙의 끝에는 제동상황에 있어서 롤러를 안전장치(1)의 길이방향에서의 특정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의 끝사이의 중간부분에서 유지하는 롤러스토퍼(9d)가 있다. 스토퍼(9d)의 바람직한 형상은 롤러용 지지부를 넓은 구역에 걸쳐서 제공하는 형상이며, 예컨대 롤러(3)의 구름표면(3a)이 가지는 것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오목한 원통형 섹터 표면이다. 더 좋은 파지를 안내레일(5)상에서 제공하도록, 롤러(3)는 롤러표면으로부터 상승된 거친 표면 또는 표면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3)는 적어도 이러한 거친 구역 또는 패턴형 구역에서 안내레일(5)보다 명백하게 더 단단하여 보통의 표면압력조차도 안내레일상에서 우수한 파지를 발생하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안내레일의 경도는 180 HB (브린넬 스케일)의 범위내에 있으며 경화된 강롤러의 경도는 55-65HRC(로커웰 씨 스케일)의 범위에 있다. 예컨대, 공구강으로부터 표면이 약 58HRC로 경화된 다른 경우로 될 수 있는 롤러를 제조하는 것은 쉽다. 롤러는 바람직하게 제2경사부보다 적어도 약간 더 단단하고 안내레일과 제1경사부보다 훨씬 더 단단하다. 실제로, 안내레일과 맞물리는 안전장치 마찰표면은 롤러표면 및 제2경사부와 같은 경도등급으로 되어 있다. 롤러표면으로부터 상승된 이러한 거친표면 또는 표면패턴은 롤러의 원통형표면 중간에서 그 구름표면(3a)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링형상 돌출부(3b)로 된다. 돌출부(3b)는 바람직하게는 구름표면과 동축인 원통형표면이고 후자의 직경보다 더 크다. 실제 제동중에 롤러(3)와 만나는 트랙(9)의 측면은 돌출부가 주행하게 되는 평행보조트랙 사이의 절취부(9c)가 있는 상태로 2개의 평행보조트랙(9A,9B)을 형성한다. 트랙의 제1부분(9a)에 있어서, 절취부는 돌출부(3b)의 높이보다 더 적은 깊이를 가지고 있지만 트랙의 최종부분(9b,9c,9d)에서는 절취부가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큰 깊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절취부는 그 돌출부(3b)에 의해서 롤러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트랙의 제1부분(9a)에는 롤러(2)가 바람직하게는 거친 표면을 가진 링형상 돌출부(3b)를 통하여 절취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반면에, 트랙(9)의 나머지부분(9b,9c,9d)에서는 롤러가 매끄러운 구름표면(3a)을 통하여 평행 보조트랙(9A,9B)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4 내지 도 6은 파지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롤러는 여전히 하부위치에 있다. 안내부(4)내의 긴 안내구멍(도1에 도시)은 롤러(3)를 트랙(9)의 하부끝에 있는 위치에서 유지한다. 롤러는 안내구멍(12)내에 위치되는 저어널(13)에 의해서 안내부상에서 지지된다. 도 5에 있어서, 롤러(3)는 제1경사부로 작용하는 트랙(9)의 제1부분(9a)을 따라 제2경사부로서 작용하는 중간부분(9b)으로 상승되며 여기에서 롤러운동은 롤러(3)와 제동표면(7a) 사이에서안내레일을 더욱더 바짝 가압한다. 따라서, 안전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제1경사부의 주요기능은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데 있고 제2경사부의 기능은 파지력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제1경사부 끝에서 제2경사부로의 전이부는 롤러가 제2경사부의 시작부분에서 짧은 시간동안에 절취부의 바닥과 만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절취부(9C)에서 트랙의 제1부분(9a)은 롤러의 링형상 돌출부(3)보다 더 연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롤러는 거친 또는 스캘럽가공표면을 통하여 트랙과 적당하게 맞물린다. 롤러(3)가 적어도 트랙의 그 다음 부분(9b)에 접근할때 안내레일과 트랙 모두에 접촉하기 때문에, 안내레일과 트랙 사이에서의 롤러의 회전은 롤러가 트랙의 제1부분(9a)을 따라 그 다음 부분(9b)으로 올라가는 것을 보장한다. 롤러가 트랙의 제1부분(9a)으로 부터 그 다음 부분(9b)으로 이동하면, 롤러와 트랙 사이의 접촉지점은 절취부(9C)로 부터 평행 보조트랙(9A,9B)으로 변화한다. 도 6에 있어서, 롤러는 이미 스토퍼(9d)에 도달하였으며 이때 롤러는 회전될 수 있다. 롤러는 충분한 힘으로 안내레일(5)을 제동표면(7a)에 대해서 가압한다. 동시에, 롤러(3)와 프레임(2) 사이의 마찰은 스토퍼(9d)내에서 롤러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따라서, 파지과정의 마지막단계에서, 이중제동작용은, 즉 한편으로 제동표면(7a)이 안내레일(5)을 따라 미끄럼이동하고, 다른 한편으로 롤러(3)가 스토퍼(9d)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안전장치내에서 발생한다. 트랙의 최종부분(9b,9c,9d)에 있어서, 보조트랙(9A,9B)은 롤러(3)에 의해서 트랙에 가해진 높은 표면 압력때문에 단단하고 매끄러워야 하며, 이것은 특히 스토퍼(9d)에 적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트랙이빠르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안전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안전장치 및 특히 그 프레임(102)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단면은 실질적으로 문자 C의 형상이다. 단면에 있어서, C형상의 배면(103)은 그 조(104,105)보다 더 두껍다. C형상 내측은 조(104,105)의 끝과 이들 사이에서, 안전장치가 작동될 때, 엘리베이터 안내레일(107)에 대해서 가압되어서 가압요소로서 작용하는 롤러를 수용하는 중공부(106)이다. 안전장치(101)는 볼트(120)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그 배면(103)이 엘리베이터카의 하중지지부분 즉 평형추에 부착된다.
안전장치(101)는 도 9에서 롤러(108)인 가압요소가 안내레일(107)과 접촉상태로 될때 제동하기 시작한다. 가압요소가 레일과 만나면, 안내레일이 그 제2측으로부터 레일과 맞물리는 가압요소와 그 제1측으로부터 레일과 맞물리는 제동표면(104a) 사이에서 최종적으로 죄어질때까지, 트랙(109)을 따라 위로 이동하여 안내레일과 제2 조(105) 사이에서 더욱더 단단하게 파지되게 한다. 가압요소(108)가 그 트랙을 따라 위로 올려지는 결과로서, 안전장치(101)의 조(104,105)는 서로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게 이동한다. 말하자면, C형상은 밖으로 개방되는 경향이 있다. 조의 이러한 개방운동을 발생시키는 가압라인(114)은 제동표면(104a)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가압라인(114)은 C형상의 배면(103)이 라인의 한쪽에서 유지되는 동안 C형상의 조(104,105)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인의 다른 쪽에서 유지되도록 안전장치의 단면의 C형상내측을 통과한다. 한편, 안전장치의 파지력은 가압요소(108)가 작동할 때 제동표면(104a)을 통하여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이루어진다. 가압요소(108)는 가압요소를 지지하여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박스형 안내지지부(110)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은 단면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압요소의 이동으로 야기되어 C형상에서의 개방효과를 발생시키는 힘 성분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마찰력은 C형상을 개방시키는 힘에 비례한다. 제1 조(104)에 있어서, 가압요소의 영향은 제동표면(104a)에 가해진 힘(F)을 라인(114)의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제2 조에 있어서, 가압요소는 2개의 평행보조트랙(109A,109B)으로 이루어진 트랙에 의해서 지지되며 이때 지지력은 힘(F)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평행보조트랙(109A,109B)에 가해진 지지력의 성분은 동일한 크기이며 따라서 그 크기는 F/2이다. 보조트랙의 경사부는 서로 약간 다르다. 제2 조에서, 가압요소가 지지된다. 안전장치 프레임이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므로, 힘(F)은 C형상이 밖으로 개방되는 변위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프레임(102)의 개방이동의 정도와 다른 한편으로 C형상의 내측으로의 조(104,105)의 구부림정도는 프레임의 다수부분의 두께, 예컨대 조(104)의 만곡부의 두께(C,D)를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C형상과 그부분의 설계와 가압라인의 위치를 통하여 조정된다. 이 설계는 가압라인이 조의 얇은 부분을 배면(103)에 평행한 방향으로 통과되도록 되어야 한다. 도 9는 C형상의 조(104,105)사이의 갭의 방향에서 본 안전장치(101)를 도시하고 있다. 갭에는 엘리베이터 축에서의 제위치에 고정된 안내레일(107)이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가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안전장치와 안내레일 사이에서는 접촉하지 않는다. 과속상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안전장치 테스트에서아래로 이동(아래방향은 화살표 111로 도시)하면,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한다. 가압요소는 롤러(108)이다. 트랙(109)은 변화하는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과속거버너에 연결된 전달요소(112)가 롤러(108a)를 위로 (윗방향은 화살표 113으로 도시)당겨서 롤러가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하는 트랙 경사부의 제1부분은 안내레일의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1˚를 가지고 있다.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롤러와 제동표면사이의 안내레일을 가압하는 트랙의 중간부분은 더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8˚를 가지고 있다. 안내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가해진 최종압축력은 중간부분의 끝에 도달된다. 트랙의 끝에는 제동상황에서 안전장치(101)의 길이방향에서의 특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의 끝사이의 중간에서 롤러를 유지하는 롤러스토퍼가 있다. 스토퍼의 바람직한 형상은 넓은 구역에 걸쳐서 롤러용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롤러의 구름표면이 가지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오목원통형 섹터 표면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안전장치와 유사한 안전장치(201)를 도시하고 있다. 안내레일에 대해 가압되는 안전장치의 제동표면은 횡단홈(207,208,209,210)에 의해서 다수의 연속보조표면(202,203,204,205,206)으로 분할된다. 엘리베이터가 미끄럼이동 안내부를 구비하면, 안내부는 대단히 매끄러워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리스는 제동의 시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횡단홈은 안전장치 작동동안에 그리스를 제동표면과 안내레일사이로부터 누출시켜서 더 신속하게 파지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과정에 있어서트랙(9)을 따른 롤러(3)의 운동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 있어서, 롤러(3)의 스러스트는 트랙(9)내의 절취부의 바닥부(9C)에 의해서 롤러표면내의 돌출부(3b)를 통하여 수용된다. 안내레일(5)과 롤러(3)사이의 더 좋은 맞물림을 달성하도록, 롤러는 거친 가공부 또는 롤러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형상부 구비하여 트랙의 제1부분의 비교적 부드러운 표면상에서 확실한 파지를 보장한다.
도 12에 있어서, 롤러는 트랙의 가파른 경사부부분으로 부터 완만한 경사부를 가진 부분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롤러(3)는 트랙바닥부(9C)로부터 맞물림해제되고 그 다음에 절취부 옆의 보조트랙(9A,9B)에 의해서 지지된다. 롤러는 그 구름표면(3a)을 통하여 접촉하는 트랙을 가지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롤러는 롤러를 정지시키고 또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 된 트랙(9)의 끝에 도달되어 있다. 롤러는 충분한 힘으로 안내레일과 스토퍼에 대해 가압된다. 스토퍼에 있어서, 롤러(3)와 트랙(9) 사이의 마찰은 롤러의 회전에 제동효과를 가지고 있다.
트랙의 후자부분에 있어서, 롤러의 구름표면을 수용하는 표면은 더 단단하다.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경도를 구비한 트랙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컨대, 열처리는 경화된 트랙의 소요부분을 연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부분을 나머지 보다 더 단단하게 만들도록 트랙의 일정한 부분만 경화시키는것은 가능하다. 경도증가표면처리를 트랙의 소요위치에 적용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다른 가능성은 트랙을 상이한 경도의 부품으로 조립하는것이다. 거친 가공부 또는 롤러의 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형상부는 롤러의 원통형 표면의 중간에서 롤러표면(3a)을 두부분으로 분할하는 링형상 돌출부(3b)로서 실행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은 상술된 실례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Claims (12)
- 안전장치가 제동작용을 할 때, 프레임내에 장착되어 안전장치에 제공된 트랙(9,109)을 따라 이동하게 끼워진 롤러(3,108)에 의해 안내레일(5, 107)의 제1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제동표면을 갖춘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트랙은 적어도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가지고 있고, 제1경사부가 제2경사부보다 더 큰 피치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안전장치가 제동작용을 할 때 롤러가 안내레일의 제2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안전장치(1,101,201)에 있어서,롤러(3)는 제2경사부 상의 트랙에서보다 제1경사부 상의 트랙(9)에서 더 강한 파지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롤러(3,108)는 상이한 부분을 통하여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 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부 및 제2기울기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3a)은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1경사부 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은 거칠거나, 스캘럽가공되어 있거나 롤러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1경사부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은 직경이 롤러의 원통형 표면(3a)보다 더 크며, 롤러는 이 더 큰 부분(3b)을 통하여 안내레일의 제2안내표면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1경사부상의 롤러(3,108)와 만나는 트랙의 부분(9C)은 제2경사부상의 롤러(3,108)와 만나는 부분(9A,9B,109A,109B)보다 더 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롤러(3,108)는 실질적으로 제2경사부만큼 단단하거나 또는 보다 더 단단하고 안내레일 또는 제1경사부 보다 실질적으로 더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안내레일과 만나는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은 롤러의 표면과 제2 경사부만큼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프레임(2, 102)은 강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 또는 담금질되어 드로잉 가공된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 트랙(9,109)은 롤러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곡선경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안내레일과 만나는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은 롤러의 표면과 제2 경사부만큼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롤러 트랙(9,109)은 롤러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곡선경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964484 | 1996-11-07 | ||
FI964484A FI101782B (fi) | 1996-11-07 | 1996-11-07 | Liukutarraaja |
FI964903 | 1996-12-05 | ||
FI964903A FI103962B1 (fi) | 1996-11-07 | 1996-12-05 | Tarraaj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2186A KR19980042186A (ko) | 1998-08-17 |
KR100335820B1 true KR100335820B1 (ko) | 2002-07-18 |
Family
ID=2616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8635A KR100335820B1 (ko) | 1996-11-07 | 1997-11-07 |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6109398A (ko) |
EP (1) | EP0841280B1 (ko) |
JP (1) | JP3405670B2 (ko) |
KR (1) | KR100335820B1 (ko) |
CN (1) | CN1086999C (ko) |
AU (1) | AU720534B2 (ko) |
BR (1) | BR9705444A (ko) |
CA (1) | CA2218794C (ko) |
DE (1) | DE69718131T2 (ko) |
ES (1) | ES2188849T3 (ko) |
FI (1) | FI103962B1 (ko) |
IN (1) | IN19164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09384B2 (ja) * | 1999-05-27 | 2008-07-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調速機 |
US6427795B1 (en) * | 1999-10-29 | 2002-08-06 | Caterpillar Elphinstone Pty. Ltd. | Underground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
JP2004262652A (ja) | 2002-09-23 | 2004-09-24 | Inventio Ag | エレベータ用の安全装置 |
EP1400476B1 (de) * | 2002-09-23 | 2009-10-21 | Inventio Ag | Fangvorrichtung für Aufzüge |
DE10394225B4 (de) * | 2003-04-15 | 2013-01-31 | Otis Elevator Co. | Aufzug mit Rollen mit einer selektiv variablen Härte |
US7543686B2 (en) * | 2003-04-15 | 2009-06-0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with rollers having selectively variable hardness |
AT501415B1 (de) * | 2005-01-21 | 2009-01-15 | Wittur Gmbh | Brems- bzw. fang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
DE102005057300A1 (de) * | 2005-08-24 | 2007-03-01 | Robert Bosch Gmbh | Selbstverstärkende Reibungsbremse |
US20070240941A1 (en) * | 2005-12-21 | 2007-10-18 | Daniel Fischer |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gear |
CN101233068B (zh) * | 2006-07-26 | 2012-09-05 | 维托公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电梯轿厢的制动或截停装置 |
DE102006062754A1 (de) * | 2006-09-19 | 2008-04-03 | Wittur Ag | Bremsfangeinrichtung |
ATE486811T1 (de) * | 2007-04-18 | 2010-11-15 | Wittur Holding Gmbh | Brems- bzw. fangeinrichtung mit teilweise auf bronzebelag laufender rolle und schräg stehender reibfläche |
US20090032340A1 (en) * | 2007-07-31 | 2009-02-05 | Rory Smith |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Re-Leveling in High Rise High Speed Elevators |
CN102712448B (zh) | 2009-12-23 | 2015-01-07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制动装置 |
CN101941626A (zh) * | 2010-09-09 | 2011-01-12 | 昆山京都电梯有限公司 | 一种用于电梯的安全钳连动机构 |
FI20106273A (fi) * | 2010-12-01 | 2012-06-02 | Kone Corp |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
EP2688825B1 (en) | 2011-03-22 | 2024-06-26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braking system |
EP2524890B1 (en) | 2011-05-20 | 2013-08-28 | Kone Corporation | Elevator with positon dependent braking force |
JP5926603B2 (ja) * | 2012-04-25 | 2016-05-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 |
ES2489968B1 (es) * | 2013-02-26 | 2015-11-12 | Orona, S. Coop. |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ascensores y ascensor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
EP3044154B1 (en) * | 2013-09-11 | 2018-10-31 | Otis Elevator Company | Braking device for braking a hoisted object relative to a guide member |
CN103588058B (zh) * | 2013-10-30 | 2016-01-20 |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 绳轮制动器 |
WO2015191695A1 (en) * | 2014-06-12 | 2015-12-17 | Otis Elevator Company | Braking system resetting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
JP6807753B2 (ja) * | 2014-06-12 | 2021-01-06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 ブレーキ部材駆動機構 |
JP6395922B2 (ja) * | 2015-03-18 | 2018-09-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
ES2694522T3 (es) * | 2015-06-16 | 2018-12-21 | Kone Corporation | Una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de control |
CN105540480B (zh) * | 2016-02-28 | 2018-03-06 | 余静远 | 一种具有防坠功能的衣架升降器 |
CN105648712B (zh) * | 2016-02-28 | 2018-01-02 | 余静远 | 一种升降衣架防坠装置 |
CN105734922B (zh) * | 2016-02-28 | 2017-12-05 | 余静远 | 一种用于升降衣架的防坠装置 |
CA3058077A1 (en) * | 2016-03-31 | 2017-10-05 | 2Innovate Llc | Fall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vement during fall event |
CN109279474B (zh) | 2017-07-21 | 2021-05-07 | 奥的斯电梯公司 | 安全装置,电梯安全系统及电梯系统 |
US11434104B2 (en) | 2017-12-08 | 2022-09-06 | Otis Elevator Company | Continuous monitoring of rail and ride quality of elevator system |
US10927915B2 (en) * | 2017-12-15 | 2021-02-23 | Otis Elevator Company | Spring useful for elevator safety device |
WO2022069355A1 (de) | 2020-10-01 | 2022-04-07 | Inventio Ag | Schienenstabilisierende fangbrems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9718A (en) * | 1907-03-12 | 1907-07-09 | Thomas J Abbott | Safety device for elevators. |
US1581458A (en) * | 1924-07-11 | 1926-04-20 | Otis Elevator Co | Elevator safety appliance |
US2897920A (en) * | 1958-01-28 | 1959-08-04 | Dresser Ind |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cars |
DE1756607A1 (de) * | 1968-06-14 | 1970-04-09 | Demag Ag | Fangvorrichtung fuer ein Lastaufnahmegeraet |
AT376952B (de) * | 1983-03-21 | 1985-01-25 | Otis Elevator Co | Bremsfangvorrichtung |
EP0161287A1 (de) * | 1983-11-14 | 1985-11-21 | Cobianchi Liftteile Ag | Bremsfang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aufzugskabinen |
DE59106220D1 (de) * | 1990-12-07 | 1995-09-14 | Inventio Ag | Bremsfangvorrichtung für Aufzugskabine und Gegengewicht. |
-
1996
- 1996-12-05 FI FI964903A patent/FI103962B1/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10-28 IN IN2031CA1997 patent/IN191648B/en unknown
- 1997-10-30 EP EP97118920A patent/EP084128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0-30 DE DE69718131T patent/DE6971813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0-30 ES ES97118920T patent/ES218884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04 CN CN97121598A patent/CN108699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06 CA CA002218794A patent/CA221879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1-07 US US08/969,409 patent/US610939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07 BR BR9705444-5A patent/BR9705444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1-07 JP JP30566897A patent/JP3405670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07 AU AU44375/97A patent/AU720534B2/en not_active Expired
- 1997-11-07 KR KR1019970058635A patent/KR1003358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218794A1 (en) | 1998-05-07 |
FI103962B (fi) | 1999-10-29 |
CN1086999C (zh) | 2002-07-03 |
IN191648B (ko) | 2003-12-13 |
DE69718131D1 (de) | 2003-02-06 |
FI964903A (fi) | 1998-05-08 |
FI103962B1 (fi) | 1999-10-29 |
CA2218794C (en) | 2002-09-10 |
KR19980042186A (ko) | 1998-08-17 |
EP0841280A1 (en) | 1998-05-13 |
FI964903A0 (fi) | 1996-12-05 |
DE69718131T2 (de) | 2009-09-17 |
EP0841280B1 (en) | 2003-01-02 |
CN1182709A (zh) | 1998-05-27 |
AU720534B2 (en) | 2000-06-01 |
US6109398A (en) | 2000-08-29 |
JPH10152272A (ja) | 1998-06-09 |
BR9705444A (pt) | 1999-09-14 |
JP3405670B2 (ja) | 2003-05-12 |
AU4437597A (en) | 1998-05-14 |
ES2188849T3 (es) | 2003-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35820B1 (ko) | 안전장치 | |
KR100335821B1 (ko) | 미끄럼이동안전장치 | |
KR920004310B1 (ko) | 점진적 안전장치 | |
US4958536A (en) | Cable control system | |
JP4893628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KR102079432B1 (ko) | 엘리베이터 안전 클램핑 조오 | |
EP1783087B1 (en) | Double-effec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s | |
JPH0357017B2 (ko) | ||
AU737625B2 (en) | Holding brak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 |
FI73652B (fi) | Bromsanordning foer hiss. | |
US20230159302A1 (en) | Progressive elevator safety brake | |
CA1324964C (en) | Tread brake unit | |
JPH0438673B2 (ko) | ||
JPS595021Y2 (ja) | エレベ−タの非常止め装置 | |
KR20070106754A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 |
KR100287707B1 (ko) | 스프링 롤러를 이용한 무소음 캠장치 | |
JP4610095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CN116767995A (zh) | 电梯安全导向装置 | |
DE102005052224A1 (de) | Elektromechanische Fahrzeugbremse | |
DE19940059A1 (de) | Doppel-Bremsfangvorrichtung für Aufzüge oder Regalbediengeräte (RB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