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74B1 -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674B1
KR100335674B1 KR1019960009173A KR19960009173A KR100335674B1 KR 100335674 B1 KR100335674 B1 KR 100335674B1 KR 1019960009173 A KR1019960009173 A KR 1019960009173A KR 19960009173 A KR19960009173 A KR 19960009173A KR 100335674 B1 KR100335674 B1 KR 100335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eel
resin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869A (ko
Inventor
토시아끼 시마쿠라
미카 테라오카
테쑤로 키시모토
유끼 요시다
카쭈히꼬 유수끼
Original Assignee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18Pretreatment, e.g. heating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한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 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처리제에 의한 방청처리방법과 동등이상의 우수한 방청성을 발휘하는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방청처리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되는 pH 7이상인 조성물을 아연계 피복강 똔는 무피복강에 도포하고, 그후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를 50∼250℃로 가열하여 건조하던가 또는 미리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을 50∼250℃로 가열하고 그후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본 발명은 아연계 피복강 또는 아연계 피복을 하지 않은 냉연강판등의 무피복강의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1차방청처리 또는 도장하지(下地)처리에 적용되는 방청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비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방청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을 도금 또는 용사에 의해 강표면에 피복한 아연계 피복강 및 상기 피복을 하지 않은 무피복강의 1차 방청처리 또는 도장하지처리에는 종래로부터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계 처리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지계 처리제로서는, 예컨데 일본국 특개평 3-131370호 공보에는, 올렌핀 -α, 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본산(carboxylic acid) 공중합체 수지 디스퍼션(Dispersion)에 물분산성 크롬화합물과 물분산성 실리카를 함유시킨 수지계 치리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계 처리제는 유독한 크롬이온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작업환경에 있어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고, 또 처리제에 의해 형성하되 크롬함유 수지피막을 가지는 제품에서의 크롬용출에 의해 환경오염등을 일으킬 염려도 있다.
상기 결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크롬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수지계 방청제 또는 방청 혹은 방식처리방법의 개발이 고려된다. 그러나, 처리제에서 단순히 크롬화합물을 제거하기만 해서는 방청성을 발휘하는 처리제를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방청처리제로서 유효하려면 ①부식액의 침투방지성 ②방청막의 금속과의 밀착성 ③방청이온에 의한 금속의 부동태화 ④방청막의 내수성·내산성·내알카리성 등을 만족할 필요가 있고, 이들 요인중 어느 것이 불충분하면 충분한 방청성을 발휘할 수 없다.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계 처리제는 부동태화능에서 우수하다.
이러한 크롬이온에 대체할 수 있는 대표적 방청이온으로서 인산이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인산이온은 크롬이온에 비하여 부동태화능이 떨어지고, 단순히 크롬이온에 대체하여 사용하기에는 일정의 방청성을 가질뿐 방청력을 확보할 수 없고, 또 다량으로 사용하면 용해 과다에 의해 도막 브리스터(blister)의 발생등을 초래한다.
방청력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카를 조합시킨 경우,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지계 처리제에서는 물분산성 실리카를 함유시킴이 도막 밀착성등을 향상시켜 방청성에 효과적임이 알려져 있지만, 그러나 크롬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수지조성물과 물분산성 실리카를 조합시켜 사용한 경우, 실리카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방청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고, 실리카의 방청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
또한, 올레핀-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본산 공중합체등의 수성 수지만으로는 크롬화합물과 조합시킨 경우 높은 방청성을 나타냄이 고작이고, 크롬화합물과조합시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온 단시간의 건조로는 내구성·밀착성등이 필히 충분하지 않다. 수지제 방청제에서는 수지는 도막을 형성하고, 부식액의 침투를 억제하고, 게다가 방청이온의 용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수지도막 자체가 가수분해등에 의해 열화하기도 하고 수지도막의 밀착력이 불충분하면 내수성·내식성등이 저하하고, 도막의 밀착이 불완전한 개소가 생기기 쉽고, 이러한 결함부분에서의 부식액의 급격한 침투를 초래하고, 곧 광범위한 도막의 박리에 이러르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수성 수지의 경우 건조성이 떨어지고 도장공정의 합리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된 것이고, 유해한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 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처리제에 의한 방청처리방법과 동등이상의 우수한 방청성을 발휘하는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방청처리방법과 더불어 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처리제와 동등이상의 우수한 방청성을 가지는 비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의 방청조성물에 있어서, 특히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에 도포후 열건조할 수 있던가 또는 가 열중도포(熱時塗布) 건조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방청처리방법을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 되는 pH 7이상인 조성물을 아연계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에 도포하고, 그후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를 50~250℃로 가열하여 건조하던가 또는 미리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을 50~250℃로 가열하고 그후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구성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로서,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 pH 7이상으로 하는데에도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방청처리에 있어서,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 되는 pH 7이상인 조성물(이하 간단히 「본 발명의 조성물」 이라 함)을 사용한다. 상기 수성수지조성물은 도막을 형성하여 피도물 표면을 부식환경에서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인산이온의 용출을 억제하고, 방청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수성수지조성물은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폴리우래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알키드수지로서는 pH 7이상에서 물에 용해 또는 분산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부텐등의 α-올레핀과 아크릴산·메타크릴산·말레인산등의 α,β-애틸렌성 불포화 카본산과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주사슬(巨鎖)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것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의 카르복실화율은 10~30%인 것이 좋다. 10% 미만이면 물분산성이 나빠지고, 물 분산성 실리카를 배합한 경우에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한다. 30%를 넘으면 발수성이 작아져 내식성이 저하한다.
상기 수성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의 배합비율은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30∼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70중량부 이하이다.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이 70중량부를 넘으면, 아연계피복강과 도막사이에 부식액의 침투가 넓어지고, 도막의 박리를 불러일으키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된다. 좋기로는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30~90중량부에 대해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70~10중량부이다.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함유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미소브리스터의 발생에 의해 방청성이 저하하고, 또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의 함유량이 90중량%를 넘으면 건조성이 떨어져 좋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수성수지조성물에 관한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의 배합비율을 상기 범위내로 함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상기 인산이온의 공급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건데 인산(H3PO4)·인산나트륨(Na3PO4)·인산제일수소나트륨(Na2HPO4)·인산제이수소나트륨(NaH2PO4)·인산칼륨(K3PO4)·인산제일수소칼륨(K2HPO4)·인산제이수소칼륨(KH2PO4)·인산암모늄{(NH4)3PO4}·인산제일수소암모늄{(NH4)2HPO4}·인산제이수소암모늄{(NH4)H2PO4}등을 들 수 있고, 게다가 인산히드라지늄등의 인산의 저분자 아민염·인산에틸등의 비교적 저분자인 인산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 인산암모늄·인산제일수소암모늄·인산제이수소암모늄등의 휘발성 염기와의 염, 인산히드라지늄등의 인산의 저분자 아민염등이 좋다.
상기 인산이온의 함유량은 상기 수성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0.5중량부이다. 인산이온의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피도물인 금속과 도막의 계면에 인산아연층등의 인산금속염층 형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방청효과가 나쁘게 된다. 인산이온의 함유량이 0.5중량부를 넘으면 도막중의 전해질량이 증대하여 도막의 투수성이 증가하므로 염수분무시험(이하 "SST" 라 함)성과 내수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또한, 과승한 인산이온의 첨가는 방청조성물중에 경시적으로 수성수지를 겔화 시키므로 방청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악화시킨다. 좋기로는 0.05∼0.2중량부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수소이온 농도는 pH 7이상이다. pH 7미만이면 물에 분산한 수성수지가 겔화하는 지연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된다. 좋기로는 pH 8~pH 12이다. pH조정은 예컨데 암모니아수 또는 기타의 아민계화합물; 수산화리튬·수산화칼륨·수산화나트륨등의 금속수산화물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건조성·내찰상성(耐擦傷性)·도막밀착성등의 개선제로서 물분산성 실리카가 함유되어도 좋다. 상기 물분산성 실리카로는 나트륨등의 불순물이 적고 약알카리계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데 스노우텍스 N(닛산 화학공업사 제품)·아데라이트 AT-20N(큐텐화공업사 제품)등의 시판되는 실리카젤;시판되는 에어로실 분말실리카 입자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입자의 입경은 10~20mμ가 좋다.
상기 물 분산성 실리카의 함유량은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1~30 중량부이다. 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30중량부를 넘으면 방청력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또한 다른 성분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컨데 안료·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성수지와 실리카입자·안료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고, 게다가 수성수지와 아연 또는 철의 인산화물층과의 밀착성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카프링제가 배합되어도 좋다.
상기 안료로서는 예건데 산화티탄(TiO2)·산화아연(ZnO)·산화지르코늄(ZrO)·탄산칼슘(CaCO3)·황산바륨(BaSO4)·알루미나(Al2O3)·카오린크레이·카본블랙·산화철(Fe2O3, Fe3O4)등의 무기안료;유기안료등의 각종 착색안료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카프링제로는 예컨데r-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r-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r-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r-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비닐벤질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수성수지의 막조성능을 향상시켜 보다 균일하고 평활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 용제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용제로서는 도료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데 알콜계·케톤계·에스테르계·에테르계의 것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연계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로 사용하여 아연계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의 방청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방청처리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도물에 도포하고, 도포후에 피도물을 열풍으로 가열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이어도 좋고, 미리 피도물을 가열하고,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가열중 도포하고, 남은 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 가열온도는 상기 어떠한 방법이어도 50~250℃이다. 50℃미만이면 수분의 증발속도가 늦고 충분한 막 성형성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방청력이 부족하고,250℃를 넘으면 수성수지의 열분해등이 생기므로 SST성·내수성이 저하하고 또 외관도 황변(黃變)하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된다. 좋기로는 70~100℃이다.
도고후에 피도물을 열풍으로 가열하고 건조시키는 경우, 건조시간은 1초~5분이 좋다.
상기 방청처리에서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의 도포 막두께는 건조막두께가 0.l㎛이상임이 좋다. 0.1㎛미만이면 방청력이 부족하다. 건조막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도장하지처리로서는 비경제적이고, 도장에도 불합리하므로 보다 좋기로는 0.1~20㎛이다. 더욱 좋기로는 0.1~10㎛이다.
상기 방청처리에서는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의 도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으로 사용되는 롤코트(Roll Coat)·에어스프레이(Air Spray)·에어레스 스프레이(Airless Spray)·침투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은 인산이온을 함유하고 있다.
인산이온은 피도물인 금속과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인산아연·인산철등의 인산염을 형성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방청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인산염은 산성환경하에서도 충분히 안정하다. 따라서, 부식환경하에서의 아노드(anode) 부위등의 산성환경하에서 피도물과 도막의 계면에 농화용출한 인산이온과 아연·철등의 피도물인 금속의 이온과 반응하여 안정한 인산염층을 형성 할 수 있으므로, 방청처리의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를 게제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르복실화 폴리올레인수지로서 하이텍크 S-7024(α,β-에틸렌성 카본산을 14~24중량% 공중합시킨 에틸렌 α,β-에틸렌성카본산공중합체, 토우보오화학사 제품)를 사용했다. 이 카르복실화 폴리올레인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분산성 실리카로서 스노우텍크 N(닛산화학사 제품)을 고형분 환산하여 3중량부 및 인산이온 공급원으로 인산이온 환산하여 0.10중량부로 되도록 인산암모늄{(NH4)3PO4})(와코쥰약사 제품) 0.15 중량부를 배합하고, 조성물의 고형분이 20중량% 되도록 물을 가해 분산기로 30분간 교반분산시켜 pH 9.0으로 되도록 조정하며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미리 가열하고(이하 「도장전 가열」이라 함) 판재온도를 80℃로 한 시판되는 용융아연도강판(Z-27, 닛뽕테스트판넬사 제품, 70×150×2.3㎜)에 바코드(#5)로 건조막두께가 2~3㎛되도록 도포하고 건조한다. 용융아연도강판은 스카치브라이트(Scotchbright)로 표면을 연마한 후, 알카리 탈지제(서브클리너 53, 닛뽕페인트사 제품)로 탈지·수세·건조후에 사용했다.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용융아연도강판을 아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표기했다.
(1) 건조성
얻어진 조성물을 미리 판재온도 80℃로 되도록 가열한 시판되는 용융아연도강판(Z-27, 닛뽕테스트 판넬사 제품, 70×150×2.3㎜)에 바코드(#5)로 도포하고, 5초후에 손가락으로 촉진하고, 도막의 점착성 정도를 5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아래의 것으로 했다.
5점 : 점착없음
4점 : 약간 점착성 있음
3∼2점 : 꽤 점착성 있음
1점 : 점착성이 현저함
(2) 내온수 시험
40℃항온기중에 10일간 침적후 흰녹의 발생정도를 10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아래치 것으로 했다.
10점 : 이상없음
9점 : 10점과 8점의 사이
8점 : 약간 도막에 부풀어오름 발생
7~6점 : 8점과 5점의 사이
5점 : 면적의 절반에 부풀어오름 발생
4~2점 : 5점과 1점의 사이
1점 : 전면에 부풀어오름 발생
(3) SST
5%의 식염수를 35℃에서 조성물 도포면에 분무하고, 16시간후 흰녹의 정도를 10점만점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아래의 것으로 했다.
10점 : 이상없음
9점 : 10점과 8점의 사이
8점 : 약간 흰녹 발생
7~6점 : 8점과 5점의 사이
5점 : 면적의 절반에 흰녹 발생
4~2점 : 5점과 1점의 사이
1점 : 전면에 흰녹 발생
실시예 2∼5,7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폴리우레탄수지(올레스타XUD2123, 미쯔이도오아쓰 화학사 제품)·스노우텍스 N 및 인산암모늄을 표 1에 게제한 배합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하여 조성물을 얻고, 도포 건조 ·평가했다. 게다가, 인산암모늄의 배합량은 인산이온 환산으로 0.10중량부로 되도록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
폴리우레탄수지(올레스타XUD2123, 미쯔이도오아쓰화학사 제품)에 대체하여 아크릴수지(EM 1220, 닛뽕페인트사 제품)들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하여 조성물을 얻고, 도포 건조·평가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실시예 8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얻고, 얻어진 조성물을 미리 판재온도를 가열하지 않고 시판되는 용융아연도강판(Z-27, 닛뽕테스트판넬사 제품,70×150×2.3㎜)에 바코드(#5)로 건조 막두께가 2~3㎛ 되도록 도포하고, 그후 가열하고(이하 「도장후 가열」이라 함), 판재온도를 80℃로 하여 5분간 건조시켰다. 용융아연도강판은 스카치브라이트로 표면을 연마한 후, 알카리탈지제(서브크리너 53, 닛뽕페인트사 제품)로 탈지·수세·건조후에 사용했다.
얻어진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용융아연도강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9
가열온도를 250℃로 하고, 건조시간을 5초간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조성물을 얻고, 도포 건조·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스노우텍스 N 고형분 70중량부 및 크롬산 스트론튬 5중량부를 배합한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하여 조성물을 얻고, 도포 건조·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2~6
표 2에 게제한 배합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하여 조성물을 얻고,도포 건조·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에서,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 수지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실용적 방청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우레탄수지·아크릴수지 등의 다른 수성수지를 조합시키면, 건조성·내온수성·SST등이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현저히 개선된 것이 판명되었다.
그외의 수성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인산이온의 사용에 의해 내식성이 현저히 향상하고, 물분해성 실리카를 첨가하면 건조성이 향상함이 판단되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은 도장후에 가열 건조하여 현저히 우수한 내식성·내온수성을 나타내지만, 도장전에 가열 건조한 경우에도 통상의 크롬함유 처리제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가열건조는 80℃정도의 저온에서 단시간에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이므로 유해한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 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처리제를 사용하는 방청처리방법과 동등이상의 우수한 방청력을 가지는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의 방청처리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 처리제와 동등이상의 우수한 방청력을 가지는 비크롬화합물 함유 수지계의 방청조성물이어서, 특히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에 도포후 열건조할 수 있던가 또는 가열중 도포건조 가능한 것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5)

  1.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시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되는 pH 7이상인 조성물을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에 도포하고, 그후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를 50∼250℃로 가열하여 건조하던가 또는 미리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을 50∼250℃로 가열하고 그후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청처리방법.
  2.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9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서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 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키고, 게다가 물분산성 실리카를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1∼30중량부 함유시켜되는 pH 7이상인 조성물을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에 도포하고, 그후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를 50∼250℃로 가열하여 건조하던가 또는 미리 상기 아연계 피복강 또는 무피복강을 50∼250℃로 가열하고 그후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청처리방법.
  3.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10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pH 7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4. 카르복실화 폴리올레핀수지 고형분 30∼90중량부와 폴리우레탄수지·폴리에스테르수지·아크릴수지·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고형분 70∼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성수지조성물에 인산이온을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0.5중량부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pH 7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에 물분산성 실리카를 상기 수성수지조성물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1∼30중량부 함유시켜 이루어지고, pH 7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연계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KR1019960009173A 1995-04-03 1996-03-29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KR100335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02939 1995-04-03
JP10293995A JP3806452B2 (ja) 1995-04-03 1995-04-03 防錆処理方法並びに亜鉛系被覆鋼及び無被覆鋼用防錆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69A KR960037869A (ko) 1996-11-19
KR100335674B1 true KR100335674B1 (ko) 2002-11-27

Family

ID=1434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173A KR100335674B1 (ko) 1995-04-03 1996-03-29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1372A (ko)
EP (1) EP0736579B1 (ko)
JP (1) JP3806452B2 (ko)
KR (1) KR100335674B1 (ko)
DE (1) DE6961373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10B1 (ko) * 2006-03-07 2014-05-26 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수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0054A (en) 1996-02-01 2000-03-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Chromium-free, metal surface-treating composition and surface-treated metal sheet
EP1156095B1 (en) * 2000-05-15 2004-02-18 Fujilight Industrial Co. Ltd. Aqueous resin composition for use as a sealer
EP1199335B1 (de) * 2000-10-21 2010-12-22 Evonik Degussa GmbH Funktionalisierte Kieselsäuren
JP2003082271A (ja) * 2001-09-11 2003-03-19 Tohcello Co Ltd 被覆用組成物及び積層体
JP2007138264A (ja) * 2005-11-21 2007-06-07 Noguchi Koki Kk 鉄鋼表面の防錆処理剤
CN101809201A (zh) * 2007-08-02 2010-08-18 雪佛龙美国公司 用于钝化换热器系统的方法和组合物
CN101619451A (zh) * 2008-07-01 2010-01-06 上海品新冶金设备有限公司 钢铁、锌板、铝及铝合金件和锌及锌合金用的无铬钝化剂
CN101619452A (zh) * 2008-07-01 2010-01-06 上海品新冶金设备有限公司 钢铁、锌板、铝及铝合金件和锌及锌合金用的无铬钝化剂
CN101891998B (zh) * 2009-05-18 2012-11-21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一种涂料组合物和镀锌钝化材料
US20130115384A1 (en) * 2011-11-04 2013-05-09 Armando Sáenz-CHAPA Continuous method for applying a cover over a metallic sheet
JP2016199713A (ja) * 2015-04-13 2016-12-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水系組成物の製造方法
JP6674081B2 (ja) * 2016-07-14 2020-04-01 ユケン工業株式会社 防錆用コーティング処理液
JP7101443B2 (ja) * 2018-07-02 2022-07-15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水性塗料組成物
CN109868043A (zh) * 2019-01-23 2019-06-11 深圳市诺美斯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防刮哑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616C (ko) *
CA703082A (en) * 1965-02-02 Lesota Stanley Acidic copolymeric viscosity stable dispersions
US3671295A (en) * 1968-11-21 1972-06-20 Continental Can Co Process for preparing carboxyl acid containing olefin polymer surface coatings using high energy ionizing radiation
JPS5380430A (en) * 1976-12-27 1978-07-15 Mitsubishi Gas Chem Co Inc Coating composition
JPS5511038A (en) * 1978-07-12 1980-01-25 Yoshizaki Kozo Coating method of metal can, metal can member, or sheet material for metal can with slurry paint
JPS56104976A (en) * 1980-01-23 1981-08-21 Shikoku Kaken Kogyo Co Ltd Coating composition
JPS5775823A (en) * 1980-10-31 1982-05-12 Toyo Ink Mfg Co Ltd Manufacture of laminated material
BR8203184A (pt) * 1981-06-02 1983-05-17 Itt Aperfeicoamentos das composicoes de tintas
GB2129812B (en) * 1982-11-05 1985-11-13 Stc Plc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 surfaces
DD214616A1 (de) * 1983-03-28 1984-10-17 Buna Chem Werke Veb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tices fuer korrosionsschutzmittel
JPS60240774A (ja) * 1984-05-15 1985-11-29 Kobe Steel Ltd 耐食性の優れた表面処理鋼材
EP0236879B1 (en) * 1986-03-11 1991-07-0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Emulsion-type rust preventive baking composition
US5064468A (en) * 1987-08-31 1991-11-12 Nippon Paint Co., Ltd. Corrosion preventive coating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10B1 (ko) * 2006-03-07 2014-05-26 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수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1372A (en) 1998-03-24
KR960037869A (ko) 1996-11-19
DE69613738T2 (de) 2002-04-25
JP3806452B2 (ja) 2006-08-09
DE69613738D1 (de) 2001-08-16
EP0736579B1 (en) 2001-07-11
EP0736579A2 (en) 1996-10-09
EP0736579A3 (en) 1997-02-26
JPH08267004A (ja) 199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674B1 (ko) 방청처리방법과 아연계 피복강 및 무피복강용 방청조성물
JP4568386B2 (ja) 防錆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防錆処理方法
EP0853105B1 (en) Triazinethiol-containing anticorrosive coating composition, anticorrosion treatment method and anticorrosion treated metal materials
KR20020006425A (ko) 무크롬 도료 조성물 및 도장금속판
JP4970773B2 (ja) 金属表面処理剤、金属材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
JP2007002330A (ja) 亜鉛もしくは亜鉛合金めっき鋼板用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亜鉛もしくは亜鉛合金めっき鋼板
GB2164956A (en) Chromate coatings for metals
EP0826747B1 (en) Aqueous anti-rust agent, anti-rust method, and anti-rust treated metal material
JPH05214265A (ja) 自己析出型水性被覆組成物
JP2000129460A (ja) 有機被覆亜鉛系メッキ鋼板
JP3109039B2 (ja) 防錆処理方法並びに亜鉛系被覆鋼及び無被覆鋼用防錆組成物
JPH0751620A (ja) 耐食性に優れかつ無害性のプレコート鋼板
JP4246689B2 (ja) 耐食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
JP3962123B2 (ja) 有機系表面処理金属板および有機系金属表面処理液
JP3706518B2 (ja) 非クロム型表面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
JP4534217B2 (ja) 非クロム型表面処理金属材
JP2001131443A (ja) 防錆コーティング剤、防錆コーティング方法及び防錆処理鋼材
JP3615781B2 (ja) 3価クロム化合物ゾル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ゾルを含む金属材料用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方法
JPH1161432A (ja) 無機/有機複合表面処理金属板
JP2000256870A (ja) 耐食性の優れた非クロム型表面処理鋼板
JP3722658B2 (ja) 非クロム型処理亜鉛系めっき鋼板
JP4757367B2 (ja) 防錆処理方法及び防錆処理金属材
EP0553271B1 (en) Preatment for zinc and zinc alloys prior to chromating
JP2001240978A (ja) 亜鉛系メッキ鋼材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水性表面処理組成物
JP2000248374A (ja) 防錆処理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