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33B1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8733B1 KR101158733B1 KR1020090130354A KR20090130354A KR101158733B1 KR 101158733 B1 KR101158733 B1 KR 101158733B1 KR 1020090130354 A KR1020090130354 A KR 1020090130354A KR 20090130354 A KR20090130354 A KR 20090130354A KR 101158733 B1 KR101158733 B1 KR 101158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ch
- prepared
- marinated
- black
- garl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8
- 241000252185 Cobit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7215 black sesam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claims 3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6068 Berberis vulgari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335053 Beta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4348 Perilla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40000003877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961 ton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87 Chondroitin sulf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KXKPYJOVDUMHGS-OSRGNVMNSA-N Chondroitin sulfate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OS(O)(=O)=O)[C@H](O)[C@@H]1O[C@H]1[C@H](O)[C@@H](O)[C@H](O)[C@@H](C(O)=O)O1 KXKPYJOVDUMHGS-OSRGNVMN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59329 chondroitin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33 protec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228 Erectile Dys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881 impot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94 snou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16 Alocas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669069 Chrysomphalus aon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1 Colocasia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233 Cyprinus carp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16 Gi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88 L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8 Paulownia to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9722 Perilla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29 Sorghum propinq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716 TON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15 Too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94 allergic hypersensi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3 cholelith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3061 earthworm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4 lower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6 vomi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미꾸라지를 먼저 양념으로 준비하고, 참깨, 검은깨, 검은콩, 우거지를 양념하여, 냄비 하부에 우거지양념무침을 넓게 안치하고, 그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넣고 육수를 첨가하여, 일정시간 가열하여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양념된 능이버섯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미꾸라지조림. 미꾸라지. 조림.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꾸라지 음식을 통상적인 조리방법에서 탈피하여, 미꾸라지 조림 또는 찜 형식으로 개발한 미꾸라지 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문화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정신적, 육체적 활동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체력의 저하를 다양한 증상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자양강장 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미 일부는 일반화되어 있다.
미꾸라지는 예부터 서민들이 즐겨 찾는 전통 보신식품이다. 옛날부터 서민들은 가을철 농번기를 끝내고 동네 저수지나 논, 하천, 작은 도랑 등에 나가 미꾸라지를 잡아 추어탕을 끓여 여름철 농번기에 지친 몸을 추스리는 서민들의 훌륭한 스테미나 음식으로 인기가 높았다. 미꾸라지는 옛날부터 정력을 돋구워주는 강장, 강정식품으로 명나라때 이시진이 엮은 본초강목에 보면 '미꾸라지는 속을 덥히고 원기를 돋우며, 술을 깨게하고 스테미너를 보하여 발기불능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특히, 추어탕은 미꾸라지의 내장까지 함께 끓이기 때문에 알과 난소에 많은 비타민A, D를 모두 섭취할 수 있으며,늦여름. 가을에 제 맛을 내며, 굵은 것이 맛이 좋다. 우거지나 호박순을 넣고 끓이면 비린내가 없어지며 산초 가루를 넣으면 아주 좋다. 미꾸라지의 성분은 양질의 단백질이 주성분이며, 다른 동물성 식품에서는 보기 드문 비타민 A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를 튼튼하게 보호하고, 세균의 저항력을 높여 주며 호흡기도의 점막을 튼튼하게 해준다. 또 칼슘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한 무기질(미네랄)이므로 미꾸라지는 장수식품이라 할 수 있다.그외 소량의 지방..철분.회분.인분.비타민 B2, D 등 이고 지방은 고급 불포화지방산으로 고혈압동맥경화. 비만증 환자에게 좋다.상기와 같이 건강식품의 일종인 미꾸라지를 이용한 음식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0-53916호에는 잘 숙성된 소정 양의 된장과 마늘과 생강과 들깨와 고추를 개별적으로 비교적 잘게 갈아서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들깨를 물에 잘 개어서 고운 채로 걸러낸 들깨국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무우와 배추 잎사귀를 푹 삶아서 비교적 잘게 썬 다음 얼리는 단계와, 조리용 용기에 적어도 하루를 재운 소정양의 물을 넣은 후에 소정온도의 열을 가하는 단계와, 잘게 갈려진 들깨를 상기 용기에 넣어 소정의 시간동안 끓이는 단계와, 상기 들깨국물을 끓이는 동안 얼려있는 상기 무우와 배추 잎사귀와 비교적 굵은 소금에 절여있는 미꾸라지를 상기 용기에 넣고, 상기 미꾸라지의 해감과 진액의 미감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강과 고추를 상기 용기에 넣어 소정의 시간동안 보다 더 높은 열로 삶는 단계와, 상기 삶는 단계에서 간헐적으로 골고루 저으면서 상기 된장과 마늘을 넣어 끓인 다음 가열온도를 점차적으로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비린미감의 제거를 위한 추어탕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공보 공개번호 제10-2003-28259호에는 미꾸라지에 각종양념을 첨가시켜 삶아주되 삶아진 미꾸라지를 분말화 시키고, 미꾸라지 삶은 국물을 분말화 시켜 주며, 또한 무청 시래기와 배추 잎을 비롯하여 파, 고추, 양파, 들깨, 마늘, 생강, 분말된장 등 각종양념들을 소포장으로 진공 포장하는 즉석조리용 추어탕 및 그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2-12190호에는 삶은 미꾸라지의 즙과 분쇄 고형분에 특정 겔화제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일정 조건하에서 겔화시키되 충전용기의 하단에 겔화 및 고정시켜 제조된 미꾸라지를 이용한 즉석식픔과 그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꾸라지를 이용한 음식은, 미꾸라지매운탕(일명 추어탕이라 한다)이나, 미꾸라지 튀김, 미꾸라지전골로만 조리하여 시식하여 왔으나,
미꾸라지 특유의 비릿내 때문에 비위가 약한 사람 특히, 어린아이나 여자들은 심하여 시식하기가 거북스러워 특별한 날만 시식하여 미꾸라지의 영양성분을 섭취하기 어려워 누구나 부담감 없이 시식할 수 있는 미꾸라지 음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미꾸라지를 먼저 양념으로 준비하고, 참깨, 검은깨, 검은콩, 우거지를 양념하여, 냄비 하부에 우거지양념무침을 넓게 안치하고, 그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넣고 육수를 첨가하여, 일정시간 가열하여 제조되는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미꾸라지 특유의 영양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위가 약한 사람이라도 먹는데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많은 사람들에게 맛있는 미꾸라지 음식을 제공하여 경제적인 실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미꾸라지 조리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미꾸라지 고유의 영양 및 풍미를 다양하게 맛볼 수 있는 새로운 음식문화를 개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를 혼합하여 미꾸라지 300g에 투입하여 미꾸라지를 양념하여 준비하고,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참깨 5g, 검은깨 5g, 검은콩 20g, 우거지 400g에 함께 혼합하여 우거지양념무침을 준비한 다음, 냄비 하부에 상기 우거지양념무침을 투입한 후, 상기 우거지양념무침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육수 1ℓ를 첨가하여, 100~110 ℃에서 40분 가열하여 미꾸라지 조림을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소금 2g, 마늘 4g, 후추 2g, 고춧가루 4g을 능이버섯 150g에 넣어 양념한 능이버섯을 제조된 상기 미꾸라지 조림에 넣어 토핑하여 제조되는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꾸라지는 잉어목 기름종개과 담수어. 한자어로는 추어(鰍魚)라 한다. 몸길이는 약 20㎝ 정도로 가늘고 길며 원통형으로 뒤쪽이 납작하다. 머리는 작고 주둥이는 육질(肉質)이 풍부하여 부드럽다. 입은 작고 주둥이 아랫면에서 열린다. 위? 아래 양 턱에 이는 없고, 수염은 3~5쌍으로 그 중 3쌍이 윗입술 주위에 있다. 앞쪽에 여러 개의 척추골 요소가 변형하여 부레와 내이(內耳)를 연결하는 웨버기관을 만든다. 비늘은 원 비늘로 작으며, 피하(皮下)에 매몰된 종류도 있다.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의 거의 바로 아래 위치한다. 주로 연못가?수로 등에 살며 진흙이 깔린 얕은 곳에서 산다. 바닥에 붙은 말이나 유기물을 진흙과 함께 먹는데, 몸길이가 8㎝ 정도가 될 때까지는 실지렁이 등 작은 동물도 잡아먹는다. 산란기는 초여름이며, 장호흡을 하는 것이 특징으로 아가미호흡 이외의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겨울에는 진흙 속에서 동면한다. 유연관계가 깊은 종으로는 미꾸리?쌀미꾸리?기름종개?수수미꾸리 등이 있다. 미꾸라지에는 지방?단백질?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뱀장어에 못지 않은 영양식품이며, 미꾸라지에 솎음배추?부추?고비나물 등을 넣고 끓인 추어탕이 인기이다.
동의보감에서는 추어라 하여 그 약효는 보중,지설한다고 하였다. 난호어목 지에서는 이추라 하였고, 살은 기름이 많고 살지고 맛이 있으며, 이를 잡아 맑은 물에 넣어 두고 진흙을 다 토하기를 기다려 죽을 끓이면 별미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추두부탕이라 하여 특수한 미꾸라지 요리법이 설명되어 있다. 그 내용은, 미꾸라지를 맑은 물에 5~6일간 넣어 두어 진흙을 토하게 한 뒤 솥에다 두부 몇 모와 물, 미꾸라지 50~60마리를 넣고 불을 때면 미꾸라지는 뜨거워서 두부 속으로 기어들고, 더 뜨거워져 죽게 되면 이것을 썰어서 참기름으로 지져 탕을 끓인다고 되어 있다. 한국(남서부로 흐르는 하천 및 강원 중부 이남)?중국?일본?러시아(사할린)?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미꾸라지의 효능은 피부와 혈관, 내장에 생기를 주어 젊음을 유지 시키고 숙취 해소 에 도움을 준다. 마련이다. 그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선 식품으로 콘드로이친 황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이 은 미끈미끈한 미꾸라지의 점액물인 뮤신중 콘드로이친 황산이 함유되어 있어, 콘드로이친 황산은
세포의 위축, 수분의 감소, 색소 과립의 축척 침착, 칼슘 침착 등이 일어나 윤기가 없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미꾸라지에는 우수한 단백질이 많고 칼슘과 비타민 A, B, D가 많기 때문에 정력을 돋구어 주는 강장, 강정식품으로 본초강목에 "미꾸라지는 배를 덥히고 원기를 돋우며, 술을 빨리 깨게 하고 스테미너를 보하여 발기불능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있다. 미꾸라지에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인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비타민 A와 D는 알과 난소에 특히 많이 들어 있으므로 뼈를 거를 때 염두에 두어 걸러야 하고 추어탕은 미꾸라지의 내장까지 함께 끓여서 조리하기 때문에 비타민 A와 D의 손실이 거의 없다. 미꾸라지는 칼슘과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각종 무기 질 등으로 형성된 고단위 영양제나 다름없다. 그래서 옛부터 어른들은 몸이 허하면 미꾸라지 탕이나 미꾸라지 어죽을 먹었던 것이다.(인터넷에서 발췌) 우거지는 식이성 섬유가 풍부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치를 안정시키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외에 변비를 예방, 치료하고 변비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직장암이나 담석증 등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으며, 우거지는 펙틴, 섬유소 등 식이성 섬유가 풍부하며, 주로 배추나 잎, 토란대 등을 말렸다가 사용하는 우거지는 섬유소와 펙틴의 덩어리로 장내에서 정장작용을 하며, 무잎에는 비타민 A의 모체가 되는 카로틴과 엽록소가 들어 있어서 조혈작용을 촉진하고 치혈, 세포부활 항알레르기 등의 중요한 생리작용을 한다.(인터넷에서 발췌)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그 영양가가 뛰어나다.(검정콩 20g,81kcal) 그 중에서도 검은콩 (Soybean & Black soybean)은 약효 작용이 뛰어나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검정콩은 여러 가지 독을 없애주고, 신장계통의 대사 촉진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신장계통이 약한 사람은 몸이 냉하고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몸에 여분의 수분이나 지방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검은콩을 먹으면 신장의 작용이 활발해져 수분과 지방이 축적되지 않는 몸으로 체질이 개선된다. 또한 검은콩은 당뇨병이나 귀울림,백발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은콩은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 비타민B1,B2가 많이 들어 있는 영양이 풍부한 우수 식품이다. 흑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비타민 A, B1, B2 등의 성분이 있고, 위궤양, 강장보호에 효능이 있고, 미량의 다이드진 및 제니스테인이 함유되어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하기도 한다.(인터넷에서 발췌)
깨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참깨,들깨,검정깨로 나눌 수 있다. 위의 세 종류 모두 성분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깨의 종류에 따라 조금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들깨의 경우는 섬유소가 풍부하다. 검정깨에는 칼슘이 두드러지게 많고 다른 깨에는 없는 비타민A가 들어있기도 하다. 또 깨에는 세사미놀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간기능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리놀산은 피와 살을 맑게 하고 혈관을 청소해준다. 따라서 만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고, 노화의 원인인 체내의 활성산소를 줄여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
검은깨는 오장을 보하고 기력을 도우며 안색을 좋게 하고 두발을 검게 하며 살찌게 하고 뇌수를 충실하게 한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볍고 늙지 않는다. 또한 폐를 보하고 심장과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위장을 돕는다. 풍습마저도 치료한다. 날것으로 먹으면 모든 풍증을 예방하고 꿀과 같이 쪄서 먹으면 백허(百虛)를 보하며 볶아먹으면 풍병에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종기를 고치고, 들깨는 효능이 같다.(인터넷에서 발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능이버섯은 국내 자생버섯으로 예로부터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능이버섯은 능얼, 능혈 또는 향기가 진하여 향 버섯이라 한다.
특히, 능이버섯은 암예방과 기관지 천식 감기에 효능이 있으며 그 맛은 시원하면서도 담백하고 뒷맛이 깨끗하다. 성분은 유리 아미노산이 23종 들어있으며, 지방산 10종과 미량 금속 원소가 13종이 들어있고 그밖에 유리당, 균당이 들어있다.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능이버섯은 굴뚝버섯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분포하여,
건조하면 강한 향기가 나는 귀중한 식용균으로 여름?가을에 소나무나 참나무, 물참나무 등의 활엽수림내 땅위에 열을 지어 군생하거나 단생한다.
생김새는 대형의 깔때기 모양이다. 다갈색으로 뿔모양의 돌기가 있다.
갓의 중심부는 깊게 파이고 때로는 줄기의 뿌리 부위에 달하는 것도 있다.
처음은 담홍색이었다가 차차 갈색으로 된다.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되고 강한 향기를 낸다. 갓하면에는 가는 비늘이 있고 줄기에 반 정도까지 침이 붙어 있다.
'능이'라는 이름은 버섯 향기로는 이 버섯이 가장 뛰어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독특한 방향이 있으므로 '향버섯', '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생식은 중독 되는 수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건조 보관이나 가열 요리가 요하다. 말리면 그 향은 더욱 짙어 진다. 요리를 하면 씹히는 맛이 좋아 맛이 있다. 데치거나 물에 우리거나 해서 무쳐 먹으면 맛이 약간 쓴 듯하나 향취와 풍미가 있다. 민간에서는 쇠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이 버섯을 달인 물을 소화제로 이용해 왔다.
그리고 자연산 능이버섯은 암예방과 기관지 천식 감기에 효능이 있으며 그 맛은 시원하면서도 담백하고 뒷맛이 깨끗하므로, 이러한 능이버섯은 채취 후 근거리로 이송되어 음식물에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건조시켜 각종 식품 등에 첨가물 또는 향미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시키거나 가공을 하게 되면 맛과 향이 현저히 감소하여 상품의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다양한 음식에 사용되고 있다.(인터넷에서 발췌)
기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금, 마늘, 후추, 고춧가루는 통상 양념재료로 사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념재료들의 특유성질과 사용되는 양은 기술하지 않기로 하고, 시식자에 따라 달리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꾸라지는 4인 기준으로 50~60마리가 소요되며 무게는 약 300g 사용하고, 미꾸라지 300g 당 우거지는 400g가 필요하며, 이때, 우거지의 양이 너무 많으면, 우거지가 주가 되는 조림으로 되어 우거지조림으로 되어 미꾸라지의 맛을 느낄 수 없고, 너무 적으면 우거지와 미꾸라지의 조화된 맛을 느낄 수 없으므로 우거지 400g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들깨는 미꾸라지 300g 과 우거지 400g 사용시 5g 사용하고, 양이 너무 많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에서 들깨의 맛이 강하게 되고, 너무 적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이 변질되기 때문에 5g 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참깨는 미꾸라지 300g 과 우거지 400g 사용시 5g 사용하고, 양이 너무 많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에서 들깨와 함께 깨의 맛이 강하게 되고, 너무 적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이 변질되고,
또, 검은깨로 인하여 음식의 검은색 모양이 강하기 때문에 5g 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은 콩은 미꾸라지 300g 과 우거지 400g 사용시 20g 사용하고, 양이 너무 많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에서 검은콩의 맛이 강하게 되고, 너무 적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이 변질되기 때문에 20g 이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능이버섯은 미꾸라지 조림을 제조한 후, 그 상부에 토핑하여 능이 버섯 향이 가열에 의해 날아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미꾸라지 300g 과 우거지 400g 사용시 15g 사용하고,
양이 너무 많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에서 능이의 맛과 향이 강하게 되고, 너무 적으면 재료들의 조화된 맛과 향이 변질되기 때문에 20g 이 적당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공정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를 혼합하여 미꾸라지 300g에 투입하여 미꾸라지를 양념하여 준비하고,
제2공정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참깨 5g, 검은깨 5g, 검은콩 20g, 우거지 400g에 함께 혼합하여 우거지양념무침을 준비한 다음,
제3공정
냄비 하부에 상기 우거지양념무침을 투입한 후, 상기 우거지양념무침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육수1ℓ를 첨가하여, 100~110 ℃에서 40분 가열하여 미꾸라지 조림을 제조였다.
실시예2
제1공정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미꾸라지 300g에 투입하여 미꾸라지를 양념하여 준비하고,
제2공정
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참깨 5g, 검은깨 5g, 검은콩 20g, 우거지 400g에 함께 혼합하여 우거지양념무침을 준비한 다음,
제3공정
냄비 하부에 상기 우거지양념무침을 투입한 후, 상기 우거지양념무침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육수 1ℓ를 첨가하여, 100~110 ℃에서 40분 가열하여 미꾸라지 조림을 제조하고,
제4공정
소금 2g, 마늘 4g, 후추 2g, 고춧가루 4g을 능이버섯 150g에 넣어 양념한 능이버섯을 제조된 상기 미꾸라지 조림에 넣어 토핑하여 미꾸라지조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관능검사)
상기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를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1
평가항목 | 기호도 | 향의 강도 | 비 고 |
실시예 1 | 4.2 | 4.1 | |
실시예 2 | 4.5 | 4.2 | |
종래의 미꾸라지튀김 | 3.9 | 3.3 | |
종래의 추어탕 | 4.0 | 3.9 |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
2 : 나쁘다, 약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강하다
5 : 아주좋다
5 : 아주좋다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미꾸라지조림은 전체적인 맛이 조화를 이루었으며, 각 재료의 향의 강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표2 납 함량 시험
중금속출여부 | 검사방법 | 비 고 | |
실시예1 | 검출되지 않음 | 원자흡광분석 및 USP 23 |
|
실시예2 | 검출되지 않음 | 원자흡광분석 및 USP 23 |
실험예3
표3 유해중금속검출 여부
납 검출여부 | 검사방법 | 비 고 | |
실시예 1 | 검출되지 않음 | 원자흡광분석 | |
실시예 1 | 검출되지 않음 | 원자흡광분석 |
실험예 4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꾸라지조림을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음후 자기체력 또는 피로도를 관능 검사하였다. 관능검사는 단순히 피로도 또는 체력 회복정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4
평가항목 | 한번 시음후 3시간 경과후 | 일일 1번 시식후 10시간 경과후 | 삼일간 5번 시식후 10간 경과 후 |
실시예 1 | 반응 없음 | 느낌상 조금좋음 | 느낌상 약간좋음 |
실시예 2 | 반응 없음 | 느낌상 좋음 | 느낌상 좋음 |
종래의 추어탕 | 반응 없음 | 느낌상 조금 좋음 | 느낌상 약간 좋음 |
이는 사람마다 체형별 체질별로 다르기 때문이지만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미꾸라지조림이 좋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 미꾸라지 조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제1공정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미꾸라지 300g에 투입하여 미꾸라지를 양념하여 준비하고,제2공정소금 5g, 마늘 10g, 후추 5g, 고춧가루 5g을 혼합하여 참깨 5g, 검은깨 5g, 검은콩 20g, 우거지 400g에 함께 혼합하여 우거지양념무침을 준비한 다음,제3공정냄비 하부에 상기 우거지양념무침을 투입한 후, 상기 우거지양념무침 상부에 준비된 양념된 미꾸라지를 투입하여, 육수 1ℓ를 첨가하여, 100~110 ℃에서 40분 가열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꾸라지 조림의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제조된 미꾸라지 조림에 소금 2g, 마늘 4g, 후추 2g, 고춧가루 4g을 능이버섯 150g에 넣어 양념한 능이버섯을 더 추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꾸라지 조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354A KR101158733B1 (ko) | 2009-12-24 | 2009-12-24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354A KR101158733B1 (ko) | 2009-12-24 | 2009-12-24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658A KR20110073658A (ko) | 2011-06-30 |
KR101158733B1 true KR101158733B1 (ko) | 2012-06-22 |
Family
ID=4440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0354A KR101158733B1 (ko) | 2009-12-24 | 2009-12-24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87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1776B1 (ko) | 2020-05-27 | 2022-11-29 | 박경미 | 미꾸라지 강정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미꾸라지 강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294A (ko) * | 2002-01-08 | 2003-07-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캐패시턴스를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캐패시턴스 측정 방법 |
KR100443941B1 (ko) | 2002-03-07 | 2004-08-11 | 변원호 | 미꾸라지를 이용한 즉석식품과 그 제조방법 |
KR20040110168A (ko) * | 2003-06-18 | 2004-12-31 | 오세창 | 인스턴트 추어탕 및 그 제조방법 |
KR100817385B1 (ko) | 2007-05-29 | 2008-03-27 | 예영주 | 미꾸라지 분말의 제조방법 |
-
2009
- 2009-12-24 KR KR1020090130354A patent/KR1011587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294A (ko) * | 2002-01-08 | 2003-07-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캐패시턴스를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캐패시턴스 측정 방법 |
KR100443941B1 (ko) | 2002-03-07 | 2004-08-11 | 변원호 | 미꾸라지를 이용한 즉석식품과 그 제조방법 |
KR20040110168A (ko) * | 2003-06-18 | 2004-12-31 | 오세창 | 인스턴트 추어탕 및 그 제조방법 |
KR100817385B1 (ko) | 2007-05-29 | 2008-03-27 | 예영주 | 미꾸라지 분말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658A (ko) | 201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21035A (ko) |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 |
CN104366432A (zh) | 一种富营养香辣牦牛肉酱及其加工方法 | |
KR20130000535A (ko) |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 |
KR101606784B1 (ko) | 신선탕의 제조방법 및 그 신선탕 | |
KR101443113B1 (ko) | 복어 한방지리탕의 제조방법 | |
CN105249294A (zh) | 花椒味烤鱼及其加工工艺 | |
KR101121738B1 (ko) | 김치의 제조 방법 | |
CN103169032B (zh) | 一种含有新鲜无花果的新菜式 | |
KR101280873B1 (ko) | 대추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2062523B1 (ko) | 고추다대기 제조방법 | |
KR102103222B1 (ko) | 소고기와 장어를 이용한 떡갈비 | |
KR101218073B1 (ko) | 숙취 해소용 해장국 제조방법 | |
KR101821092B1 (ko) | 해장국 제조방법 | |
KR20120130661A (ko) | 오골계 숯불구이 제조 방법 | |
KR100921505B1 (ko) | 곰취와 우렁이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70803B1 (ko) | 삼돈고기, 삼돈고기를 이용한 해물찜탕 및 해물찜탕의 제조방법 | |
KR101048519B1 (ko) | 전복홍계탕의 제조방법 | |
KR101158733B1 (ko) | 미꾸라지조림의 제조방법 | |
KR101999972B1 (ko) | 한방 동태탕의 제조방법 | |
CN105901497A (zh) | 一种健脑益智保健饺子及制备方法 | |
CN111671076A (zh) | 一种咖喱杏鲍菇状元豆牛肉酱及其制作方法 | |
KR20170054083A (ko)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오징어 먹물 순대의 제조방법 | |
KR101122427B1 (ko) | 개구리탕 | |
KR100814736B1 (ko) | 한방 조미료 | |
CN107927720A (zh) | 麻辣牛肉酱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