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186A -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186A
KR19980042186A KR1019970058635A KR19970058635A KR19980042186A KR 19980042186 A KR19980042186 A KR 19980042186A KR 1019970058635 A KR1019970058635 A KR 1019970058635A KR 19970058635 A KR19970058635 A KR 19970058635A KR 19980042186 A KR19980042186 A KR 1998004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afety device
slope
track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820B1 (ko
Inventor
렘피왜일카
아울란코에스코
틸린넨유하
Original Assignee
유하 살로매키,메사 라이리오
코네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964484A external-priority patent/FI101782B1/fi
Application filed by 유하 살로매키,메사 라이리오, 코네오와이 filed Critical 유하 살로매키,메사 라이리오
Publication of KR1998004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8Brakes acting on a linearly mov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07Auxiliary mechanisms for non-linea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8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 F16D2127/10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having wed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안정장치(1)는, 안전장치가 제동될때, 안내레일의 제1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제동표면을 구비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것은 안전장치내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이다. 트랙은 적어도 제1기울기와 제2기울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기울기는 제2기울기보다 더큰 피치각도를 가지고 있다. 롤러는 안전장치가 제동될때 안내레일의 제2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된다. 롤러(3)는 제2기울기상의 트랙에서 보다 제1기울기상의 트랙에서 더강한 파지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두에 한정된 안전장치에 관한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그 속도가 크게 증가하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안전장치로서 작용하는 자동제동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종래, 사용된 제동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하는 그립퍼 타입의 브레이크이다. 통상, 안전장치는 하향운동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파지브레이크는 다른이유 예컨대 작동에러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도어구역을 출발하는 엘리베이터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안내레일을 파지하는 종래의 브레이크 즉 안전장치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안전장치프레임은 중공부내에 위치된 안내레일을 향한 제동표면을 구비한 중공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공부내에 위치된것은 중공부내의 트랙상에 장착되고 안전장치가 작동될때 엘리베이터 안내레일에 대하여 구동되는 웨지 또는 롤러이다. 엘리베이터 안내레일은 제동표면과 웨지 또는 롤러사이에 위치된다. 트랙은 웨지 또는 롤러가 트랙상에서 안내레일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안내레일이 웨지 또는 롤러에 의해서 제동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제동작용을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전장치는 평형추 상에 장착될수 있다.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적용된 가압은 스프링에 의해서 세트된다. 제동표면과 안내레일 사이의 마찰을 통하여 가압력의 크기는 엘리베이터의 감속을 결정한다. 스프링 가압의 사용은 감속시 발생하는 가압력의 변화를 보정한다. 마침내, 엘리베이터 안전에 대한 다양하고 상이한 해결점은 개발되어왔다. 통상 사용되는 안전장치는 스프링강으로 제조된 U형상 스프링이며 그 웨지는 안전장치가 작동될때 스프링의 끝 사이에서 구동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안전장치는 안내레일로 부터 더쉽게 맞물림해제를 하기위한 해제 웨지를 통상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U형상의 안전장치는 파지작용시 개방되며 이것은 제동표면이 단지 안내레일과 부분적인 접촉을 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타입의 안전장치의 결점은 사이즈가 크며 가격이 바싸다는 점이다.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적용된 가압의 탄성은 분리스프링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안전장치는 다수의 분리부품을 포함하여 조립하기가 복잡하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이전의 안전장치 타입보다 가벼우나 고가이다. 안전장치의 길이가 안전장치의 크기, 작동, 가격 및 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안전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기울기변화를 가진 롤러트랙이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롤러를 채용한 다수의 안전장치에 사용되어왔다.
트랙의 시작에서 기울기변화가 급한 기울기를 이용하는 목적은 안전장치의 작동의 초기단계에서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사이의 간극을 신속하게 제거하는데 있다. 트랙의 제1부분의 기울기는, 가파른 트랙이 실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랙의 부분에 대한 롤러상승을 위태롭게 하기때문에 더큰힘을 사용하는 롤러를 과속가버너로부터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랙의 부분에 대한 롤러의 상승을 보장하기 위하여 크게 증가될 수 없다. 하지만, 과속가버너로부터 얻어진 힘은 엘리베이터 구조 및 안전에 대한 규제조차도 안전장치의 트리거링을 위하여 과속가버너에 의해서 발생되는 힘의 상한 및 하한을 부여하기 때문에 크게 증가될 수 없다.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전의 타입보다 더좋은 안전장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신규의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다른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기술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안전장치는 비교적 경량이고 작동이 확실하다. 또한 본발명의 안전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레이아웃을 쉽게 배치한다. 특히, 안전장치의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그롤러는 제동이 시작되는 위치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이동된다.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사이의 간극이 안전장치작동의 초기단계에서 가능한한 신속하게 제거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속도는 제동이 시작되기전 자유낙하동안에 크게 증가될 수 없다. 제동이 때를 마춰 시작될수 있으므로, 고평균 제동력은 설계된 안전장치의 강도특성을 기초로하여 최대 파지력으로 성취된다. 평균제동력 또는 감속은 엘리베이터에 대한 안전장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안전장치의 설계강도를 감소시키는것이 가능하며 즉 크기 및 무게는 충분히 작게될수 있다. 최소힘은 해제력이 작다는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안전장치가 작용후 엘리베이터가 더쉽게 다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안전장치는 상이한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발명의 안전장치는 간략한 구성 및 간단한 구조이며 소수의 분리부품을 수용하여 제조비가 저렴하다. 안전장치의 구조가 안내레일과 제동표면 사이에서 오정렬을 방지함에 따라, 안내레일은 마모가 적게된다. 최소력은 안내레일의 마모가 더 적게 된다는것을 의미한다. 안전장치는 구조가 컴팩트하고 구성이 소수의 부품으로 일체로 되었기 때문에 대단히 견고하다.
안전장치에 있어서 롤러트랙은 기울기가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레벨을 포함하고 있다. 2 레벨의 롤러트랙은 안전장치가 더작은 외부치수로 될수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첫번째, 가파른 기울기는 마찰표면과 안내레일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 단계에서 안전장치에 제공된 힘은 작으며 아직 실제 제동을 일으키지 못한다. 가파른 기울기 때문에 롤러와 롤러트랙사이의 큰마찰은 필요하다. 이것은 예컨대 부채형보다 더매끄러운 롤러트랙과 만나는 부채형표면을 구비한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두번째, 더완만한 기울기에 있어서 안전기어는 롤러가 트랙의 끝에 있는 스토퍼에 도달하면 일정한 힘으로되는 안정하게 증가된 힘을 발생시킨다. 롤러가 스토퍼와 만나면, 그 구름운동은 회전운동으로 변화된다. 안내레일을 여러번 파지한 후에도 안전장치가 동일한 제동력을 발생시켜야만 하므로, 제2 기울기의 면적에서 롤러와 롤러트랙 사이에서 예컨대 경화된 강으로 이루어진 접촉면은 제동력에 영향을 줄수있는 영구변형 또는 마모가 되지 않는것을 보장하도록 단단하고 매끄러워야 한다. 더욱이, 이경우에 안전장치가 분리롤러안내부를 절대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큰 접촉면적을 가지는것은 더 유리하다. 제2 기울기의 면적에서의 접촉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마찰계수는 제1기울기와 비교하여 더낮으며, 이것은 제2기울기가 더완만한 피치각도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본발명은 그 실시예의 다수의 실예의 도움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되며 그 자체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발명의 적용범위의 제한없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프레임의 상세도,
도 3은 안전장치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파지작동시의 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전장치의 작동에 대한 상세도.
도 1은 본발명을 적용한 안전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안전장치(1)의 주요부분은, 프레임(2), 힘요소(3) 및 힘요소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안내부(4)이다. 프레임(2)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은 도 2이다. 도 3은 안전장치(1)의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안내레일(5)은 안전장치의 갭(6)내에 위치되어 있다. 프레임(2)은 스프링강 또는 담금질되어 드로잉가공된 강으로 제조되고 대체로 문자 C와 유사한 형상을 한 가요성 몸체이다. C 형상 프레임의 제1잼(7)은 제동표면(7a)을 구비하는 반면에 제2잼은 힘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잼(7,8)중의 적어도 하나는 C 형상 프레임의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잼을 C형상 내측으로 구부리는것은 C형상 개구부 밖에서 발생하는 제동표면이 선회하는 경향을 보상하여 안내레일을 하나의 에지에서만 만나도록 한다. 제1잼상의 제동표면(7a)은 프레임의 일체적 부분 또는 제1잼에 부착된 브레이크패드의 일부로서 된다. 제동표면은 바람직하게 프레임(2)의 일체적 부분이다. 힘요소(3)는 제2잼(8)상의 트랙(9)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이다. 제위치에 장착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레일은 제동표면(7a)과 롤러사이에 끼워져 있다. 롤러(3)는 안내부(4)에 의해서 제2잼(8)내의 트랙(9)상에서 유지된다. 트랙(9)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롤러의 통로부분에서 곡선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할때까지 슬로핑트랙(9)을 따라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된다. 트랙(9)이 프레임에 부착된 분리부분으로 되더라도, 트랙은 바람직하게 프레임(2)과 일체로 되고 더욱 바람직한 경우에는 프레임(2)의 제2잼내에서 직접 기계가 가공된다.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끝은 노치(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노치에 의해서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칸 또는 칸프레임내의 장착구조부에 체결된다.
도 4, 5 및 6은 C 형상 프레임의 잼사이의 갭의 방향에서본 안전기어(1)를 도시하고 있고 파지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축에 고정된 안내레일(5)은 갭내에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가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주행하면, 안전장치와 안내레일사이의 접촉은 없다. 과속상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예컨대 안전장치 테스트에 있어서 아래로 이동(아래방향은 화살표 10으로 표시하였음)하면,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한다. 트랙(9)은 도2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변화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과속가버너에 연결된 전달요소가 롤러(3)를 상향(위쪽방향은 화살표 11로 표시하였음)으로 당겨서 롤러가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하는 트랙기울기의 제1부분(9a)은 안내레일의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25˚이다. 약 20˚의 각도에 있어서, 본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더빠른 안전장치 작용과 확실한 작동은 실제적인 필요성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히 달성된다. 제1 기울기가 15˚ 이하 예컨대 10˚이면, 안전장치 작용은 간극제거를 하기위한 분리기울기가 사용될때보다 더빠르지만 속도이점은 여전히 비례하여 더 작아진다. 재료 및 표면품질에 대한 적당한 선택을 통하여 제1기울기의 각도는 약 30˚로 또한 약 45˚까지 증가될수 있다. 하지만, 대단히 큰 피치각도는 안내레일과 트랙모두에서 동시에 충분한 파지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롤러와 제동표면 사이의 안내레일을 가압하는 트랙의 중간부분(9b)은 작은경사각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이다. 피치각도가 대단히 크면, 이것은 제2기울기와 이것과 접촉하게되는 롤러의 이들부분에서 피치각도가 더작을때 필요로하는 표면의 내마모성보다 더작은 내마모성을 가진 표면을 사용하는것으로 쉽게 유도되게한다. 한편, 더큰각도는 최대파지력이 더빠르게 도달되도록 한다. 안전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적용된 최종압축력은 중간부분(9b)의 끝에 도달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압축력은 통상 최대이다. 중간부분(9b)뒤에는 트랙이 대략 안내레일에 평행한 짧은 편평한 부분이다. 트랙의 끝에는 롤러를 제동상황에 있어서 안전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특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의 끝사이의 중간부분에서 유지되는 롤러스토퍼(9d)가 있다. 스토퍼(9d)의 바람직한 형상은 롤러용지지부를 큰면적에 제공하는 형상이며 예컨대 롤러(3)의 구름표면(3a)을 가지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오목한 원통형 섹터 표면이다. 더좋은 파지를 안내레일(5)상에서 제공하도록 롤러(3)는 롤러표면으로부터 상승된 거친표면 또는 표면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3)는 적어도 이러한 거친면적 또는 패턴형 면적에서 안내레일(5)보다 명백하게 더단단하여 보통의 표면압력조차도 안내레일상에서 우수한 파지를 발생하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안내레일의 경도는 180 HB (브린넬스케일)의 범위내에 있으며 경화된 강롤러의 경도는 55-65HRC(로커웰씨 스케일)의 범위에 있다. 예컨대 공구강으로부터 표면이 약 58HRC로 경화된 경우로 될수있는 롤러를 제조하는것은 쉽다. 롤러는 바람직하게 제2기울기보다 적어도 약간 더 단단하고 안내레일과 제1기울기보다 더 단단하다. 실제로, 안내레일과 맞물리는 안전장치 마찰표면은 롤러표면과 제2기울기와같은 동일한 경도등급으로 되어 있다. 롤러표면으로부터 상승된 이러한 거친표면 또는 표면패턴은 롤러의 원통형표면 중간에서 그 구름표면(3a)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링형상보시지(3b)로 된다. 보시지(3b)는 바람직하게 구름표면과 공축인 원통형표면이고 후자의 직경보다 더크다. 실제 제동중에 롤러(3)와 만나는 트랙의 측면은 보시지가 주행되는 이들 사이에서 절취부(9c)를 구비한 2개의 평행보조트랙(9A,9B)를 형성한다. 트랙의 제1부분(9a)에 있어서, 절취부는 보시지(3b)의 높이보다 더 적은 깊이를 가지고 있지만 트랙의 최종부분(9b,9c,9d)에서는 절취부가 보시지의 높이보다 더큰 깊이를 가지고 있다. 이 절취부는 그 보시지(3b)에 의해서 롤러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으로써 또한 작용한다. 따라서, 트랙의 제1부분(9a)에는 롤러가 바람직하게 거친표면을 가진 링형상 보시지(3b)를 경유하여 절취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반면에 트랙(9)의 최종부분(9b,9c,9d)에서는 롤러가 매끄러운 구름표면을 경유하여 평행한 보조트랙(9A,9B)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4 내지 도 6은 파지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롤러는 여전히 하부위치에 있다. 안내부(4)(도1에 도시)내의 긴 안내구멍은 롤러(3)를 트랙(9)의 하부끝에 있는 제위치에서 유지한다. 롤러는 안내구멍(12)내에 위치되는 저어널(13)에 의해서 안내부상에서 지지된다. 도 5에 있어서, 롤러(3)는 제1기울기로 작용하는 트랙(9)의 제1부분(9a)을 따라 제2기울기로서 작용하는 중간부분(9b)으로 상승되며 여기에서 롤러운동은 롤러(3)와 제동표면(7a) 사이에서 안내레일을 더욱더 바짝 가압한다. 따라서, 안전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제1기울기의 주요기능은 안내레일과 안전장치의 마찰표면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여 제2기울기의 기능은 파지력을 증가시킨다. 제2기울기로의 변위는 롤러가 제2기울기의 시작에서 짧은 시간동안에 절취부의 바닥과 만나도록 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절취부(9c)에서 트랙의 제1부분(9a)은 롤러의 링형상 보시지(3)보다 더 연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롤러는 거친 또는 부채형표면을 통하여 트랙과 적당하게 맞물린다. 롤러(3)가 트랙의 그다음부분(9b)에 접근할때 적어도 안내레일과 트랙 모두에 접촉함에 따라 안내레일과 트랙의 회전은 롤러가 트랙의 제1부분을 따라 그다음부분(9b)으로 올라가는것을 보장한다. 롤러가 트랙의 제1부분(9a)으로 부터 그다음부분(9b)으로 이동하면, 롤러와 트랙 사이의 접촉지점은 절취부(9C)로 부터 평행한 보조트랙(9A,9B)으로 변화된다. 도 6에 있어서, 롤러는 이미 스토퍼(9d)에 도달하였으며 이때 롤러는 회전될 수 있다. 롤러는 완전한 힘으로 안내레일(5)을 제동표면(7a)에 대해서 가압한다. 동시에, 롤러(3)와 프레임(2) 사이의 마찰은 스토퍼(9d)내에서 롤러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따라서, 파지과정의 마지막단계에서, 이중제동작용은 즉 한편으로 제동표면(7a)이 안내레일(5)을 따라 미끄럼이동됨에 따라 다른한편으로 롤러(3)가 스토퍼(9d)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안전장치내에서 발생한다. 트랙의 최종부분(9b,9c,9d)에 있어서, 보조트랙(9A,9B)은 롤러(3)에 의해서 트랙에 적용된 높은표면 압력때문에 단단하고 매끄러워야 한다. 이것은 특히 스토퍼(9d)에 적용된다. 그렇지않으면 트랙이 빠르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발명을 적용한 다른 안전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안전장치 및 특히 그 프레임(102)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단면은 실질적으로 문자 C의 형상이다. 단면에 있어서, C형상의 배면(103)은 그 잼(104,105)보다 더 두껍다. C형상 내측에는 잼(104,105)의 끝과 이들 사이에서, 안전장치가 작동될 때 엘리베이터 안내레일(107)에 대해서 가압되고 힘요소로서 작용하는 롤러를 수용하는 중공부이다. 안전장치(101)는 볼트(120)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과 함께 그 배면(103)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의 하중지지부분 또는 평형추에 부착된다.
안전장치(101)는 도 9에서 롤러(108)인 힘요소가 안내레일(107)과 접촉상태로 될때 제동하기 시작한다. 힘요소는 레일과 만나면, 마지막 안내레일이 그 제2측으로부터 레일과 맞물리는 힘요소와 그 제1측으로부터 레일과 맞물리는 제동표면 사이에서 죄어질때까지 트랙(109)을 따라 위로 이동하여 안내레일과 제2 잼(105) 사이에서 더욱더 단단하게 파지되게 한다. 그 트랙을 따라 위에서 가압되는 힘요소(108)의 결과로서, 안전장치(101)의 잼(104,105)는 서로 더멀리 떨어져서 이동한다. 말하자면 C형상은 밖으로 개방되는 경향이 있다. 잼의 이러한 개방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적용의 라인(114)은 제동표면(104a)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통과한다. 힘적용의 이러한 라인(114)은 C형상의 잼(104,10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인의 다른쪽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C형상의 배면(103)이 라인의 한쪽에서 유지되도록 안전장치의 단면의 C형상내측을 통과한다. 한편, 안전장치의 파지력은 힘요소(108)가 작동될때 제동표면(104a)을 통하여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이루어졌다. 힘요소(108)는 힘요소를 지지하여 제위치에 유지하도록하는 박스형 안내지지부(110)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은 단면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힘요소의 운동으로 야기하여 C형상에서의 개방효과를 달성하는 힘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마찰력은 C형상을 개방시키는 힘에 비례한다. 제1 잼(104)에 있어서, 힘요소의 영향은 제동표면(104a)에 적용된 힘(F)을 리인(114)의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제2 잼에 있어서, 힘요소는 2개의 평행보조트랙(109A,109B)으로 이루어진 트랙에 의해서 지지되며 지지힘은 힘(F)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보조트랙(109A,109B)에 적용된 지지힘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크기이며 그 크기는 F/2이다. 보조트랙의 기울기는 서로 약간 다르다. 제2 잼에 있어서, 힘요소는 지지된다. 안전기어프레임이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므로, 힘(F)은 C형상이 밖으로 개방되는 변위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프레임(102)의 개방운동의 정도와 다른 한편으로 C형상의 내측으로의 잼(104,105)의 구부림정도는 프레임의 다수부분의 두께 예컨대 잼(104)의 구부림의 두께(C,D)를 C형상과 그부분의 설계와 힘적용의 라인위치를 통하여 선택함으로써 조정된다. 이 설계는 힘적용의 라인이 잼의 얇은 부분을 배면(103)에 평행한 방향으로 통과되도록 되어야 한다. 도 9는 C형상의 잼(104,105)사이의 갭의 방향에서 본 안전장치(101)를 도시하고 있다. 갭에는 엘리베이터 축에서의 제위치에 고정된 안내레일(107)이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가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안전장치와 안내레일 사이에서는 접촉이 없다. 과속상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안전장치 테스트에서 아래로 이동(아래방향은 화살표 111로 도시)하면, 안전장치는 안내레일을 파지한다. 힘요소는 롤러(108)이다. 트랙(109)은 변화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과속가버너에 연결된 전달요소(112)가 롤러(108a)를 위로 (윗방향은 화살표 113으로 도시)당겨서 롤러가 안내레일과 맞물리도록 하는 트랙 기울기의 제1부분은 안내레일의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1˚를 가지고 있다.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롤러가 롤러와 제동표면사이의 안내레일을 가압하는 트랙의 중간부분은 더 작은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8˚를 가지고 있다. 안내장치에 의해서 안내레일에 적용된 최종압축력은 중간부분의 끝에 도달한다. 트랙의 끝에는 제동상황에서 안전장치(101)의 길이방향에서의 특정위치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의 끝사이의 중간에서 롤러를 유지하는 롤러스토퍼가 있다. 스토퍼의 바람직한 형상은 큰면적 예컨대 롤러의 구름표면이 가지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오목원통형 부위위에서 롤러용 지지부를 제공하는 형상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안전장치와 유사한 안전장치(201)를 도시하고 있다. 안내레일에 대해 가압되는 안전장치의 제동표면은 횡단홈(207,208,209,210)에 의해서 다수의 연속보조표면(202,203,204,205,206)으로 분할된다. 엘리베이터가 미끄럼이동 안내부를 구비하면, 안내부는 대단히 매끄러워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리스는 제동의 시작을 지연할 수 있다. 횡단홈은 그리스가 제동표면과 안내레일사이로부터 도피하도록하여 더 신속하게 파지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과정에 있어서 트랙(9)에 따른 롤러(3)의 운동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 있어서, 롤러(3)의 스러스트는 트랙(9)내의 절취부의 바닥(9C)에 의해서 롤러표면내의 보시지(3b)를 통하여 수용된다. 안내레일(5)과 롤러(3)사이의 더 좋은 맞물림을 달성하도록, 롤러는 롤러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거칠음 또는 패턴링을 구비하여 트랙의 제1부분의 비교적 부드러운 표면상에서 확실한 파지를 보장하도록 한다.
도 12에 있어서, 롤러는 트랙의 가파른 기울기부분으로 부터 완만한 기울기를 구비한 부분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롤러(3)는 트랙바닥(9C)으로 부터 맞물림해제되고 그다음에 절취부옆의 보조트랙(9A,9B)에 의해서 지지된다. 롤러는 그 구름표면(3a)을 통하여 접촉하는 트랙을 가지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롤러는 롤러를 정지시키고 또한 회전시키는 형상으로된 트랙(9)의 끝에 도달되어 있다. 롤러는 충분한 힘으로 안내레일과 스토퍼에 대해 가압된다. 스토퍼에 있어서, 롤러(3)와 트랙(9) 사이의 마찰은 롤러의 회전중에 제동효과를 달성한다.
트랙의 후자부분에 있어서, 롤러의 구름표면을 수용하는 표면은 더 단단하다. 그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경도를 구비한 트랙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컨대, 열처리는 경화된 트랙의 소요부분을 연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부분을 나머지 보다 더 단단하게 만들도록 트랙의 일정한 부분만 경화시키는것은 가능하다. 경도증가표면처리를 트랙의 소요위치에 적용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다른 가능성은 트랙을 상이한 경도의 부품으로 조립하는것이다. 롤러의 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거칠음 또는 패턴닝은 롤러의 원통형 표면의 중간에서 롤러표면(3a)을 두부분으로 분할하는 링형상보시지(3b)로서 실행된다.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발명은 상술된 실례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것은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안정장치가 제동될때, 프레임내에 장착되고 안전장치에 제공된 트랙(9,109)을 따라 이동하게 끼워진 롤러(3,108)와 함께 안내레일(5, 107)의 제1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제동표면을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트랙이 적어도 제1기울기와 제2기울기를 가지고 있고 제1기울기가 제2기울기보다 더큰 피치각도를 가지고 있고, 안전장치가 제동될때 롤러가 제2안내표면에 대해서 가압되는 안전장치(1,101,201)에 있어서,
    롤러(3)는 제2기울기 상의 트랙에서보다 제1기울기상의 트랙(9)에서 더강한 파지력을 가지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롤러(3,108)는 상이한 부분을 경유하여 제1기울기 및 제2기울기 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기울기 및 제2기울시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3a)은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울기 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은 거칠거나, 부채형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롤러표면으로 부터 상승된 패턴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울기상의 트랙(9,109)과 만나는 롤러(3,108)의 부분(3b)은 직경이 롤러의 원통형 표면(3a)보다 더크며 롤러는 이더큰 부분(3b)을 경유하여 안내레일의 제2안내표면과 만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기울기상의 롤러(3,108)와 만나는 트랙의 부분(9C)은 제2기울기상의 롤러(3,108)와 만나는 부분(9A,9B,109A,
    109B)보다 더 연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롤러(3,108)는 실질적으로 제2기울기만큼 단단하거나 또는 보다 더 단단하거나 안내레일 또는 제1기울기 보다 실질적으로 더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안내레일과 만나는 안전장치의 마찰표면은 롤러의 표면과 제2 기울기만큼 단단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가요성 프레임(2, 102)은 강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 또는 담금질되고 드로잉강으로 제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롤러 트랙(9,109)는 롤러의 적어도 통로 부분에 곡선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KR1019970058635A 1996-11-07 1997-11-07 안전장치 KR100335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4484 1996-11-07
FI964484A FI101782B1 (fi) 1996-11-07 1996-11-07 Liukutarraaja
FI964903 1996-12-05
FI964903A FI103962B1 (fi) 1996-11-07 1996-12-05 Tarraaj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186A true KR19980042186A (ko) 1998-08-17
KR100335820B1 KR100335820B1 (ko) 2002-07-18

Family

ID=2616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635A KR100335820B1 (ko) 1996-11-07 1997-11-07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09398A (ko)
EP (1) EP0841280B1 (ko)
JP (1) JP3405670B2 (ko)
KR (1) KR100335820B1 (ko)
CN (1) CN1086999C (ko)
AU (1) AU720534B2 (ko)
BR (1) BR9705444A (ko)
CA (1) CA2218794C (ko)
DE (1) DE69718131T2 (ko)
ES (1) ES2188849T3 (ko)
FI (1) FI103962B1 (ko)
IN (1) IN1916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384B2 (ja) * 1999-05-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
US6427795B1 (en) * 1999-10-29 2002-08-06 Caterpillar Elphinstone Pty. Ltd. Underground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JP2004262652A (ja) * 2002-09-23 2004-09-24 Inventio Ag エレベータ用の安全装置
EP1400476B1 (de) * 2002-09-23 2009-10-21 Inventio Ag Fangvorrichtung für Aufzüge
US7543686B2 (en) * 2003-04-15 2009-06-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th rollers having selectively variable hardness
WO2004099054A1 (en) * 2003-04-15 2004-11-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with rollers having selectively variable hardness
AT501415B1 (de) * 2005-01-21 2009-01-15 Wittur Gmbh Brems- bzw. fang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DE102005057300A1 (de) * 2005-08-24 2007-03-01 Robert Bosch Gmbh Selbstverstärkende Reibungsbremse
US20070240941A1 (en) * 2005-12-21 2007-10-18 Daniel Fischer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gear
WO2008011896A1 (de) * 2006-07-26 2008-01-31 Wittur Ag Brems- bzw. fangeinrichtung zur temporären schutzraumabsicherung und dergl.
DE102006062754A1 (de) * 2006-09-19 2008-04-03 Wittur Ag Bremsfangeinrichtung
ES2353979T3 (es) * 2007-04-18 2011-03-08 Wittur Holding Gmbh Dispositivo de frenado o aprehensión con rodillo que corre parcialmente sobre revestimiento de bronce y con superficie de fricción inclinada .
WO2009018434A1 (en) * 2007-07-31 2009-02-05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re-leveling in high rise high speed elevators
US9821983B2 (en) 2009-12-23 2017-11-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ing device
CN101941626A (zh) * 2010-09-09 2011-01-12 昆山京都电梯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安全钳连动机构
FI20106273A (fi) * 2010-12-01 2012-06-02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KR20140002760A (ko) 2011-03-22 2014-01-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동 시스템
ES2429502T3 (es) 2011-05-20 2013-11-15 Kone Corporation Ascensor con fuerza de frenado variable según la posición
JP5926603B2 (ja) * 2012-04-25 2016-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ES2489968B1 (es) * 2013-02-26 2015-11-12 Orona, S. Coop.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ascensores y ascensor que comprende dicho dispositivo
ES2695649T3 (es) * 2013-09-11 2019-01-09 Otis Elevator Co Dispositivo de frenado para frenar un objeto izado con respecto a un miembro de guía
CN103588058B (zh) * 2013-10-30 2016-01-20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绳轮制动器
ES2713691T3 (es) * 2014-06-12 2019-05-23 Otis Elevator Co Mecanismo de accionamiento del miembro de freno
WO2015191695A1 (en) * 2014-06-12 2015-12-17 Otis Elevator Company Braking system resetting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DE112016001260T5 (de) * 2015-03-18 2017-1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sicherheitsvorrichtung und aufzugsanlage
ES2694522T3 (es) * 2015-06-16 2018-12-21 Kone Corporation Una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de control
CN105734922B (zh) * 2016-02-28 2017-12-05 余静远 一种用于升降衣架的防坠装置
CN105648712B (zh) * 2016-02-28 2018-01-02 余静远 一种升降衣架防坠装置
CN105540480B (zh) * 2016-02-28 2018-03-06 余静远 一种具有防坠功能的衣架升降器
WO2017165980A1 (en) * 2016-03-31 2017-10-05 Bradley Burke Fall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vement during fall event
CN109279474B (zh) 2017-07-21 2021-05-07 奥的斯电梯公司 安全装置,电梯安全系统及电梯系统
US11434104B2 (en) 2017-12-08 2022-09-06 Otis Elevator Company Continuous monitoring of rail and ride quality of elevator system
US10927915B2 (en) * 2017-12-15 2021-02-23 Otis Elevator Company Spring useful for elevator safety device
CN116323457A (zh) 2020-10-01 2023-06-23 因温特奥股份公司 轨道稳定式防坠制动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718A (en) * 1907-03-12 1907-07-09 Thomas J Abbott Safety device for elevators.
US1581458A (en) * 1924-07-11 1926-04-20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liance
US2897920A (en) * 1958-01-28 1959-08-04 Dresser Ind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cars
DE1756607A1 (de) * 1968-06-14 1970-04-09 Demag Ag Fangvorrichtung fuer ein Lastaufnahmegeraet
AT376952B (de) * 1983-03-21 1985-01-25 Otis Elevator Co Bremsfangvorrichtung
EP0161287A1 (de) * 1983-11-14 1985-11-21 Cobianchi Liftteile Ag Bremsfang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aufzugskabinen
ATE126173T1 (de) * 1990-12-07 1995-08-15 Inventio Ag Bremsfangvorrichtung für aufzugskabine und gegengewi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8849T3 (es) 2003-07-01
KR100335820B1 (ko) 2002-07-18
EP0841280B1 (en) 2003-01-02
FI964903A (fi) 1998-05-08
IN191648B (ko) 2003-12-13
FI103962B (fi) 1999-10-29
JP3405670B2 (ja) 2003-05-12
FI103962B1 (fi) 1999-10-29
CA2218794A1 (en) 1998-05-07
FI964903A0 (fi) 1996-12-05
BR9705444A (pt) 1999-09-14
CN1086999C (zh) 2002-07-03
EP0841280A1 (en) 1998-05-13
CA2218794C (en) 2002-09-10
JPH10152272A (ja) 1998-06-09
DE69718131T2 (de) 2009-09-17
DE69718131D1 (de) 2003-02-06
AU720534B2 (en) 2000-06-01
AU4437597A (en) 1998-05-14
US6109398A (en) 2000-08-29
CN1182709A (zh) 199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2186A (ko) 안전장치
KR920004310B1 (ko) 점진적 안전장치
US7036638B2 (en) Brake arresting device with adaptable brake force for an elevator
JP489362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KR100335821B1 (ko) 미끄럼이동안전장치
US5007505A (en) Elevator traction sheave brake
US8006806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CA2408024C (en) Braking device for a lift
EP1783087B1 (en) Double-effec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s
US7374021B2 (en) Combined elevator guiding and safety braking device
US6260673B1 (en) Holding brak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FI73652B (fi) Bromsanordning foer hiss.
JPH0438673B2 (ko)
DE202004010720U1 (de) Steuerungssystem für Aufzüge
KR10090122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