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70B1 - 스크린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670B1
KR100335670B1 KR1019940010910A KR19940010910A KR100335670B1 KR 100335670 B1 KR100335670 B1 KR 100335670B1 KR 1019940010910 A KR1019940010910 A KR 1019940010910A KR 19940010910 A KR19940010910 A KR 19940010910A KR 100335670 B1 KR100335670 B1 KR 10033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inting
blade
blades
squeeg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오키에
Original Assignee
다니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스퀴지 블레이드의 스크린에 대한 인압, 즉 접면압력을 미세조절할 수 있게 하여, 이에 의하여 스크린 인쇄의 고정밀도, 고밀도화를 가능케 한다. 바닥부에 스크린판의 윗면과 접촉하는 전후 1쌍의 블레이드와 그 1쌍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가늘고 긴 공급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에 그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판 위에 나누어지는 점성인쇄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하우징(A)과, 상기 공급구를 비인쇄시에는 폐쇄하여 두고 매회의 인쇄시에만 개방하고 또한 그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공급구 개폐기구(B)로 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이 인쇄를 위하여 전진되는 경우에만 상기 1쌍의 블레이드가 상기 스크린판의 윗면과 각각 접촉함과 동시에, 그 1쌍의 블레이드중, 후방의 블레이드가 스퀴지 블레이드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퀴지장치(S)를 구비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 그 후방블레이드(2B)를 부착한 하우징의 후벽의 아래쪽 벽부를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하이동가능한 가동벽부로서 구성한 것, 및 그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의 각 바깥쪽에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22)을 각각 설치하고, 그 조절수단을 통하여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피인쇄물에 대하여 소정의 프린트 패턴을 가진 복수개의 구멍을 구비한 스크린판을 통하여 점성인쇄재료를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프린트 회로기판에 대한 크림상태의 납의 인쇄에 알맞는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바닥부에 스크린판의 윗면과 접촉하는 전후 1쌍의 블레이드와, 그 1쌍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가늘고 긴 공급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에 그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 판상에 나누어지는 점성인쇄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공급구를 비인쇄시에는 폐쇄해두고, 매회의 인쇄시에만 개방하고, 또한 그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공급구개폐기구로 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인쇄를 위하여 전진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1쌍의 블레이드가 상기 스크린판의 윗면과 각각 접촉함과 동시에, 그 1쌍의 블레이드중, 후방의 블레이드가 스퀴지(squeegee) 블레이드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퀴지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 인쇄장치는 출원인이 출원한 선출원(일본국 특원평 2-419135호 및 실원평 3-77831호 참조)에 있어서 개시되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프린트회로 기판상에 칩형상 전자부품을 실장할 때에 그 실장작업에 선행하여 그 기판상의 도체패턴에 전자부품을 납땜하는데 필요한 크림상태의 납, 즉 납합금분말과 고점도 액상용제를 개어서 크림상태로한 납페이스트를 스크린판을 통하여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개발된 것으로, 챔버내에 수용된 납페이스트를 혼련하는 기능과 그 납페이스트에 토출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겸유하는 회전로울러가 그 챔버내에 배열설치되어 있어서, 내장하는 납페이스트를 스크린판상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면서 프린트 회로기판상의 도체패턴에 스크린 인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납페이스트를 인쇄작업전에, 그 때마다 미리 스크린 판상에 얹어두고, 그 다음에 플라스틱이나 고무질 탄성체로 된 유연한 스퀴지를 그 스크린 판상에서 왕복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스크린 인쇄를 하도록 한 종전의 것(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1-19275호 참조)에 비하여 인쇄작업의 능률이나 인쇄정밀도 등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는 스퀴지가 스크린판의 윗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미끄럼운동하며, 그 미끄럼 운동에 의하여 점성인쇄재료가 그 스크린판의 구멍에 강제 송입되어, 그 구멍을 통하여 피인쇄물에 인쇄되는 것이므로, 인쇄작업능률이나 인쇄정밀도 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매회의 인쇄시에 있어서의 인쇄재료의 점성변화나 공급량의 변동의 방지 등이 요구되나, 인쇄재료가 점성도 높은 납페이스트로 되어 있어서, 이것을 프린트 회로기판에 스크린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요구에 더하여, 스퀴지의 스크린판에 대한 인압, 즉 접면압력의 적정화가 고정밀도, 고밀도 인쇄의 실현의 관점에서 중요사항으로서 특히 요구된다.
프린트 회로기판에 대한 스크린 인쇄용의 납페이스트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것중, Sn 63%, 전후, Pb 37% 전후의 조성을 가진 저융점의 납합금분말과 고점도액상 용제를 개어 용제함유량을 9.3% 전후로 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판되고 있는 납페이스트는 밀폐튜브에 넣어 판매되고 있으나, 튜브를 개봉하여 꺼낸 후에는 외기에 접촉하므로, 그 접촉하는 부분이 용제 성분의 휘발이나 산화 등에 의하여 경화되어 점성변화가 생기기 쉽다. 이렇게 하여 점성변화가 생긴 납페이스트를 그대로 스크린 인쇄에 사용하면, 그것에는 적정한 정도의 용제를 보유하는 납입자와 용제를 거의 보유하지 않거나 또는 용제 보유량이 감소된 납입자의 덩어리가 혼재하므로, 인쇄상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고정밀도의 인쇄가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불량부분이 스크린의 구멍을 폐쇄하거나, 스퀴지 또는 스크린 또는 그 쌍방에 손상을 주는 원인으로도 된다. 이러한 나쁜 영향을 미치는 납페이스트의 점성변화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는 튜브를 개봉하여 납페이스트를 꺼낸 후에는 그 납페이스트를 될 수 있는 대로 외기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납페이스트를 인쇄작업전에 그때 마다 미리 스크린에 얹어놓고 스크린 인쇄를 하도록 한 상기 종전의 인쇄방식은 이러한 요구에 맞지 않는 것이고, 사람의 수작업을 요하는 납페이스트의 번잡하게 개는 작업이 불가결하였다. 출원인이 출원한 상기 선출원(일본국 특원평 2-419135호 및 실원평 3-7783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납페이스트가 밀폐형 하우징의 챔버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더구나 그 챔버내에 수용된 납페이스트가 상기 회전로울러에 의하여 혼련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개는 작업을 위한 사람의 수작업을 요하지 않고 더구나 그 납페이스트의 점성변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공지의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출원인이 출원한 상기 선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것도 포함하여, 인압, 즉 접면압력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결여하고 있었으므로, 예컨대 인쇄재료의 종류의 차이에 따른 점성정도의 고저나 스크린판의 구멍의 대소나 인쇄중에 있어서의 스크린판 내지 스퀴지의 휨이나 변형의 정도의 대소 등에 따라 인압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불편 내지 결점이 있었다.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는 스퀴지와 스크린판과의 접촉이 기계적으로 반복하여 행하여지는 것이므로, 인압이 너무 강하면, 스퀴지 또는 스크린판 또는 그 쌍방이 조기에 마모되어 버려 사용불가능하게 되기 쉽고, 그 결과, 그 한쪽 또는 양쪽을 빈번하게 신품과 교환할 필요에 마주치게 되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인쇄작업의 능률을 저하시켜 버린다.
특히, 인쇄재료가 납페이스트인 경우에는 굳어서 미세한 납입자가 많이 그것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들 납입자가 인쇄중 줄과 같은 미끄럼 마찰을 하므로, 그들의 마모가 더욱 심하고, 또한 더 빨라지게 된다. 반대로, 인압이 너무 약하면, 스퀴지의 스크린판에 대한 접면 정밀도 내지 밀착성이 불량하게 되므로, 스크린판의 구멍으로의 인쇄재료의 강제 송입력이 약해지거나, 스퀴지의 하단 가장자리와 스크린판 윗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겨, 그 틈새로부터 인쇄재료가 새어나와, 스크린판상에 잔사로서 남거나 하는 불편한 사태가 발생하기 쉽다. 사용하는 인쇄재료가 점성이 높은 인쇄재료로서의 납페이스트인 경우에는 그 조성성분인 납입자와 용제가 스퀴지의 이동중에 서로 분리되어 다량의 용제가 상기 틈새로부터 새어나와 버리는 한편, 용제의 부족한 납입자가 한 덩어리가 되어 스크린판의 구멍에 충전되어, 이른바 막힘을 야기하여, 인쇄불능의 상태를 가져오거나, 인쇄정밀도를 악화시켜 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인압이 너무 약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므로, 특히 미세한 구멍을 뚫은 스크린판을 사용하는 고정밀도, 고밀도 스크린 인쇄는 도저히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공지의 스크린 인쇄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점을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 내지 불편이 없고, 더구나 인쇄작업의 고능률화, 인쇄정밀도의 월등한 향상 및 인쇄의 고밀도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프린트 회로기판에 대한 납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사용하여 양호하고 적절한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청구항 1의 전문에 기재된 구성을 가진 스퀴지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그 후방블레이드를 부착한 하우징의 후벽의 아래쪽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하이동 가능한 가동벽부로서 구성한 것, 및 그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의 각 바깥쪽에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각각 설치하여, 그 조절수단을 통하여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함으로써,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상기 후방블레이드의 상기 스크린판에 대한 접면압력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태양에 대해서는 청구항 2∼10의 기재를 참조하기 바란다.
(작용)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의 각 바깥쪽에 각각 설치한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조작하여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해 줌으로써, 전후 1쌍의 블레이드중, 그 가동벽에 부착한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후방블레이드의 스크린판에 대한 접면압력을 적정치로 설정해 줄 수 있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기하는 실시예의 설명중에서 상술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이것을 납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장치에 실시한 1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A는 바닥부에 복수개의 구멍(1A)을 구비한 메탈스크린(1)의 윗면과 접촉하는 전후 1쌍의 블레이드(2A, 2B)와 그 1쌍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가늘고 긴 공급구(3)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에 그 공급구(3)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1)상에 나누어지는 점성인쇄재료로서의 납페이스트(4)를 수용하는 챔버(5)를 구비한 하우징이고,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그 하우징(A)과 상기 공급구(3)를 비인쇄시에는 폐쇄해두고, 매회의 인쇄시에만 개방하며, 또한 그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공급구 개폐기구(B)로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A)이 인쇄를 위하여 제2도에서 도시한 화살표(X)의 방향으로 전진되는 경우에만 상기 1쌍의 블레이드(2A, 2B)중, 후방의 블레이드(2B)가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퀴지장치(S)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A)은 그 이동방향에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1쌍의 측벽(6A, 6B)과, 그 측벽의 전방부분의 대향벽면에 고정된 전벽(7) 및 후벽(8)과 이들 4개의 둘레벽의 정상부에 고정된 정상벽(9)으로 상자형상의 밀폐형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벽(8)은 윗쪽 고정벽부(8A)와 아래쪽 가동벽부(8B)로 되어 있고, 그 고정벽부(8A)는 상기 1쌍의 측벽(6A, 6B)의 후방부분의 대향내벽면 사이에 고정되며, 그 가동벽부(8B)는 그 하부에 있어서, 그 측벽(6A, 6B)의 후방하부 각각에 뚫려 있는 비스듬히 전방쪽으로 경사진 긴구멍(10A, 10B)에 헐겁게 끼워진 지지축(11)에 나사부착되어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부에서 상기 고정벽부(8A)의 하부에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또한 그 길이방향의 전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긴홈(1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아래쪽 가동벽부(8B)는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함과 동시에, 상하이동 가능한 가동벽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후벽(8)의 윗쪽 고정벽부(8A)는 상부벽부재(8A1), 중간벽부재(8A2) 및 하부벽부재(8A3)의 3개의 부재에 의한 분해가 자유로운 조립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긴홈(12)은 그 하부벽부재(8A3)의 상부에 있어서 그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평으로 돌출한 돌출 가장자리부(8A3a, 8A3b)중,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 가장자리부(8A3b)의 아래쪽에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 후벽(8)의 아래쪽 가동벽부(8B)의 상부(8Ba)는 그 본체부분(8Bb)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부 선단부(8Ba')는 상기 긴 홈(12)내에서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후벽(8)의 가동벽부(8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공급구 개폐기구(B)에 작동연결되어 있고, 후방의 블레이드(2B)는 이 가동벽부(8B)에, 전방의 블레이드(2A)는 고정전벽(7)에 각각 부착수단(8B', 7A)을 통하여 후방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고착되어 있다. 양 블레이드(2A, 2B)는 예컨대, 박판스프링 재료로서 사용되는 탄소강대, 합금강대와 같은 탄성 및 강성이 큰 강판으로 제조된 얇은 대형상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크린(1)의 윗면과 접촉하는 하단 가장자리(2A', 2B')는 그 스크린 윗면과 접촉하여 미끄럼운동할 때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하게 하므로, 각각 단면 반원호상으로 둥글게 형성하고 있다. 그 블레이드(2A, 2B)의 두께는 0.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탄성과 강성이 큰 강철대로부터 제조해낸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0.1/0.05mm 정도의 두께로 할 수 있어, 그 정도의 극히 얇은 두께의 것이라도 인쇄작업중 후방블레이드(2B)는 스퀴지 블레이드로서, 선행블레이드(2A)는 그 후방블레이드(2B)에 의한 스퀴지 동작에 선행하여 전회의 인쇄시에 스크린(1)의 윗면에 부착한 인쇄의 마무리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납페이스트의 잔사(4')를 깎아내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로서, 각각 뛰어난 실용성을 발휘하는 것임이 실험에 의하여 실증되고 있다.
하우징(A)의 좌우 1쌍의 측벽(6A, 6B) 사이에는 챔버(5)에 수용된 납페이스트(4)를 혼련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그 혼련수단은 그 챔버(5)를 대략 수평으로 횡단하는 태양으로, 또한 소요의 간격을 두고 상하 2단으로 배열설치된 2개의 회전로울러(13, 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로울러(13, 14)는각 측벽(6A, 6B)의 상부 안쪽에 고정된 소형하우징(15, 16)에 각각 부착한 가역전동기(17, 18)에 각 감속기구를 통하여 각각 작동연결되어 있어서, 각 가역전동기(17, 18)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그 감속기구는 벨트구동기구로 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제8도에 있어서 한쪽의 측벽(6B)쪽의 벨트구동기구만이 부호 19로 표시되어 있다.
벨트구동기구(19)는 각 측벽에 세로로 설치된 긴구멍(6')의 내부에 장치되고, 그 긴구멍(6')에는 커버(6")가 장착되어 있다.
공급구 개폐기구(B)는 도시한 예에서는 하우징(A)의 양측벽(6A, 6B)의 바깥쪽 앞부분에 각각 부착된 공기압식 액추에이터(20)와 그 액추에이터를 상기 지지축(11)을 통하여 상기 가동벽부(8B)에 작동연결하는 링크기구(21)로 되어 있고, 그 작동에 의하여 스퀴지장치(S)의 공급구(3)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21)는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각 측벽(6A, 6B)에 피벗축(21A')에 의하여 피벗지지되며, 또한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로드(20A)에 일단부가 피벗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벨크랭크(bell crank)(21A)와 그 벨크랭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피벗지지되어 있어서, 그 타단부가 후술하는 지지축(11)의 축부분(11A)에 연결된 링크(21B)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구(3)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벨크랭크(21A)가 그 일단부에 있어서 피스톤로드(20A)에 의하여 당겨져서 피벗축(21A')의 축선둘레를 피벗운동하면, 링크(21B)에 의하여 지지축(11)이 상기 긴구멍(10A, 10B)으로 안내되어 후방으로 유동되고, 그에 따라 가동벽부(8B)가 후방블레이드(2B)와 함께 상기 상부 선단부(8Ba')를 유동축으로 하여 고정벽부(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후방으로 요동하게 되므로, 그 공급구(3)는 개방된다. 이와는 반대로 공급구(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벨크랭크(21A)가 피스톤로드(20A)에 의하여 밀리면, 가동벽부(8B)는 후방블레이드(B)와 함께 링크(21B) 및 지지축(11)을 통하여 고정전벽(7)에 접근하는 방향, 즉 전방으로 요동되므로, 그 공급구(3)는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구 개폐기구(B)는 상기 공급구(3)를 비인쇄시에는 폐쇄해두고, 매회의 인쇄시에만 개방하고, 또한 그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다. 부호 22는 가동벽부(B)의 높이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이고, 그 조절기구(22)는 하우징(A)의 각 측벽(6A, 6B)의 바깥쪽 후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 조절기구(22)는 각 측벽에 가압나사(23)로 수평으로 고정된 직방형의 부착판(24)과 그 부착판(24)을 상하로 관통하는 조절나사(25)와, 상단부에 나사구멍(26)이 있고, 그 나사구멍(26)에 상기 부착판(24)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조절나사(25)의 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킨 세로로 긴 가동조절판(27)으로 되어 있고, 그 가동조절판(27)은 그 상부 가까이의 중앙부에 세로로 긴 작은 긴구멍(28)이 있고, 그 긴구멍(28)에는 각 측벽(6A, 6B)에 고착된 핀(29)이 헐겁게 끼워지고, 그 하부에는 상기한 각 측벽의 긴구멍(10A, 10B)에 각각 대응하는 비스듬히 전방으로 경사진 비교적 큰 긴구멍(30)이 뚫려있고, 그 긴구멍(30)에 상기 측벽쪽의 각 긴구멍(10A, 10B)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지지축(11)의 축부분(11A)이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그 가동조절판(27)에는 그 긴구멍(30)의 하부에 다시 상기한 작은 긴구멍(28)과 똑같은 세로로 긴 작은 긴구멍(31)이 뚫려있고, 이 긴구멍(31)에로 각측벽(6A, 6B)에 고착된 핀(32)이 헐겁게끼워져 있다. 상기한 조절나사(25)의 나사부의 외주에는 부착판(24)과 가동조절판(27) 사이에 코일스프링(33)이 수축되어 장치되고, 또 조절나사(25)의 머리부(25A)의 외주면에는 조절의 기준이 되는 눈금(25B)이 새겨져 있다.
조절기구(22)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절나사(25)를 그 머리부(25A)를 손가락 끝으로 집어 적절히 회전조작하면, 가동조절판(27)은 상하방향으로 나사식진퇴되고, 그 나사식진퇴의 운동량에 따라 지지축(11)이 각 측벽의 긴구멍(10A, 10B)내를 그 경사면을 따라 헐겁게 움직여 상하이동하고, 이에 따라 그 지지축(11)에 고정된 가동벽부(8B)도 그 지지축(11)의 운동량에 따라 상하이동하게 되므로, 그 가동벽부(8E)에 고정되어 있는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후방블레이드(2B)도 그 가동벽부(8B)와 일체로 상하이동한다.
도시한 조절기구(22)에 있어서는 가동벽부(8B)의 높이를 약 1.5mm 정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후방블레이드(2B)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그 조절폭을 적절히 증감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부호 34는 후벽(8)의 고정벽부(8A)의 상부 중앙에 뚫어 설치한 개구로서, 이 개구(34)에 납페이스트 보급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한끝을 연결한 보급도관의 다른 끝을 연결하고, 챔버(5)내의 납페이스트의 양이 감소한 경우에, 그 보급장치를 작동시켜 그 챔버(5)에 납페이스트를 보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35는 상기 개구(34)의 양쪽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뚫어 설치한 개구로서, 이들 개구(35)에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공급도관을 통하여 연결하여, 챔버(5)내에 불활성가스를 뿜어 넣음으로써, 그 챔버(5)내의 납페이스트의 산화를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 36은 황동 등의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만든 격벽으로서, 하우징(A)은 이 격벽(36)에 의하여 상기 챔버(5)와 온도조절장치(37)를 수용하는 스페이스(38)로 분할되어 있고, 그 챔버(5)내의 납페이스트는 그 온도조절장치(37)로 적당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도조절장치(37)는 도시한 예에서는 전자온도계(37A)와 송풍기(37B)로 되어 있고, 그 송풍기(37B)는 챔버(5)내의 납페이스트의 온도가 최적한 온도, 예컨대 24∼26°의 수준을 넘었을 때에, 그 챔버(5)내에 배열설치된 온도센서(37')가 이것을 검지하여, 그 검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따로 설치된 콘트롤 유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39는 2개의 회전로울러(13, 14)의 상기 가동벽부(8B)에 면한 쪽의 각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 강판제의 간막이 부재를 겸한 휨판이고, 납페이스트(4)의 안내 및 상기 로울러(13, 14) 사이의 틈새로의 납페이스트(4)의 침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지지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부호 41은 전방블레이드(2A)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상단부를 하부의 회전로울러(14)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여, 상기 휨판(39)과 똑같은 작용을 하게 하도록 한 휨판이다.
부호 42는 프린트 회로기판(P)의 가동지지대, 43은 그 가동지지대(42)를 끼운 좌우 양측에 배열설치되어 있고, 스크린판(1) 및 그 스크린판(1) 위를 이동하는 스퀴지장치(5)를 지지하는 좌우 1쌍의 지지대이다. 또, 부호 44는 좌우 1쌍의 안내레일, 45는 그 안내레일(44)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왕복 미끄럼운동판,46은 그 왕복 미끄럼 운동판(45)에 고정된 스퀴지장치(S)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로서의 공기압식 액추에이터, 47은 그 미끄럼운동판(46), 따라서 또 스퀴지장치(S)를 상기 안내레일(44)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시키기 위한 벨트구동기구이다.
다음에, 제1도∼제3도에 있어서, 부호 48은 상기 왕복 미끄럼 운동판(45)에 부착되고, 스퀴지장치(S)에 연결된 좌우 1쌍의 서스펜션기구이고,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그 서스펜션기구는 공기압식 서스펜션기구로서 구성되어 있어서, 스퀴지장치(S)를 하강시켜, 상기 1쌍의 블레이드(2A, 2B)를 스크린(1)에 접촉시켰을 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인쇄중에 있어서의 스퀴지장치(S)의 좌우의 균형을 잡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화살표(X) 방향으로 전진중인 스퀴지장치(S)에 의한 인쇄작업이 대략 종료되는 단계에 가까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3도는 인쇄작업이 종료되어 스퀴지장치(S)가 상하이동기구(46)에 의하여 윗쪽으로 당겨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퀴지장치(S)는 그 후 화살표(Y)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거기서 다음 번의 인쇄작업을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스퀴지장치(S)가 비인쇄장치에 있을 때에는 그 공급구(3)가 공급구 개폐기구(B)에 의하여 폐쇄되고, 전후 1쌍의 블레이드(2A, 2B)도, 그 하단부에서 서로 탄력적으로 접하여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역전동기(17)를 시동시켜 회전로울러(13)를 제10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역전동기(18)를 시동시켜, 회전로울러(1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들 로울러(13, 14)와 가동벽부(8B) 사이의 협착된 영역에 존재하는 납페이스트는 윗쪽의 로울러(13)에 의하여 가해지는 아래쪽으로의 압력과 아래쪽의 로울러(14)에 의해 가해지는 윗쪽으로의 압력을 동시에 받으므로, 그것에 의하여 그 조성성분으로서의 납입자와 용제는 양호하게 교반, 혼련되어, 인쇄에 적합한 균일한 점성을 가진 납페이스트로 연성된다.
스퀴지장치(S)가 상기 원위치에서 하강하여, 스크린(1) 상의 인쇄 개시위치에 세트되면, 가동벽부(8B)가 공급구 개폐기구(B)에 의하여 상기 고정벽부(8A)의 긴홈(12)의 헐겁게 끼워져 있는 그 가동벽부(8B)의 상부선단부(8Ba')를 유동축으로 하여 후방에 소정위치까지 요동변위되며, 그것에 의하여 공급구(3)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2A, 2B)도 폐쇄상태가 해제되어, 충분히 혼련된 균일한 납페이스트(4)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인쇄개시와 동시에 상기 로울러(13, 14)의 쌍방 또는 한쪽을 제10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납페이스트(4)에는 토출압력이 가해지므로 납페이스트(4)는 고도의 점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원활히 스크린(1) 상에 자동공급되게 된다.
가동벽부(8B)가 후방으로 소정위치까지 요동변위되면,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후방블레이드(2B)의 하단 가장자리(2B')는 스크린(1) 윗면으로부터 약간 떠오르게 된다.
예컨대 가동벽부(8B)가 스크린(1)과 직각인 평면에서 약 3.5°에 걸쳐 요동하면, 후방블레이드(2B)의 하단 가장자리(2B')는 이론적으로는 스크린(1)의 윗면으로부터 약 0.5mm의 높이로 상승하여, 그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스크린(1)에 대한 후방블레이드(2B)의 인압은 0이 되고, 공급구(3)로부터 스크린(1) 상에 공급되는 납페이스트는 그 틈새로부터 후방으로 빠져나가 정상적인 스크린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가동벽부(8B)의 높이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22)을 설치하였으므로, 상기와 같은 불편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된 조절가능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가동벽부(8B)의 높이, 따라서 또 스퀴지 블레이드(2B)의 하단 가장자리(2B')의 스퀴지장치(S)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돌출레벨을 미세조절해 줌으로써 자유로이 인압을 미세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블레이드(2A, 2B)는 얇은 대형상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과 강성을 아울러 가지며, 과도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후방블레이드(2B)의 인압을 미세조절하기에 적합하고, 선행블레이드(2A)도 클리닝 블레이드로 하여 납페이스트의 잔사를 유효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블레이드(2A, 2B)의 하단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압을 강하게 하여도 스크린(1), 특히 그 구멍(1A)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고, 스크린(1)의 구멍(1A)의 대소를 불문하고 고정밀도의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3도의 (a) 및 (b)는 공지의 유연한 스퀴지(N)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의 그 스퀴지의 스크린(1)에 대한 접면상태 및 인쇄의 완성상태를 각각 도해한 것이며, 제14도의 (3) 및 (b)는 본 발명 장치의 스퀴지 블레이드(2B)의 스크린(1)에 대한 접면상태 및 인쇄의 완성상태를 각각 도해한 것이다.
또, 제1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스퀴지 블레이드(2B)를 그 인압을 약간 강하게 한 상태에서 스크린(1)의 구멍(1)을 통과시킨 직후의 상태를 도해한 것이다. 유연한 스퀴지(N)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는 스크린(1)의 구멍(1A)이 커지면 커질수록 스퀴지(N)의 하단 가장자리의 구멍(1A)내로의 변형돌출 정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프린트기판(P)에 인쇄된 납페이스트 윗면의 오목부분이 커지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본 발명 장치의 스퀴지 블레이드(2B)에 의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A)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균일하고 양호한 인쇄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장치의 각 구동부 내지 작동기구의 조작 내지 작동은 원칙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시이퀸스 제어장치에 의하여 시이퀸스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납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알맞은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이것에 각종의 개량변경을 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인쇄잉크와 같은 점성이 비교적 낮은 점성인쇄재료의 스크린 인쇄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그 전문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후방블레이드를 부착한 하우징의 후벽의 아래쪽 벽부를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하이동 가능한 가동벽부로서 구성하고, 그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의 각 바깥쪽에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함으로써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상기 후방블레이드의 상기 스크린판에 대한 접면압력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중「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항에서 상술한 스퀴지의 인압의 과부족에 기인하는 불편을 유효히 제거 개선할 수 있어서, 스크린 인쇄의 고정밀도, 고밀도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프린트 회로기판에 대한 납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적합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점성을 가진 인쇄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납페이스트를 인쇄에 최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및 6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각 블레이드가 얇은 대형상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크린의 윗면과 접촉하는 그 블레이드의 하단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자간의 접촉면적이 매우 작아질 뿐만 아니라, 적정한 인압을 얻기 쉽고, 더욱이 그 블레이드가 미끄럼 운동할 때의 마찰이 매우 작아지므로, 그 블레이드 내지 스크린을 손상하게 할 위험을 적게 함과 동시에 그 블레이드의 스크린에 대한 접면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내지 10에 각 기재된 것이 나타내는 효과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작용, 효과와 실질적으로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배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퀴지(squeegee)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하우징 후벽의 사시도,
제6도는 상기 후벽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상기 후벽의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장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장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스퀴지의 확대 측면도,
제11도는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12도는 공급구의 개구상태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
제13(a)도는 공지의 유연한 스퀴지의 스크린에 대한 접면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정면도,
제13(b)도는 (a)에 도시한 스퀴지에 의한 인쇄의 완성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제14(a)도는 본 발명 장치의 스퀴지 블레이드의 스크린에 대한 접면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정면도,
제14(b)도는 (a)에 도시한 스퀴지 블레이드에 의한 인쇄의 완성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스퀴지 블레이드에 의한 스크린 인쇄중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스퀴지장치 A: 하우징 B: 공급개폐기구
P: 프린트기판 1: 스크린 1A: 구멍
2A: 전방블레이드 2A': 전방블레이드의 하단 가장자리
2B: 후방블레이드 2B': 후방블레이드의 하단 가장자리
3: 공급구 4: 납페이스트 5: 챔버
6A, 6B: 측벽 7: 고정전벽 8: 후벽
8A: 후벽의 고정벽부 8A1': 긴홈 8A3': 긴홈
8B: 후벽의 가동벽부 13, 14: 회전로울러 20: 공기압식 액추에이터
21: 링크기구 22: 조절수단 36: 격벽
37: 온도조절장치 44: 안내레일 45: 왕복 미끄럼 운동판
46: 상하이동기구 48: 서스펜션기구

Claims (10)

  1. 바닥부에 스크린판의 윗면과 접촉하는 전후 1쌍의 블레이드와 그 1쌍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가늘고 긴 공급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에 그 공급구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판 위에 나누어지는 점성인쇄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공급구를 비인쇄시에는 폐쇄하여 두고 매회의 인쇄시에만 개방하고 또한 그 개구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공급구 개폐기구로 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이 인쇄를 위하여 전진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1쌍의 블레이드가 상기 스크린판의 윗면과 각각 접촉함과 동시에, 그 1쌍의 블레이드중 후방의 블레이드가 스퀴지 블레이드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스퀴지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 그 후방블레이드를 부착한 하우징의 후벽의 아래쪽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하이동가능한 가동벽부로서 구성한 것, 및 그 하우징의 좌우 양측벽의 각 바깥쪽에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각각 설치하여, 그 조절수단을 통하여 그 가동벽부의 높이를 미세조절함으로써, 스퀴지 블레이드로서의 상기 후방블레이드의 상기 스크린판에 대한 접면압력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인쇄재료가 프린트 회로기판에 대한 칩형상 전자부품의 실장에 사용되는 납합금분말과 고점도액상 용제를 섞어서 개어 크림상태로한 납페이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챔버내에 납페이스트를 혼련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가 열전도성이 양호한 격벽이고, 납페이스트를 수용하는 챔버와 온도조절장치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1쌍의 블레이드를 각각 얇은 대형상 강판으로 형성한 것, 및 상기 스크린판의 윗면과 접촉하는 각 블레이드의 하단을 둥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 블레이드의 두께가 0.05mm 이상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공급구 개폐기구가 공기압식 액추에이터와, 그 액추에이터를 상기 가동벽부에 작동연결하는 링크기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판은 메탈스크린이고, 프린트 회로기판의 가동지지대를 끼운 좌우 양측에 배열설치되어 있고 스크린판 및 그 스크린판 위를 이동하는 스퀴지장치를 지지하는 좌우 1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스퀴지장치가 안내레일에 부착된 왕복 미끄럼 운동판에 상하이동기구 및 서스펜션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회의 인쇄시에 전방블레이드가 스퀴지블레이드로서의 후방블레이드에 의한 스크린판의 구멍으로의 점성인쇄재료의 강제 송입에 선행하여, 전회의 인쇄시에 그 스크린판 윗면에 부착된 점성인쇄재료의 잔사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KR1019940010910A 1993-05-19 1994-05-19 스크린인쇄장치 KR100335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06493 1993-05-19
JP93-153064 1993-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670B1 true KR100335670B1 (ko) 2002-09-04

Family

ID=1555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910A KR100335670B1 (ko) 1993-05-19 1994-05-19 스크린인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52655A (ko)
KR (1) KR100335670B1 (ko)
CN (1) CN1043946C (ko)
DE (1) DE4417633B4 (ko)
FR (1) FR2705276B1 (ko)
IT (1) IT1269797B (ko)
MY (1) MY110933A (ko)
TW (1) TW288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8060A (en) * 1994-08-05 1999-11-23 Fuji Machine Mfg. Co.,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US5865117A (en) * 1995-05-22 1999-02-02 Fuji Machine Mfg. Co., Ltd. Screen cleaning apparatus and screen cleaning method
US6286422B1 (en) * 1994-12-27 2001-09-11 Visteon Global 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MY112503A (en) * 1995-03-01 2001-06-30 Tani Electronics Ind Co Ltd Scre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5871807A (en) * 1995-08-14 1999-02-16 Micron Display Technology, Inc. Multiple level printing in a single pass
GB2304630B (en) * 1995-08-31 1998-05-20 Tani Denki Kogyo Kk Squeegee arrangement for screen printing
JP2896343B2 (ja) * 1996-05-14 1999-05-31 谷電機工業株式会社 印刷用スキージー装置
DE19624442C2 (de) * 1996-06-19 1999-08-05 Leipold Xaver F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ruckgut mittels Durchdruck, insbesondere Siebdruck und Durchdruck-, insbesondere Siebdruckmaschine
US5704286A (en) * 1996-08-02 1998-01-06 Kabushik Kaisha Toshiba Screen printing apparatus
EP0848586B1 (en) * 1996-12-10 2007-0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solder paste
US6324973B2 (en) 1997-11-07 2001-12-04 Speedlin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in a printer
US6453810B1 (en) 1997-11-07 2002-09-24 Speedlin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in a printer
BE1011561A5 (nl) * 1997-11-21 1999-10-05 Volder Laurent De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anaf een inktreservoir beinkten van een gegraveerde clicheplaat.
JP3494055B2 (ja) * 1999-01-21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DE602005010247D1 (de) * 2004-05-17 2008-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ebdruckvorrichtung und siebdruckverfahren
CN100415511C (zh) * 2005-09-08 2008-09-03 东莞市凯格精密机械有限公司 悬浮式刮刀系统
GB2437070B (en) 2006-04-10 2011-12-14 Dek Int Gmbh Screen printing head and system
US7980445B2 (en) * 2008-01-23 2011-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l head for full-field solder coverage with a rotatable member
JP4643719B2 (ja) * 2009-02-09 2011-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はんだ供給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CN101979249B (zh) * 2010-09-08 2012-09-05 东莞市凯格精密机械有限公司 接触感应刮刀机构及全自动视觉印刷机
CN104527220B (zh) * 2014-12-31 2016-08-24 珠海蓝坊智能设备有限公司 丝网印花单刀刮印和回墨装置
CN109392299B (zh) * 2017-08-08 2022-03-2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锡膏喷嘴、工作台和加锡膏装置
KR101857203B1 (ko) * 2017-12-01 2018-05-11 주식회사 이노티스 이종패턴 인쇄가 가능한 마스킹유닛이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CN110682665B (zh) * 2019-10-14 2021-08-20 上海志承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丝网印刷机用刮墨刀
CN111890786B (zh) * 2020-07-15 2021-12-10 东莞百通包装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刷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7102A (en) * 1940-07-09 Igniting device
US2027102A (en) * 1933-08-01 1936-01-07 O Hommel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enciling
US4070964A (en) * 1968-04-25 1978-01-31 Stork Amsterdam B.V. Thin flexible metal squeegee blade for rotary screen printer
DE1912773A1 (de) * 1969-03-13 1970-10-01 Freudenberg Carl Fa Vorrichtung zum Aufbringen oertlich begrenzter Bindemittelmengen auf Bahnen
US3921521A (en) * 1970-07-23 1975-11-25 Zimmer Peter Squeegee device
JPS5941890A (ja) * 1982-08-31 1984-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機
AT393464B (de) * 1983-05-25 1991-10-25 Johannes Zimmer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aufgeschaeumten oder hochviskosen medien
US4622239A (en) * 1986-02-18 1986-11-11 At&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s
US4729306A (en) * 1986-05-16 1988-03-08 American Screen Printing Equipment Company Screen seal system
JPS6455597A (en) * 1987-08-26 198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inuous word recognition equipment
JPH0475398A (ja) * 1990-07-18 1992-03-10 Cmk Corp プリント配線板のスルーホール等に対する充填材の充填装置
JP2816600B2 (ja) * 1990-12-28 1998-10-27 谷電機工業株式会社 封入式クリーム半田塗布装置
GB2257386B (en) * 1991-06-24 1995-07-05 Tani Denki Kogyo Kk Screen printing apparatus
JPH06111255A (ja) * 1992-09-26 1994-04-22 Alps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媒体及び磁気ヘッドの耐久性評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946C (zh) 1999-06-30
CN1104829A (zh) 1995-07-05
FR2705276B1 (fr) 1997-07-11
DE4417633A1 (de) 1994-12-08
ITMI941015A0 (it) 1994-05-19
IT1269797B (it) 1997-04-15
FR2705276A1 (fr) 1994-11-25
TW288254B (ko) 1996-10-11
MY110933A (en) 1999-06-30
US5452655A (en) 1995-09-26
ITMI941015A1 (it) 1995-11-19
DE4417633B4 (de)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670B1 (ko) 스크린인쇄장치
US5640907A (en) Ink supplier in a printer system for printing circuit patterns or like on base board
JPH0899402A (ja) クリーム半田印刷装置
CN101685770A (zh) 焊球印刷装置
US6641868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creen printing
US6158338A (en) Cassett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epositing the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US6571701B1 (en) Stirring mechanism for viscous-material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JP361055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5590596A (en) Printer system for printing circuit patterns or like on base board
GB2437070A (en) Screen printing head and system
US5746125A (en) Enclosed multi-blade squeegee structure for screen printing
JP330304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476041B2 (ja) スキージ,スキージヘッド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H04147860A (ja) スキージ圧力均一印刷機
JPH08224854A (ja) 印刷装置
JP4430784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331652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H08318613A (ja)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68509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796030B2 (ja) プリント基板スクリーン印刷機
JP2874438B2 (ja) 電極塗布装置
JPH08309958A (ja) 一方向スキージ印刷法及び一方向スキージ印刷装置
JP3694131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341729B2 (ja)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6336402B1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n air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