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468B1 -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468B1
KR100332468B1 KR1019980024846A KR19980024846A KR100332468B1 KR 100332468 B1 KR100332468 B1 KR 100332468B1 KR 1019980024846 A KR1019980024846 A KR 1019980024846A KR 19980024846 A KR19980024846 A KR 19980024846A KR 100332468 B1 KR100332468 B1 KR 10033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ias
bias voltage
terminal
control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586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2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4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11C5/146Substrate bias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전원이 급격히 떨어질 경우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빠르게 변화시켜 메모리 칩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부접지단자와 기판바이어스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커런트 패스를 형성하여 외부전원의 변화에 따라 포지티브 차지를 기판바이어스 전압 출력단으로 주입시켜 기판바이어스 전압 출력단의 네거티브 차지를 빠르게 방전시켜 외부전원의 변화에 대응하는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만들어주므로써 칩의 동작을 안정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전원이 급격히 떨어질 경우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빠르게 변화시켜 메모리 칩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는 NMOS를 둘러싸고 있는 P-Well에 인가되며(DRAM의 기판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형 실리콘 기판에도 인가되므로 기판 바이어스라 부른다), Vcc=5V의 전원으로부터 -2V∼-3V 정도의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기판 바이어스 회로에 의해 생성된다.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를 인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디램 칩내의 PN 정션이 부분적으로 순방향 바이어스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손실이나 Latch-Up 등을 막는다.
즉, 데이터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입력파형에 -2V 정도의 언더슈트(Undershoot)가 있어도 PN 다이오드가 턴온되지 못해 입력단자로부터 P형 실리콘 기판으로의 전자의 주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둘째는 본체효과(Body Effect)에 따른 모스의 문턱전압의 변화를 줄여주어 회로동작의 안정화를 꾀한다.
즉,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를 인가하면 트랜지스터는 소오스 전위가 상승하더라도 문턱전압의 변동폭 ΔVt가 줄어든다.
예를들어, 메모리 셀의 전압을 0V에서 3V로 바꾸어 써넣는 경우 기판에 -3V가 인가된 뒤 다시 그 값이 -6V로 변화된다면 그에 대응하는 ΔVt는 0.3V로 된다.
한편, Vbb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 즉 기판전압이 0V일 때 기판전압이 -3V로 바뀌었다면 ΔVt는 0.5V로 된다.
따라서 문턱전압의 손실없이 3V를 층실히 라이트하기 위해서는 워드라인을 각각 3.3V, 3.5V까지 승압해야만 한다.
이렇게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ΔVt가 감소하므로 워드라인 전압의 승압폭을 작게할 수 있어 그만큼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트랜지스터의 미세화와 함께 기판농도나 웰농도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에 대한 문턱전압의 변동, 즉 Bulk Effect가 증가하므로 메모리 셀 영역에 Vbb를 인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 손실이나 Latch-up등을 방지하며,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높여주고 본체효과에 의한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의 변화를 줄여주어 회로동작의 안정화를 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원이다.
그런데, 외부전원이 순간적으로 급격히 낮아질 경우 기판바이어스 전압 Vbb도 빠르게 증가하여야만 메모리 칩의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수가 있는데 기존에는 이러한 대책이 없어 소자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외부전원이 급격히 낮아져 기판바이어스 전압이 엔모스형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이상의 증가가 생길 경우 포지티브 차지(Positive Charge)를 기판바이어스 단자로 주입하여 기판바이어스 전압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도록 한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모스형 트랜지스터 12 : 커패시터
14 : 저항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는 일측단자가 외부접지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기판바이어스 전압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 단자와 소오스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 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일측단자가 외부접지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기판바이어스 전압 발생회로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와, 상기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 타측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12)와, 상기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 타측단자와 기판바이어스 전압 발생회로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저항(14)으로 구성된다.
만약, 외부전원이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기판바이어스 전압의 절대값이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의 문턱전압값 이상으로 증가 할 경우, 예를들어 외부전압이 5V에서 2V로 낮아져 기판바이어스 전압이 -3V에서 -2V로 되어야 하는 경우(물론, 이때 문턱전압이 1V 인 경우), 상기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전압은 외부전원의 변화에 따라 바로 -2V로 되지만 상기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의 소오스 단자, 즉 저항(14)과 커패시터(12)가 연결되는 점의 전압은 상기 저항(14)과 커패시터(12)의 시정수인 RC 시간 이후에 증가된 전압, 즉 -2V로 변하게 되어 그 동안 상기 엔모스형 트랜지스터(10)가 턴온되고 이를 통해 외부접지단자에서 기판바이어스 전압단자로 Positive Charge가 주입되어 메모리 칩의 기판에 층전되어 있던 Negative Charge를 방전시켜 변화된 기판바이어스 전압으로 빠르게 변화시킨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외부전원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빠르게 적절히 변화시켜 칩의 동작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접지단자에서 기판바이어스 전압단자로 포지티브 차지를 주입시켜 기판바이어스 전압단자의 네거티브 차지를 빠르게 방전시켜 기판바이어스 전압을 외부전원에 적절히 대응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반도체 메모리 칩에 적용하게 되면 외부전원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기판바이어스 전압이 이에 대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칩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단자가 외부접지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기판바이어스 전압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 게이트 단자와 소오스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과,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 단자와 외부접지단자 사이에 연결되느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는 엔모스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바이어스 전압 제어장치.
KR1019980024846A 1998-06-29 1998-06-29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KR10033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46A KR100332468B1 (ko) 1998-06-29 1998-06-29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46A KR100332468B1 (ko) 1998-06-29 1998-06-29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586A KR20000003586A (ko) 2000-01-15
KR100332468B1 true KR100332468B1 (ko) 2002-08-21

Family

ID=1954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846A KR100332468B1 (ko) 1998-06-29 1998-06-29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959A (ja) * 1987-04-13 1988-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111590A (ja) * 1992-09-25 1994-04-22 Fujitsu Ltd 負電圧バイアス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H07130171A (ja) * 1993-11-01 1995-05-19 Nec Corp 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959A (ja) * 1987-04-13 1988-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111590A (ja) * 1992-09-25 1994-04-22 Fujitsu Ltd 負電圧バイアス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H07130171A (ja) * 1993-11-01 1995-05-19 Nec Corp 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58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251B1 (ko) 전압 제어회로
KR960002826B1 (ko) 챠지펌핑효율이 개선된 챠지펌프회로
KR0133942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KR100467918B1 (ko) 낮은동작전압에서유효한전압변환회로를구비한반도체집적회로
US4704547A (en) IGFET gating circuit having reduced electric field degradation
KR900004725B1 (ko) 전원전압 강하회로
KR930008661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데이타입력버퍼
US4874967A (en) Low power voltage clamp circuit
EP0720295B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471737B1 (ko) 출력회로,누설전류를감소시키기위한회로,트랜지스터를선택적으로스위치하기위한방법및반도체메모리
JPH1173769A (ja) 半導体装置
US5631867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requiring short time for program voltage to rise
KR100493599B1 (ko) 워드선활성화전압의안정화회로를가지는반도체기억장치
KR960003219B1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중간전위 발생회로
US4904885A (en) Substrate bias circuit having substrate bias voltage clamp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6476641B2 (en) Low power consuming circuit
US6657903B2 (en) Circuit for generating power-up signal
KR100332468B1 (ko) 기판바이어스전압제어장치
US6271692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172554B1 (en) Power supply insensitive substrate bias voltage detector circuit
KR100348216B1 (ko) 듀얼 레벨을 이용한 기판전압 발생장치
WO1986003632A1 (en) High reliability complementary logic
KR100360022B1 (ko) 액티브 내부전압 발생회로
US20050104571A1 (en) Power-up signal generating circuit
KR960009952B1 (ko) 전원 인가시의 오동작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