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84B1 - 마늘 오리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마늘 오리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84B1
KR100330984B1 KR1019990018694A KR19990018694A KR100330984B1 KR 100330984 B1 KR100330984 B1 KR 100330984B1 KR 1019990018694 A KR1019990018694 A KR 1019990018694A KR 19990018694 A KR19990018694 A KR 19990018694A KR 100330984 B1 KR100330984 B1 KR 10033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powder
duck
feed
wee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631A (ko
Inventor
최윤화
Original Assignee
최윤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화 filed Critical 최윤화
Priority to KR101999001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9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에게 마늘을 먹여 사육함으로써 오리 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약리 효능을 향상시켜 오리의 상품성을 향상시켜 주는 마늘 오리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늘과 양파를 5:5 비율로 준비하여, 저온 건조 처리한 후 곱게 분말로 가공하여 마늘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알에서 막 깨어난 초생추부터 일주일간은 마늘 분말 가루 7∼8g을 먹는 물에 타서 먹이고; 일주일 후부터 2주간 동안 어린 오리가 먹는 사료에 마늘 분말 약 35g을 첨가하여 먹이고; 4주째부터 마늘 분말 30∼50g과 한약재 100∼150g을 4주간에 걸쳐서 먹여서 사육한다.

Description

마늘 오리 사육 방법{A garlic Duck}
본 발명은 마늘 오리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리에게 마늘을 먹여 사육함으로써 오리 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약리 효능을 향상시켜 오리의 상품성을 향상시켜 주는 마늘 오리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리는 자양 강정 식품으로 많은 사람들이 섭취하는데, 오리 고기에서는 오리 특유의 냄새가 많이 나기 때문에 비위가 약한 사람들은 먹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마늘에는 해독작용이 있으며 배를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돕고, 위를 튼튼하게 하고 비장이나 신장을 강하게 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좋게하고, 살균 항암 작용이 있어서 위염, 고혈압, 암치료 등에 이용되는 등, 감염 질환의 치료로부터 심장 질환의 예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약효를 갖고 있다.
이러한 마늘은 익혀도 영양분이 적어지지 않으며, 빈속에 생마늘을 많이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지만 한 두 개만 먹으면 위를 자극해서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음식맛을 돋군다.
실제로 많은 나라에서 마늘은 입맛을 돋구는 재료로 쓰이고 있다.
또한 마늘은 정장작용을 한다. 마늘속의 알리인과 비타민 B1이 결합된 알리아치민은 기능이 떨어진 장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마늘은 비타민의 덩어리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더위를 이기고 정력을 높이는 강정식품으로 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마늘을 먹으면 본인은 물론 주위의 동료들에게 좋지 않은 냄새를 풍긴다. 원래 마늘 속에는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아리인과 아리네이스라는 효소가 들어 있다.
마늘을 먹게되면 이 세포막이 파괴되고 아리인은 분해 되어서 아리신이 되어 독특한 악취를 풍기게 된다.
그러나 마늘을 익히거나 구우면 이러한 냄새가 없어지거나 적어진다. 그렇지만 마늘을 익히거나 구우면 영양분이 파괴되고 강장효과가 떨어진다고 해서 억지로 생마늘을 먹는 사람들이 있으나, 역시 마늘이 가진 영양분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마늘 냄새를 내는 효소는 섭씨 60도만 넘게 되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초에 오래 담가둬도 이 효소는 산에 의해 파괴되어 버린다. 따라서 마늘을 냄새나지 않게 먹으려면 초에 담근 마늘장아찌로 먹거나 익혀 먹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생마늘을 부득이 먹을 때는 마늘 냄새를 내는 효소가 단백질과 잘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우유와 함께 먹으면 냄새가 적어진다.
실제로 많은 중국음식이나 서양요리에 마늘이 쓰이지만 냄새가 별로 심하지 않는데, 그 이유를 보면 열로 처리했기 때문에 냄새가 적어진 것도 있지만 생선이나 고기 속의 단백질과 결합해서 음식을 먹게 되면 입속에 별로 냄새가 남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마늘 냄새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요리에 적당히 섞어 열처리를 하거나 초 속에 넣어 먹는다면 심한 마늘 냄새는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오리 고기나 마늘은 매우 유익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그 특유의 냄새 등으로 인하여 섭취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리에게 마늘을 먹여 사육함으로써 오리 고기에서 발생하는 오리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오리 고기의 육질을 개선하여 오리 고기의 상품성을 향상시켜 주는 마늘 오리 사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늘과 양파를 5:5 비율로 준비하여, 저온 건조 처리한 후 곱게 분말로 가공하여 마늘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알에서 막 깨어난 초생추부터 일주일간은 마늘 분말 가루 7∼8g을 먹는 물에 타서 먹이고; 일주일 후부터 2주간 동안 어린 오리가 먹는 사료에 마늘 분말 약 35g을 첨가하여 먹이고; 4주째부터 마늘 분말 30∼50g과 한약재 100∼150g을 4주간에 걸쳐서 먹여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오리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오리 사육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오리 사육 방법은 먼저, 오리에게 먹일 마늘 분말을 준비하는데, 이 마늘 분말은 마늘과 양파를 5:5 비율로 준비하여, 저온 건조 처리한 후 곱게 분말로 가공하여 주는데, 대략 마늘 50Kg 을 분말 가공하면 중량이 줄어 9Kg 정도 되며, 양파 50Kg은 4Kg으로 줄어든다.
이렇게 준비된 마늘 분말을 알에서 막 깨어난 초생추부터 일주일 동안 약 7∼8g 정도를 먹이는데, 처음 3 일간은 아주 소량을 주고 점차 양을 늘려나간다.
그리고, 일주일 후부터 2주간 동안 어린 오리가 먹는 사료에 마늘 분말 약 35g 정도를 첨가하여 먹이다가, 오리의 출하 시기를 생후 8주로 가정했을 때에 4주째부터 마늘 분말 30∼50g과 한약재 100∼150g을 4주간에 걸쳐서 먹여 사육한다.
이렇게 사육한 오리고기는 타 육류보다 씹는맛이 고소하고 부드러우며 살색이 새빨개져 맛있어 보이고, 오리 특유의 체취가 전혀 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토종 오리의 폭넓은 약성과 한약재의 신묘한 약효가 합해지면 허약하고 기운없는 체질을 크게 개선시켜주고, 체내의 자연치유력을 소생시켜주기 때문에 전신에 활력이 생겨 양기도 자연 소생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마늘성분이 항생제역활을 충실히 해주기 때문에, 오리를 다량 사육하면 전염병과 같은 질환으로부터 오리를 보호하기 위한 항생제를 먹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항생제 남용에 따른 부작용이 전혀 없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오리 사육 방법은 오리에게 마늘을 먹여 사육함으로써 오리 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약리 효능을 향상시켜 오리의 상품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마늘과 양파를 5:5 비율로 준비하여, 저온 건조 처리한 후 곱게 분말로 가공하여 마늘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와; 알에서 막 깨어난 초생추부터 일주일간은 마늘 분말 가루 7∼8g을 먹는 물에 타서 먹이고; 일주일 후부터 2주간 동안 어린 오리가 먹는 사료에 마늘 분말 약 35g을 첨가하여 먹이고; 4주째부터 마늘 분말 30∼50g과 한약재 100∼150g을 4주간에 걸쳐서 먹여서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오리 사육 방법.
KR1019990018694A 1999-05-24 1999-05-24 마늘 오리 사육 방법 KR10033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94A KR100330984B1 (ko) 1999-05-24 1999-05-24 마늘 오리 사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694A KR100330984B1 (ko) 1999-05-24 1999-05-24 마늘 오리 사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631A KR20000074631A (ko) 2000-12-15
KR100330984B1 true KR100330984B1 (ko) 2002-04-01

Family

ID=1958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694A KR100330984B1 (ko) 1999-05-24 1999-05-24 마늘 오리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144A (ko) * 2002-04-02 2002-04-26 조현일 고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닭 사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589B1 (ko) * 2005-12-30 2007-06-29 (주)에스.앤.디 닭고기 향미의 제조방법
KR100892863B1 (ko) * 2007-06-29 2009-04-10 강기남 초오(草烏)오리 사육법
KR20090037146A (ko) * 2007-10-11 2009-04-15 충북바이오축산 영농조합법인 무항생제 한방 양계 사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567A (ko) * 1991-03-13 1992-10-21 시가끼 모미요시 가성광견병과 같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 가축, 가금 및 어류용 사료 및 사료용 첨가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567A (ko) * 1991-03-13 1992-10-21 시가끼 모미요시 가성광견병과 같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 가축, 가금 및 어류용 사료 및 사료용 첨가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144A (ko) * 2002-04-02 2002-04-26 조현일 고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닭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631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5816B (zh) 多味香烤蛋及其制作工艺
JP2000325044A (ja) 豆腐や豆腐粕を主体とした健康食品と餌料と健康調味料
CN101103798A (zh) 一种药膳调料
CN101292724A (zh) 一种香菇精调味料及其制作方法
CN105325916A (zh) 渣辣子味烤鱼及其加工工艺
CN101438836A (zh) 一种蛋制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CN108094567A (zh) 一种卤制用卤料、卤千张及其制备方法
KR100330984B1 (ko) 마늘 오리 사육 방법
CN102687766A (zh) 一种保健香辣食用油
KR20160067378A (ko) 해산물과 채소를 혼합하여 만든 양념소스분말
KR102103222B1 (ko) 소고기와 장어를 이용한 떡갈비
JP2018535673A (ja) 乳酸菌発酵丸ごとニンニクの製造方法
KR101017947B1 (ko) 매생이 혼합침출차의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CN106689855A (zh) 一种芹菜营养酱菜及其制备方法
CN102090660A (zh) 卤出鸡蛋及其制作方法
KR20090091520A (ko) 곰취와 우렁이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04431433A (zh) 一种促消化豆渣发酵鸡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158733B1 (ko)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KR20190104813A (ko) 연근과 닭고기를 주재료로 한 강정의 제조방법
KR102027582B1 (ko) 시금치 발효액기스와 산야초를 이용한 육질개선방법
CN107318760A (zh) 一种七百弄鸡的防病养殖方法
KR101977907B1 (ko) 민어 마리네이드를 이용한 민어구이 제조방법
KR101994530B1 (ko) 발효건조 오징어 함유 가공식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건조 오징어 함유 가공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